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기독교윤리 : 신무신론 시대의 기독교신학의 역할에 대한 연구

        유경동 ( Kyoung Dong Yoo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5 神學과 宣敎 Vol.46 No.-

        기독교에 대한 무신론의 도전이 점점 거세지고 있다. 특히 최근이슬람 국가(IS, Islam State)에 의한 무차별 폭력으로 종교가 폭력의원인이라는 공격이 드센 가운데 기독교의 대응이 필요한 현실이다. 과거 무신론은 성경의 전통적인 창조관과 구원관에 정면 대치하는 입장이었고, 시간이 지나면서 기독교적 세계관도 성찰의 과정을 통하여일부 부득불 수정을 가하게 되었다. 그러나 최근 신무신론(New Atheism)은 전통적 무신론보다 정교한이론을 내세워 기독교의 세계관을 공격하고 있다. 신무신론자들은 종교를 표방하거나 종교로부터 기인하는 다양한 윤리적, 철학적 문제 또는논쟁들에 대하여, 형이상학과 인신론, 그리고 윤리적 접근을 통해 전통적인 유신론적 관점을 비판하고 있다. 예를 들어 형이상학적 관점에서신무신론자들은 그 어떤 초자연적인, 또는 신적인 실체는 존재하지않는다고 단언한다. 인식론적으로, 이들은 종교적 신앙이 비합리적이고비이성적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도덕적 측면에서는 종교가 윤리의궁극적인 근거가 될 수 없으며, 보편적이고 객관적인 세속적 도덕 기준이종교적 가치보다 더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필자는 이 글에서 크게 신무신론의 기독교신학에 대한 도전을검토하고, 기독교신학의 역할을 강조하기 위하여 세 가지 요소들을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전통적 무신론과 신무신론의 이론을 검토하고, 그 핵심사상을 정리하고자 한다. 둘째, 전통적 무신론과 신무신론의차이점을 분석하고, 신무신론의 방향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다. 그리고 셋째, 기독교 윤리학적 관점에서 신학의 공공성을 강조하면서 신무신론에 대항하여 어떤 신학적 관점과 책임이 요청되는지 그 대안을 제시하도록 하겠다. 그동안 한국의 기독교학계에서는 무신론에 대하여 조직신학적인관점에서 접근한 예가 있지만, 윤리학적인 관점에서는 거의 없었다. 이 글을 통하여 21세기 신무신론의 등장에 대한 기독교윤리학적인 분석을 통하여 기독교신학 전반에 어떤 신학적 논의와 노력이 필요한지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investigate the theories of traditional atheism and contemporary new-atheism and to articulate upon how they are to be interpreted in the light of Christian theology. In the discussion of the comparison between atheism and new-atheism, such traditional atheistic theorists as Nicholas Copernicus, Charles Darwin, Sigmund Freud, Friedrich Wilhelm Nietzsche, and Karl Marx are introduced to explore their critical and logical views against God. New atheism, on the other hand, is a political, social and scientific movement that denies divine revelation. The New atheists include Sam Harris, Daniel Dennett, Christopher Hitchens and Richard Dawkins. After reviewing above theorists and their theories briefly, this paper comes to a conclusion that Christian theology needs to be newly shaped to create a sense of ethical and moral responsibility in the age of atheism. To achieve this goal, Christian Theology is encouraged to revise the traditional Christian ethics and roles to meet the need of moral standard in the world.

      • KCI등재후보

        기독교교육 : 기독교여자대학교의 교육이념이비기독교인 학생의 가치관 형성에 미친 영향-E여대생의 대학생활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의미 탐구

        남은경 ( Eun Kyong Nam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5 神學과 宣敎 Vol.46 No.-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여자대학교가 표방하는 교육이념이비기독교인 학생의 가치 형성에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파악하고자함이다. 이를 위해 ‘여성지도자 양성’과 ‘기독교정신’이라는 두 축을교육정책의 핵심으로 삼고 있는 E여자대학교와, 그곳에 재학하고있는 무종교인 학생 두 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E여대가전교생의 ‘기독교정신’을 함양하기 위해 공식적 커리큘럼에 포함시킨필수 프로그램은 <기독교와 세계>라는 교과목(3학점)과, <예배>(8학기 이수)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이 두 여학생과 2개월간 6회에걸쳐 심층면담한 그녀들의 대학생활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내용의탐구 및 분석이다. 어렸을 적 교회에 잠시 다닌 경험이 있는 K학생과 L학생은대학교에서의 학업, 독서, 동아리 활동, 그리고 친구관계를 통해직 · 간접적으로 ‘여성으로서의 자존감’과 ‘기독교적 가치관’의 영향을받고 있었다. K학생은 예술적 형식으로 진행되는 채플, 수평적 관계에서 학문의 자유로운 토론, 그리고 기독교인 친구의 신앙심을 통해나와 다른 사람들에 대한 이해지평을 확장하면서 청소년 시기부터질문해 왔던 진리 추구를 계속하고 있다. 한편, L학생에게는 기독교문화권인 유럽에서 살았던 경험과, 인생의 위기를 두 번 겪으면서얻은 교훈이 그녀의 종교적 가치관 형성의 자원이 되었다. 그녀는가족과의 솔직한 대화, 권위적이지 않은 기독교인 교수와의 인격적관계 속에서 소통하면서 지속적으로 자신의 삶의 가치관을 재정리해가고 있다. 이상 연구참여자들의 내러티브 분석 결과, 우리는 기독교여자대학교의 교육이념은 주로 비공식적이며 잠재적 교육과정을 통해서비기독교인 학생의 신념이나 태도에 암묵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발견할 수 있었다. 어떤 이념이나 가치는 학교가 의도하지 않았을지라도, 각 학교의 고유한 문화풍토에 내포되어, 학생들이 은연중에 배울수밖에 없는 교육의 자연적 산물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기독교대학교의 교육적 과제는 비기독교인 학생이 대학생활을 통해 숭고한가치를 발견할 수 있도록 적합한 학습 환경과 분위기를 조성하는일이다. 특히 가치관 형성에 작용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실존적이며 종교적인 질문들이 생겨나도록 도전하고, 그 해답을 학생 스스로발견할 수 있도록 영적인 안내를 해야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how the Christian women`s university`s educational ideology impacts the development of values within the student. For this study, we have selected two non-Christian students studying at “E” Women`s University, where “Cultivation of Women Leaders” and “Christian Spirit” are two pillars of educational ideology. “E” Women`s University has in fact included in its official curriculum courses such as “Christianity and the World” and “Chapel,” in order to cultivate Christian spirit within the student body. We approached this study through holding 6 in-depth conversations with the two students within a time frame of 2 months, and then analyzing their narratives on their respective campus life experiences. Students “K” and “L”, who had briefly attended church in their youths, were being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ed in their self-esteem as women and Christian values, through their academics, readings, group activities and relationships with friends at university. “K,” through participating in the arts of the chapel, horizontal conversation-driven academics and relationship with a Christian friend whose faith has helped her achieve extended understanding of others, is continuously in searching for the truth she has been pursuing since her adolescence. On the other hand, for “L,” her past experience with Christian culture (living in Europe) and the lesson she had learned by going through two crises in her life, has become the sources for the formation of her values. She is continuously reforming her values through frank conversations with her family and her non-authoritative Christian professor. The results of this narrative analysis suggests that Christian women`s university`s educational ideology exists informally within hidden curriculum, impacting the non-Christian student`s thoughts and behavior implicitly. Although the school may not have intended so, certain ideologies and values are imbedded in the school`s unique culture, and absorbed by the students naturally. Therefore, the challenge of Christian universities is to create an appropriate environment for non-Christian students to discover noble values through campus life. In fact, it is important for the school to challenge the students with existential, religious questions that are greatly influential on the formation of one`s values, and let the student find his/her own answers through spiritual guidance.

