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통일보도, 평가, 사회심리적 변인이 통일 관련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행(Hwa-Haeng Lee),정성호(Seong-Ho Cheong),강경수(Kyoung-Soo Kang),최진호(Jin-Ho Choi),이정기(Jeong-Ki Lee) 한국언론학회 2015 한국언론학보 Vol.59 No.1

        Reunification is one of the political and social issues that have continued to stir interest in South Korean society. Reunification-related information is difficult for common people to have first-hand experiences with and is delivered via media. This study thus set out to examine users’ perceptions of reunification-related issues reorganized and presented by the press according to age. It also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sage (exposure) volume of reunification coverage, the components of reunification news, and perceptions of reunification on reunification-related behavior intention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intention to cast a vote to the party and candidate supporting the sunshine policy and peaceful reunification was higher among those who were in their forties or fifties than those who were in their twenties or thirties. Secondly, the intention to pay reunification taxes was influenced by Internet usage volume, positive perceptions of reunification, satisfaction with government policies, positive attitudes and subjective norms regarding the acts to support reunification,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The intention to cast a vote to the party and candidate supporting the sunshine policy and peaceful reunification was influenced by progressive political tendency, usage volume of progressive newspapers and Internet, preference for reunification coverage, positive perceptions of reunification, and positive attitudes and subjective norms regarding acts supporting reunification.

      • KCI등재

        일반논문 : 김정일 시대 북한의 학교 통일교육 중학교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차승주 ( Seung Joo Cha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2012 북한학연구 Vol.8 No.2

        북한의 교육에서 통일에 대한 논의가 어떠한 형태로 표현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은 북한의 통일 담론을 이해하는데 의미 있는 단서를 제공할 것이라 기대한다. 이에 북한의 중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통일’에 관한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북한에서 ‘통일’이 가지는 의미와 위상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북한 중학교 교과서를 통해 살펴본 통일 관련 내용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문제를 이해함에 있어서 북한은 분단과 그로 인한 문제점, 통일과정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에 대한 모든 원인과 책임을 미국과 남한에 전가하고 있다. 또한, 통일의 공동 주체인 남한을 대등하고 공정하게 인식하지 않고 온정주의적인 입장에서 해방을 시켜주어야 할 대상으로만 가르치고 있다. 통일의 당위성에 대해서도 혁명적, 민족주의적 관점에 치우친 설명이 많아서 보다 균형 잡힌 시각이 요구되고 있다. 둘째, 남한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남한은 미국에 예속되어 고통을 강요받고 있는 미(未)해방지구로써 철저하게 왜곡된 모습으로 교과서에 묘사되고 있다. 이는 학생들에게 통일에 대한 객관적인 생각을 가질 수 없게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통일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장애물로 작용할 위험이 크다. 셋째, 통일을 위한 노력으로 북한에서 학생들에게 요구하는 자세는 지도자에 대한 충성, 당과 조국에 대한 헌신, 반미투쟁의식 고취, 북한 체제와 통일방안의 우월성에 대한 인식 등으로 정리해 볼 수 있다. 또한, 통일을 이룩하는 가장 현명한 방법으로 조국통일 3대원칙의 실천과 연방제 통일방안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연방제의 실현 과정이나 통일조국의 미래상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하고 있지 않다. An examination of the ways in which discussions on national reunification is expressed in North Korean education is expected to provide a meaningful clue to understanding the reunification discourses of North Korea. Consequently,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contents of North Korean middle school textbooks related to reunification in terms of the keywords “understanding of the problem of reunification”, “understanding of South Korea”, and “efforts for reunification”, thus grasping the significance and position of reunification in North Korea. First, in understanding the problem of reunification, all causes and responsibilities for national division and its consequent problems as well as difficulties to emerge in the reunification process are shifted on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In addition, instead of being seen equally and fairly as a joint subject of reunification, South Korea is taught solely as an object that must be liberated from a paternalistic viewpoint. Likewise, as for the obvious necessity of reunification, many explanations are biased towards a revolutionary and nationalistic viewpoint, thus requiring a more balanced perspective. Second, an objective understanding of South Korea has yet to be achieved. South Korea is described in textbooks in a thoroughly distorted way, as an unliberated region subjugated by and suffering under the United States. This is likely to prevent students from having objective ideas about reunification, thus eventually acting as an obstacle in the process of realizing reunification. Third, as the attitudes demanded of students as a part of efforts for reunification, Loyalty to North Korean leaders, dedication to the Workers` Party of Korea and the homeland, instillation of a spirit of struggle against the United States, and a perception of the superiority of the North Korean system and reunification plan can be cited. In addition, as the wisest method of achieving reunification, the implementation of the Three Principles of Unification and the federal reunification plan is emphasized. On the contrary, there is no detailed explanation on the process of realizing the federal plan or the future of the reunified homeland.

