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1980년대 民族運動史연구 기반의 형성과 학회 창립의 의의 - 韓國民族運動史學會의 사례를 중심으로 -
조범성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4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 No.121
This study commemorates the 40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of the Association for the Historical Studies on Korean National Movement in 2024, examining the formation of the research foundation for national movement history in 1980s Korea, as well as the significance of the society's establishment and its early activities. The 1982 controversy surrounding the distortion of Japanese history textbooks heightened public interest in the history of Japanese imperial aggression and Korean resistance during the modern period, leading to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institutions such as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and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which in turn catalyzed the founding of the Association for the Historical Studies on Korean National Movement. Founded in 1984, the association has systematically deepened research on independence and national movements, becoming a vital pillar in the study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history. The process of naming the association and its journal reflects the academic efforts of the time to encompass not only anti-colonial independence movements but also the broader spectrum of modern national movements. Following its establishment, the association contributed to the advancement and expansion of national movement history research through activities such as academic presentations, historical text readings, conferences, and the publication of its journal. This study highlights the pivotal role of the Association for the Historical Studies on Korean National Movement in solidifying national movement history as an independent field of study, particularly through its activities and publications that have shaped the academic identity and status of this discipline. It suggests the need for comprehensive reviews of Korean national movement history and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ies to further the scholarly development of this field and to explore new research methodologies. 본 연구에서는 2024년 한국민족운동사학회 창립 40주년을 기념하여 1980년대 한국에서 민족운동사 연구의 기반 형성과 한국민족운동사학회의 창립 및 초기 활동의 의의를 고찰하였다. 1982년 일본의 역사 교과서왜곡 사건을 계기로 한국 사회에서는 근대시기 일제의 침략과 민족적 저항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으며, 이는 독립기념관과 국가보훈처와 같은 관련 연구기관의 설립 및 발전과 더불어 한국민족운동사학회의 탄생을촉진하였다. 1984년 창립된 한국민족운동사학회는 독립운동사와 민족운동사 연구를 체계적으로 심화하며 근현대사 연구의 중요한 축을 형성하였다. 학회의 명칭 및 학회지 제호를 결정하는 과정에서는 항일독립운동 뿐만 아니라 근대 민족운동 전반을 포괄하려는 당대의 학문적 고민과 연구 방향이 반영되었다. 창립 후 학회는 연구발표회, 고전독회, 학술회의, 학회지 발간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민족운동사 연구의 심화와 외연 확대에 기여하였다. 본 연구는 1980년대 사회적·학문적 배경과 한국민족운동사학회의 창립 및 초기 활동을 통해, 민족운동사 연구가 하나의 독립적 학문 분야로 자리 잡아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회의 활동과 학술지에 나타나는 연구 방향이 민족운동사라는 연구 분야의 학문적 정체성과 위상을 형성하는 데 의미 있는 기여를 했음을 밝혔다. 향후 한국민족운동사 연구의 종합적 검토와 국제적 비교연구를 통해 민족운동사의 학문적 발전과 새로운 연구방법론이 모색되기를 기대한다.
다양한 민족운동사 연구를 위하여 - 민족운동사 연구 경향과 전망 -
김태윤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4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 No.121
본 논문은 한국의 민족운동사 연구가 독립운동과 밀접하게 진행되어온 전통적 접근을 재검토하며, 민족운동사의 개념과 범위를 보다 폭넓게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민족운동을 단순히 독립운동의 일부로 간주하는 기존의 이분법적 시각에서 벗어나기위해, 메타분석, 시기적·공간적 확장, 그리고 융복합적 접근이라는 세 가지 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첫 번째로, 메타분석을 통해 민족운동사 연구의 주요 성과와 한계를 재평가하고, 새로운 연구 방법론을 도입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특히, 3·1 운동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다양한 분석적 접근을 통해 민족운동사를 폭넓게 조망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민족운동과 독립운동을 상호포괄적 관계로 재조명하여, 독립운동에 국한된 연구의 한계를 넘어 더 광범위한 민족운동 연구로 확장하려는 시도가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두 번째로, 민족운동사의 시기적·공간적 확장을 제안하며, 일제강점기에 집중된 기존 연구에서 해방 후의 국가 건설과 사회 변동을 포함하는연구로 전환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특히, 동아시아 및 세계 각지에서이루어진 민족운동과의 연대와 교류를 탐구함으로써 민족운동이 단순한국내 저항 활동에 그치지 않고 국제적 저항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음을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사회, 경제, 정치적 맥락 속에서 민족운동의 다각적의미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성을 언급하였다. 세 번째로, 논문은 융복합적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디지털 인문학을 활용한 방법론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텍스트 마이닝이나 GIS(지리정보 시스템)와 같은 디지털 도구를 통해 민족운동사의 구조적 관계와 공간적 변화 양상을 시각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자료 접근성과 연구 효율성을높일 수 있음을 주장하고 특히, 디지털 아카이브와 공공역사의 접근을 통해 대중과의 소통을 강화해야한다는 점을 조명하였다. This thesis reexamines the traditional approach in which the study of Korea's history of national movements has been closely aligned with the independence movement, seeking to broaden the concept and scope of national movement history through various methods. To move beyond the conventional dichotomous view that treats national movements simply as part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 study proposes three research directions: meta-analysis, temporal and spatial expansion, and convergence research. First, the paper emphasizes the need to re-evaluate the main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national movement history research through meta-analysis and to introduce new research methodologies. By focusing on the case of the March 1st Movement, the paper demonstrates that a broad analytical approach can provide a comprehensive perspective on national movements. This approach aims to recontextualize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 and independence movements, stressing the importance of expanding research beyond the independence movement alone. Second, the paper suggests a temporal and spatial expansion of national movement history, moving beyond studies focused o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include post-liberation state-building and social change. It explores solidarity and exchanges with national movements across East Asia and other parts of the world, indicating that these movements were not limited to domestic resistance but were part of broader international resistance. The paper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examining the diverse meanings of national movements within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contexts. Third, the paper highlights the necessity of convergence research, advocating for the adoption of methodologies from digital humanities. By utilizing digital tools such as text mining and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the study argues that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nd spatial dynamics within national movement history can be visually analyzed, enhancing data accessibility and research efficiency. Furthermore, it emphasizes the need to strengthen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through digital archives and public history initiatives.