      • KCI등재후보

        기독교교육 : 예비 기독교 종교교사의 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손정위 ( Jeong We Son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5 神學과 宣敎 Vol.46 No.-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 기독교종교교사들의 삶과 경험을 자료로수집하여 그들의 삶과 경험이 예비 기독교 종교교사로서의 정체성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그리고 연구의 결과를통해서 예비 기독교 종교교사의 정체성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이 연구는 내러티브를 기반으로 하는 질적 연구방법을 수행하였으며, 본 연구를 위해 2014년 현재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과 4학년40명과 대학원생 5명이 참여하였다. 예비교사들의 정체성 형성과 그들의삶의 이야기를 연결하기 위해서 몇 가지 문제를 제시하였고 그 문제에대한 답을 이야기 형식으로 서술하게 하여 내러티브를 수집할 수 있었다. 여러 차례의 자료수집 강화 과정을 통해서 학부생 28명과 대학원생3명, 총 31명의 자료가 채택되었다. 자료 분석을 통해서 각 문제마다예비교사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삶의 이야기가 무엇인지에 집중하였고, 이야기를 범주화하기 위하여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요소들을주제어 중심으로 정리하였는데, 빈도가 흔한 것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그 예비교사에게 아주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내러티브에도 집중하였는데, 그 특별한 이야기와 교사 정체성 형성과의 관계에 집중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내러티브의 종합적인 의미를 해석하였고 논의를 통해서기독교예비종교교사의 새로운 정체성의 가능성을 진단해 보았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예비 기독교 종교교사들이 정체성을형성하는 데 가장 많은 영향을 준 사람들은 부모님들이었으며, 그분들의희생과 사랑의 정신이 그들로 하여금 희생과 사랑의 교사라는 정체성을형성하게 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기억에 남는 수업으로는 수업에서선생님이 자신의 마음을 열고 학생들과 교감한 것을 많이 언급하였는데, 이 경험이 수업에서 인격적으로 학생들과 교류하는 교사의 정체성을형성하게 한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실습 경험을 통해서 자신을 더 반성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교사로서의 모델이 될 만한 현직교사를 만남을통해서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학과의정기적인 행사뿐 아니라, 자신의 인생의 삶에서 경험하였던 여러 가지일들이 정체성 형성에 도움이 되었는데, 주로 사람들과의 관계에 관련된것이었다. 이는 사람을 돌보고 이해하고 회복시켜주는 경험들이었고, 이 경험들이 기독교 종교교사로서의 정체성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친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과 관련해서 자유학기제와 관련된 인성교육과 교사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장치로서 교사 실행 공동체의 중요성에 대한논의를 전개하였다. 기독교 종교교육의 고유성을 지킬 수 있는 성경과기독교 세계관에 대한 내용의 중요성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relationship between the life and experience of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 and his/her teacher`s identity formation process. This study researches new possibility about the identity of Christian religious teacher. This study is processe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based on narrative analysis. In order to carry out this project, 40 senior students and 5 graduate students are involved. This study collects research data by having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 make narrative of his/her whole life in relation with teacher identity formation. And also, through out severe data collecting process, finally the data from 38 senior student and 3 graduate students are collected. Data analysis is carried out by careful data reading and categorizing the data with key words presented in their narrative. This categorization is used to find out what elements of life experience influence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s identity formation. As a result, parent`s influence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for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 in terms of influencing teacher`s identity formation, this influence is connected with the character of love, commitment, trust presented parent`s life. In addition, the most impressive classes are connected with teacher`s attitude of trying to communicate with students in class, this teacher`s attitude influences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s identity formation. And also, life experience in the campus as well as campus out side influence teacher identity formation, this experience mainly connected with caring, serving, servant-hood. In a discussion, this research proposes humanism education in regard to new identity of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 because the main elements of humanism education are similar to elements which make help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 forms his/her identity. Because this humanism education is connected with ‘Free Semester System’ which is one of the most hot issues in Korean education system recently. And also, this project suggests the importance community of practice for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s identity formation because through out this community activity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 can learn the heart of teacher which should be shared with students in the class, which is one of key points of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s identity.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peculiarity of Christianity in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 KCI등재후보

