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언론정보학회 20년, 비판적 학술운동의 고민과 한계

        김서중(Suh-Jung Kim),김은규(Eun-Gyoo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08 한국언론정보학보 Vol.43 No.3

        한국언론정보학회가 창립된지 20년이 지났다. 이 글은 비판적 학술운동이라는 창립정신으로 출발했던 학회의 20년을 되돌아보면서 그 정체성을 점검하고자 했다. 논문은 크게 세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는 1980년대 후반에 태동되었던 비판적 학술운동이 한국사회의 변화와 맞물려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살펴본다. 둘째는 비판언론학 진영의 학술운동을 표방하며 출발했던 ‘한국사회언론연구회’의 활동을 되돌아본다. 구체적으로 학회의 창립배경과 창립정신에 기반한 학술연대 운동, 언론연대 운동, 현안 대응 연대 운동 등의 활동을 점검한다. 셋째는 한국언론정보학회로 전환한 이후 학회의 활동 사항에 대한 점검이다. 학회의 20년을 되돌아볼 때, 무엇보다도 가장 큰 성과는 비판언론학의 학문적 영역을 확장시켰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학회의 외연 역시 성장하였다. 하지만 학회의 초기 정신과 정체성이 제대로 지켜지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여러 논란이 존재한다. 이에 본 글에서는 결론적으로 학회의 정체성 강화를 위해 사회적 현안에 대한 유기적 학술회의의 조직, 학보정체성 강화, 학문후속세대에 대한 지원, 분과활동의 활성화를 강조하고 있다. KACIS was established in 1988 for critical academic movement in communication area. For 20 years after establishment, KACIS has grown into major academic societ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reflection on the history of KACIS for 20 years. For this, this article review three areas on KACIS. First, It examine how critical academic movement that was initiated in middle of 1980s was changed in gear with Korean Society's shift. Second, It turn around the activity of 'Korean study group for society and communication', the predecessor of KACIS, which operate during 1988~1998. Third, it consider KACIS's activity after convert to association, during 1998~2008. When look back co 20 years of KACIS, first of all, the biggest fruit is to extend critical communication in academic area. However, several controversies exist about KACIS's identity. Conclusively, this article emphasize, for further development, organizing organic academic conference about social pending issue, strengthening journal's identity, fostering future academic generation, vitalizing research divisions.

      • KCI등재

        압축적 상업화

        이정훈(Junghoon Lee) 한국언론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0 No.2

        본 연구는 한국의 언론이 대중적 상업 언론임에도 불구하고 정파성과 이데올로기적 편향성의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그 원인을 1960년대 한국 언론의 상업화 과정에서 찾아보려는 시도이다. 상업 언론은 한국뿐 아니라 자본주의 사회에서 보편적인 언론 형식이지만, 당파적 언론(partisan press)에 고유한 문제로 여겨지던 정파성과 이데올로기적 편향성의 문제가 한국의 상업 언론에 대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상황은 흔치 않다. 현대 미국의 상업 언론은 19세기 미국의 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 그리고 계몽주의를 배경으로 출현한 페니 신문(penny press)이 기존의 당파지(party press), 무역지(mercantile press)와 한 세기에 걸친 치열한 경쟁 끝에 지배적인 언론 형식으로 살아남은 결과이다. 그러나 페니 신문의 출현은 19세기 미국의 정치적 변화(민주주의), 경제적 변화(시장경제 체제), 인식론적 변화(계몽주의)의 결과이며, 이후로도 기존의 지배적인 언론 형식을 혁명적으로 대체한 것이 아니라 한 세기에 걸친 치열한 경쟁 속에서 지배적인 언론 형식으로 생존할 수 있었다. 반면에 한국 언론의 상업화는 박정희 정부가 정치적 근대화는 왜곡 또는 지체시키는 가운데 경제성장 중심의 압축적 근대화를 추진하던 1960년대에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한국 언론의 상업화는 1960년대 압축적 근대화의 결과로 급속하게 이루어진 도시화와 산업화를 물적 토대로 하여 이루어졌지만, 보다 직접적으로는 박정희 정부의 언론 정책에 힘입은 바 크다. 박정희 정부의 언론 정책은 기본적으로 박정희 정부의 국정 운영 원리인 행정적 민주주의가 언론에 그대로 적용된 것이었다. 박정희 정부의 언론 정책은 언론의 상업화를 위해 경제적 지원과 정책적 특혜를 허용하는 대신에 권력을 감시하고 정치담론을 활성화하는 언론의 정치화를 철저하게 억압하는 이중성을 그 특징으로 한다. 1960년대 한국 언론의 상업화는 박정희 정부의 경제적 지원과 정책적 특혜를 얻기 위해 언론의 정치화를 자발적으로 포기한 언론사 사주들에 의해 전격적으로 추진된 것이었다. 따라서 1960년대 한국 언론의 상업화는 정치화가 왜곡된 채 경제적 상업화만으로 이루어진 ‘압축적 상업화’였다. 한국의 상업 언론이 정파성과 이데올로기적 편향성의 문제를 지속적으로 드러낼 수밖에 없는 이유는 바로 한국 언론의 상업화가 정치화를 왜곡시킨 압축적 상업화였기 때문이다.

