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단열층 사용을 통한 성층 축열조 성능개선

        임세화,이태규,신승원,Lim, Se Hwa,Lee, Tae Gyu,Shin, Seungwon 대한기계학회 2014 대한기계학회 논문집. Transactions of the KSME. C, 산업기술과 혁신 Vol.2 No.1

        본 연구에서는 지역난방 공사에서 사용하고 있는 성층 축열조의 불가용 에너지를 줄이기 위해 단열층을 설계하였다. 단열층은 추가적인 장치 없이 고온수와 저온수의 밀도차이로 생기는 부력으로 운용된다. 축열조의 내부 온도분포를 모사할 수 있는 해석모델을 Matlab Simulink 를 이용하여 제작하고 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단열층의 소재와 두께를 결정하였다. 또한 축열조의 축소실험을 통하여 단열층의 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단열층이 축열 방열과정에서 고온수와 저온수의 혼합과 열전도로 인한 온도 경계층형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단열층을 설치한 축소실험에서는 단열층이 없는 축열조보다 약 1540 J 의 추가 가용에너지가 보존되었고 이를 실제 축열조에 적용할 경우 약 6%의 축열효율이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heat insulator for reducing available energy loss in stratified thermal storage tank. Heat insulator is operated by buoyancy effect from density difference between hot and cold water without extra equipment. Analysis model using the Matlab Simulink was developed to estimate the internal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rmal storage tank and also used to select proper material and thickness of the heat insulator. Operational feasibility was confirmed through reduced scale experiment. As a result, heat insulator can effectively delay the formation of thermal boundary layer between hot and cold water. In reduced scale experiment, heat insulator can preserve additional 1540J of available energy. When applied to the real thermal storage tank, increase of 6% thermal storage efficiency can be expected.