        통일 윤리를 향하여

        박삼경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1 神學과 宣敎 Vol.38 No.-

        This dissertation is a study of biographical and ideological disclosure. After an analysis of the author’s personal journey in the Korean student democratic movement, minjung theology, sangsaeng theology and tongil theology―all of them indigenous Korean theologies—are analyzed in order to construct an ethics of Korean reunification. The meaning of liberation that emerges from minjung theology centers on an understanding of Korean liberation that includes full participation of all people in deciding the political and economic structures of a reunified Korean nation, and the creation of a society based on justice. I work with minjung theologians, Sun Nam Dong, Ahn Byung Mu, and Kim Yong-Bock. Sangsaen theology’s central concept, haewon-sangsaeng, makes clear that reunification means reconciliation and that to accomplish this Koreans must focus on resolution of accumulated resentment – han. I analyze the work of sangsaeng theologians, Park Jong Chun and Hong Jeong Soo. Toingil theology is about reunification. From the Christian point of view this means communion/community. I work with tongil theologians, Park Soon-Kyung, Moon Ik-Hwan, and Noh Jong-Sun. Reunification, therefore, is not to be left only in the hands of politician but it has to involve the Korean churches and the focus must be the creation of one national community. The discussion of these three Korean theologies is done using the work of Gustavo Gutiérrez, Ada María Isasi-Díaz, and Leonardo Boff. The last chapter presents a short history of the reunification movement and the role of the Christian churches in it. It argues for a true open dialogue with North Korea that might well consider understandings emerging from their reality—such as juche—to be included in an ethics of reunification. The study asserts that reconciliation comes through the resolution of resentment or han. In the case of the divided Korea, communion consists in unity that respects diversity and results in minjok –one people. The understandings that emerge from the dialogue among the three Korean theologies and with the other liberation theologians considered enrich the theo-ethical basis for empowering the full participation of all Koreans in one society. In the end, an ethics of Korean reunification is not limited to political reunification, but seeks the construction of a new society in which all people will live together in a peaceful and just society. In the last chapter I examine one of the last documents and indicate how the three elements of the proposed ethics of reunification can further enhance the role of the churches in the reunification movement. 본 논문은 자서전적이고 이념적인 이야기로부터 시작한다. 한국의 통일윤리를 세우기 위해 학생 민주화운동에서 경험한 저자의 개인적이고 신앙적인 전이와 함께 한국 신학들인 민중신학과 상생신학, 그리고 통일신학을 분석한다. 민중신학에 나타난 해방의 의미란 정의에 기초한 사회를 건설하는 것이다. 정의로운 평화로 통일된 국가를 이루기 위해 어떤 결정함에 있어서 모든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는 정치적이고 사회적인 구조를 창출하는 것이다. 민중신학자로서 서남동과 안병무, 그리고 김용복 등을 연구한다. 상생신학의 핵심개념인 해원-상생에 의하면 통일은 화해를 뜻하며 이는 분단으로 축척된 민족의 한을 푸는 것을 의미한다. 상생신학자로서 박종천과 홍정수를 연구한다. 통일신학에서 보면 통일이란 기독교적인 관점에서 다양성 가운데 일치를 추구하는 한 공동체를 이루는 것임을 알아본다. 통일신학자로서 박순경과 문익환, 그리고 노정선 등을 연구한다. 본 논문은 신학-윤리적인 성찰들 가운데, 한국의 민중신학에서의 해방과 상생신학의 해원-상생, 그리고 통일신학의 공동체라는 개념을 남미의 신학-윤리학자들인 구스타보 구티에레쯔(Gustavo Gutierrez), 아다 마리아 이사스 디아즈(Ada Maria Isasi-Diaz), 그리고 레오나르도 보프(Leonardo Boff) 등의 이론들로 새롭게 조명하면서 21세기의 정의로운 평화의 조국통일을 이루기 위한 본질적인 통일윤리의 가치들로 해방과 화해, 그리고 새로운 일치를 위한 공동체(communion/community)등을 제안한다. 이러한 신학-윤리적인 성찰들은 한 민족의 새로운 통일공동체를 형성하는 데 있어서 모든 한국 사람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데 있어 그 동인이 될 것을 보여준다. 본 논문 마지막 장에서 한국 통일운동의 역사를 짧게 살펴보고 한국 교회의 역할을 제시한다. 통일 운동사에서 남북한의 온전한 통일윤리를 향하여 북한의 주체사상을 어떻게 이해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아본다. 끝으로 새로운 통일 윤리는 정의로운 평화가 되어야 한다. 통일윤리는 단지 정치적으로 남한과 북한을 하나의 나라로 통합하려는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보다 더 인간적인 정의롭고 평화로운 나라로 함께 서로가 상생할 수 있는 새로운 사회를 건설하는 것을 추구한다. 즉 분단과 분열은 곧 죄임을 기독교윤리의 관점에서 설명하고, 그 분단이라는 죄에서의 해방과 서로간의 치유와 화해를 통한 진정한 일치와 상생의 한 공동체를 이루는 것이 조국 통일운동에 있어서 교회의 역할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역사적인 기록물을 통해 살펴본다.

