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한적 합리성’으로 본 북한의 대미 핵전략 국제정세하의 핵 개발·억제전략을 중심으로

        정호근 ( Jung-hoo Kyun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구 동국대학교 안보연구소) 2019 북한학연구 Vol.15 No.2

        본 논문은 사이몬(Herbert A. Simon)의 ‘제한적 합리성(Bounded Rationality)’을 이론적 배경으로 6.25전쟁 이후 70여 년간 북한이 강대국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어떻게 핵 개발을 진행해 왔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변증법은 모든 사물은 정반합(正反合)으로 전개로 발전해 나간다고 설명하고 있는데 북한의 핵 개발도 이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다. 북한이 미국과의 정반(正反) 대립은 맹목적이 아닌 정확한 목표를 위해 작동되는 기제(機制) 또는 전략이 분명히 내재되어 있다고 판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제한적 합리성(Bounded Rationality)’을 원용하여, 북한의 핵정책이 일정한 목적에 적합한 방식으로 작동되고 있다는 전제하에 이를 설명하기 위해 ‘국제정세하의 변수(Variable)관계(종속, 준독립, 독립)’, ‘핵개발전략(도광, 편승, 균형)’, ‘억제(Deterrence) 전략(재래식, 최소, 응징적)’ 등 3가지 분석 틀을 설정하였다. 본 논문은 이 분석 틀을 통시적으로 김일성 시기, 김정일 시기, 그리고 김정은 시기 등 각 정권별로 적용하여 북한 핵 개발전략의 변동성을 검토하였다. This paper, based on Herbert A. Simon’s ‘Bounded Rationality’, states how North Korea has been developing nuclear weapons between the powerful nations like the U.S and China about 70 years after the Korean War. As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dialect is the thesis-antithesis-synthesis paradigm, North Korea’s nuclear development is also defined within this category. To stand against the U.S, North Korea must have had the inherent mechanism or strategy to achieve their exact goal which is not indiscriminate. To verify the thesis, the variability of North Korea’s nuclear development strategy was examined diachronically under Kim Il Sung, Kim Jong Il, and Kim Jong Un dynasty citing 3 elements based on Bounded Rationality: Variable relationships under international affairs (dependent, quasi-independent, independent), nuclear weapon development strategies (low profile, bandwagoning, balanced), deterrence strategies (conventional, minimal, punitive).

      • KCI등재

        일반논문 : 김정일시대 통치전략 연구 -『김정일선집』 14, 15권의 문헌을 중심으로

        장용철 ( Yong Chul Chang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구 동국대학교 안보연구소) 2009 북한학연구 Vol.5 No.1