      • KCI등재

        ‘포로’라는 이념: 한국전쟁 ‘포로서사’와 ‘자기구성’의 가능성

        임세화 상허학회 2016 상허학보 Vol.46 No.-

        What kinds of beings were prisoners of war(P.O.W) in Korean War? This study examined which areas of practices and (im)possibilities their ‘ideologies’ and ‘writings’ belonged to, analyzing aspects that P.O.W, summoned as ‘ideological beings’ and historicized, have constructed ‘self-narrative’ under cold war order and the situation of division. ‘P.O.W narratives’ have changed constantly from 1952 until 2015. It means that the ways of ‘self-construal’, how they connect themselves to ideologies in historical structure where South Korea society imagined and called P.O.W, have been changed constantly. At first, P.O.W defined themselves as ‘P.O.W who are not P.O.W’ and complained of an injustice. However, they were reborned as ‘anti-communist young patriots’ in collusion with political project of Lee Seung-man government. They constructed their identities vibrating between existence as ‘human being’ and symbol as ‘P.O.W’. In this process, the word ‘P.O.W’ was combined with the modifier ‘anti communist/communist’ and was transformed to the term which involved ideological category. Many P.O.W could not accept that they were P.O.W but that they were anti-communist P.O.W. In this point they could join political project of S.Korea government. South and North Korea both appropriated selections of P.O.W about repatriation place as proof of legitimacy and ideological superiority. Internalizing their selection as ‘the ideological’ and trying to acquire self-legitimacy, P.O.W performed ‘being-nation’ of new-born-Korea obsessively. However, their selections were not only ‘ideological decision’ but also involved in complicated conditions and desires of each individual. Self-narratives of ‘P.O.W who chose neutral nation’ bring revelations to P.O.W. narratives in that way. Because ‘P.O.W who chose neutral nation’ were beings that escaped from ideological frame which tried to summon them as ‘fence sitters’ or ‘anti-communist’. P.O.W. wrote one’s stories as a stories of a whole ‘P.O.W group’. However they could be detached from their experience gradually. In this process, ideological frames with which P.O.W were overlaid have appeared as places of absence and contradiction. Because these points have showed conflicts between individual experince of P.O.W and officialized history in numerous cases. Bodies of P.O.W which embodied ideological conflicts in Korean War were another little battleground. But they were not only lives nationalized by ideological projects of nation completely but also complex beings of desire to construct ‘self-narrative’ constantly. Their works to testify and describe their ‘lives’ were not only a stories of the period but also areas of possibilities to create a world. Their ‘self-narratives’ were possibilities of earnest lives that stood against and colluded with a symbol-system named as ‘a nation’. 한국전쟁의 전쟁포로란 어떤 존재들이었는가? 이 글은 냉전적 질서와 분단 상황 속에서 ‘이념적 존재’로 소환되고 역사화된 ‘포로’들이 ‘자기서사’를 구축해나갔던 양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들에게 ‘이념’과 ‘글쓰기’가 어떤 실천과 (불)가능성의 영역이었는지를 살펴보았다. 1952년부터 2015년에 이르는 ‘포로서사’의 변화에서 알 수 있듯이, 남한 사회가 ‘포로’를 상상하고 호출했던 역사적인 구조 속에서 ‘포로’가 ‘이데올로기’에 자신을 접속시키는 양상과 ‘자기구성’의 방식은 끊임없이 변주되어왔다. 스스로를 ‘포로 아닌 포로’로 규정하고 억울함을 호소하던 포로들은, 이승만 정권의 기획과 공명하며 ‘반공애국청년’으로 다시 태어났다. 포로’들은 ‘인간’으로서의 실존과 ‘포로’라는 상징 사이에서 끊임없이 진동하며 자기정체성을 구축했고, 그 과정에서 ‘포로’라는 말은 ‘반공/친공’이라는 수식과 결합하면서 ‘반공포로/친공포로’라는 이념적 분류범주를 내포한 용어로 변형되었다. ‘포로’라는 정체성에 스스로를 승인하지 못했던 사람들이 ‘반공포로’라는 호명에 자신을 일치시킬 수 있었던 지점이 냉전 질서 속 국가의 기획과 맞아떨어졌던 것이다. 남북은 ‘포로’들의 송환지 선택을 국가의 정당성과 이념적 우월성의 증명으로 전유했고, 이 과정에서 포로들은 스스로의 선택을 ‘이념적’인 것으로 내면화하고 그로부터 자기정당성을 획득하는 방식으로 신생 대한민국의 ‘국민-되기’를 강박적으로 수행했다. 그러나 송환지의 결정은 ‘이념적 선택’만으로는 설명될 수 없는, 각 개인의 복잡다단한 조건과 욕망이 얽힌 문제였다. 그런 점에서 ‘중립국행 포로’는 ‘회색분자’나 ‘반공주의자’라는 이념의 틀로 그들을 소환하려는 기획의 바깥으로 미끄러지는 존재들이었고, ‘포로서사’에 새로운 열림을 가져올 수 있었다. 초기의 ‘포로서사’에서 포로는 ‘나’의 이야기를 쓰는 동시에 ‘포로집단’의 이야기를 써나갔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자신들의 체험에 대한 거리두기가 가능해졌다. 그 과정에서 ‘포로’들에게 덧씌워졌던 ‘이념’이라는 해석틀은 포로 개인의 체험―공식화된 역사와 충돌하며 서사상의 오류와 결락의 지점들로 나타났다. 국가 기획과 공명하면서 자신들의 생사여탈권을 찾아나갔던 포로들은 한국전쟁의 이념적 대립을 산 몸으로 구현하고 있는 또 하나의 작은 전장(戰場)이었다. 그러나 그들은 국가의 기획과 ‘이념’에 단일하고 일관되게 포섭된 생명으로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욕망을 지니고 끊임없이 ‘자기구성’을 시도하는 착종적인 욕망의 존재로서 ‘자기서사’를 구축해나갔다. 포로들이 자신의 ‘삶’을 증언하고 기술하는 작업은 시대의 이야기인 동시에 하나의 세계를 창출하는 가능성의 영역이었다. 포로들이 구성해낸 ‘자기서사’는 국가라는 상징체계에 맞서고 공명했던 주체들의 절실했던 ‘삶’의 가능성 바로 그것이었다.

