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평화와 통일’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체계 연구

        이병호(Lee Byung-Ho) 한국통일교육학회 2021 통일교육연구 Vol.18 No.2

        학교 평화·통일교육의 활성화와 개혁을 위해서는 현재 범교과학습주제로서 교육뿐만 아니라 독립 교과목 개설이 매우 절실하다. 고등학교 교양과목 ‘평화 와 통일’ 등의 독립 교과목 개설은 기존의 범교과학습주제로서의 학교 평화· 통일교육을 선도하고 지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교육과 정 개발과 개선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평화와 통일 및 통합에 진로 관심 이 있는 학생들에게 진로 선택과 진로 준비의 경험을 갖게 한다. 나아가 시민 사회의 평화와 통일교육의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본 연구자(2021)의 ‘통일 교과 개설의 필요성: 범교과학습주제로서 한계’의 후속 연구로서, 고등학교 교양과목‘평화와 통일’교육과정의‘성격’ , ‘목표’ , ‘내용체계’ 개발을 연구 목적과 연구 내용으로 한다. 본 연구는 평화·통일교육의 독립 교과 개설과 고등학교 교양과목‘평화와 통일’교육과정 개발에 이론적·실제적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To raise public awareness on the importance of peace and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bring us closer to achieving this goal,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status of unification education from a cross-curricular learning subject to an independent subject matter in public education. The upgrade will encourage more people to take the lead in achieving peace and unification, serving as a linchpin and core strength to operate and develop the curriculum in a stable and sustainable manner. To this end, I propose‘Peace and Unification’as an elective course in high school. In a hope that it will serve as a foundation of opening subject matters on peace and unification, I aim to elaborate on the character, objects, and content system of the subject through this study. Firstly, I went over a couple curriculum design models to identify the method, process, and procedures involved.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results of preceding researches related to improving general education on peace and unification, I discussed what to consider and what to focus on when it comes to the basis of‘Peace and Unification subject’. Finally, I explained on the details of the curriculum in high school, including its character, objects, and standards of the content system. It is my hope that this research could provide theoretical and substantial support in launching a subject matter and curriculum on peace and unification.

      • KCI등재후보

        대학 통일교육의 교수 방법과 과제 연구

        박찬석(Park, Chan Seok) 한국통일교육학회 2016 통일교육연구 Vol.13 No.1

        전반적인 내용을 대학에서 강화하려고 본 연구는 이러한 현실을 직시하는 대학 통일교육이 정립되고자 한다. 즉 우리의 대학 통일교육 학계는 보다 자신 있게 언급하고 스스로 수정하고 공동체적 통일교육을 진전시켜야 한다. 오늘날의 대학 통일교육에도 자체의 정권 논리나 대항 논리가 뿌리 깊게 남아 있기에, 이를 극복하여야 한다. 정권의 교화적 성격을 갖는 대학 통일교육은 잘 구현되지 못하는 것이 당연하다. 통일은 바로 국민 통합인 것이다. 다양한 의견들이 논쟁하면서 자유민주주의 체제에서의 대학 통일교육이 우뚝 설 수 있는 길은 지금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통일 논리들이 모두 녹아내리는 통일을 지향하는 것이다. 그러한 측면 에서 본 연구는 실수 없고, 논란 없는 대학 통일교육을 지속하기 보다는 실천적인 통일교육을 강화하고자 한다. 또한 ‘실험실의 통일교육’으로 박제화되고 교화적인 통일보다는 다양한 사고와 입장을 생각하는 통일교육이 되도록 논의를 집중하고자 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enhance the overall content will become established of the University unification education to face this reality. That makes mention of our university unification education than their academics and correct themselves and should advance the collective unification education. Today, the University unification education is its own logic against logic, the regime is still deeply rooted, and shall overcome them. University unification education with indoctrination nature of the regime, it is no wonder that can not be well implemented. Unification is a very national unity. While various opinions were controversial road that united university education in liberal democratic systems can stand tall to seek national unification unified logic that now exists in our society it is all melted down. In the present study that aspect is not real, and to strengthen the practical unification education rather than continue the debate without a unified university education. Also to be the unification education of the lab, intensive discussions so that the unification education to think different thoughts and positions, rather than enlightening unification.