      • KCI등재후보

        Politics of Reunification and Korean Churches

        ( Park Sam Kyung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9 神學과 宣敎 Vol.56 No.-

        본 논문은 한반도 통일을 위한 남한의 정치와 교회의 역할을 알아본다. 분단의 역사와 더불어 남한 정부의 통일을 위한 입장들과 그에 따른 한국 교회의 입장들을 성찰하면서 한국 통일의 의미를 되짚어본다. 특별히 평화의 조국통일을 이루기 위하여 그동안 이룩해 왔던 정부와 교회의 입장들을 자세히 살펴보면서 한반도 통일공동체를 위한 윤리들을 알아본다. 이러한 통일을 위한 신학-윤리적인 성찰은 한 민족의 통일공동체를 형성하는 데 있어서 모든 사람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데 있어 큰 힘을 불어 넣어 줄 것을 본다. 한반도 통일은 단지 정치적으로 남한과 북한을 하나의 나라로 통합하려는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보다 더 정의롭고 평화로운 나라로 함께 서로가 공존할 수 있는 새로운 윤리공동체를 건설하는 것임을 의미한다. This article is a study of politics of reunification and Korean churches for Korean reunific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wo positions on the reunification (the government and the church). I will deal with theological grounds and ethical reasons to pursue reunification in Korea. It is about reunification in order to articulate the notion of reunification. In doing so, tongil means becoming one community that embraces all differences, without divisions. In the case of the divided Korea, one community consists in unity that respects diversity and results in minjok - one people. The community emerges from relationships of mutual respect. In the end, the rich understandings that emerge from the theo-ethical dialogue among the politics of reunification and Korean churches in the Korean history I work with will contribute, I believe, to a definition of reunification that is not limited to political reunification, but aims to protect the dignity of every person and to contribute to the full participation of all Koreans in one just community.

      • Thoughts on Reunification by a Historian of Praxis : Kang Man-Kil’s ‘Reunification Nationalism’ And ‘Theory of Equitable Reunification’

        Park, Min-Cheol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2015 통일인문학 Vol.1 No.1

        Kang Man-Kil is the first historian to position overcoming of division and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s the most important scholarly topic. The overall structure of his historiography is constructed of: first, gaining a penetrative historical perspective on the Age of National Division, and second, establishing a new historical framework that can overcome division. These two themes can be encapsulated into his term, ‘reunification nationalism’. ‘Reunification nationalism’ is the rightful guiding ideology for the Korean society, contributing to overcoming division and reunifying the nation. Kang’s reunification nationalism is meaningful in three ways: 1. It is an ‘alternative historiography’, in which the national united front movement based on negotiations between left and right wings since the colonial period is seen as the mainstream of national history. 2. It recognizes the entire Peninsula as one national unit and it is an ‘anti-divisionist historical perception’ that considers all Peninsula citizens to be agents of historical development. 3. All Peninsula citizens are seen to constitute one historical and cultural community, and it is meaningful as a ‘reunification theory’ based on peaceful, reciprocal and equitable methods. In sum, the above-mentioned three aspects of reunification nationalism form the basis of the details of Kang Man-Kil’s reunification nationalism, which is his ‘theory of equitable reunification’.