      • KCI등재

        모리배의 탄생 : 해방기 소설에 나타난 ‘빈자(貧者)’의 도덕과 ‘경제적 인간’의 정치학

        임세화 상허학회 2017 상허학보 Vol.50 No.-

        This study aims to inspect various aspects, possibilities of lives and the ways to understand human beings which novels during the liberation era showed. In South Korea during the liberation era, overcoming poverty and distribution of wealth were the most important economic agenda connected to the ideal goal of the building-independent-nation. However, senses about the ideal distribution and the need of survival were divided between official slogan which emphasized ‘the nation’ and private dimension, and were restructured each ways. Systems and decrees which US military government employed in South Korea during the liberation era caused terribly unstable and chaotic economic situation, which was called ‘the state of anarchy’ sometimes. Although the liberation era was represented as the period of political liberation which joyful emotion accompanied, economic chaos during the liberation era made the individual sense the vulnerability of the state. They questioned how to earn a living, how to protect and keep their lives which the state could not take care of. And they answered their own question in private ways. They could not internalize public perspectives about human beings and the world, systems, and regulations any more. New human types, new art of living, and new moral sentiments in contrast to the notion of ‘the nation’ appeared instead. In this respect, the liberation era was an important turning point. The acts that abusing the law, cheating or swindling others were called the act of ‘Mori(謀利)’. ‘Moribae’(the profiteers, 謀利輩) as anti-national actors who pocketed national property and sabotaged the state-building were condemned and thought as main culprit behind economic chaos and difficulties. So-called ‘Moribae’ as anti-national actors were a new human type who appeared on chaos of new econoic-system formed in a dissolution of Japanese empire’s economic area and controlled economic system. The birth of ‘Moribae’ and the criticism to them show that the sense of economic moral and values changed remarkably. To put it concretely, these show a irreconcilable point between the sense of political moral justified in the name of ‘nation’ and the sense of economic moral justified by the need of survival. ‘Moribae’ as opportunistic human type were the heterogeneous beings made by social inequality. And the birth of ‘Moribae’ and the criticism to them formed an archetype of ‘Homo economicus’ which also exist today in South Korea. 이 글은 해방기 문제적으로 지목되었던 ‘모리배’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현실의 빈곤 타개와 분배라는 경제적 의제가 민족주권국가 수립이라는 이상태와 교묘히 결합되며 해방기 최대의 현안으로 부상했던 상황에서 이상적 분배와 생존을 둘러싼 감각과 의식이 ‘민족’이라는 공동의 구호와 사적인 차원에서 각기 새롭게 재구성되던 맥락에 주목하여, 해방기 문학에서 ‘경제’와 인간의 접속이 주조해냈던 삶의 양태와 가능성, 인간 이해의 양가적인 방식에 내재된 이데올로기를 해명하고자 했다. 해방 이후 남한에서 미군정이 운용했던 체제와 법령들은 ‘무정부 상태’라고 호명될 만큼 불안하고 혼탁한 경제 상황을 초래하였다. ‘민족’의 일원이라는 당위는 해방을 맞은 사람들에게 ‘정치적 주체’로 바로 설 것을 요구했지만, 당장의 호구지책과 경제적 안정을 보장해줄 수는 없었다. 정치적인 해방을 맞은 기쁨의 시기에 도래한 경제적 대혼란은 각 개인들에게 국가가 얼마나 허약하게 작동하는 구성물인지를 감각하게 해주는 동시에 그렇다면 국가가 지켜주지 않는 생명, 생계의 문제를 어떻게 자족적으로 유지해나갈 수 있는가에 대한 답안을 체득하게 만들었던 분기점이었던 것이다. ‘모리배’로 통칭된 ‘경제적 인간’들은 민족국가의 이상적인 ‘정치적 주체’로서의 역할에서 스스로를 탈각시키고, 생존과 치부를 최우선시하며 도모했던 인간형이었다. 당대의 담론은 모리배를 악질적인 ‘반민족자’로 규탄했지만, 동시대의 소설들은 ‘모리행위’에 대한 단죄보다는 그것을 불가피한 선택으로 형상화했다. 이러한 (반)도덕적인 소설들의 서사는 ‘정치적 해방’과 ‘경제적 파멸’을 분리하여 감각했던 당대의 양가적인 도덕감각의 분화와 균열을 정확히 포착한 것이었다. 한편 모리배를 해방기 경제 혼란과 민생고의 원흉으로 지목했던 당대의 담론은 경제 혼란을 안정시킬 실질적인 정책과 대안이 부재했던 상황에서, 이른바 절대악으로서 ‘모리배’들을 타자화함으로써 안정과 결속을 꾀했던 정치적 수사이자 전략이었다. 이른바 ‘반민족적 모리배’는 일본 제국의 경제권역과 통제경제체제가 해체되면서 도래한 경제 상황 속에서의 무질서와 혼란의 격류를 틈타 다수로 생성된 인간 유형이었고, 그 층위와 종류를 한정할 수 없다는 점에서 현상적인 동시에 수사적인 용어였다고 할 수 있다. ‘모리행위’라는 문제적 삶의 처세와 이에 대한 비판은 해방기 사회를 구성하던 개인들의 경제도덕 감각과 가치관의 중핵에 중대한 변이가 일어났다는 점을 방증한다. 모리배의 준동을 규탄하는 당대의 목소리들은 공동체 구성원들의 도덕률의 변화를 기민하게 포착하고 이를 재조정하려던 움직임이었다. 공동체의 윤리가 더 이상 개인 삶의 내밀한 층위에서 합치되지 못하고, 그 좌절과 어긋남이 본격화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 도덕감각의 분화는 ‘민족’이라는 이념을 경유하여 도덕적 헤게모니를 구축하고 모리행위를 규탄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치부의 욕망을 성취할 수 있는 가능성이 현시되었던 해방기라는 도덕적 전환기의 한 축을 형성하고 있었다. 그 ‘반민족적’ 선택은 민족공동체의 일원이라는 정치적 주체로서의 상상적 기입이 각 개인에게 최소한의 생존과 안전에 대한 보장조차 해줄 수 없는 허위라는 사실을 인지한 사람들이 새롭게 수행할 수 있는 꿈의 최...