현행 고교 한국사 교과서의 독립운동사 서술현황과 개선방향
오영섭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3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75
현재 한국 사회는 근현대사 교과서를 둘러싸고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이는 대한민국의 교육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고교용 『한국사』 교과서들이 문제점을 안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현행의 『한국사』 교과서들은 자라나는 세대들에게 올바른 국가관과 민족관을 심어줌으로써 그들을 건전한 민주시민으로 육성한다고 하는 국사교육 본연의 임무를 완수하는데 미흡하다는 평을 듣고 있다. 이 연구는 현행 6종의 『한국사』 교과서의 일제시기 독립운동사 서술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현행 『한국사』 교과서들의 한국독립운동사 서술경향은 대략 네 가지로 정리된다. 즉, 『한국사』 교과서들은 1) 무장독립전쟁과 의열투쟁을 중시하고, 2) 민족유일당운동(민족통일전선)과 한중연대활동(한중연합전선)을 주목하고, 3) 다소간 반미친소적인 시각으로 국제적 사건이나 인물을 인식하고, 4) 약소국이 중시해야 하는 외교독립운동을 경시하는 서술경향을 보였다. 이로 인해 무장독립전쟁이나 민족통합(+국공합작)노선에 대한 서술분량과 외교독립운동이나 실력양성운동에 대한 서술분량에 편차가 생겼다고 생각한다. 『한국사』 교과서들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사 서술에서 온건론보다는 급진론에 더 많은 지면을 할애하였다. 온건론에 속하는 실력양성운동이나 외교독립운동에 대한 서술이 충분치 못한 반면, 그 대척관계에 있는 무장독립전쟁이나 의열투쟁에 대한 서술은 비교적 자세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한국실정과 국제정세에 비추어 전자나 후자나 독립운동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은 동등하였다. 따라서 앞으로 『한국사』 교과서를 개정할 때에 무장독립전쟁이나 의열투쟁에 대한 서술분량과 실력양성운동과 외교독립운동에 대한 서술분량을 균등하게 가져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사』 교과서들은 한국 근현대사에서 대표적인 온건론자 가운데 한 사람인 이승만의 활동을 거의 기술하지 않았다. 즉, 『한국사』 교과서들은 친미적 국제관에 기초한 기독교민족주의를 한국에 이식하려 하고, 좌우합작과 민공협동을 배격하는 반공주의를 이념적 기초로 삼고, 미국을 무대로 활동하면서 의열투쟁을 반대하고 실력양성운동과 외교독립운동을 지지한 이승만의 활동을 다루지 않았다. 이는 이승만보다 역사적 중요도가 낮은 인물에 대한 독사진이 들어간 반면, 이승만 사진이 꼭 들어가야 하는 부분에서조차 이승만 사진이 빠진 것으로도 증명된다. 따라서 앞으로 『한국사』 교과서를 개정할 때에는 이승만의 독립운동에 대한 서술에서도 균형점을 찾아가야 할 것이다. 현행 『한국사』 교과서들은 사실 서술과 해석에서 오류를 범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한국사』 교과서의 독립운동사 서술에는 자잘한 사실에 대한 오류는 물론, 부정확ㆍ불충분한 해석이 이따금 보인다. 이는 집필자들이 특정 시대의 특정 문제만을 집중적으로 연구한 전문학자들로서 일제시기사 전공자가 아니라는 문제점, 그리고 검인정을 받기 위해 출판사가 제출한 교과서를 검토하는 연구위원과 검정위원들이 방대한 분량의 내용을 제대로 검토하기에 역부족이었다는 문제점 때문에 벌어진 일이다. 앞으로 『한국사』 교과서의 개정판을 낼 때에는 사실을 정확히 기술하고 해석하는 한편, 서술 내용을 엄밀히 검토하여 사실이나 해석의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현재 ... There are different opinions on Korean History textbook for high school student in six types. The Korean history textbooks show that their historical perception is nationalistic and popular, it belittles on the system of liberal democracy and the market economy and it has a perception against USA and for Soviet Union in international issues. Therefore, it needs to value liberal democracy of ROK in writing Korean History. In describing the history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of Korean History textbook for high school student, it is easy to find a number of errors in quoting and interpreting truthful facts. I think that it is because the history writers research only on the particular subject. Further, it might be because the scholars who examine the contents of textbook are not professional in the part of Japanese occupation history. Thus, they need to be more cautious in writing Korean History textbook in the future. In a sense of contents and system of Korean History textbooks, it is problematic these are so similar. After the Ministry of Education usually gives important points, only the textbooks which fit on the standard could be allowed to use. However, I think it depends on the writers in writing contents of detail. Therefore, the writers can change contents of history textbook according to their opinion. Korean History textbooks focus more on radical ideas rather than moderate ideas. While Korean History textbooks belittle upon training capability movement or a diplomatic independence movement, the textbooks considerate more on an armament independence war. Particularly, if it is composedly examined about the Korean situation and the international situation, it is possible that both the former and the latter are equal for historical value. Korean History textbooks disregard and devaluate Syngman Rhee’s activities who is the most representative moderate among the independence movement activists. The textbooks don’t deal with the Syngman Rhee’s activities which attached importance to Christianity nationalism and anticommunism and developed a diplomatic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United State of America. Thus, it needs to reduce the part of an armament independence war and extend the part of moderate’s activities like Syngman Rhee and Ahn Chang-ho in writing Korean History textbook in the future. In addition, it is to correct the point that there is no picture of Syngman Rhee among a number of historical figures in Korean History textbook.