      • KCI등재후보

        언약신학의 관점에서 본 웨슬리안 성결론 —한국 개신교의 개혁과 연합, 성숙을 위한 제안

        장기영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9 神學과 宣敎 Vol.55 No.-

        This article introduces John Wesley’s covenant theology: its structure, characteristics, and especially implications concerning entire sanctification. Wesley dealt with various concepts of covenants, dispensations, and types of the law, following the outline of the Westminster Confession: 1. Covenant of works (applying to Adam alone): moral law as norm, obedience as condition of fellowship with God. 2. Covenant of grace: moral law as norm, faith as condition of fellowship with God. Under covenant of grace: a. Mosaic dispensation: moral law as norm, faith in ceremonial mediation, leading to obedience of the letter, as condition of fellowship. b. Gospel dispensation: moral law as norm, faith in Christ-mediation — whose authenticity is attested by spiritual, loving obedience — as the condition of fellowship with God. Wesley taught salvific sufficiency of both Mosaic dispensation and Gospel dispensation, and that under Gospel dispensation, God gives not only more excellent revelation but also outpouring of the Holy Spirit for sanctification. In contrast, Reformed covenant theology supports double predestination, identifying the demands of the law with the continuity of covenant of works, and then applying covenant of works to the damned, and covenant of grace to the elect. It also denies the possibility of entire sanctification in this life, insisting that believers cannot satisfy the demands of covenant of works. It also insists that imputation of Christ’s active obedience as well as passive obedience is necessary for justification in order to satisfy the demands of both covenant of works and covenant of grace. Reformed covenant theology and Wesley’s covenant theology coincide with each other in that they preserve the essence of the Reformation theology. So covenant theology can help dialogue,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he Reformed and the Wesleyan traditions. 이 연구는 지금까지 국내에 잘 소개되지 않은 존 웨슬리의 언약신학을 소개하고, 그 구조와 특징, 무엇보다 성결론적 함의를 고찰하기 위한것이다. 웨슬리는 하나님께서 타락 전 아담과 행위언약을 맺으셨으나, 타락 후 인류와는 행위언약을 폐기하고 은혜언약을 맺으셨다고 가르쳤다. 은혜언약 아래에서의 두 시대를 유대교 시대와 기독교 시대로 구분한후, 유대교 시대도 그리스도의 중보사역의 온전함을 통해 하나님의 은혜로 구원 받는 시대로 가르쳤다. 기독교 시대에 대해서는 유대교 시대보다더 뛰어난 계시와 성령의 능력 부으심을 통해 이 세상에서 성결의 가능성과 필요성을 설명한다. 이에 비해 개혁주의 언약신학은 하나님께서 타락 전 아담과 행위언약, 타락 후 인류와 은혜언약을 맺으셨다고 주장하면서도, 율법의 요구를행위언약의 지속으로 해석한다. 이러한 언약신학의 구조는 이중예정론을뒷받침한다. 유기된 자에게는 행위언약이 적용되며, 택자에게는 은혜언약이 적용된다는 것이다. 또 행위언약의 엄격한 요구를 충족하기 힘들다는 논리로 이 세상에서 성결의 가능성을 부정한다. 칭의는 은혜언약의요구인 그리스도의 속죄를 믿는 믿음뿐 아니라, 그리스도의 온전한 순종의 전가로 이루어진다고 주장한다. 개혁주의 언약신학과 웨슬리 언약신학의 차이가 두드러짐에도 두신학 모두 하나님의 은혜로 구원 얻는다는 종교개혁 신학의 본질을공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언약신학은 두 전통 간 신뢰와 화합, 협력을가능케 하는 신학적 요소가 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영국의 웨슬리 성화운동과 미국 A.B. Simpson의 사중복음 ― 성결교 신학의 토대: 연속성과 발전과정을 중심으로

        김영택 ( Young Taek Kim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3 神學과 宣敎 Vol.42 No.-

        전도운동으로 1907년 시작된 한국의 성결교회(기성, 예성)는 한국 개신교의 3대 교단이라고 할 만큼 외적인 성장을 경험하였다. 그러나 성결교회의 신학적 정체성을 확립하는 일은 외적인 성장을 따라잡지 못하였다. 여전히 성결교회 신학의 정체성에 관한 다양한 신학적 견해들이 경쟁하며 공존하고 있다. 기성과 예성의 대부분의 웨슬리 학자들은 웨슬리 신학이 성결교회의 신학의 기초임을 주장하는 데 반하여, 또 다른 학자들은 사중복음을 성결교 신학의 정체성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우리가 기억해야 할 것은 웨슬리 신학과 사중복음이 상호배타적이거나 대립적인 신학체계가 아니라 신학적으로 연속선상에 있으며 발전과정에 있다는 것이다. 웨슬리신학이 아니라면 사중복음이라는 방식의 either/or (이것이냐, 저것이냐)의 양자택일의 방식으로 몰아가는 것은 웨슬리 신학과 사중복음에 대한 강한 역사적/신학적 편협성의 결과이다. 이러한 학자들의 간의 신학적 불일치에 의하여 현장의 목회자들과 신학생들은 성결교 신학의 정체성에 대한 혼란을 느낄 수밖에 없다. 이제 이러한 혼란을 불식시키고 무엇이 성결교회의 신학인가를 다음세대의 성결교회 지도자들에게 분명하게 밝혀 줄 시기가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반응하기 위하여 한국 성결교회의 신학적이 기반이 되는 존 웨슬리의 성화론과 A. B. 심프슨의 사중복음을 연구하는 일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생각한다. 즉, 성결교 신학의 정립을 위해서는 존 웨슬리의 성화론을 연구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며 아울러 A. B. Simpson 의 사중복음에 대한 연구 또한 결코 소홀히 할 수 없는 것이다. 한국의 성결교회는 어느 날 갑자기 진공상태에서 탄생된 교단이 아니다. 기독교 역사의 큰 물줄기의 한 흐름 가운데서 시대적 요청에 의하여 필연적으로 생성된 교회라고 할 것이다. 기독교 역사의 물줄기에는 항상 “성화”에 대한 강조점이 있었다. 웨슬리는 이 성화교리를 강조하며 발전시켰으며 19세기 북미를 초교파적으로 휩쓴 성결운동의 신학적 토대가 되었다. 북미의 성결운동은 성결 교리를 중심으로 사중복음을 강조하기 시작하였는데 이 사중복음이라는 용어를 신학적으로 정리하고 최초로 사용한 인물이 A. B. Simpson이다. 그리고 웨슬리의 심프슨의 성결운동은 한국 성결교회에 역사적/신학적으로 큰 영향을 주었기 때문에 이들의 신학적 특징 내지 공통점은 곧 성결교회 신학의 특징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므로 성결론을 중심으로 웨슬리의 구원론과 심프슨의 사중복음을 연속성과 공통점을 중심으로 파악하는 작업은 한국 성결교회 신학의 정체성을 찾아 가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신학적 작업이 될 것이다. Since its foundation in 1907, Korea Holiness Church (including Jesus Holiness and Christ Holiness) has experienced a significant outward growth in terms of its membership and the number of local churches. However, it has failed to build up its theological foundation and identity. As a result, there has been different theological views and diversities in the denomination. For this reason, the members of the church and the theological students of the theological seminaries which belong to the denomination have been confused for their theological identity. While Wesley scholars in the denomination argue that John Wesley`s theology is the theological foundation, other historical-theology scholars insist that the four-fold gospel (regeneration, sanctification, divine healing and the second coming of Christ) should be the theological foundation for the denomination. Some argue that if Wesley`s theology is the foundation of denomination, there is no theological difference between the Methodist Church and the Holiness Church. They argue that, therefore, the four-fold gospel should be the theological foundation for the denomination. However, there is one thing we should remember: John Wesley`s theology and the four-fold gospel are not mutually exclusive but complementary each other. In order to articulate a theological foundation for the Holiness church, Wesley`s theology, as well as, A.B. Simpson`s four-fold gospel should be studied. Korea Holiness Church has its significant root historically and theologically derived from John Wesley and A. B. Simpson. John Wesley`s doctrine of sanctification has deeply influenced on the 19th century holiness movement of North America. And the movement was the direct influence for the foundation of Korea Holiness Church. Therefore one should not neglect any of these two theological streams. With special reference to Wesley`s doctrine of sanctification and A.B. Simpson`s four-fold gospel, one should focus on their theological development and continuity rather than discontinuity.