      • KCI등재후보

        예비유아교사의 통일ㆍ통일교육 인식

        김선혜(Kim, Sun-Hye),정희영(Jeoung, Hee-Yeong) 한국통일교육학회 2021 통일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통일ㆍ통일교육에 대한 인식조사를 통해 예비유아교사 대상 통일교육의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함에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국에 있는 4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학생으로 교육부와 통일부(2018), 윤경혜(2005)의 설문 내용을 유아교육 전공 교수 1인과 유아교육 석ㆍ박사과정 5인이 수정ㆍ보완하 였으며 문항 반응 방법 및 문항 내용의 적절성 등의 안면타당도 검증을 받았다. 자료처리는 SPSS WIN 24.0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 검증, x² 검증,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집단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cheffé의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통일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은 대체로 긍정적이며 통일교육 경험에 따른 인식 차이가 있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는 통일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통일교육 강좌에 참여 의사가 있으나 통일교육을 받아본 경험은 별로 없었다. 교사양성과정 내의 유아통일교육 수업 개설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반면 전공 관련 유아통일교육 경험은 대부분 없었고, 통일 교육 경험에 따른 인식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통일교육 경험에 따른 인식 차이를 줄이고 예비유아교사의 통일교육 요구에 응답하기 위해 유아교사양성과정 내의 통일교육 강좌 개설을 제안하며, 이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 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reunification education for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 through a survey of their awareness of reunification and reunification education. The research targeted nationwide 4-year university student who majo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the research tools, the questionnaires used by department of education & reunification ministry(2018), Yun Kyeong Hye(2005) were used after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to research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perception of reunification and reunification education. One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professor and 5 masters, Ph.D. courses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together to reconstruct the questionnaire. For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using SPSS WIN 24.0, frequencies and percentages, and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and t-test, Fisher s exact test, one-way ANOVA and Scheffe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e study as follows : First, the study found that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reunification were generally positive, changes in perceptions of the situation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nd social trends, and differences in perceptions according to reunification education experience. Second, the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 recognized the need for reunification education and was willing to participate in reunification education classes, but hardly experience in reunification education. While recognizing the need to open early childhood reunification education classes within the teacher training course and learning the contents and methods of reunification education needed for actual classes is the most urgent problem but most of them are uneducated about major- related early childhood reunific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posed the opening of reunification education courses in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course to reduce differences in perception according to reunification education experiences and respond to requests for reunification education.