      • KCI등재

        불통(不通)의 언어, 번역된 정치 -해방기 ‘통역정치’와 문학의 언어를 중심으로-

        임세화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9 사이 Vol.26 No.-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read the liberation period when the perception of litterateurs and language public to the question of ‘what is language’ with the concept of ‘English’ and ‘interpreting politics’ as a footing and the concept of role and competence of language aggressively competed against each other and were established at the same time. In particular, this study has reviewed the status and the aspect of political appropriation of English engraved in literature and critique of the liberation period and what the litterateurs in the liberation period forecasted and anticipated in terms of the potential and role of ‘language’ and ‘literature’ in the midst of reshuffling political hegemony with the capital of language used as a medium. In the liberation period, the English, or the language of a new empire US in the movement of creating the ‘national language of Korea’ based on the linguistic nationalism emerged as a language to be interpreted and embraced as well as a means of success instead of remaining as an academic subject as it had been previously. In the process when a language was newly recognized as an absolute condition and means to determine the individual’s success in life the politics of the nation, ‘English’ expanded its roles and functions while being relativized throughout different hierarchical layers as a language of capital, politics and academia and culture. A variety of events and negative issues that arose under the US army Military government rule were explained or described as a gap between the Korean and the English languages, or interpretation/ translation errors. This gave rise to a newly coined word called “interpreting politics”, which led to criticism on the US military government as an “interpreter’s government”. A variety of unplanned events under the US Military government rule were labeled as an “indictment of interpreting politics” and were attributed to a communication or linguistic issue caused by the discrepancy between the English and the Korean languages instead of political issues arising from the US government’s governing policy for Korea or the unbalance of political powers between Korea and US. The ‘language of politics’ under the premise of (in)capability of interpretation of two different languages of English and Korean stitched up its inevitable gaps while putting emphasis sometimes on pure intention and sometimes on misinterpretation and cultural difference. The so-called ‘interpreting politics’ was a political by- product that occurred in the lack of linguistic environment and knowledge that could bridge between Korea and the US military government and was also a hegemonic term reflecting the desire and frustration of the Koreans at the time, and the reorganization of ‘linguistic capital/power’ was an important turning point that separated the perception and sense of ‘language’ as well as an inexorable call for ‘restoration of national language’. 이 글은 ‘영어’와 ‘통역정치’라는 개념을 입각점으로 삼아 ‘언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문학자와 언어대중의 인식, 그리고 언어의 역할과 역능에 대한 개념이 치열하게 경합하고 동시에 정립되던 시기로서 해방기를 읽고자 하는 시도이다. 특히 ‘언어’에 대한 인식의 재편을 중심으로 해방기 문학과 평문에 각인된 ‘영어’의 심급과 정치적 전유 양상을 검토하고, 언어라는 자본을 매개한 정치적 헤게모니의 재편 속에서 해방기 문학자들이 ‘언어’와 ‘문학’의 가능성과 역할을 어떻게 전망하고 꿈꾸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해방기, 언어 내셔널리즘을 기조로 한 ‘국어’ 창출의 움직임 속에서 새로운 제국의 언어였던 영어는 이전까지의 ‘학문’의 대상에서 번역·수용되어야 하는 대상이자 성공의 수단으로 부상했다. 언어가 개인의 입신출세와 민족의 정치를 결정지을 수 있는 절대적인 조건이자 수단으로 새롭게 인식되어갔던 과정에서 ‘영어’는 각각 자본으로서의 언어/정치의 언어/학문과 교양의 언어라는 각기 다른 층위에서 상대화되며 그 심급을 넓혀 갔다. 미군정 통치하에 벌어지는 갖가지 문제들은 조선어와 영어 사이에 놓인 간극, 즉 ‘통역/번역’의 오류로 해명되거나 수사되었다. 이로 인해 소위 ‘통역정치’라는 신어(新語)가 급부상하였으며, 이 때문에 미군정은 ‘통역관 정부(an interpreter's government)’라고 비판받았다. 군정 통치하 각종 문제들은 “통역정치의 폐단”으로 수사되면서 ‘미국’의 대조선 정책과 방침이나 통치 권력의 불균형 등에서 발생하는 정치적 문제가 아니라 영어와 조선어라는 간극에서 발생하는 소통과 언어상의 문제로 치환되었다. 영어와 조선어라는 이(移)언어 사이에서의 번역 (불)가능성을 항상적으로 전제하는 상태에서 ‘정치의 언어’는 때로는 순수한 진의를 때로는 오역과 문화 차이를 강조하며 그 엇갈림들을 ‘언어’라는 매개를 이용해 봉합해갔다. 이른바 ‘통역정치’는 조선과 미군정을 이을 수 있는 언어적 환경과 지식이 척박한 환경에서 발생했던 정치적 부산물이자 조선인들의 욕망과 그 좌절이 반영된 헤게모니적 용어였으며, ‘언어 자본/권력’의 재편은 ‘국어 정립(우리말 도로 찾기)’에 대한 당위적 구호와 더불어 ‘언어’에 대한 인식과 감각을 분화시킨 중요한 분기점이었다.