        김정일 저작 대부분은 『김정일선집』에 수록되어 있다. 『김정일선집은』 1992년부터 출판되기 시작하여 2005년 현재 총 15권이 출판되었다. 『김정일선집』 가운데, 가장 최근의 것들인 제14권과 제15권은 김일성 사후인 1995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10여년 사이에 발표된 총79편의 문헌을 수록한 것이다. 이 두권의 문헌집에는 이른바 김정일시대로 불리는 이 시기의 김정일의 현실 인식이 잘 투영되어 있다. 따라서 『김정일선집』 제14권 및 15권의 분석을 통하여 김정일저작에 나타난 현실인식을 탐색하고, 그것이 어떻게 정책에 반영되었는가의 특성을 살피는 것은 향후 북한의 미래를 살피는 하나의 가늠자가 될 수 있다. 『김정일선집』 제14권과 15권을 정치, 경제, 군사·외교, 사회·문화, 통일의 5개 분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김정일은 정치부문에 있어 ``우리식사회주의``의 고수를 통한 강성대국건설을 국가 목표로 하고 있고, 경제에 있어서는 자립적 민족경제를, 군사·외교분야에 있어서는 군사주의와 실용주의의 동시추구라는 이중전략을 구사하고 있으며, 사회·문화부문에 있어서는 혁명적낙관주의의 고취를, 통일부문에 있어서는 김일성의 통일전략인 조국통일3대헌장 원칙과 연북화해정책을 주장하고 있다. 한편 『김정일선집』 14권과 15권을 통시적으로 분석하면 1995년부터 1997년까지의 3년간은 심각한 경제난을 겪는 고난의 행군시기로 ``유훈통치기``적인 특성을 보이고 있으며, 1998년부터는 본격적인 자신의 시대를 맞아 새로운 국가목표로 강성대국건설론을 제시하는 ``새국가비전제시기``적인 성격을 보이고 있다. 또한 2003년부터는 2012년까지의 강성대국건설을 실현하기 위해 본격적인 선군정치의 실천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김정일의 강성대국건설 희망은 자립경제를 추구하며 개혁개방을 거부하는 정책노선과 남북관계의 악화, 유엔의 대북제제 등으로 인해 사상강국의 명분만을 유지한 채, 경제강국으로서의 강성대국건설은 난망할 것으로 예측된다. Most of writings authored by Kim Jong-il, the de factor leader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are contained in ``the Kim Jong-il Selection.`` ``The Kim Jong-il Selection`` was first published in 1992 and has been published as many as total 15 volumes as of 2005. Volume 14 and 15, the latest editions of ``the Kim Jong-il Selection``, contain a collection of total 79 writings published for a decade (from January 1995 to December 2004) after his father Kim Il-sung deceased. These two volumes of literature are a good projection of Kim Jong-il`s awareness of reality during so called ``the era of Kim Jong-il.`` Thus, when we try to analyze Volume 14 and 15 of ``the Kim Jong-il Selection``, explore into his awareness of reality revealed in his writings and characterize how such awareness of reality has been reflected on policies of North Korea, we may have an insight into the future of North Korea. This study sought to analyze Volume 14 and 15 of ``the Kim Jong-il Selection`` broadly in 5 sectors such as politics, economy, military and diplomacy, society and culture, and Korean reunifica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Kim Jong-il sets the national goal to build up a strong and great country through abiding by ``independent socialism`` in political sector; pursues independent national economy in economic sector; commands double strategy pursuing both militarism and practicalism in military and diplomacy sector; instills revolutionary optimism in the sector of society and culture; and advocates two frameworks of Kim Il-sung`s reunification strategy, i.e. 3 Major Fatherland Reunification Charter Rules and the Alliance and Reconciliation Policy in reunification sector. On the other hand, the diachronic analysis on Volume 14 and 15 of ``The Kim Jong-il Selection`` came to the findings that 3-year period from 1995 to 1997, that is, ``the March of Hardships`` facing serious national economic crisis is characterized by ``the period of ruling by instructions of the late Kim Il-sung``, but follow-up years after 1998 are characterized by ``the period of new national visions`` presented by Kim Jong-il with a view to set a new national goal to construct a strong and great country in his ruling era. In addition, Kim underlines full-scale practice of military-directed policy in order to realize the construction of a strong and great country from 2003 to 2012. However, it is expected that Kim`s desires for building the strong and great country will keep only the justification for strong ideological state, but will face great obstacles to building strong economic state primarily due to North Korea`s inconsistent policy line pursuing independent economy without reform and open door, aggravated relation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UN`s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 KCI등재

        일반논문 : 남북한 영재교육 비교 -역사적,제도적 접근을 중심으로-

        김희철 ( Hee Chul Kim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구 동국대학교 안보연구소) 2010 북한학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남북한 영재교육에 대하여 역사적 관점과 제도적 관점에서 비교분석하였다. 대부분의 자유민주주의 국가와 마찬가지로 남한의 영재교육의 목적은 자기개발을 통한 개인적 욕구를 추구하였으며, 영재교육이 공교육 및 사교육 차원에서 진행 되었고, 반면 공산체제 수립을 위한 북한의 환경은 영재교육이 개인의 자율성을 무시한 국가발전 수단으로 이용되게 하였으며, 영재교육이 국가의 유일적인 통제에 의한 공적 차원에서 진행되었다. 향후 남과 북의 통일에 대비하여 영재교육의 통합을 통해 국가경쟁력을 강화하기위해서 제도적 측면에서의 상이점을 축소하고 상호공통점을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rough the research, a comparative analysis of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persons has been made on the historical & institutional viewpoints, As in most other democratic countries, the goal of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in South Korea is the pursuit of individual desires through selfimprovement, and the gifted people get the training of both public & private education, On the other hand, in North Korea (the communist regime), the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was used as a means for national development while not giving individuals any autonomy, and the training for the gifted was made with the control of the country, It is required to narrow the difference on the institutional aspects, and to expand much more things in common, for the purpose of strenthening the national competence through the combination of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persons in preparation of future reunification of the south and the north Korea.