      • KCI등재

        교과서에 나타난 통일담론에 대한 고찰 -민족주의를 중심으로-

        차승주 ( Seung Joo Cha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3 윤리교육연구 Vol.0 No.29

        최근 ``다문화``, ``세계화`` 등이 우리 사회를 지배하는 중요한 담론으로 자리 잡으면서 민족주의에 대한 비판과 ``탈(脫)민족주의론``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통일``을 이루지 못한 상황에서 민족주의는 여전히 우리에게 유효하고 중요한 담론일 수밖에 없다. 이에 중·고등학교 「도덕」 교과서에도 통일의 의미를 ``민족``의 관점에서 설명하고 있으며 통일과 민족적 대단결을 도모하기 위한 초보적 조치로서 민족의 동질성 회복과 민족공동체 형성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고 있다. 지금까지 통일의 정당성과 필요성을 설명하는 가장 강력한 근거가 되어왔던 것은 남과 북이 혈연과 언어와 문화를 같이하는 하나의 민족이라는 것이었다. 그러나 최근 민족주의에 대한 비판적 이론이 대두되고, 우리 사회에 결혼이주자, 외국인노동자 등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우리의 순혈주의적 민족주의에 대한 문제제기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현재 통일교육은 이념상으로 분단 상황을 고려할 때는 민족주의에 기반을 두는 한편, 다문화 사회의 현실을 반영한 다문화주의 또한 수용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 이에 학교 통일교육에 반영된 민족주의 담론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 통일교육의 방향과 과제에 대해 고민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민족주의의 의미와 한국 민족주의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 학교 통일교육에 반영된 ``민족주의``의 내용을 분석한 후에, 통일담론으로서 ``민족주의``의 방향에 대해 고민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민족공동체`` 형성을 위한 학교 통일교육의 과제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With the establishment of multiculturalism and globalization as important discourses dominating South Korean society in recent years, criticism of ethnonationalism and the theory of trans-ethnonationalism have received attention. In a situation where national reunification with North Korea has yet to be achieved, however, ethnic nationalism cannot but be a discourse that is still useful and important to the country. Consequently, middle and high schools ethics textbooks likewise explain the significance of reunifi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thnicity and stress the recovery of ethnic homogeneity and the importance of the formation of an ethnonational community as initial measures to promote reunification and ethnic cohesion. For North and South Koreas thus to overcome mutual hostility and differences that have accumulated over a long time and to form an ethnonational community surely is the role assigned to ethnonationalism as the ideology of reunification. The strongest ground for explaining the validity and necessity of reunification hitherto has been that the people of North and South Koreas are a single ethnic group, identical in blood, language, and culture. With the rise of theories critical of ethnonationalism and the dramatic rise of immigrant spouses and migrant workers in South Korean society in recent years, however, Korea`s ethnonationalism, which is based on ethnic purism, has been problematized. Consequently, reunification education today is in a situation where it must at once be based on ethnonationalism ideologically in consideration of the state of national division and embrace multiculturalism in reflection of the reality of a multicultural society. To achieve this, ethnonationalism must be discussed in a direction where it can, as a discourse of reunification, respect the basic rights of members of the ethnic group, pursue coexistence with other ethnic groups based on tolerance for and harmony with heterogeneity and diversity, and aim at the vale of peace,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seeks to examine ethnonational discourse reflected in reunification education at schools and, based on this, to explore the direction and tasks of reunification education at schools. To achieve this, the present study will first examine the definitions of ethnonationalism 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ethnonationalism, analyze the contents of ethnonationalism as it is reflected in reunification education at schools, and explore the direction of ethnonationalism as a discourse of reunification. In addition, based on such discussion, it will consider the tasks of reunification education at schools for the formation of an ethnonational community.