      • KCI등재

        해방기 남북한의 문해정치와 여성독본의 자리 - 박영애의 『여성독본』과 최화성의 『조선여성독본』을 중심으로 -

        임세화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科學 Vol.- No.85

        해방기 여성들에게 ‘해방’이란 무엇이었을까. 탈식민국가의 여성에게 ‘해방’이란 제국주의와 봉건 가부장제로부터의 “이중적 해방”으로 칭해졌다. 이 글은 해방 이후 ‘다시 해방’되어야 했던 ‘여성해방’ 운동의 특수한 성격과 의미를 해방기 ‘문해정치’와 여성독본을 통해 살펴보았다. 좌우의 이념 대립과 체제 경쟁이 격화되어가는 상황 속에서 남북은 통치의 정당성과 우월성을 확립하고 안정을 꾀하려는 목적 하에 문해정치를 펼치기 시작한다. 해방기 남북의 교육 정책은 외연적으로는 문맹퇴치를 위시한 민족교육, 민주주의, 남녀평등의 민족 사업으로 선언되었지만, 그 근저에는 통치 체제에 대한 인민대중의 지지를 확보하고 이념화를 꾀하려는 목적이 있었다. 문해의 영향력과 여파를 이념 정치의 문제로 해석하는 냉전적 사고는 결과적으로 교육에 대한 조선인들의 열망과 이해관계가 일치하게 되었지만, 남북 교육정책의 출발과 방향성은 조선인들의 이상과는 근본적으로 상이한 것이었다. 조선의 문맹퇴치와 민족교육은 이미 그 출발에서부터 양단의 이질적인 이념성을 내장하고 있었고, 교육의 방향성은 점차로 미국과 소련이라는 두 점령국가의 이념 대결의 성격을 담지하게 되었다. ‘문맹퇴치 운동’ 저간의 이중성에서 드러나듯 남북이 각자의 상이한 목적을 가지고도 동일한 구호 아래 민족운동으로서 문해정치를 펼쳤던 것처럼, ‘여성해방’ 역시 전혀 다른 이념적 목적으로부터 출발했음에도 외연적으로는 동일한 기치와 선언 하에 그 노선이 생성되었다. 남북 모두 여권 신장과 평등 실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를 위한 여성문해교육을 정치적으로 전유하는 가운데, 해방기의 여성은 다시 한 번 민족의 ‘정치적 진보성’과 ‘근대성의 정도’를 드러내는 표지로서 작동하게 되었다. 남북 공히 내걸었던 ‘남녀평등의 민주주의 질서 확립’이라는 정책 기조는 각각 자본주의/공산주의 사회로의 재편이라는 점령의 기본 목표를 관철시키는 과정에서 수반되는 정치적 문제 해결과 사회 안정을 꾀하기 위한 것이었다. 여성 권익을 옹호하고 지위를 향상시킨다는 방침은 정책 추진 과정에서 여성의 지지와 참여를 이끌어내고 민주주의 이념의 실체와 효능감을 가시화하는 데에 더 큰 목적이 있었던 것이다. 역사상 여성독본은 당대적 현실, 사상적 변화와 통치 이데올로기, 성 역할을 담지하고 재생산하는 제도적 구성물이자 정치 기획물로 기능해왔다. 박영애의 『여성독본』과 최화성의 『조선여성독본』은 여성 사회주의자가 쓴 여성독본으로서, 근대계몽기 이래 여성에게 이중의 주박이 되었던 ‘독본’이라는 형식을 빌어 역설적으로 ‘여성해방’을 위한 문해를 설파했다. 이 두 권의 독본은 여성이 직접 쓴 ‘해방기 여성의 이상’으로서 해방기 독본류 발행의 경향에서나 여성운동사의 흐름에서 특수한 위상을 점한다. 이들은 특히 ‘경제적 주체’로서 여성이 바로 서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고, 민족국가 건립과 혁명의 동지로서 소환되는 구도에서 벗어나 여성 스스로 해방의 주체가 되어야 함을 주장했다. 이 두 권의 책은 ‘여성해방’의 포문이 본격적으로 열리던 때에 통치 기획과 냉전 이념, 민족주의, 탈식민, 계몽이 결합되었던 근대여성운동의 상징적 사례이자 실체로서 주목을 요한다. 더불어 오랜 여성운동사에서 미완으로 머물던 이슈들을 현장 ... What did ‘liberation’ mean to Korean wome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For the women in post-colonial state, the ‘liberation’ meant the “dual liberation” from imperialism and feudal patriarchy. This article examined the special nature and meaning of the ‘liberation movement’ of Korean women, who had to be ‘liberated again’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through “literacy politics” and textbooks for Korean woman wome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In the situation where the ideological confrontation and the system competition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were escalating, South and North Korea began to carry out literacy politics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legitimacy and superiority of their ruling system and achieving stability. The education policy of the two Korea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was outwardly declared as a national project for the eradication of illiteracy and the education of democracy and gender equality, but its underlying purpose was to secure public support for their