      • KCI등재

        일반논문 : 남북한 교과서의 "한국전쟁" 관련 내용 비교 연구

        차승주 ( Seung Joo Cha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구 동국대학교 안보연구소) 2011 북한학연구 Vol.7 No.2

        남한의 현행 교과서는 ``한국전쟁``을 ``6·25전쟁``이라 부르고 있다. 반면 북한에서는 ``조국해방전쟁``이라는 표현을 쓴다. ``한국전쟁``은 일본에서는 ``조선전쟁``, 중국에서는 ``항미원조전쟁``, 영미권에서는 ``Korean War``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현재 남한의 모든 교과서는 ``6·25전쟁``이 북한의 남침에 의한 것임을 명확히하고 있으며 유엔군 참전과 중국군 개입 등으로 전쟁이 국제전의 양상을 띠고 3년이란 장기간 계속된 과정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전쟁 시기의 정치 및 사회 상황, 정전협정을 둘러싼 국제 관계 등에 대한 설명은 미흡한 실정이다. 북한은 한반도의 분단과 ``한국전쟁``은 미국과 남한정부에 의한 것이며 이들이 침략전쟁을 일으켰으나 김일성의 현명한 영도로 제국주의 침략군을 성공적으로 막아내고 ``조국해방전쟁``에서 승리했다고 기술하고 있다. 또한 전쟁의 전개과정을 크게 ``제1계단``에서 ``제4계단``으로 나누어 남한에 비해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남북한 정부는 지금까지 ``한국전쟁``에 대하여 철저하게 흑백논리에 따른 설명, 즉 전쟁의 모든 책임을 상대방에게 떠넘기는 설명을 조장해 왔다. ``한국전쟁``에 관한 남북한의 인식차가 좁혀지지 않는 한 진정한 평화와 통일의 길은 멀 수밖에 없다.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전쟁은 최대한 피해야 한다는 점을 아이들에게 가르치는 것이다. ``한국전쟁`` 시기에 있었던 일들을 명확하게 분석함으로써 실체를 밝혀 나가고, 그러한 내용을 남북한의 청소년들에게 객관적으로 가르치려는 노력이 그러한 비극의 재발을 막을 수 있는 기초가 될 것이다. Current South Korean textbooks call the "Korean War" the "June 25 War"(the day of its initiation in 1950). On the contrary, in North Korea, the expression "Fatherland Liberation War" is used. The "Korean War" is also referred to as the "Joseon War" in Japan, "War to Resist USA aggression and Aid Korea", and "Korean War" in the English-speaking world. All South Korean textbooks today make it clear that the "June 25 War" was started by North Korea`s invasion and stress that the war continued for no fewer than 3 years, becoming an international war with the participation of United Nations forces and the intervention of mainland Chinese troops. However, explanations on various aspects of the historical incident including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s during the war and international relations surrounding the armistice agreement continue to be insufficient. On the contrary, according to North Korean textbooks, the American and South Korean governments caused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Korean War," invading North Korea. Thanks to the wise leadership of Kim Il-sung, however, the latter successfully ousted the imperialistic invader troops and triumphed in the "Father land Liberation War." In addition, these textbooks provide explanations that are more detailed than those in South Korean textbooks. North and South Koreans hitherto have promoted explanations of the "Korean War" strictly based on an inflexible logic of good and evil, shifting all blame for the war to the other party. Unless such disparities between the two Koreas in the view of the "Korean War" are bridged, genuine peace and reunification are remote indeed. What must be done, then, is to teach children that war must be avoided as much as possible. By clearly analyzing what happened during the "Korean War" and thus shedding light on the incident and endeavoring to teach the outcome objectively to youngsters in North and South Korea alike, it will be possible to set the foundation for the prevention of such tragedy from recurring.

      • KCI등재

        특집 : 북한 주민의 의식과 행위: 일상의 소란과 행위

        정영철 ( Young Chul Chung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구 동국대학교 안보연구소) 2011 북한학연구 Vol.7 No.1