      • KCI등재

        통일비용과 재원 마련 그리고 통일세에 관한 법적 쟁점 검토

        차현일 법무부 통일법무과 2011 統一과 法律 Vol.- No.5

        The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must be a supreme task in the spirit of the constitution. Nevertheless, the estimation of reunification cost is striking fear into our mind imprudently. The reason we must approach reunification cost earnestly is not considering the pros and cons but maximizing net profit of reunification. This principle must not be forgotten. The contemplation what the cost of reunification concretely and how it must arrange should be made such aspect. A key theme of this study is an extension of the consideration like this. Therefore, first, this study research the case of the German. After that, Korea's financial resources and reunification cost shall be analogized. Furthermore, among the specific measure of the financial resources, the necessity of legislation for reunification-tax shall be reviewed. Also reunification-tax in the legislative process should be reviewed legal issues concretely. A recent studies present that the costs of reunification is estimated from dozens of trillion won to the astronomical cost of 6000 trillion w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minimum cost and maximum cost is hard to accept from a common-sense point of view. That's why the calculation structure of reunification cost have a problem itself. After all, it does not make any sense which one is more credible. Significantly, the most urgent thing is a debate of the financial resources for a reunification: how to cover significant sums of money expected to reach thousands of trillion won. The conclusion of study about these financial resources reach that we must review all options positively. Early on, reunification cost must be needed intensively. So, it is important to minimize impact of reunification cost. In this respect, we must prepare for reunification steadily from now on. Therefore, among many ways of raising fund, this study will deal with the following aspects of the question: the need of legislation about the reunification-tax, and the legal issue that can be problem to legislative process. It is clear from numerous studies of the German case that the reunification tax is inevitable. If so, do the following steps: a choice between preparing reunification for a long time and bearing a large hemorrhage after reunification. Course, if you are rational decision makers, you will choose the former. Therefore, the reunification-tax shall be reviewed seriously as the tax legislation from now on. In addition, the study should be made within the scope of constitution, such as the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law. 통일은 헌법 정신에 비추어 볼 때, 지상과제임에 틀림없다. 그럼에도 최근의 통일 관련논의들은 통일에 대한 막연한 통일비용 추정치에 근거하여 통일에 대한 공포심을 조장하는 경향이 있다. 통일에 있어 우리가 진지하게 그러한 비용 문제들에 접근해야 하는 이유는 이해득실을 따지 위함이 아니라, 통일의 순편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임을 잊어서는 안 된다. 통일의 비용에 대한 고찰과 그 재원마련에 대한 고민은 반드시 그러한 측면에서 이루어 져야 한다. 본 소논문의 핵심 주제는 그와 같은 고민의 연장선에 있다. 본고에서는 독일의 사례를 통하여 남북한의 통일비용과 재원마련에 대하여 기존의 연구 논문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나아가 그 구체적 재원마련의 방안 중 지난 이명박 대통령의 8·15 경축사에서 언급된 ‘통일세’의 입법 필요성에 대하여 검토해 보고 또한 통일세 입법과정에서 검토되어야 할 법적 쟁점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통일 비용 추정치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은 작게는 수 십 조원에서 많게는 6천조에 육박하는 천문학적인 비용들을 제시하고 있다. 같은 기관의 발표라 할지라도 최소 비용과 최대비용 차이에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힘든 차이가 나타나는데 그것은 통일 비용의 산출 구조자체의 문제이기도 하다. 결국 어떤 자료가 더 신빙성이 있는가 하는 것은 별로 의미가 없다. 중요한 것은 대략 수천 조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막대한 자금을 무엇으로 충당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며 그것은 매우 시급한 일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재원마련 방법들에 대한 검토는 결론적으로 특정 방안 선택의 문제가 아닌 활용가능한 모든 방안들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함에 이른다. 이러한 관점에서 중요한 것은 초기에 집중적으로 필요하게 될 통일 비용의 경제적 충격을 최소화하는 것이고, 그것만을 위해서도 지금부터 꾸준한 준비가 필요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논의에서는 그러한 여러 가지 재원마련에 관한 방법들 중에서 구체적으로 ‘통일세’의 입법 필요성과 입법 과정에서 문제될 수 있는 법적 쟁점들에 대하여 검토하기로 한다. 독일의 사례와 그 간 수많은 연구 결과들이 말해주듯이, 그것이 통일세의 모습이든 국채발행의 모습이든 ‘조세’는 통일비용 담당의 큰 축이며 조세인상은 통일 비용의 지불에 있어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문제는 조금씩 장기간 준비하느냐 통일이 발생했을 때 큰 출혈을 감당해야하는가 사이의 선택이 된다. 합리적 의사결정자라면 당연히 전자를 선택해야 할 것이다. 그런 이유에서 우리는 조세 입법으로써의 통일세를 진지하게 검토해야 하는 것이다. 그러한 검토는 조세법률주의와 같은 헌법적 범위 안에서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 KCI등재