      • KCI등재후보

        특집 : 영성신학의 새로운 지평; 영성이란 무엇인가? -성령론적 영성신학 서설-

        전선용 ( Sung Yong Jun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4 神學과 宣敎 Vol.44 No.-

        오늘날 한국교회의 양적 성장이 한계에 부닥쳤다. 그동안 급성장하던 한국교회는 지금 정체상태 내지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다. 그에 반해 가톨릭교회는 급성장을 이룩하고 있다. 우리는 한국교회의 현실을 직시하고 현실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을 찾아내지 못하면, 불행하게도 서구 교회를 따라가게 될 것이다. 필자는 한국교회가 "영성"을 미래를 위한 필수적인 과제로 받아들이고 강조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우리 선배들의 영성을 회복해야 한다. 그리하면, 한국교회가 견고한 반석 위에 서고 다시금 세계의 모범교회가 될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영성의 정의, 마귀, 천사, 기도론, 영성교육 커리큘럼 등 영성신학의 기초적인 부분에 대해서 다루었다. 앞으로 성경공부,찬양, 영적 독서 등 실천적인 분야에 대해서 더욱 더 연구해야 할 것이다. 2012년 제106년차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총회에서 신학교육정책위원회는 서울신학대학교 신학교육의 새로운 방향정립을 위한 보고서를 제출하였으며 필자는 이 보고서 가운데서 "영성과 덕성"분야를 집필하였다. 성결교회 신학교육의 발전과 성장을 위한 제105년차 총회보고서 『현장중심 성결교회 신학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과제연구』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신학교육정책위원회 편, 2012), 50-59. 그동안 전반적인 신학교육이 지나치게 지성교육에 치우친 감이 있으며 이것은 전체 커리큘럼의 학점 수에 의해서 증명된다. 신학교육정책위원회에서 그동안 말로만 그쳤던 영성교육과 덕성교육의 새로운 방안을 모색한 것은 성결교회의 2세기를 위해서 필요한 작업이라고 생각한다. 필자는 서울신학대학교가 영성과 지성과 덕성을 겸비한 교회지도자를 양성하는 신학교육기관으로 거듭나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 일에 참여하였다. 이 논문은 위의 보고서에 제출한 필자의 글을 확장한 것이다. 그리고 이 주제는 앞으로 영성신학으로 발전해 가야 하는 과제이기도 하다. 이 논문에서는 영성교육의 기초로서 영성신학의 나아갈 방향에 대해서 모색해 보고자 한다. 필자는 영성신학을 성령론적 영성신학으로 그 특징을 규정하고 영성신학의 정립을 위한 기초적 작업을 이 연구에서 수행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서 웨슬리안 복음주의 위에 서 있는 성결교회가 지향해야 할 영성신학의 올바른 방향을 모색해 보려고 한다. 다만 논문의 제약 때문에 개괄적이고 기초적인 연구가 될 수밖에 없음을 인정하며 앞으로 더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하여 성령론적 영성신학이 정립되어 가기를 바란다. Nowadays, the Korean Church is confronted with the end of growth. Church growth is on stagnation in Korea.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Catholic Church is rapidly growing. We must understand the problems of the Korean Church and devise a new way to overcome the situation of the Church. Otherwise, unfortunately, the Korean Church will follow the decline of the western church. I think the Korean Church must accept “spirituality” and emphasize it as a necessary agenda for the future. We must restore the spirituality of our ancestors. Then our church will stand on the stable rock and could become the model church of the world again. In this essay, I have dealt with the definition of spirituality, satan, angel, prayer, and curriculum of education of spirituality. In the future, Bible study, hymn, and lectio divina should be investigated.

      • KCI등재후보

        몰트만의 십자가 신학은 어떤 점에서 여성신학에 기여할 수 있는가?