      • 초창기 한국 언론학의 제도화와 정체성 변화

        양승목(Seung-Mock Yang) 한국언론학회 2005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초창기 한국 언론학의 제도화와 정체성 변화의 과정을 탐구하는 데 있다. 특히 1960~70년대에 이루어진 한국 언론학의 정체성 변화에 주목하고 이 과정에서 핵심적 역할을 담당한 南玎 金圭煥의 활동에 초점을 맞추었다. 한국 언론학의 제도화 과정은 ‘예비기(~1953)’, ‘초창기(1954~1974)’, ‘도약기(1975~1990)’, ‘전성기(1991~현재)’의 4단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제도화 초창기에 한국 언론학은 ‘전통적 신문학’에서 ‘사회과학으로서의 커뮤니케이션연구’로 학문적 정체성의 변화를 겪게 된다. 미국의 윌버 슈람(Wilbur Schramm)의 영향을 크게 받은 김규환은 서울대학교 신문대학원 창설의 주역으로서 그리고 제2대 한국 신문학회 회장으로서 이러한 변화를 주도하였다. 김규환의 리더십에 힘입어 ‘사회과학으로서의 커뮤니케이션 연구’는 1970년대에 와서 ‘주류 언론학’으로서의 위상을 굳히게 되었다. 이러한 정체성의 변화는 결과적으로 한국 언론학이 저널리즘 실무교육을 지양하고 커뮤니케이션 이론 중심의 학문으로 바뀌는 계기가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and identity change of Korean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KJCS) during its early twenty years(1954~1974). In particular, the paper focuses on the role of Kim Kyu Whan who was a key figure in the process of identity change of KJCS made during 1960s and 1970s. Leading the Graduate School of Mass Communication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Kim had played a critical role in transforming KJCS from "traditional journalism study" to "scientific communication research." Influenced by Wilbur Schramm, a founding father of American communication studies, Kim had tried to make KJCS a solid social science. Thanks to Kim's leadership, empirical and behavioral communication research became the mainstream of KJCS in 1970s. This change also resulted in a shift of journalism education in Korea: profession-oriented journalism education gradually gave way to theory-oriented communication education.