        안병무(安炳茂)의 민중론에 기초한 통일론 분석

        안수강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8 기독교사회윤리 Vol.40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Byeong-Mu Ahn’s reunification theory based on his minjung theory. Minjung theology emerged in the 1970s from the experience of Korean Christians in the struggle for the restoration of the rights of minjung. Ahn regarded ‘minjung’(民衆, ὄχλο󰐠) as the people who are scorned and oppressed by the powerful military dictator and dictatorship. On the basis of minjung theology, he urged that minjung should initiate the practice to overcome the divis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accomplish the reunification. He thought that a unified Korea is a essential component of Korean national identity. This study is conducted to investigate Ahn’s reunification theory through his Korean National Movement and Reunification and to analyze the basic outline of the main ideas such as the awakening of national reunification(step1), overcoming trends of anti-reunification(step2), reunification by minjung(step3), the practice of the way of peace based on minjung theory(step4), and so on. The meaningful points Ahn left behind us on the basis of his reunification theor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theological reflection on reunification theory, new paradigm for peaceful reunification, peaceful reunification strategy and practice of peace, withdrawal of ethnic conflict, the emphasis on spirit of national reunification, and the activity of reunification education. 본 논문은 안병무의 민중론에 기초된 그의 통일론을 분석하려는 데 목적을 둔다. 민중신학은 1970년대 한국 기독교인들이 민중의 인권회복을 위하여 전개한 고투의 체험에서 발흥했다. 안병무는 강력한 군부독재와 독재체제에 의해 멸시 받고 압제당하는 사람들을 가리켜 ‘민중’(民衆, ὄχλο󰐠)이라고 칭했다. 그는 민중 신학에 기초하여 민중이 남북분단을 극복하고 통일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을 주도 해야 한다고 천명했으며, 통일 한국을 민족정체성을 구현하는 본질적인 요소로 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안병무의 저서 󰡔韓國 民族運動과 統一󰡕을 중심으로 그 의 통일론을 살펴볼 것이며, 민족통일에 대한 각성(起), 반통일 현상의 극복(承), 민중에 의한 통일(轉), 민중론에 바탕을 둔 평화의 길 실천(結) 등 그의 주요사상 들을 분석할 것이다. 안병무가 통일론에서 보여준 의미심장한 논점들에 대해서 는 ①통일론의 신학적 성찰 ②평화통일의 새로운 패러다임 ③평화통일 전략과 평화의 실천 ④민족갈등 지양(止揚) ⑤민족 통일정신 고취 ⑥통일교육 활성화 등으로 정리했다. 향후 이 연구가 안병무의 ‘민족론’, ‘애국의 관점’, ‘정치론’, ‘신앙적 사고’ 등과 같은 연구 작업으로 더 확장되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통일에 대비하는 평생교육의 쟁점 - 평생교육에서 주목해야 할 통일을 바라보는 교육학적 관점 -

        이병준 한국성인계속교육학회 2023 성인계속교육연구 Vol.14 No.3

        이 연구는 언젠가 다가올 수 있는 남북한 통일 후의 평생교육의 과제를 다루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통일된 국가의 사례를 볼 때 통일은 예기치 않게 다가오기에 그 통일이후를 교육의 전환을 대비하는 것은 평생교육영역에 있어서도 예외가 아니다. 이 때 중요한 토대 는 다른 학문들과 차별화되는 교육학적 관점에서 통일문제를 바라볼 수 있어야 하는 것이 다. 독일 통일의 사례에 대한 이론적 성찰을 통해서 제시될 수 있는 통일 후 평생교육의 쟁점은 크게 여섯 가지로 제시된다. 첫째, 통일 후 그간 명령과 지시를 통해 수동적으로 성장해온 북한성인들을 주체적인 학습자로 어떻게 성장하게 할 것인가의 문제가 중요하다. 둘째, 통일 후 평생교육은 북한성인들의 자기활동성을 어떻게 높일 것인가가 대두될 것이 다. 셋째, 평생교육이 북한성인들이 통일 후 변화하는 세계와의 상호작용을 어떻게 촉진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넷째, 통일 후 평생교육은 북한성인들에게 민주주의 학습의 기회를 어 떠한 방식으로 제공할 것인가가 중요하다. 셋째, 통일 후 평생교육은 북한성인들의 직업능 력개발을 통해 실업의 상태에서 어떻게 벗어나게 도와줄 것인가의 문제가 관건이다. 넷째, 통일 후 남북 간의 사회문화적 차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상호문 화역량을 어떻게 높일 것인가가 중요한 과제로 떠오를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the challenges of lifelong education after the reunification of North Korea and South Korea, which may someday come. When looking at examples of reunified countries, reunification comes unexpectedly, so preparing for a transition in education after reunification is no exception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At this time, an important foundation is to be able to look at the reunification issue from a educational perspective that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studies. There are six major issues of lifelong education after reunification that can be presented through theoretical reflection on the case of German reunification. First, the issue of how to help North Korean adults, who have grown passively through orders and instructions after reunification, grow into independent learners is important. Second, after reunification, lifelong education will focus on how to increase the self-activity of North Korean adults. Third, there is the question of how lifelong education will promote North Korean adults' interaction with the changing world after reunification. Fourth,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how lifelong education after reunification will provide North Korean adults with opportunities to learn about democracy. Fifth, the key to lifelong education after reunification is how to help North Korean adults escape from unemployment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ir vocational skills. Sixth, in order to overcome the social and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fter reunification, how to increase intercultural competency for all citizens will emerge as an important task.