      • KCI등재후보

        서울 초중등 교사의 통일교육 실태와 제안

        박찬석(Park Chan seok) 한국통일교육학회 2004 통일교육연구 Vol.4 No.1

        교사가 갖는 통일교육에 대한 입장이 보다 객관적이며 설득력을 갖는 내용으로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한 방안으로 통일교육의 다양한 연수 기회가 교사의 통일관이나 통일의식에서 중도적이고 점진적인 인식을 고양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설문 결과를 정리해 보면 첫째, 통일교육은 남북간의 화해 협력이 진척되면서 한편으로는 북한의 핵 문제와 미국의 대북 강경 정책 속에서 대한민국의 대북 정책이나 대미 정책에 대한 실질적이며 현실적인 인식을 학생들에게 부여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통일교육은 점차적으로 북한 인식에 대한 올바른 경로로 지향하고 있으며, 실질적인 현실성에 근거한 방향을 진척시켜야 할 것이다. 셋째, 통일교육의 주체인 교사들은 통일문제에 대한 갈등적 인식을 견해 차이를 재조명하며 각각의 입장이 교육 현장에서 수렴되는 길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본 설문 연구는 계속적으로 지속하면서 국내외적 통합적 인식으로의 전환을 모색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도출하는 기초이고자 한다. 학교 현장에서의 통일교육 활성화는 보다 많은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파악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그 동안 5, 6 공화국 시기에 정부가 불순한 세력에 의한 통일 만능주의라고 일컬었던 일들이 오늘날 보다 현실적인 것으로 되는 것을 볼 때, 현재 교실에서 실시되는 임의적 통일교육에 대한 인식은 이후 개선될 수 있다는 사고도 요구된다. 다섯째, 본 설문을 통해 특히 교사 세대간의 갈등도 심각해지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통일교육 담당자인 교사들은 분명하게 자신의 통일교육 접근에서의 장단점과 다른 이견에 대해 남들과 논의하는 풍토를 가져야 할 것으로 본다. 이러한 방안에는 극단적인 자기주장보다는 더불어 합의할 수 있는 내용을 전개하는 실천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효율적인 통일교육에 대한 논의들을 수렴할 수 있는 학교 사회의 잠재적 역량이나 실제적 역량을 신뢰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Teachers perspective of korean unification education have change from the views of unilateral anti-community to objective & integrative contexts. We search for vision of our unification education regarding back to the unification process. This survey teach overcome viewpoint multi unification thought between conservative teachers and progressive teachers. Generally speaking, north korea to live together with south korea is not sincere nation. North korea have been deepened antagonism south korea for 60 years. South korean have same emotion to north korea, too. So, teachers to speak true preparation of national unification have understanding to north korean, refuge from north korea, korean war scapegoats. Our survey shows the following: First, unification education in south korea has a integration for educational chaos in school. Second, teachers must not enforce their unification perspective of conservative or progressive. Our students will be able to learn the integrative unification education not the random unification education. Third, teachers to have mutual understanding conservative & progressive unification education can grasp inter-korean merits & demerits, homogeneity & heterogeneity, supplementing, etc. Our unification education aim converge of multi-vision unification process among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Then, teachers must lecture students on open minded unification consensual dialogue without coolness of unification, trauma of controversy on viewpoint north korea, conservatives & progressives.

      • KCI등재후보

        지방자치단체의 남북교류협력 준비를 위한 통일교육 방안

        박찬석(Park, Chan Seok) 한국통일교육학회 2020 통일교육연구 Vol.17 No.1

        문재인 정부는 남북 경제 협력에 대해 다양한 노력을 전개하고 있다. 이러한 입장에서 본 연구는 남북 지역간의 교류를 활성화하려는 노력의 저변 확대 차원에서 지방 통일교육 정책의 보완을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지방자체단체(이하 지자체)는 남북 경제 협력과 남북 관계의 내용을 파악하고 지방 정부 통일 교육의 추진을 보다 다각적으로 내용 접근을 추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통일교육 내용에서 대북 적대적 사고가 많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성급하게 접근하지 말고, 남북 경제 교류 과정을 이루게 하는 국내적 논의 방안을 찾는 것에 소통이 필요하다. 셋째, 지방 정부의 남북 교류를 활성화하기 위하여서는 지방 자치단체의 통일교육 사업에 있어서 보완 방안을 논의할 여지가 있다. 지방 정부의 통일교육에 대한 관점은 각 지방에서 이루어져야 있는 기존의 대북 적대적 사고를 극복하거나 남북 교류에 대한 지나친 자신감에 대한 논의도 실질적인 의식 변화를 이루어내야 할 것이다. 즉 강력한 안보 의식에 치우쳐 있는 지방 정부는 교류에 대한 열망보다는 통일교육적 방안으로 소극적인 남북 교류를 전개하여야 한다. 이러한 접근법은 지방 자치 단체의 통일교육의 다양한 가능성을 열려는 길이다. 현실적으로 과도한 변화를 요구하지 않는 경우의 지방 통일교육은 남북 인식의 현명한 대처를 더욱 중심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즉 우리 내부의 상황과 보다 현실적인 과제의 이성적 상황 도출을 위한 지방 정부의 남북 교류와 지방 통일교육이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The Moon Jae-in government is making various efforts for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From this standpoint, this study intends to discuss the overall position of complementing regional unification education policies as part of efforts to promote exchanges between the two Koreas. First, I would like to explain the meaning and content of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and to include positive contents from the economic exchang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promo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projects by local governments. Second, in order to revitalize the inter-Korean economic exchange process, the local governments will discuss ways to supplement the unification education project.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done in the region to overcome the existing hostile thinking of North Korea or to achieve a substantial change in consciousness with confidence in inter-Korean exchanges. In other words, overcoming the interruption of exchange focused on strong security consciousness, we need an open mind that enables inter-Korean exchange and is not afraid of failure. This approach will be a realistic and wise approach, opening up the possibility of regional unification education. In order to derive the multicultural situation within us and the rational situation, which is a more realistic task, we will study and discuss regional unification education, which is the basis of inter-Korean exchanges.