박영헌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7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93
유찬희는 1900년에서부터 1920년에 이르기까지 우리 민족이 일본제국주의에 대항하여 추진했던 민족운동의 다양한 모습이 나타나는 인물이다. 그는 1883년 황해도 금천에서 태어나 그곳에서 오경을 배웠고 17살이 되는 해에는 서울 배재학당에 입학하여 신사상을 접한다. 성리학을 바탕으로 신사상을 수용한 유찬희는 유연한 태도를 견지할 수 있었고 초창기에는 의병활동에 투신한다. 하지만 의병투쟁은 일제의 토벌작전으로 인해 한계에 부딪히고 만족할만한 성과를 얻지 못하자 유찬희는 서북학회에 가입해 애국계몽운동을 전개한다. 비록 짧은 기간이지만 유찬희는 서북학회를 통해 이동휘를 비롯한 기독교민족지도자와 만날 수 있었다. 그들을 통해 유찬희는 그의 민족운동 기저를 형성하는 기독교민족주의를 수용할 수 있었고 강원도 이천군 교회운영에서 나아가 가솔들을 이끌고 북간도 국자가로 이주한다. 1918년부터 유찬희는 대표적인 북간도 한인지도자로 부상한다. 특히 그는 무악흥업회사를 경영하며 실업가로서 경제적인 성공을 거둔다. 유찬희는 안정적인 자금력을 통해 파리강화회담 대표파견 기부금 모연, 민족학교 설립 자금 보관 등에서 주도적인 모습을 보인다. 이로써 유찬희는 한인사회에서 실무능력을 인정받을 수 있었고 여러 민족단체의 재무부문에서 비중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었다.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대한국민의회와 한인상무총회 활동 이후 유찬희는 북간도지역 민족운동단체 대한국민회에서 총기구입위원으로 활동한다. 이어 참모장으로 영전된 그는 총기뿐 아니라 군량, 부대이동 등 구춘선, 홍범도, 안무 등과 함께 독립군의 제반 업무를 살핀다. 봉오동전투 이후 유찬희는 액목현에 은거하여 대한민국임시정부와 만주지역 독립군의 동향을 대한국민회에 보고하고 김일을 비롯한 의기청년들과 교류하며 일본군의 움직임을 내사한다. 하지만 경신참변과 자유시참변으로 인해 대한국민회가 추진하던 무장투쟁이 어려워지자 유찬희는 공산주의를 수용한다. 하지만 그가 공산주의자로 완전히 돌아선 것은 아니라 판단된다. 오히려 그는 고려공산당 참사로 활동하지만 기존의 목회활동에 더 치중했고 남감리교 선교단의 일원이 되어 활약한다. 그렇기 때문에 유찬희의 고려공산당 가입은 경신참변과 자유시참변 이후 무장투쟁이 어려워진 현실 속에서 실천적 독립운동의 한 방략으로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유찬희는 1926년 블라디보스토크 신한촌에서 3ㆍ1운동 제7주기기념행사를 추진하여 1,500여 명의 재러한인들에게 항일사상을 일깨운다. 의병투쟁, 애국계몽활동, 기독교적 민족주의에 입각한 교육활동, 대한국민회를 통한 무장투쟁, 고려공산당 활동, 동성노농공사에서의 농민운동까지 유찬희는 시기와 상황에 맞춰 독립운동의 방략을 바꿔가며 끊임없이 민족운동을 전개했다. 또한 자신의 실업가적인 특질을 토대로 총무, 재무 등 민족운동단체의 실질적인 직위에서 활동하였다. 그렇기에 유찬희의 민족운동과 향배를 연구하는 것은 구한말에서부터 1920년대까지 국내와 북간도, 러시아일대에서 시기적으로 변화하는 독립운동의 흐름을 추적해볼 수 있는 하나의 유형인 동시에 실업가적 특질을 갖는 민족운동가에 대한 고찰이 될 것이다 Yoo Chan-hee is a nationalist activist born in Geumcheon, Hwanghae Province in 1883. His ideological foundation was rooted in neo- Confucianism education of his childhood school seodang and modern education received in Seoul’s PaichaiHakdang. In particular, Yoo Chan-hee embraced Christianity at the Paichai Hakdang, which served as bedrock of his national movement. In 1907, Yoo Chan-hee left the Paichai Hakdang to join independent patriot Cha Dosun’s righteous army. Yoo physically fought against the Japanese military police in Goksan by carrying out arson attacks with his cousin Yoo Myung-hee. Subsequently, Yoo Chan-hee joined the North-West Society to engage in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Yoo Chan-hee settled in Yanji, China and established the Taekwang School, which means light of the national Korean flag Taegeukgi. As a principal, he supervised school operations and sought to raise awareness of national consciousness by educating the Koreans living in Yanji. In addition to educational movement, Yoo Chan-hee actively promoted the foundation of the Korean autonomy group Ganminhoe in the North Gando region, establishing under alias Doseong. As the leading Korean social organization in North Gando, Ganminhoe conducted census research and established private schoolfor education. Yoo Chan-hee served as the secretary of the Ganminhoe and orchestrated major operations, influencing both the Chinese and Korean societies. He formed a large-scale mutual financing association by rallying enlightenment activist Jeong Jae-myung and other key figures of Ganminhoe. The financing association was operated by issuing lottery tickets, and its profits were used to operate national education schools. In addition, Yoo Chan-hee expanded informal youth gathering to conduct practical operations of Ganminhoe. In 1916, Yoo Chan-hee achieved great economic success through the Muhak Industries. As Yoo Chan-hee became one of the prominent store owners in Yanji, he assumed substantive national movements through considerable capital. In 1919, the first declaration of independence, March 1st SamIl movement, took place in Longjing Village, Machuria. Yoo Chan-hee made speeches to promote national consciousness, alongside Christian national leaders in the North Gando region, such as Choi Il, Kim Young-hak. Yoo’s son Yoo Ki-seok joined the Chungreoldan to print national flag Taegeuki and flyers for independent protests. After the March 13th independence movement, Yoo Chan-hee moved to Vladivostok and subsequently joined the Korean General Assembly Sangmuchonghoe and the Korean National Council Daehankukminhoe. In particular at the General Assembly, he served as the vice-chairman, which indicates that the Korean-Russian community recognized