      • 한반도 통일비용의 쟁점과 과제

        이승현,김갑식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1 신안보연구 Vol.- No.171

        When president Lee Myung Bak brought up the issue on the necessity of adopting the ‘reunification tax policy’ for the unification age in the 65th annual event of the National Liberation Day on August 15, 2010, various discussions rose about the scale of the reunification cost and its desirable procurement. Such discussions will advance furthermore with the increasing instability of the North Korean system. In order to set a basis for a more advanced discussion and agreement afterwards, we wish to organize the opinions brought up until the present point, issue by issue. The actual reunification cost of Germany comes out to be exceeding the originally expected amount. In order to afford the reunification cost, Germany has adopted the reunification tax policy since 1991, which should continue until at least 2019. However, just as the argument continues in the courts of Germany, there are many objections against reunification tax. In general, the reunification cost is defined as ‘the economical and uneconomical cost required to match the economical and social conditions of the two nations after reunification’, and it is consisted of system transformation cost, income equality cost, and risk management cost. However, the reunification cost is estimated in various methods according to the specialist and institution, and the results vary tremendously, ranging from 70 trillion won to 3 quadrillion won. On the other hand, the division cost-brought up in the process of maximizing the positive effects of the reunification cost-is something that need not be spent if it was not for the divided situation, which includes excessive military expenses and mental, political and social expenses due to national division. The division cost also consists of ‘explicit and tacit’ or ‘economical and uneconomical’ expenses, and the period differs among specialists and therefore the estimation has a lot of variables. Up until the present point there are no specific agreements on the desirable reunification cost procurement among the governmental organizations or our society. The opinions being discussed on are taxation, bond issue, currency issue, budget reduction, foreign funds, etc. It is unfortunate that a more full-scale and specific discussion is not being carried out. Many people agree on the appropriateness of reunification, but the majority lack the will of paying for its cost. Therefore, it is a very important task to minimize the reunification cost in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national reunification. We should discuss the various aspects of minimizing conflict, relieving economical difference, preparing for reunification cost in advance, persuading the citizens, developing various scenarios related with reunification cost, and reserving money through the cooperation fund, and gather our wisdom altogether. 2010년 8월 15일 이명박 대통령이 광복절 65주년 기념사에서 통일시대를 준비하는‘통일세’ 도입의 필요성을 이야기하자, 통일비용의 규모와 바람직한 조달방안에 대해 다양한 논의들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논의는 북한체제의 불안정성 증대와 더불어 더 진전되고 활발해질 것이다. 이에 향후 보다 진척된 토론과 합의 구축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 현재까지 진행된 주장들을 쟁점별로 정리하고자 한다. 독일이 실제 지불하고 있는 통일비용은 당초 전문가들의 예상치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독일은 1991년부터 통일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연대추가징수금’(일명 ‘통일세’)을 책정했는데 이는 최소한 2019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독일 각급 법원에서 통일세에 대한 위헌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 것처럼, 통일세에 대한 반발이 만만치 않은 것도 사실이다. 일반적으로 통일비용은 ‘통합 이후 피통합측의 경제·사회수준을 통합측에 걸맞는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데 소요되는 경제적·비경제적 비용’으로 정의되고, 그 구성은 체제전환 비용, 소득균등화 비용, 위기관리 비용 등이다. 그런데 통일비용은 학자에 따라, 기관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추산되고, 그 결과 또한 천차만별이라 할 만큼 격차가 매우 크다. 적게는 70여 조원에서 많게는 3,000여 조원까지이다. 한편, 통일과정에서 소요되는 비용의 긍정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논리로부터 부각된 분단비용은 분단상황이 아니었으면 치르지 않아도 될 기회비용인데, 여기에는 과도한 군사비 지출에서부터 분단에 따른 정서적·정치사회적 비용까지 포함된다. 분단비용 역시 그 구성이 ‘명시적인 것과 암묵적인 것’ 또는 ‘경제적인 것과 비경제적인 것’으로 되어있고, 그 기간도 학자마다 다르기 때문에 그 추산이 일률적이지 않다. 현재까지 통일비용의 바람직한 조달방안에 대해 정부 부처 간 혹은 우리 사회 안에서 합의된 바는 없다. 거론되는 방안으로는 조세, 채권발행, 화폐발행, 예산절감, 해외자금 유치, 그리고 기금 등이다. 보다 본격적이고 구체적인 논의가 진행되지 못하는 것이 아쉬운 점이라 하겠다. 통일의 당위성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지만 통일비용의 지불의지는 아직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통일비용을 최소화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남남갈등 최소화, 남북간 경제격차 완화, 통일비용의 사전 준비, 국민 설득, 통일비용과 관련한 다양한 시나리오 개발, 남북협력기금을 통한 통일기금 비축 등 다양한 측면에서 토론하고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예비유아교사의 통일ㆍ통일교육 인식