      • 분열 정치와 분열 언론 그리고 분열 여론의 악순환 이론

        최영재 한국언론학회 2011 한국언론학회 심포지움 및 세미나 Vol.2011 No.5

        이 글은 한국언론의 정치권력화 과정에서 정파적 편향성을 보이게 된 과정, 그리고 정파적 언론의 편향 보도가 정치 분열과 언론 분열, 그리고 시민 분열을 초래하는 분열의 악순환 모델을 탐색해 봤다. 나아가 디지털 매체 환경에서의 분열의 악순환 모델의 재현 가능성도 논의했다. 결론에서 한국 언론의 정파적 분열이 민주적 의사소통의 위기를 초래하고 있다고 진단하고, 한국 언론이 분열의 악순환에서 빠져나오는 방안을 논의했다. 한국언론은 민주화 이전부터 권언유착 관계에서 정치권력의 일부로 존재하고 있었으며, 그같은 정치권력 속성이 진보정권 출현이후 정치권력과의 갈등과 충돌의 형태로 더욱 명확히 나타났다. 결국 분열된 정파적 언론은 분열된 시민 공중을 만들고, 또 분열된 정치와도 갈등하는 분열의 악순환의 함정에 빠져들게 됐다. 디지털 매체 기술 환경에서도 언론 분열, 공중분열, 정치 분열 현상이 계속되고 있다. 정치 분열-언론 분열- 공중 분열의 악순환 현상은 정치는 리더십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하고, 언론은 사회 공론장 역할을 제대로 못하게 하고, 시민 공중은 표현의 자유를 억압받는, 총체적인 민주주의의 위기를 초래하고 있다.

      • KCI등재

        한국 언론의 상업화 논의에 관한 비판적 검토

        이정훈(Jung-Hoon Lee) 한국언론정보학회 2013 한국언론정보학보 Vol.62 No.2

        본 연구는 한국 언론의 상업화 과정에 관한 연구들을 비교?검토하여 언론학계에서 언론의 상업화에 대해 어떤 이해를 공유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언론은 대중적 상업언론의 형식으로 존재한다. 이것은 19세기 서구의 정치경제적 변화 속에서 당시에 지배적이던 당파지와의 경쟁 속에서 지금 우리에게 익숙한 대중적 상업언론의 형태로 변모해왔고, 우리는 이 역사적 변화 과정을 언론의 상업화라고 부른다. 상업화 과정에 대한 연구가 중요한 이유는 객관주의, 전문직업인주의 등 대중적 상업언론의 성격과 관련된 대부분의 개념들이 상업화 과정에서 직업적 관행에 따라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우리 언론학계에는 언론의 상업화 과정에 대한 본격적인 역사연구가 매우 드문 편이지만 관련 연구나 유사 연구 속에서 간헐적으로 이루어져왔다. 그것은 1933년 상업화론과 1960년대 후반 상업화론으로 대별되는데, 두 주장 모두 한국의 언론이 정치적 억압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전략적 선택으로 상업화했다고 파악하고 있었다. 이것은 현재 언론의 심각한 병폐 중 하나로 지적되는 정파성과 이념적 편향성을 이해하는 데 실마리를준다. 현재 한국 언론은 시장에서보다 자신과 정치성향이 같은 정파나 정당의 집권을 통해 얻을 수 있 는 경제적 혜택이 너무 많기 때문에 상업언론이면서도 당파지의 성격을 부분적으로 가지고 있다. 이런 점에서 한국 언론의 상업화는 여전히 진행 중이며 정치화와 균형을 이룬 진정한 상업화는 아직 시작하지 않은지도 모른다. With a view to grasping how media commercialization is understood and discussed in the media-related academic community, this study compares and reviews other researches on the commercialization process of Korean press. Full-fledged studies have been rarely performed on the history of commercialization, but similar or related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termittently: One is the commercialization theory in 1933 and the other is the commercialization theory in the late 1960s. Both of them decided Korean press had been commercialized as a strategical option in the midst of political pressure. It gives a clue leading us to understanding on why Korean press shows partisanship which is pointed as one of social maladies. Korean press acquires less economic benefits if they play in the market than if political parties they support or share the same political interest take power, so they are a commercial press as well as a partially partisan press. In this context, commercialization of Korean press is still underway, and genuine commercialization hitting the balance with politicization may have yet to begin.