      • KCI등재후보

        통일교육의 성과 분석

        최영표 한국통일교육학회 2004 통일교육연구 Vol.4 No.1

        이 연구는 통일교육에 대한 관심이 점차 낮아지고 교육성과에 대한 문제도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통일교육의 성과를 분석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방법적으로는 통일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삼아 이메일을 통한 면담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질적인 분석을 하였다. 이 조사는 부문상으로는 통일교육의 방향과 목표, 내용, 방법, 그리고 지원체제별로 준거를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통일교육의 방향에 있어서는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내용부분에 있어서는 통일을 준비하는 자세 확립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많았다. 방법부문에서는 능동적이고 다양한 체험활동이 미흡하여 관심 저하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한편, 지원체제는 최근 개선되고 있지만 근본적인 문제는 상존하고 있다는 반응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통일교육 영역별로는 학교통일교육과 사회통일교육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는데 전자는 2000년 이후 긍정적으로 변하고 질적인 발전이 있었으나 아직까지도 개선하여야 할 문제는 많다고 보고 있다. 한편, 후자는 최근 체제를 정비하여 개선되어가고 있지만 통일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시각의 차이로 내용상 여전히 갈등이 상존하고 있다는 지적을 낳고 있다. 쟁점별로 보면, 최근 주변국가 인식에 있어 비판적인 접근으로 혼란스럽지만 민족주의 의식이 고조되면서 새로운 체제로 이행되어가는 과정으로 보고 있다. 북한에 대한 인식은 상당히 호의적으로 바뀌고 있지만 기존의 우월감이 여전히 저변을 형성하고 있는 실정이다. 남북경제협력에 있어서는 그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향후 상대적 지원이 보다 많이 고려되어야 할 것임을 밝히고 있다.

      • KCI등재

        정부 통일교육 자료 공급체계 평가와 개선 방안

        김진환 한국통일교육학회 2022 통일교육연구 Vol.19 No.2

        2018년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재개를 계기로 국립통일교육원과 교육부는 평화ㆍ통일교육을 천명했다. 이후 국립통일교육원은 ‘손안의 통일’ 시리즈, ‘교과용 클립영상’처럼 평화ㆍ통일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도서ㆍ영상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홈페이지에 ‘자료마당’을 개설하며 통일교육 자료 공급체계를 강화했다. 교육부 역시 평화ㆍ통일교육 자료 홈페이지 ‘통통평화학교’를 개설해 평화ㆍ통일교육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국립통일교육원과 교육부의 통일교육 자료 공급체계는현장 교사들의 요구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현장 교사들이 보기에 국립통일교육원과 교육부의 자료 공급은 여전히 소극적이고, 자료를 수업에서 바로 활용하는 데도 불편함이 있다. 국립통일교육원이 활용도가 높지 않고 시의성이 떨어지는 자료까지 홈페이지에 모두 게시해놓는 바람에 오히려 양질의 자료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도 현장 교사들의 지적 사항이다. 이러한 통일교육 현장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이 글에서는 세 가지 대안을 제시했다. 첫째, 일종의 구독서비스인 국립통일교육원 자료회원 제도를 도입ㆍ운영함으로써 자료 공급이 소극적이라는 평가를 피하고, 공들여 개발한 양질의 자료 활용도도 높일수 있다. 둘째, 이처럼 자료회원 제도를 도입ㆍ운영할 경우 현재보다 더 많은 자료 개발이 필수적인데, ‘원 소스 멀티 유즈’ 방식을 모든 자료 개발의 원칙으로 삼는다면 양질의 자료를 안정적으로 양산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자료의 효율적ㆍ효과적 이용이 가능하도록 국립통일교육원 홈페이지 ‘자료마당’의 메뉴 구조를 개선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학교통일교육과정 개선방안 탐색