        한혜경 ( Hye Kyung Han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22 神學과 宣敎 Vol.64 No.-

        오늘날 신학은 인간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어느 누구도 소외시키지 않는 전인적인 구원을 선포해야 하는 시대적 도전에 당면하고 있다. 그러한 당면 과제 속에서 본 논문은 몰트만의 사회적-삼위일체적 십자가 신학은 여성들과 연대하며 그들에게 해방과 희망을 주고 있다는 사실을 밝힌다. 이 목적을 위해 필자는 십자가에 대한 여성 신학자들의 다양한 이해를 살펴보며 그들이 추구하려고 한 것은 무엇이며 어떤 점에서 몰트만의 사회적 삼위일체적 십자가 신학이 건전한 여성신학을 세우는데 기여할 수 있는지 살펴본다. 전통적으로 그리스도인들은 기독교 신앙의 중심인 십자가를 하나님의 희생과 사랑의 상징으로 여겨왔다. 십자가에서 죽으신 예수의 대속의 죽음을 통해 그들의 구원이 이루어졌다고 믿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러한 관점은 십자가를 그리스도의 수동적 희생으로 보며 결과적으로 여성들을 포함하여 사회적 약자들을 억압하고 착취하는 논리로 악용될 수 있다는 비판이 일부 여성신학자들에 의해 제기되었다. 즉, 십자가는 여성들에게 말없이 고통을 감내하는 상징으로 적용함으로써 가부장적 지배를 합리화해 왔다는 것이다. 그런 뜻에서 여성주의자(womanist) 드로레스 윌리암스(Delores Williams)와 페미니스트 신학자 리타 나카시마 브롴(Rita Nakashima Brock)을 포함한 일부 여성신학자들은 하나님이 우리의 죄를 위해 그의 아들을 희생시켰다고 보는 전통적 구원론과 기독론은 “피에 굶주린 신처럼”(a blood-thirsty God) 아들을 죽도록 내버려 둔 하나님을 거부하고 여성과 남성 모두의 삶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해석을 추구하며 십자가 사건 이전에 인간의 삶을 변화시키는 예수의 삶과 사역 속에서 하나님의 구원을 찾으려고 시도한다. 독일 여성신학자 죌레(Dorothee Solle)는 그녀의 십자가에 대한 실존적 접근을 통해 오늘날 부당한 세상 속에서 정의를 실현하며 살아야하는 그리스도인의 삶을 시사한다. 또한 카톨릭 예수회 신학자 엘리자베스 존슨 (Elizabeth A. Johson)은 그녀의 소피아 기독론의 십자가-부활 변증법 (the cross-resurrection dialectic)을 통해서 고통당하고 잃어버린 바 된 모든 사람들과 연대하시는 하나님의 헌신을 보여주었다. 이와같이 많은 여성신학자들이 던지는 시대적 도전은 소외된 자들과 힘없는 희생자들과 비인간화된 사람들을 포용하며 그들과 연대하며 함께 고통당하시는 하나님을 정당하게 드러내는 것이다. 그러면서 동시에 그들의 취약점인 예수의 대속의 죽음을 보강하는 십자가 신학을 세워야 하는 것이다. 그 이유는 만약에 우리가 예수의 죽음에서 속죄의 측면을 제거한다면 우리는 쉽게 그리스도의 사역을 그리스도인의 삶을 위한 하나의 도덕적 예 또는 모델로 축소시키게 된다. 반면에 우리가 예수의 삶과 메시지로부터 동떨어진 죽음의 속죄 측면에만 초점을 맞춘다면 하나님은 예수의 죽음을 강요할 만큼 자신의 명예에 집착하는 독단적이며 질투하는 하나님으로 제시되는 신학적 오류에 빠지게된다. 그러므로 예수의 죽음은 반드시 그의 삶이나 부활로부터 분리되어 설명되어서는 안된다. 몰트만의 십자가 신학은 그의 변증법적 기독론(The dialectical Christology of Moltmann) 안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격리상태에 놓인 십자가로부터가 아니라 예수의 생애와 부활의 맥락에서 십자가를 이해할 때에 우리는 비로소 유죄판결을 받은 범죄자라든지 죄 없는 희생자로서의 죽음이 아닌 사랑 안에서 우리 모두의 구세주가 되신 예수의 죽음을 이해하게 된다. 몰트만에게 부활하신 예수의 죽음과 십자가에 못 박히신 그리스도의 부활은 불가분리의 관계이다. 십자가에 달려 돌아가신 예수는 그의 죽음에서 하나님의 부재(godlessness)와 버려짐(godforsakenness)과 덧없음(transitoriness)과 같은 현실의 모든 부정적 요소들과 동일시 된다. 오시는 하나님의 영광으로 부활하신 예수가 십자가에서 믿음 없고, 버려진, 덧없는 인생들에게 부활의 새 생명을 가져다주기 위해 그들과 동일시되며 성육신하신 하나님이시다. 십자가에 달려 죽은 그리스도의 부활은 미래에 대한 하나님의 약속이자 소망을 깨우는 것이다. 십자가에 못박힌 그리스도를 일으키신 하나님은 역사 안에서 미래의 하나님 나라에 대한 기대를 만들어내심으로 변혁을 향한 희망의 원천이 되신다. 몰트만에 의하면 예수는 ‘삼위일체의 계시자’(the revealer of the Trinity)이기 때문에 우리는 삼위일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예수의 역사를 들여다보아야 한다. 예수의 출생, 생애, 죽음과 부활을 거친 예수의 역사는 삼위(the divine persons) 간의 역동적인 관계성을 독특하고 확실한 방식으로 드러내 준다. 그것은 무한한 자기-내어줌(self-giving)과 상호간의 희생적 사랑(reciprocal sacrifice of love)으로 특징지워지는 삼위간의 교제를 드러낸다. 몰트만의 삼위일체적 해석학(trinitarian hermeneutics)은 세상을 향해 자신을 내어주는 삼위일체의 역사에 근거하고 있다. 예수의 출생과 생애와 죽음과 부활사건을 통해 삼위일체 하나님은 무한히 자기를 내어주는 사랑과 너그러움과 같은 신적 본성(divine nature)을 입증해 주신다. 따라서 상호관계, 사랑, 공감, 그리고 상호기부(mutual giving)와 같은 용어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사건을 통해 계시되는 하나님의 본성을 묘사한다. 그러나 이러한 사회적 삼위일체론를 설명하는 페리코레시스(perichoresis)개념을 미국의 여성 신학자인 캐런 킬비(Karen Kilby)는 몰트만이 그가 선호하는 사회적, 정치적 아젠다를 내재적 삼위일체의 삶에 투영한 것이라고 비판한다. 그러나 필자는 신학성서에 충실하고자하는 몰트만의 삼위일체해석학을 자세히 설명하면서 맥두갈(McDougall)이 지적한 것처럼 킬비(Kilby)의 비판은 몰트만이 얼마나 자신의 방법론적 의도에 충실한지를 간과하고 있음을 논증한다. 몰트만은 신약성서의 증거에 따르면 아버지를 드러내는 분은 아들이시고(마 11:27), 아들을 드러내는 분은 아버지이라고 강조한다(갈 1:16). 그는 예수역사의 해석을 일신론적 의미에서 한 신적 주체로 축약시키는 기독교적 일신론은 그리스도의 역사에서 볼 때 정당하지 않다고 본다. 결론적으로 삼위일체 하나님의 본성을 나타내는 상호성, 사랑, 공감, 동등함, 호혜성과 같은 용어는 몰트만이 선호하는 사회-정치적 이상들을 삼위일체에게 투영한 것이 아니라 성서들을 통해 증거되는 신적 삶(the divine life)에 대한 인격화된 묘사(anthropomorphic descriptions)로 간주해야 한다. 몰트만의 사회적 삼위일체 십자가 신학은 과연 여성에게 자유와 생명을 주는 여성신학을 세우는데 공헌할 수 있는가? 필자는 몰트만의 사회적 삼위일체적 십자가 신학은 예수의 십자가를 남성뿐만 아니라 여성에게도 자유와 생명을 주는 기독교 신앙의 기본 상징으로 회복시킨다고 본다. 사회적 삼위일체적 십자가 신학은 여성신학이 추구하는 상호적 호혜적 관계성과 다름에 대한 존중과 성별간의 평등과 같은 인간관계에 필수적인 요건들을 페리코레시스 관계에 계신 심위일체하나님으로부터 유추한다. 그뿐만 아니라 십자가에 대한 사회적 삼위일체적 이해는 예수의 탄생과 생애와 죽음과 부활에서 소외되고 희생당하고 비인간화된 사람들과 연대하며 고통당하시는 열정적인 사랑의 하나님을 드러내준다. 십자가에 대한 이러한 사회적 삼위일체적 이해는 남성의 지배와 여성의 비인간화를 허락하는 일부 페미니스트의 십자가 이해를 교정해줄 뿐만 아니라 여성의 자기존중(self-respect)과 자기가치(self-worth)를 증진시켜 준다. 그런 의미에서 십자가에 대한 사회적 삼위일체적 접근은 여성주의적 접근이라고 주장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Today, theology faces the challenge of not only solving the fundamental problems of the humanity but also proclaiming a holistic salvation that does not alienate anyone. In this essay I argue that Moltmann’s social-trinitarian theology of the cross can contribute to establishing a sound feminist theology which gives hope and liberation to the marginalized, the powerless, and the dehumanized by exposing the suffering God who stands in solidarity with them. For this purpose, I first examine various feminists’ understandings of the cross to find out what they attempt to pursue through their theological endeavor. Traditionally, Christians have regarded the cross as a symbol of God’s sacrifice and love. They believe that their salvation was accomplished through the atoning death of Jesus on the cross. However, criticism has been raised among feminist theologians. Some of them like the womanist Delores Williams contend that viewing