      • KCI등재

        한국 언론의 전문직주의와 전문직 프로젝트의 특수성

        박진우(Jin-Woo PARK) 한국언론정보학회 2015 한국언론정보학보 Vol.74 No.6

        이 연구는 한국의 언론인 전문직주의와 전문직 프로젝트의 특수성에 대한 해명을 통해 한국의 언론과 정치권력의 관계를 이해하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자 한다. 여기서 전문직주의의 문제틀은 한국 언론과 정치권력의 오랜 병행 관계를 새롭게 개념화할 수 있는 매개체로 간주된다. 한국 언론의 경제적 위기, 정치적 민주주의와 언론 자유의 상대적인 쇠퇴, 그리고 디지털 뉴스 혁명이 가져온 뉴스 생태계의 변화 속에서 전문직 저널리스트의 위상 역시 중대한 기로에 서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 연구는 첫째, 언론인 전문직주의의 규범론적 관점에서 탈피하여 한국 언론의 현실을 전문직 프로젝트의 역사적·구조적 경과라는 차원에서 접근할 것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서는 보다 행위자 중심적인 관점에서 저널리스트 전문직의 현실적인 쟁점- \경제적 이해, 사회적 폐쇄, 국가권력과의 규제협상-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현대 사회에서 두드러지고 있는 저널리즘과 민주주의의 디커플링 현상을 심화시키는 한국의 전문직 프로젝트의 특수성에 새롭게 접근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국가-언론의 오랜 비대칭적 관계 속에서 실현 가능한 전문직 저널리즘의 모델을 새롭게 고민하는 단초를 살펴보고자 한다. This paper aims to plan a new research program on the parallel relationship between Korean press and political power, by providing concepts on the mode of existence of professional journalists in Korea. In the midst of the economic crisis of Korean journalism, relative deteriorisation in the political democracy and the liberty of press, and changes in news ecosystem due to the revolution of digital news, the status of professional journalists is at stake. In these circumstances, this paper argues that many existing researches on journalistic professionalism need to be reconstructed in the perspective of professional project. It enables, first of all, an evaluation on actual issues of professional journalists from the actor perspective, i.e. economic interests, social closure, regulative bargain with the authority. Secondly, concerning decoupling phenomenon of journalism and democracy which became salient in the contemporary society, this study raises a necessity to create new logical relations around concepts of journalist professionalism. And we will find, in this situation, a beginning of new evaluation on the mode of existence of professional journalists, that has been possibly developped within the old, assymetric relationship between State-press. And finally, this study proposes to consider a category of professional journalists as a vehicle that helps to conceptualize the old, parallel relationship between Korean press and political power.

      • KCI등재

        직업이데올로기로서의 한국 언론윤리의 형성과정

        남재일(Jae-Il Nam) 한국언론정보학회 2010 한국언론정보학보 Vol.50 No.2

        이 연구는 언론윤리를 기자집단의 직업이데올로기로 보고 한국 언론윤리가 형성되는 역사적 과정에 나타나는 특수한 조건들을 언론윤리의 형성에 개입하는 사회적 관계들의 변화를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한국 언론윤리의 성격을 해석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한국 언론윤리의 정립을 위한 언론현장의 실천 전략과 언론윤리 논의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안하고자 했다. 그래서 한국 기자들의 직업적 위치 변화 추이와 언론윤리 담론의 전개양상을 분석했다. 분석결과 한국의 언론윤리 담론은 윤리의 전제가 되는 직업적 자율성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외부의 압력에 대응하는 도구적이고 수사적인 방편으로 이용되었음이 밝혀졌다. 그 결과 한국 언론윤리의 성격은 언론윤리 강령의 수사적 성격, 구조화된 인식과 실천의 괴리, 책임과 윤리의 개념적 혼동 등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직업이데올로기로서 언론윤리의 정립을 위해서는 윤리에 접근하는 기자집단 내부의 방식이나 사회적 논의의 양상이 기자의 직업적 현실에 충실해야 한다는 것이 이 연구의 결론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journalism ethics as job ideology by analyzing the specific conditions revealed in the historical process of the construction of Korean journalism ethics, focusing on the change of social relationships which intervene in the construction of journalism ethics. By this interpretation, this study proposes the desirable directions in journalism ethics discussion and practice strategies in the journalism fiel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historical process and the development phase of discourse in journalism ethics in which the job position of Korean journalists have changed. In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the discourse of Korean was used for the instrumental and rhetorical means to cope with the outside pressure in the lack of occupational self-control which becomes the premise of ethics. Because of this, the Korean journalism ethics characterize the rhetorical feature of ethical code, the structured separation of practice from cognition, the conceptual confusion of responsibility from ethics.