        이병호(Lee Byung-Ho) 한국통일교육학회 2020 통일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문재인 정부의 출범과 변화된 통일 환경 시대에 학교통일교육의 적합성과 타당성을 확인하고, 학교통일교육과정의 개선방안을 찾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교육부와 통일부가 발표한 2019년 학교통일교육 실태조사결과를 재분석하였다. 아울러, 고교 통일교육 4개 교과목의 11개 교과서와 교육과정, 교과서 집필기준, 통일교육지침서, 통일교육지원법을 검토하였다. 주요연구결과로 첫째, 현행 학교통일교육은 남북평화와 통일에서 차지하는 중요성과 가치에 비해 매우 미흡하다. 둘째, 고교 ‘한국사’, ‘통합사회’, ‘한국지리’ 교과서의 통일교육내용은 대체로 양호하나, 고등학교 ‘생활과 윤리’의 특정 교과서의 내용은 매우 심각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고교 ‘한국사’ 과목을 제외하고는 박근혜 정부와 비교할 때 변한 것이 거의 없다. 학교통일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으로 첫째, 북한에 대한 객관적 이해와 남북의 평화와 공영에 대해 올바른 가치관과 태도 형성을 저해하는 교과서, 교과서 집필기준, 통일교육지침서(현 평화·통일교육: 방향과 관점)등의 내용은 즉시 수정되어야 한다. 둘째, 통일부의 구 통일교육지침서(현 평화·통일교육: 방향과 관점)를 대체할 수 있는 교육부의 국가교육과정 총론에 대한 개선 연구가 신속히 이루어져야 한다. Since President Moon Jae-In took the office, there have been a lot of changes in inter-Korea relations as well as over-all environment to promote unification of two Koreas. Through this study, I aimed to check the current status of public education on national unification, so as to come up with a promotion strategy to achieve more progress in this front. To this end, I began by studying the results of the 2019 Survey on the Status Quo of School Education for National Unification (jointly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Unification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addition, I analyzed eleven different textbooks on four school subjects included in the current high-school education curriculum for national unification. Through this research, I came up with some important points to note: 1.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inter-Korea peace and unification of two Koreas, our schools invest too little time on the subject. 2. Despite all the changes in inter-Korea relations and the landscape to promote unification of two Koreas, what we have is an obsolete n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 standards designed during the precedent (and less pro-unification) administration. 3. According to my analysis on existing high-school textbooks for national unification, a part of the content in the subject Life and Ethics needs an urgent revision. 4. We need to revise the general outline of national curriculum to include more content on ‘human characteristics desired in peaceful unification of two Koreas’ and ‘core competences to promote peace and integrity’, launching new subjects related to peaceful national unification with improved organizational standards and time allocation for each subject.