Yoo’s financial competency. Upon returning to Gando, Yoo Chan-hee joined the Korean National Council and became a committee member in charge of purchasing firearm. The Korean National Council represented the North Gando province and was a national movement group that supported independence war. As Yoo was a firearms purchasing committee member, he was responsible for arming the troop that was under the auspice of the Council. Furthermore, Yoo Chan-hee assumed the chief of staff role, serving alongside Hong Beom-do, ChoiJin-dong to lead the army and victory of Bong-o-dong. After the battles of Bong-o-dong and the invasion of Cheongsan-ri, Japanese imperialists sent large-scale troops to Gando to retaliate. Yoo Chan-hee, who became the head of financial affairs of the National Council, received An Jung-geun who was dispatched from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thereby serving as a communication link between the Council and the government. Additionally, Yoo contacted Meng Boo-duk who was attacking the independent army to allow for a month of troop movement, minimizing the damage to the army. In December 1921, the leaders of the Korean National Council, such as Yoo Chan-hee and Kim Jung-yeon,...
김동선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8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94
미군정의 교육정책은 한마디로 ‘미국식 민주교육제도’를 남한에 실시하려는 것이었다. 이러한 미군정의 정책 의도는 남한을 공산주의에 대한 방벽(bulwark)으로 만들고 자본주의 세계시장에 편입시킬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었다. 미국은 한국인에게 장기적인 정치적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미군정은 한국교육의 청사진을 마련하기 위하여 朝鮮敎育審議會(위원 100여명)를 설치하였다. 본 위원회에서는 ‘홍익인간’의 이념을 한국교육의 기본이념으로 교육법에 명시하였다. 이 이념은 교육현장에서 일제 잔재의 청산, 평화와 질서 유지, 새나라 민주시민 육성으로 구체화되어 교과편제 및 시간배당과 교수요목에 나타났다. 이러한 미군정의 교육정책의 목적을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과목이 바로 사회생활과이며, 그중에서도 公民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미군정은 공민교과서에서 민족주의를 배제하고, ‘미국식 민주주의’와 자본주의, 반공주의를 강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미군정의 의도와 달리, 공민교과서의 내용은 홍익인간의 이념 아래 영국식 의원내각제 옹호, 무조건적인 자본주의 배격, 국가주의적 민족주의가 강조되었다. 이것은 국정공민교과서 편찬에 깊은 영향을 끼친 편수관과 편찬위원들 때문이었다. 공민교과서 편수책임자인 최재희는 최현배에 의해 추천되었다. 그는 자유주의를 강조하고, 공산주의를 비판한다는 점에서 미군정과 인식을 같이하였다. 그러나 그는 화랑도 및 민족을 우선시하고, 당시 풍미하던 듀이의 실용주의 교육관에 반대한다는 점에서 미군정과 생각을 달리하는 부분이 있었다. 국정공민교과서의 편찬위원들은 미군정 학무국장 고문이었던 김성수와 관련이 있다. 이들은 보성전문의 교직원이었다. 또한 정열모, 현상윤, 장덕수는 모두 早稻田大學에서 수학하여 학맥으로도 연결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이들이 편찬위원이 된 것은 김성수와의 인연이 작용을 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미군정은 조선어학회에 국어교과서와 공민교과서의 편찬을 의뢰하였다. 심지어 당시 편수국장도 조선어학회의 주요인물인 최현배였다. 편찬위원들도 대체로 조선어학회와 깊은 관련을 맺고 있었다. 조선어학회는 민족주의적 색채가 짙었던 대종교와 관련이 있었다. 따라서 안호상과 정열모, 백낙준 같은 편찬위원들은 우리 민족의 우수성을 강조하고, 민족중심의 교육을 강조하였다. 또한 개인보다도 민족과 국가의 안위를 우선시하였다. 이들에게 있어서 뛰어난 인물은 국가와 민족을 위해 일하는 사람이었다. 이처럼 공민교과서는 미군정의 의도대로 편찬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출판이 가능했던 것은 미군정이 교과서 출판과 편찬에 대해 유연한 태도를 취했기 때문이다. 미군정의 교육 이념에 적합한 교과서 제도는 원칙적으로 자유발행제였다. 게다가 유능한 교과서 저술 인력은 트럭운전사보다 적은 임금을 받으면서 미군정에서 일하려하지 않았다. 따라서 미군정은 필요한 만큼의 직원을 확보할 수 없었고, 교과서 편찬과 배부도 심각하게 지연되었다. 이런 현실적인 원인들도 미군정이 교과서 편찬기준을 엄격하게 할 수 없는 요인이 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군정기 공민교과서는 편수관과 편찬위원 그리고 조선어학회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이들은 공민교과서를 통해 의원내각제를 기반으로 하는 민주정치를 소개하였다. ... The educational policy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was, in short, to carry out an “American-style democratic education system” in South Korea. The purpose of this policy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was to make South Korea a bulwark against communism, and to lay the foundation for incorporating South Korea into the capitalist world market. The United States recognized that Koreans needed long-term political education. In this regard, the U.S. Military Government established the Korean Education Council (approximately 100 members) to prepare a blueprint for Korean education. In this committee, the philosophy of ' Hongik-Ingan’' was specified in the Education Act as the basic philosophy for Korean education. This philosophy was reflected in the curriculum composition, the time allocation and syllabus, pursuing the settlement of the remnants of the Japanese imperialism, the maintenance of peace and order, and the cultivation of democratic citizens. One of the subjects that can best reveal the purpose of this education policy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was the social sciences subject, particularly the civic education. The U.S. Military Government