      • KCI등재

        1950년대 미국무성의 미국 언론 전문가 파견 사업 연구 한국 언론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차재영 한국언론정보학회 2018 한국언론정보학보 Vol.87 No.1

        This study analyzed the U.S. specialist program of the Department of State in the 1950s to modernize or Americanize Korean journalists and their newspapers, most of which were thought to be old-fashioned political papers, by transferring the institution and culture of American journalism.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U.S. Specialists’ activities and achievements, and their influences on Korean journalism.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in every second year from 1955 to 1959, the U.S. Department of State sent three journalism professors, Roscoe Ellard of the Columbia University, D. Wayne Rowland of th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and Floyd G. Arpan of the Northwestern University. All of these professors stayed six weeks in Korea, to have seminars and lectures for Korean journalists in Seoul and provincial areas, to visit as many newspaper companies and news agencies there as possible to review their management, news rooms, and printing processes, and to give some advices or suggestions to solve their problems. These professors’ activities seemed to make a few achievements and influences on Korean journalism, though not that many. It may be said that their efforts on the institutional level partially succeeded to persuade Korean journalists to build up some journalist organizations as well as school of journalism. Meanwhile their efforts on the cultural level mostly failed to transfer into Korean journalism the routines of objective reporting as well as the professionalism, based on the ethics and expertise of the journalists, prevalent in American journalism. 본 연구는 1950년대 중반 이후 미국무성이 교육교류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시행했던 미국 언론 전문가파견 사업의 내용과 성과, 그리고 그것이 한국 언론에 미친 영향 등을 분석하고자 했다. 미국무성은 이사업을 통해 미국의 언론 제도나 문화를 전파함으로써 친미적인 언론인을 양성하는 동시에, 아직 정론지 수준을 벗어나지 못해 대중매체로서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것으로 평가된 한국의 언론을 근대화(혹은 미국화)시키려고 했다. 미국무성은 1955년부터 1959년까지 격년으로 컬럼비아대학의 로스코엘라드 교수, 남일리노이대학의 웨인 롤런드 교수, 그리고 노스웨스턴대학의 플로이드 아팬 교수 등3명의 언론학 교수를 선발해 한국에 파견했다. 이 교수들은 각각 한국에 6주 동안 체류하면서 서울이나지역의 언론사들을 방문해 경영, 편집, 제작 부문 등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다양한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결과적으로 이들의 방한 활동은 언론인 단체의 구성이나 언론인 재교육과 연구를 위한 기구의 설립 등 제도적 차원에서는 한국 언론에 일정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지만, 객관적 보도 관행의 보급이나 윤리 의식과 전문성에 기초한 전문직주의의 전파 등 문화적 차원에서는 사실상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KCI등재