        1990년대 이후, 북한 주민들의 의식은 변화를 보여왔다. 주민 의식의 변화는 비사회주의적 일탈 현상의 발생과 일상적 삶의 변화로 이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의식의 변화가 집합적 행위로 나타나지는 않고 있다. 이러한 집합적 행위의 부재는 단지 국가의 강압적 통제 때문만은 아이다. 더욱 중요하게는 집합적 행위의 부재는 현 질서를 정당화하고 있는 지배 담론(dominant discourse)에 저항할 수 있는 ``대안 담론(alternative discourse)``의 부재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북한에서 ``대안 담론``의 부재는 대안담론을 만들어내는 주체의 미형성 즉, 지식인(elite)과 대중(mass)의 결합이 부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대중의 불만과 의식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이를 체계화하고, 변화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지식인들이 대중들과 유리되어 있음을 말한다. 또한, 대안담론의 부재와 함께, 일상의 변화가 구조의 변화까지를 강제하는 필연적 인과성이 보이지 않고 있다. 제도와 법의 부분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주민 의식의 변화가 구조를 적극적으로 변화시키려는 행위는 보이지 않고 있다. 이는 마치 무대의 뒤편에서는 소란 (disturbance)과 무질서(disorder)가 있지만, 정작 무대 전면에서는 무대 장치에 순응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북한의 일상은 많은 변화를 보이고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공식-비공식(formal-informal)``의 영역을 넘나드는 이중성(duality)의 상황이라고 하겠다. 아직까지 북한 주민들은 무대에서 내려오기를 주저하고 있는 것이다. After 1990s,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North Korean People`s consciousness, These brought about anti-socialist deviations and everyday life`s change, Nevertheless the changes of consciousness, the collective behavior doesn`t happen yet, this is not caused by the coercive control of the North Korean state, More important, the cause of above is the absence of the alternative discourse which is against the dominant one. In North Korea, the absence of the alternative discourse means that the absence of the cooperation of the elite and the mass. Although the mass dissatisfaction and the change of consciousness, the elite who is able to systemize them and suggest the way of the changes is away from the mass, Also, There is no causality that the change of the everyday life apply to screw to the change of the structure. Nevertheless the changes of the law and institute, we can not see that North Korean people try to change their structure. It is similar to the theater; there is disturbance and disorder in the rear of it, but the people adapt the stage setting in the front of the theater. Therefore, there are many changes in the everyday life in the North Korean people, otherwise, it may be the situation of the duality that people goes and comes to between formal and informal area, Until now, North Korean people hesitates to get down the stage.

      • KCI등재

        특집 : 한,미,일 북한인권법 비교분석

        김동한 ( Dong Han Kim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구 동국대학교 안보연구소) 2008 북한학연구 Vol.4 No.2

        2000년대 들어와 미국이 보인 대북메세지의 주제어는 ``핵``과 ``인권``이었다. 여기에 한국과 일본은 미국의 제안과 정책에 대해 적극적으로 협조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리하여 나타난 현상이 핵에 관하여서는 ``6자회담``이고, ``인권``에 관하여서는 ``북한인권법``이다. 미국이 제일 먼저 대북압박수단으로 ``북한자유법안``을 의회에 상정한 것이 2003년이다. 이 법안은 법으로서 제정되지 못하고 이 내용을 상당부분 계승한 그리고 더 구체화한 ``북한인권법``을 2004년에 제정하였다. 이 법은 2008년까지 한시법으로 제정되었는데 2012년까지 연장하는 ``2008 북한인권 재승인법``안이 통과되어 앞으로 4년 더 수명이 연장되었다. 일본은 2006년 북한인권법을 제정하였다. 미국과 유사한 내용을 담고 있다. 특이한 점은 일본의 북한인권법의 핵심은 일본인 납치문제이다. 한국도 2005년부터 북한인권법안 발의(2005.8.11)를 시작으로 2008년에도 국회에 상정되어 있다(2008.12.26). 여기서는 미국의 북한인권법을 우선 살펴보고, 일본의 법과 한국의 법안을 차례대로 살펴본 다음 한·미·일의 북한인권법을 비교분석하였다. In the beginning of 2000, the main issue The United States showed in the message sent to the North Korea is ``nuclear`` and ``human rights``. Toward this suggestion and policy of The United States both of Korea and Japan showed an active and cooperative attitude. As its result, each phenomena of ``Six-Party Talks`` for nuclear and ``North Korean Human Rights Act`` has occurred. It was 2003 that The United States first layed the ``North Korean Freedom Act,`` as a means of oppressing North Korea, under the National Assembly. Though this bill was not established by law, more detailed bill of ``North Korean Human Rights Act`` containing many contents of 2003`s bill was enacted by law in the following year. This law was supposed to be effective until 2008 as a temporary law. The bill of ``Reapproval for North Korean Human Rights Act`` in 2008, requiring another four years extension up to 2012, however, has been passed. Japan established law on North Korea` human right in 2006 which contained similar contents to that of The United States. What is distinctive in Japan`s law on North Korean Human Rights is that it is focused on the problem of the kidnapped Japanese. Korea also proposed the bill of law on North Korean Human Rights in 2005(2005.8.11), which is being layed in 2008 under the National Assembly. This research is going to analyze first The United States` law on North Korean Human Rights of 2004, 2008, then those of Japan and Korea respectively and finally compare those three law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