        김선혜(Kim, Sun-Hye),정희영(Jeoung, Hee-Yeong) 한국통일교육학회 2021 통일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통일ㆍ통일교육에 대한 인식조사를 통해 예비유아교사 대상 통일교육의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함에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국에 있는 4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학생으로 교육부와 통일부(2018), 윤경혜(2005)의 설문 내용을 유아교육 전공 교수 1인과 유아교육 석ㆍ박사과정 5인이 수정ㆍ보완하 였으며 문항 반응 방법 및 문항 내용의 적절성 등의 안면타당도 검증을 받았다. 자료처리는 SPSS WIN 24.0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 검증, x² 검증,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집단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cheffé의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통일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은 대체로 긍정적이며 통일교육 경험에 따른 인식 차이가 있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는 통일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통일교육 강좌에 참여 의사가 있으나 통일교육을 받아본 경험은 별로 없었다. 교사양성과정 내의 유아통일교육 수업 개설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반면 전공 관련 유아통일교육 경험은 대부분 없었고, 통일 교육 경험에 따른 인식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통일교육 경험에 따른 인식 차이를 줄이고 예비유아교사의 통일교육 요구에 응답하기 위해 유아교사양성과정 내의 통일교육 강좌 개설을 제안하며, 이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 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reunification education for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 through a survey of their awareness of reunification and reunification education. The research targeted nationwide 4-year university student who majo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the research tools, the questionnaires used by department of education & reunification ministry(2018), Yun Kyeong Hye(2005) were used after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to research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perception of reunification and reunification education. One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professor and 5 masters, Ph.D. courses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together to reconstruct the questionnaire. For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using SPSS WIN 24.0, frequencies and percentages, and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and t-test, Fisher s exact test, one-way ANOVA and Scheffe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e study as follows : First, the study found that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reunification were generally positive, changes in perceptions of the situation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nd social trends, and differences in perceptions according to reunification education experience. Second, the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 recognized the need for reunification education and was willing to participate in reunification education classes, but hardly experience in reunification education. While recognizing the need to open early childhood reunification education classes within the teacher training course and learning the contents and methods of reunification education needed for actual classes is the most urgent problem but most of them are uneducated about major- related early childhood reunific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posed the opening of reunification education courses in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course to reduce differences in perception according to reunification education experiences and respond to requests for reunification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