        언론체계의 인터뷰 내용 변형구조에 관한 연구: 언론 체계와 PR체계간의 상호의존과 상호침투적 관점을 중심으로

        오창우 한국언론학회 2002 한국언론학보 Vol.46 No.5

        Media system tends to penetrate other systems and thus increases its dependence on other social systems for reducing the complexity of media system itself. However, this tendency of penetration and dependence may transform other social systems into the media system in order to make other new systems familiar with media system. These days, the dependence of media system on PR system are rising. In a similar vein, the growing competition within media systems and the shortage of contents as a result of the expansion of the media systems enforce the media systems to participate in the transforming process for making all information from companies, organization, and other institutions look similar with media products. In this process, PR system actively uses media system for the benefits of PR system and further try to follow the programs of media system for publicizing its messages using media system. Interview, an active method of PR programs used by companies,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is very useful through which both media and PR systems can make possible more smooth inter-system activities, as well as to borrow useful outcomes from other systems. However, this interview can cause some ethical problems due to the fact that information from information providers can be distorted and thus result in some disadvantages. In addition, the interview method can threaten the speciality of PR system experts as well. Based on these concerns, this study investigates how media system reflects diverse information from our everyday activities in the process of media system's constructing reality.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s on the transformation process in which individuals, companies, organization, and other institutions publicize interview results. Consequently, this study emphasizes that both PR and media systems may lose credibility of the systems' activities in that media system uses PR system as an only tool without due regard for strategic goals, and, in reverse, PR system excessively equates its activities with media-oriented values and media system itself with no particular reason. Therefore, in order to facilitate a 'win-win' strategy for the benefits of both PR and media systems, this study argues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more strategic and acceptable standards from the angles of various programs of each system. 언론체계는 스스로의 복잡성을 축소하기 위하여 다른 체계에 적극적으로 침투하거나 다른 체계에 대한 의존률을 높이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침투와 의존은 결국 다른 사회체계의 프로그램을 자신의 체계 안으로 끌어들이면서 자신에게 익숙한 형식과 내용으로 변형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오늘날 PR체계에 대한 언론체계의 의존률은 점점 더 높아지고 있는 실정인데, 언론체계가 처하고 있는 경쟁상황이나 언론체계의 양적 확대로부터 나타나는 컨텐츠의 부족 등은 문제는, 각 개인·기업·조직·단체로부터 비롯되는 정보들이 언론체계 내에서 생산된 것처럼 하기 위한 변형작업에 적극적으로 가담하게 하고있다. 한편 PR체계 또한 자신의 이익을 위하여 언론체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아무런 변형과정 없이 자신의 메시지가 언론매체에 공시될 수 있도록, 가능하면 언론체계의 프로그램을 모방하고 있다. PR 프로그램의 적극적인 수단으로서 개인·기업·조직·단체가 활용하고 있는 인터뷰는 언론체계, PR체계 모두가 자신의 고유한 체계 내(內) 조작을 용이하게 하고 타(他) 체계의 업적을 빌려오기 위한 방안으로 매우 유용하다. 그러나 그러한 인터뷰가 인터뷰 제공자로부터의 정보가 변형되어 공시된 결과 인터뷰 제공자가 그 인터뷰로부터 불이익을 경험하는 경우 언론체계에게는 윤리적 문제를, PR체계의 행위담당자(PR실무자)들에게는 전문성을 위협하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을 바탕으로 언론매체가 자신들의 현실구성(construction of reality)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환경으로부터의 정보를 어떻게 반영(reflec-tion)하는가를 밝히기 위한 것이다. 즉, 각 개인·기업·조직·단체가 PR 전략을 위해 공표하는 인터뷰 내용이 인용(quotation)되는 과정에서 어떤 변형구조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언론체계가 PR 체계를 지나지게 도구적 수단으로 활용하거나, 반대로 PR 체계가 언론매체에 보다 더 접근하기 위하여 자신들의 활동을 매체적 가지와 기준에 지나치게 일치시키는 경우, 두 체계 모두 체계 고유적 조작의 순수성을 의심받게 된다는 사실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두 체계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윈-윈 전략(win-win strategy)’이 되게 하기 위해서는, 각 체계의 프로그램 차원에서 보다 합리적이고 전략적인 기준 설정이 필요함을 제안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