ruling system and to seek for consolidating ideologies. The Cold War mode of thinking that interprets the influence and aftermath of literacy as a matter of ideological politics consequently became consistent with the aspirations of Koreans for education, but the start and direction of the education policy of the two Koreas wa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e ideals of the Koreans. From the beginning, illiteracy eradication and national education in Korea already had the nature of extremely heterogeneous ideology, and the direction of the education gradually contained the nature of an ideological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occupying countries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As revealed in the duality of the ‘illiteracy eradication movement’, the two Koreas carried out literacy politics as a national movement under the same slogan despite their different goals. In the same way, the ‘women’s liberation’ also started from a completely different ideological purpose, but outwardly it was carried out under the same slogan and declaration. Both South and North Korea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extension of women’s rights and the realization of gender equality while using women’s literacy education for political purposes. Therefore, Korean woman in the liberation period once again acted as a mark to reveal the ‘political progressiveness’ and ‘degree of modernity’ of the nation. The purpose of the policy direction to ‘establish a democratic order based on gender equality’, which was put forward by both South and North Korea, was to solve the political problems that occurred in the process of accomplishing the basic goal of the occupation of the two Koreas, namely, reorganizing South and North Korea into a capitalist/Communist society, respectively, and to seek social stability. However, the policy to advocate women’s rights and improve their status had actually served a wider political purpose in drawing women’s support and participation in the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and visualizing the reality and efficacy of the democratic ideology. Historically, textbooks for women have functioned as an institutional strategy and a political project that represent and reproduce the reality of the times, ideological changes, ruling ideology, and gender roles. Park Young-ae’s Textbook for Women(女性讀本) and Choi Hwa-sung’s Textbook for Joseon’s Women(朝鮮女性讀本) were written by female socialists, who paradoxically preached literacy for ‘women’s liberation’ using the form of ‘textbooks’, which have been a double shackle for women since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These two textbooks, containing the ‘ideology of women in the liberation period’, were written by women themselves, and hold a special position in the trend of textbook publication in the liberation period or in the history of women’s liberation move...