the cross as a passive sacrifice of Christ can be used as a logic to oppress and exploit the socially weak including women. In other words, the cross has been rationalized for patriarchal domination by applying it to women as a symbol of silently enduring suffering. In pursuit of Christology and soteriology that can positively a ffect the lives of women, they focus on the l ife and work of Jesus which changed people’s lives. Dorothee Solle, a German feminist theologian suggests, through her existential approach to the cross, that Christians must do justice in today’s unjust world. Also, Elizabeth A. Johson, a Catholic Jesuit theologian, through the cross-resurrection dialectic of Sophia Christology, shows God’s commitment to solidarity with all the suffering and the lost. Through their theological works these feminist theologians try to embrace the marginalized, the powerless, and the dehumanized, and to stand in solidarity with them. I, therefore, investigate whether Moltmann’s social trinitarian theology of the cross can offer some answers to their challenges and contribute to establishing a holistic feminist theology and restore the atoning aspect of the death of Christ which they seem to ignore or dismiss in their understandings of the cross. In so doing, I discuss in detail Moltmann’s dialectical Christology, which emphasizes the fact that the death of the resurrected Jesus and the resurrection of crucified Christ on the cross are inseparable. He contrasts the death of the resurrected Jesus with the resurrection of the crucified Christ. Crucified Jesus in his death is identified with all the negative qualities of the present reality such as godlessness, godforsakenness, and transitoriness. However, this same Jesus is raised from the dead to affirm God’s promise of new creation for this godforsaken reality. The resurrection of Christ, who died on the cross, awakens God’s promise and hope for the future. The God who raised the crucified Christ becomes the source of hope for transformation by forging in history the anticipation of the future kingdom of God. Authentic Christian hope allows people to resist and work to redeem the brokenness of the world. Also, Moltmann argues that the history of Jesus, which was driven to death on the cross is itself a theological history of the conflict between God and idols. The crucified Christ frees humanity from slavery to the false idols of the law and from political and theistic religions. I also discuss Moltmann’s social trinitarian approach to the cross. According to Moltmann, the history of Jesus through his birth, life, death, and resurrection reveals in a unique and authentic way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the divine persons. It reveals the communion of the Trinity characterized by infinite self-giving and reciprocal sacrifice of love. Through the events of Jesus’ birth, life, death, and resurrection, the Triune God proves the divine nature of infinite self-giving love and generosity. Thus, terms such as reciprocity, love, empathy, and mutual giving describe the nature of God revealed through the event of Jesus Christ. However, Karen Kilby, an American female theologian, criticizes the concept of perichoresis as a projection of Moltmann’s preferred social and political agenda into the life of the immanent Trinity. Following McDougall, I argue that Kilby’s criticism overlooks how faithful Moltmann is to his methodological intent, norma normans. Moltmann emphasizes that according to the evidence of the New Testament, it is the Son who reveals the Father (Matt. 11:27), and the Father is the one who reveals the Son (Gal. 1:16). He believes that Christian monotheism, which reduces the interpretation of the history of Jesus to one divine subject in a monotheistic sense, is not justified by the history of Christ. In conclusion, terms such as reciprocity, love, empathy, equality, and reciprocity, which denote the nature of the Triune God, are not Moltmann’s preferred socio-political ideals projected onto the Trinity but should be considered anthropomorphic descriptions of the divine life as evidenced by the Bible. I conclude that Moltmann’s theology of the social Trinity of the cross restores the cross of Jesus as a basic symbol of the Christian faith that gives freedom and life to women as well as men. The social trinitarian theology of the cross infers the essential requirements for human relationships such as mutual reciprocity, respect for differences, and equality between genders pursued by feminism. Not only that, but also Moltmann through his social trinitarian understanding of the cross reveals the passionate and loving God who suffers in solidarity with those who have been marginalized, sacrificed, and dehumanized. Moltmann’s social trinitarian understanding of the cross, I argue, not only corrects some feminists’ understanding of the cross, which permits male domination and female dehumanization, but also promotes women’s self-respect and self-worth. In this sense, Moltmann’s social trinitarian approach to the cross definitely contributes to constructing a sound, biblically based feminist theology.