tried to emphasize “American democracy,” capitalism and anti-communism in the civic textbooks, without cultivating nationalism. However, unlike the intentions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the content of the civic textbooks emphasized the support of the British parliamentary system, unconditional rejection of capitalism, and statism- based nationalism under the philosophy of Hongik-Ingan. This was due to the compilation editor and Compilation Board members who had a profound influence on the compilation of government-designated civic textbooks. Jae-Hee Choi, the head on the compilation Board of the civic textbooks, was recommended by Hyun-Bae Choi. Jae-Hee Choi emphasized liberalism and criticized communism, sharing common political views with the U.S. Military Government. However, Choi saw differently from the U.S. Military Government with regards to the concept of Hwangryangdo, which prioritized the people first, and his opposition to the pragmatic educational philosophy of Dewey. The Compilation Board of the government-designated civic textbooks had much to do with Sung-Soo Kim, who was the academics adviser to the U.S. Military Government. They were staff members of Bosung College. In addition, Yeol-Mo Jeong, Sang-Yoon Hyun, and Duk-Su Jang had all studied at Waseda University. Therefore, it seems that their relationship with Sung-Soo Kim helped them to be on the Compilation Board. On the other hand, the U.S. Military Government commissioned the compilation of Korean textbooks and civic textbooks to Joseoneohakhoe (The Korean Language Society). Even at that time, the head of Chief Compilation Editor was Hyun-Bae Choi, a major figure in Joseoneohakhoe. The Compilation Board was also deeply involved with Joseoneohakhoe. Joseoneohakhoe was associated with Daejonggyo, which had a strong nationalistic color. Therefore, the Compilation Board including Ho-Sang Ahn, Yeol-Mo Jeong, and Nak-Jun Baek emphasized the excellence of Korea and ethnic-centered education. In addition, the state and national security was given priority over the individual. As such, the civic textbooks were not compiled according to the intentions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Nonetheless, publishing was made possible because the U.S. military took a flexible attitude toward textbook publication and compilation. The textbook system suitable for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was, in principle, a self-regulated publication system. Moreover, competent textbook writers were not willing to work in the U.S. Military Government, who received less wages than truck drivers. As a result, the U.S. Military Government was unable to secure the necessary staff, and textbook compilation and distribution was seriously delayed. These also made it impossible for the U...
다모클레스의 검, 카이로선언 -1945~1948년 미국의 신탁통치 적용과 폐기-
윤종문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5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 No.122
1943년 12월 1일 미국 국무부 공식 발표한 카이로선언이 세상에 알려졌다. 본 글의 목적은 이 선언이 해방공간에서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 파악하는 것에 있다. 한국 분단에 있어 카이로선언이 적지 않은 역할을 했다는 것이 필자의 주장이다. 1943년 11월 중국 국민당 정부 장제스, 미국대통령 프랭클린 루스벨트, 영국 수상 윈스턴 처칠은 이집트 카이로에서 만나 전후 일본이 차지하고 있던 영토 처리문제, 중국의 영토회복 등을 논의했다. 이 가운데 한국 문제가 논의됐다. 그 결과물이 “적절한 시기” 혹은 “적절한 절차”를 거쳐서 한국 독립을 보장한다는 것이다. 문제는 카이로선언이 발표된 이후 한 발짝도 진전을 이루지 못했다는점이다. 즉, 총론에서 각론으로는 넘어가지 않았던 것이다. 해방 뒤 주한미군사령관 하지 장군은 전후 한국 문제 처리의 큰 틀조차 알지 못했다. 그가 카이로선언을 알게 된 것은 남한을 점령한 다음이었다. 주한미군사령관도 카이로선언은 분명하게 알지 못했듯이, 한국인도 그것을 알 수 없었다. 한국인은 해방과 동시에 독립국가를 꿈꿨다. 하지만 연합국의 절대적인 기여로 해방을 얻은 한국인은 독립국가를 건설할 수 없었다. 한국인 앞에는 늘 신탁통치가 녹아들어 간 카이로선언이 앞에 있었기 때문이다. 한국에 온 하지 장군은 한국에서 카이로선언을 실시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결론 냈다. 그는 카이로선언을 다이모클레스의 검에 비유하며 그 위험성을 알렸다. 하지 주장에 정치고문 베닝호포와 랭던도 뜻을 같이하고 있었다. 이들은 국무부 장관 번즈와 극동국장 빈센트를 대상으로 카이로선언에 담겨져 있는 신탁통치 폐기를 주장하고 나왔다. 국무부 관계자들의 생각은 달랐다. 카이로선언은 해방 이전에 영국 등과 약속한 것이며, 특히 소련에게는 미국이 먼저 수차례 동의를 구했다는 점을 들었다. 결국 모스크바 3국 외상회담에서 한국의 5개년 신탁통치 내용이 결정됐다. 이 소식이 한국인에게 전해졌다. 한국은 분노로 들끓어 올랐다. 한국인 반응에 깜짝 놀란 주한미군 수뇌와 미 국무부는 정확한 사실 전달과 설득보다는 신탁통치가 여차하면 폐기될 수 있다는 거짓과 기만으로 한국을 대했다. 이를 지켜보고 있던 소련 당국자들은 『타스』통신은 한국문제 결정과정을 세부적으로 공개했다. 이로 인해 미국의 거짓과 민낯이 그대로 드러났다. 더 큰 문제는 미국과 소련 당국자들 사이의 불신도 켜켜이 쌓여만 갔다. 이는 미소공동위원회 파국으로 이어졌다. 결론 없는 미소공동워원회의 종결은 38선을 기점으로 미국과 소련의 길을 걸어가는 것 뿐이었다. 결국 분단이 되고 만 것이다. 일본 패망에 앞서 결정한 카이로선언은 결국 한국분단의 전조가 되고 만 것이다. The Cairo Declaration, officially announced by the U.S. State Department on December 1, 1943, was made known to the world.