      • KCI등재후보

        통일 시나리오를 통한 통일교육의 융합적 논의

        박찬석(Park, Chan Seok) 한국통일교육학회 2020 통일교육연구 Vol.17 No.2

        Unification education will be well prepared even when the unification education is conducted through peaceful division management, even when the unification will not be realized in any time and in any way. Therefore, various unification scenarios should be devised well, and unification education officials should prepare for the inter-Korean conflict and cooperation. Our unification is always blossoming in the division of thorn bushes. The South and the North have made every effort to maximize each other s abilities. Now, our society must first find a path to peace and strengthen the capacity of active security for each specialized field of unification education. The basis of such efforts is to strengthen unification education that is not unilateral and to prepare for various variables. The practice of unification education will immediately gain national empathy. A free and more responsible future-oriented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Unification education experts should recognize the existing basic laws of unification education and converge the breadth of awareness so that the awareness of national unification education can be converged. Unification education can be an education of real problems that can be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prepared when one is committed in this divided reality and unification ideal. 통일교육은 평화적 분단 관리를 이루어 통일이 언제,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질지 인식하고 대비하는 교육이다. 그렇기에 통일교육 전문가들은 다양한 남북 갈등기와 협력기 등 어느 시기에도 통일을 대비하여야 한다. 즉 통일을 대비하는 노력은 통일교육을 통해 적극적인 안보의 역량 강화와 평화의 길을 함께 찾는 길이다. 그러한 노력의 기본은 바로 일방적이지 않는 통일교육의 강화와 다양한 변수에 대한 통일 시나리오에 대한 만반의 준비이다. 통일 시나리오는 보다 책임 있는 현실적 통일교육을 이루어는 중요한 기초이다. 이에 통일교육 전문가들은 분단 현실과 통일 이상 속에서 통일 시나리오를 잘 구상하여, 통일교육이 보수와 진보의 갈등을 극복하고 학문적, 실질적으로 융합할 수 있는 현실 문제 해소의 교육이 될 수 있게 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평화·통일교육 : 방향과 관점」의 개선방안

        이병호(Lee Byoung-ho) 한국통일교육학회 2020 통일교육연구 Vol.17 No.2

        통일부의 「통일교육지침서」는 20여 년 간 국가교육과정에서 범교과 학습주제인 학교 통일교육의 기준으로서 여러 역할을 수행해 왔다. 문재인 정부인 2018년 「통일교육지침서」는 「평화·통일교육: 방향과 관점」으로 문서명을 바꾸고, 발간주기는 필요시, 문서의 성격은 기존의 교육목표와 교육내용 기준 제시에서 방향과 관점의 제시로 바뀌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 교육과정 문서 체제 측면에서 「평화·통일교육: 방향과 관점」을 분석·검토하여 개선 방향과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평화·통일교육: 방향과 관점」의 법적·교육과정적 지위와 의미, 목적과 역할 및 기능을 탐색하였다. 둘째, 범교과 학습주제인 학교 통일교육의 문서체제 개선을 위해 국가 교육과정 문서 체제 개선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고찰하였다. 셋째,「평화·통일교육: 방향과 관점」의 개선 방향과 방안을 설정·제시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문서명은「00(년) 평화·통일교육 기준」으로, 발간 주기는 ‘주기적이되 필요시 규정과 절차에 따른 개정’으로, 문서의 역할과 기능은 ‘국가의 통일교육 기준 제시’로, 진술 및 제시 형태는 ‘가능한 국가교육과정 문서체제와 부합되도록’ 등이다. 이외에 ‘평화·통일교육 기준 문서 체제 개선’, 「2021 평화·통일교육 기준」 개발에 대한 조속한 연구와 실행, ‘평화·통일’ 정규과목 개설에 대한 관심과 연구 필요성 등을 제안했다. For nearly two decades, the Educational Guidelines on Unification (published and revised every year by the Ministry of Unification) served as a valuable set of standards for unification education, a cross-curricular learning theme in the national curriculum. However, in 2018, during the rule of the Moon administration, the yearly publication had to go through major changes: 1) its title changed into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 Direction and Standpoint; 2) it will not be updated nor revised on yearly-basis if not necessary; 3) it no longer defines educational goals and content standards but just gives out general direction and basic standpoint for unification education. Through this research, I will look into the「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 Direction and Standpoint」as a part of the current national curriculum system, so as to define where and how improvements can be made. To this end, I first studied the legal position and meaning of the said publication as a curriculum, as well as its role and purpose. In addition, I contemplated on the improvement model for the document system of the national curriculum to improve its counterpart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a cross-curricular theme. Finally, I came up with a proposal on where and how improvements can be made in the publ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