      • KCI등재

        해방기 북한 토지개혁 소설의 욕망과 농민해방 - 토지개혁 초기 소설들에 기입된 서사적 공백을 중심으로

        임세화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2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74

        이 글은 북한 토지개혁 초창기(3년 이내)에 발표된 소설들에 나타난 인간 형상과 ‘농민해방’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북한 사회주의 체제의 출발을 공식화하고 분단의 문학적 분기점이 된 토지개혁이라는 사건은 ‘해방’의 의미를 가늠하고 재규정하는 기제로 작동하였다. 공식적 창작방침이 정형화되어가던 시기에 발표된 일련의 작품들은 단순히 이념을 옮겨 재현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토지개혁 배면의 욕망과 갈등, 그에 대한 문학자들의 난망이 기입되어 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식민지 자본주의’의 관성과 영향력은 해방 이후까지도 공고하게 남아 공동체의 도덕경제와 가치체계를 기형화하고 있었다. 토지개혁의 근본적 목표였던 ‘반봉건’과 ‘반제국주의’는 이러한 구조로부터 벗어난 탈식민 국가를 건설하고자 했던 당대적 욕망이 담긴 구호였고, 그것이 실현되어야만 ‘해방’은 비로소 완수되는 것이라고 설파되었다. 그러나 경자유전의 원칙을 실현하여 “토지를 밭갈이하는 농민에게로” 돌려주려 했던 토지개혁 과정에서 ‘소유권’에 대한 관념의 충돌은 사회적 갈등을 촉발하는 기제가 되었다. 동양척식회사로 대표되는 일제 통치에 의해 공고해진 토지에 대한 ‘소유권’ 개념과 그 권리 행사는 이미 사람들에게 익숙해진 관념으로서 쉽사리 타협되거나 폐기될 수 없었다. 이러한 갈등에 대한 문학의 응전은 서사에 고스란히 그 요철을 남기고 있다. 한편 해방조선에서 ‘조선문학’의 역할과 방향성을 고민했던 북한의 문학자들이 북조선문학예술가동맹(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을 설립하고 공식적 창작방침을 수행했던 것은 ‘민족문학’으로서의 ‘조선문학’의 위상을 재구축하려는 시도였다. 또한 토지개혁의 이상이 실현되지 못한 현실과의 간극을 서사적 상상력으로 채우는 작업은 극단적인 기아와 인플레이션에 시달리고 농민봉기(1946년 10월 항쟁)와 토지방매가 만연했던 남한과의 체제 경쟁에서 우위를 확인시키려는 전략이기도 했다. 이를 위해 문학자들은 ‘농민문학’의 규범을 세우고, 토지개혁의 이상적인 결과와 농민들에게 귀감이 될 긍정적 인물을 제시하고자 노력했다. 그러나 이러한 이상적 서사의 정합성을 해치고 대중독자의 관념에서 매끄럽게 수용될 수 없는 ‘현실’의 인물들은 소설의 중심에서 점점 사라져갔다. 결국 서사적 공백으로 기입된 ‘반이상적 인물’들은 토지개혁으로 인해 땅을 빼앗기거나 억울함을 느낀 현실세계에서의 욕망의 주체들이었고, 사유재산권을 부정당하고 ‘공산주의’에 치를 떨며 북한을 떠났던 월남인의 전신이었다. 이처럼 소설에서 반복적으로 부각되던 정형화된 지점들과 공백으로 남은 지점들은 냉전 구도 속에서 남한에서도 북한에서도 담론화되지 않았던 토지개혁의 배면과 욕망을 고스란히 담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 KCI등재

        농지은행 경영회생지원사업의 옵션가치 추정

        임세화,양승룡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2 농촌경제 Vol.35 No.1

        Farm household debts have been the critical problem in the Korean agricultural society. Despite various policies of the government, farm household debts have been steadily increased. The Korean government has conducted Revival Supporting Project to reduce farmhouse debts since 2006. Farmers could more easily overcome the difficulties through Farm Revival Program. However, it resulted in discontinuance of business. The redemptive right of Farm Revival Program is a kind of call option and farmer`s buyback arbitrage could be interpreted as the option value. If farmland price increases in the market, farmer`s buyback arbitrage would be up by exercising the redemptive right, but the policy cost of the government would increase, too. Therefore, the continuity of business could be threaten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option value of Farm Revival Program and examine new policy dire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