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the role of this declaration in the space of liberation. It is my argument that the Cairo Declaration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division of Korea. In November 1943, Chiang Kai-shek, the president of the Nationalist Party of China, Franklin Roosevelt, and British Prime Minister Winston Churchill met in Cairo, Egypt, to discuss the territorial handling that Japan occupied after the war and China’s restoration of English communication. Among them, the Korean issue was discussed. The result is to guarantee Korean independence through "the right time" or "the right procedure." The problem is that since the Cairo Declaration was announced, no progress has been made. In other words, it did not go from general to individual. After liberation, General Haji, the commander of the U.S. Forces Korea, was unaware of the big framework for dealing with the post-war Korean issue. After he occupied South Korea, he became aware of the Cairo Declaration. Neither Koreans could know the Cairo Declaration, as the commander of the U.S. Forces Korea was clearly unaware of it. Koreans dreamed of becoming an independent country at the same time as they were liberated. However, Koreans who were liberated by the absolute contribution of the Allies were unable to build an independent country.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Cairo Declaration, which always incorporated trusteeship, was in front of Koreans. General Haji, who came to Korea, concluded that it was impossible to implement the Cairo Declaration in Korea. He compared the Canro Declaration to the sword of Dimocles and announced the danger. Political advisers Benninghofo and Langdon agreed with Haji’s argument. They came out against Secretary of State Burns and Far East Director Vincent to abolish the trusteeship contained in the Cairo Declaration. State Department officials had a different opinion. The Cairo Declaration was promised before liberation with Britain and others, and the United States first asked for consent, especially from the Soviet Union. In the end, the contents of Korea’s five-year trusteeship were decided at the trilateral meeting in Moscow. The news spread to Koreans. Korea was furious. Surprised by the response from Koreans, the leaders of the U.S. Forces Korea and the U.S. State Department treated Korea with lies and deception that the trusteeship could be abandoned if it was delayed, rather than accurate communication and persuasion. Soviet officials who were watching this revealed the details of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Korean issue by the News Agency. As a result, the falsehood and unfamiliarity of the U.S. were revealed. The bigger problem was that distrust between U.S. and Soviet officials also increased. This led to the collapse of the U.S.-Soviet Joint Committee. The inconclusive conclusion of the U.S.-Soviet Joint Committee was to walk the path of the U.S. and Soviet Union starting at the 38th parallel. Korea eventually became divided. The Cairo Declaration, which was decided prior to the defeat of Japan, eventually served as a precursor for the division of Korea
유영렬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2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 No.113
Ahn Jung Geun studied Chinese classics for 8~9 years. As he thought that the country was not developed because of effeminate, he wanted to be a strong man like Hangwoo(項羽). When Ahn Jung Geun was 16 years old, he fought against Tonghak army as the vanguard of Shinchun(信川) Righteous Army that was organised by his farther. Like this, he was well up in both literary and military arts. After becoming a Catholic at 19 years old, Ahn Jung Geun accepted Western culture and read books on the West. So he was well up in Eastern and Western culture. Meanwhile, Ahn Jung Geun did missionary work very hard. And he did chivalrous work to eliminate social injustice. When Japan began to war with Russia in 1904 and deprived Korean right of diplomacy in 1905, Ahn Jung Geun started anti-Japan independence movement. He did all kinds of independence movements that people could do in the late Korea Dynasty. At first, Ahn Jung Geun did the peaceful patriotic-enlighten movement. He managed two schools for education and did enlightenment campaign for the public. In 1907, he led the national movement to redeem national loan from Japan in the northwest part of Korea. Secondly, Ahn Jung Geun led the armed independence struggles against Japanese army. In 1907, Korean Resident-General Ito Hirobumi dethroned Korean King, nominated Japanese people as vise ministers in Korean government and dismissed Korean soldiers. As the result, Korea was on the brink of ruin. So Ahn Jung Geun went to Yeonchu(煙秋) in Maritime Province in Siberia, and made an army for national independence, and led fights against Japanese army for 2 months. Thirdly, Ahn Jung Geun engaged in a life-or-dead struggle. When armed struggle could be impossible at Yeonchu, he organized a band of 12 men. They cut their knuckle of left ring finger and determined to die for the country. And Ahn Jung Geun killed Ito Hirobumi by shooting at the Harbin station in 1909. Ito was the ringleader of Japanese invasion to Korea. Fourthly, Ahn Jung Geun did litigating struggles at the Japanese court. He claimed Ito was a sinner who was connected with the plot killing the Korean Queen, who dethroned the Korean King, who snatched Korean national right, who dismissed Korean soldiers, and who destructed the Eastern peace. Ahn Jung Geun died for national independence and became the generative power for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His heroic deed gave long-range effects to Chinese anti-Japan save-the-nation movement. Dying for the country is sublime. But devoting to the ruthless absolute monarchy can injure the people. Ahn Jung Geun had the senses of freedom and civil rights, and thought that the state is not ministers’ state but people’s state. So he desired to die not for the king’s state but for the nation-state. As Ahn Jung Geun was a right nationalist who died for nation-state, so he was a right national hero. A self-sacrificing patriot is easy to be a ultra-nationalist. Because he does not think the stands of other countries. Whereas Ahn Jung Geun was a Catholic and a cosmopolitan. Accordingly, even if he was a self-sacrificing patriot, he asserted co-existence and co-prosperity with other countries. Ahn Jung Geun devised the theory on Eastern peace. And he thought out the ideas of the Northeast Asian Union and the Asian Union to realize the theory on Eastern peace. Ahn Jung Geun thought out the Asian Union 83 years earlier than the European Union. The first aim of the theory on Eastern peace is to keep the Eastern peace from the Western invasion through the Triple Alliance of Korea, China and Japan. The second aim of the theory of Eastern peace is to achieve the World peace through requiring peace to Europe and the rest of the world. And Ahn Jung Geun killed Ito Hirobumi, a systematic aggressor, not only for the Korean independence but also for the peace of the East and of the world. Ahn Jung Geun was a thinker who devised the method of Eastern peace and World peace, and a rea... 안중근은 8~9년 동안 한학을 공부했으며, 성장하면서 나라가 발전하지 못한 것은 문약에 흐른 때문이라고 생각하여, 학자가 되기보다는 項羽와 같은 호걸이 되기를 원했다. 그리고 안중근은 16세 때 부친이 조직한 신천의병의 선봉장이 되어 동학군을 진압하기도 했다. 이처럼 안중근은 문무를 갖춘 인물로 성장했다. 한편 안중근은 19세에 천주교 신자가 된 뒤, 서양문화를 수용하고 서양서적과 각종 신문도 읽었다. 그래서 그는 동서문화를 갖춘 인물로 성장했다. 안중근은 천주교 신자가 된 뒤 전도활동을 열심히 했고, 관리들의 백성 수탈과 사회의 부조리를 개선하려는 의협활동도 했다. 안중근은 일본이 1904년 러일전쟁을 도발하고, 1905년 을사조약을 강제로 체결하자, 항일독립운동에 투신했다. 안중근은 한말에 한국인으로서 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의 독립운동을 전개했다. 첫째로 안중근은 평화적인 애국계몽운동을 전개했다. 그는 사재를 털어 2개의 학교를 경영하며 학교교육에 힘썼고, 일반대중을 대상으로 민중계몽에도 힘썼다. 그리고 그는 일본의 국채를 통한 한국경제 침략에 대항하여 국채보상운동에 힘썼다. 둘째로 안중근은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했다. 1907년 한국통감 이토 히로부미가 한국황제를 퇴위시키고, 한국정부에 일본인 차관을 임명하고, 한국군대를 해산하여 대한제국은 멸망의 상태에 처했다. 이에 안중근은 1908년 연해주 연추에서 독립군을 조직하여 2개월 동안 국내진공작전을 전개했다. 셋째로 안중근은 항일의혈투쟁을 전개했다. 그는 항일무장투쟁을 계속할 수 없는 상황에서 동지 11명과 단지동맹을 맺고, 1909년 10월 한국침략의 원흉 이토 히로부미를 하얼빈 역에서 처단하여 전 세계에 충격을 주었다. 넷째로 안중근은 항일재판투쟁을 전개했다. 안중근은 여순 법정에서 이토 히로부미가 죄인임을 주장하고, 한국황후를 시해한 죄, 한국황제를 폐위한 죄, 한국국권을 탈취한 죄, 한국군대를 해산한 죄, 동양평화를 파괴한 죄 등 15개 항의 죄목을 당당하게 밝혔다. 안중근은 국가의 독립을 위해 목숨을 바쳐 한국독립운동의 추진력이 되었으며, 중국의 반일구국운동에 지속적인 영향을 주었다. 국가를 위해 헌신하는 것은 고귀한 것이다. 그러나 포악한 전제국가에 헌신하는 것은 오히려 국민을 해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안중근은 자유와 민권의식을 가지고, 국가는 고관들의 국가가 아니고 국민의 국가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안중근은 왕이 국가의 주인인 왕조국가가 아니고 국민이 국가의 주인인 국민국가 곧 민주국가를 추구했다. 그러므로 안중근은 국민국가에 헌신한 올바른 민족주의자였고, 따라서 올바른 민족의 영웅이라 할 수 있다. 국가에 헌신하는 애국자들은 편협한 국수주의에 빠지기 쉽다. 헌신적인 애국자들은 자기 나라에 몰두하여 타국의 입장을 생각하지 않기 때문이다. 안중근은 천주교 신자로서 사해동포주의자였다. 그러므로 그는 헌신적인 애국자였지만 타국과 공존공영을 강조하고 동양평화론을 주장했다. 그는 동양평화의 방안으로 동북아연합과 아시아연합을 구상했다. 유럽연합보다 80여 년 앞선 국가공동체 구상이었다. 안중근이 제기한 동양평화론의 제1차 목표는 한‧청‧일 삼국동맹으로 서양침략으로부터 동양평화를 수호하는 것이었다. 제2차 목표는 한‧청‧일 삼국동맹을 배경으로 유럽과 세계 각국에 평화를 주장하여 세계평 ...
정일영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4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80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legislated “the Regulation of Cemetery, Burial and Cremation”(the Regulation of Cemetery) to control Koreans’ cemetery in 1912. There were two logics of the regulation. The first logic was modern civilizatio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solated Koreans’ tombs by the reason of hygiene. In the meantime, they paid no attention to Koreans’ emotional and religious factors about the dead. And they justified their superiority complex and colonial rule by the logic of modern civilization. The colonizers stigmatized the colonists as uncivilized person, and gave themselves a mission of modern civilization in the colony. So paradoxically, the modernization of the colony should not be accomplished forever. The second logic was efficiency and public interest.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ried to arrange Koreans’ tombs for using the land efficiently. The tombs in the colony were a waste of land for them. The Regulation of Cemetery was a useful tool to resolve the problem. And Koreans’ notion and custom about making tombs became antisocial behavior. Especially, mountain lawsuits(山訟) and feng shui(風水) were a serious problem for Japanese colonialism. So it was important to solve the problem for maintaining public security. Meanwhile, there were so many resistances by Koreans because of repressive regulation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Eventually, the Regulation of Cemetery was revised in 1918 and 1919. The limit of tomb’s area was relaxed and a creation of family cemetery was allowed.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sisted that they respect Koreans’ tradition and culture, so they revised regulation. But they didn’t abandon their purpose to control Koreans’ tombs. In other words, the reform of regulation was deceptive in some way.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mass media that didn’t contradict regulation of cemetery showed equivocal attitude. They agreed with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hat Korean traditional custom was not modern civilization, but they couldn’t go down the line with Japanese colonizers. They were agonizing between ‘the modern civilization’ which was reasonable but violent and ‘the irrational tradition’ which believed by Korean compatriots. These logics which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sisted were not completely deceptive. The colonizers believe the logics in practice, and justified their rule in Korea by their belief. The Korean mass media and elites, however, showed equivocal attitude on cemetery regulation. They assumed a critical attitude on Japanese colonizers’ administration, but they were in an awkward situation when they faced their calling, ‘modern civilization’. Like this, the logics of modern civilization were powerful in this period. The modern civilization was a strong belief, but when it applied to the colony, it faced with inconsistency necessarily in many ways. 일제는 1912년 「묘지규칙」을 발포하여 한국인의 묘지를 통제하기 시작했다. 당시 일제가 내세운 논리는 크게 두 가지였다. 첫째는 문명화 ․ 근대화의 논리였다. 일제는 위생을 근거로 한국인의 묘지를 격리시켰다. 이 과정에서 한국인 개인이 죽은 자에 대해 가지고 있는 감정적, 종교적 요소는 전혀 고려되지 않았다. 또 일제는 문명화, 근대화의 논리로 자신들의 우월감을 증명하고 식민 지배를 정당화했다. 식민자는 피식민자에게 야만이라는 낙인을 찍은 후, 스스로에게 문명화의 사명을 부여했다. 그렇기 때문에 역설적으로 식민지의 문명화는 영원히 달성되어서는 안 되는 목표였다. 일제가 묘지 통제로 추구하려 했던 두 번째 논리는 효율과 공익의 추구였다. 일제는 식민지의 토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묘지의 정리를 시도했다. 일제는 묘지를 토지 낭비로 보았다. 일제가 제정한 「묘지규칙」은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단초였다. 또 일제가 보기에 한국인의 묘지 관념이나 풍습은 ‘반사회적’인 것이었다. 특히 일제는 한국 특유의 산송이나 풍수 관념을 식민지 운용의 큰 장애물로 보았다. 일제 당국은 한국의 묘지 문제를 일종의 사회문제로 여겼으며, 이 문제의 해결은 식민지의 공안 유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인식했다. 한편, 강압적인 묘지 통제는 많은 한국인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결국 일제는 1918년과 1919년에 걸쳐 「묘지규칙」을 개정했다. 개정의 내용은 묘지 이용 면적의 제한을 완화하고 가족묘지의 신설을 허용한 것이었다. 일제는 이 개정이 한국인의 전통을 존중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렇지만 묘지를 통제하려 한 기존의 목표나 논리를 포기한 것은 절대 아니었다. 이 시기의 ‘완화’는 기만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고도 볼 수 있는 것이다. 반면, 묘지 통제의 필요성을 부정하지 않았던 한국 언론은 「묘지규칙」의 개정에 분열적이고 양비론적인 태도를 보였다. 한국 언론 및 엘리트들은 한국의 전통적 풍습을 비문명적인 것으로 인식했다는 점에서는 일제 당국과 입장을 같이 했지만, 일제의 정책을 무조건 지지할 수도 없었다. 한국의 언론과 엘리트들은 수긍은 가지만 폭력적인 식민자의 ‘문명’과, 동정은 하지만 이해할 수 없는 동포들의 ‘비문명’ 사이에서 깊은 고민에 빠질 수밖에 없었다. 묘지를 통제하려 했던 일제의 논리들을 모두 기만적인 것으로만 볼 수는 없다. 식민자는 실제로 그 논리를 믿었고, 그 믿음으로 식민지배를 정당화했다. 반면 한국 언론과 엘리트 계층은 일제의 묘지 통제에 대해 이중적인 태도를 보였다. 기본적으로 일제의 시정에 비판적이면서도, ‘문명화’라는 대의 앞에서 곤란해 하는 모습을 보였던 것이다. 그만큼 이 시기에 문명화, 근대화의 논리는 막강한 것이었다. 식민지 내에서 ‘근대’는 식민자나 피식민자 모두에게 하나의 ‘믿음’이었으나, 그것이 실제 적용될 때에는 필연적으로 모순에 직면할 수밖에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