      • KCI등재후보

        영성신학의 새로운 지평; 유대인 예수 탐구 -기독교 신학에 대한 새로운 도전

        허천회 ( Chun Hoi Heo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4 神學과 宣敎 Vol.44 No.-

        유대주의 안에서 예수 (Jesus within Judaism)를 찾는 일, 즉 유대인 예수를 찾는 일은 분명 지난 2000년간 진행되어온 기독교 신학의 한계를 벗어나는 일이지만, 역사적 예수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기독교의 기원에 대해 알게 되는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그리고 그 결과는 동시에 지금까지 우리가 알고 있던 전통적인 신학을 수정해야만 하는 신학적 도전이기도 하다. 예수는 분명 유대인으로 태어나 유대주의 안에서 교육을 받았고, 유대 절기를 준수했고, 예수와 초기 기독교 공동체는 매우 유대적 (Jewish)이었기 때문에 초기 기독교인들을 초기 유대적 기독교인들 (the early Jewish Christians)이라고 불러야 할 것이다. 그러나 초기 유대적 기독교 공동체와 유대공동체 사이에서 갈등이 유발되면서 공존에서 갈등관계로, 그리고 급기야는 회당과 유대 공동체 안에 존재하던 소수 초기 유대적 기독교인들이 회당으로부터 축출당하며 기독교 공동체만의 길을 가게 되면서 급기야 반유대적 기독교로 발전하면서 초기 기독교의 유산을 상실하는 위기를 맞이하게 된 것이다. 이제 기독교는 유대교의 율법과 문화와 언어 안에서 예수의 삶과 가르침을 발견함으로써 유대교와 기독교인들 간의 지나온 애증과 상처를 씻고, 서로의 뿌리를 확인해야만 한다는 도전을 받고 있는 것이다. 피할 수 없는 도전이지만 지난날들의 오류를 극복할 수 있는 기회이기 때문에 능동적으로 수용해야 할 것이다. By looking into the life of Jesus and the birth of Christianity within Judaism, we may come up with the conclusion as follows. First, Jesus born a Jew was educated in Judaism and observed the Judaic seasonal feasts and rituals. Secondly, he formed a Jewish Christian community as the number of disciples increased; however they also existed within the synagogues, observing the Jewish laws. Therefore, Jesus and the early Christian community may be called the early Jewish Christians. Thirdly, as some conflict developed between the early Jewish Christian community and the traditional Jews, they could not coexist and finally the early Jewish Christians, which was a minority group, were expelled from synagogues. Fourthl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two groups got worsen and finally became irreconcilable. Fifthly, the Jewish documents which contain information about the historical Jesus are mostly distorted; however, they adopted the most essential things about Jesus from the four gospels. For instance, Jesus insisted that he is the messiah and the son of God. Jesus performed many miracles, he ascended into heaven, and many young disciples followed him. Christianity is presently challenged by Jewish understanding of Jesus. Up until now the study of Jesus has been done apart from Jewish background, and this kind of un-historical studies have caused conflicts between Christians and Jews. We cannot deny the fact that many ill effects and violence have been caused by that kind of hostile relationship. We are challenged to discover the life of Jesus and his teachings within the laws, culture and language of Judaism in order to find out each other`s root and be healed of each other`s wounds and hurts. We need to face the opportunity to take this challenge proactively and overcome the mistakes of the past.

      • KCI등재후보

        영성이란 무엇인가?-성령론적 영성신학 서설-

        전성용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4 神學과 宣敎 Vol.44 No.-

        Nowadays, the Korean Church is confronted with the end of growth. Church growth is on stagnation in Korea.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Catholic Church is rapidly growing. We must understand the problems of the Korean Church and devise a new way to overcome the situation of the Church. Otherwise, unfortunately, the Korean Church will follow the decline of the western church. I think the Korean Church must accept “spirituality” and emphasize it as a necessary agenda for the future. We must restore the spirituality of our ancestors. Then our church will stand on the stable rock and could become the model church of the world again. In this essay, I have dealt with the definition of spirituality, satan, angel, prayer, and curriculum of education of spirituality. In the future, Bible study, hymn, and lectio divina should be investigated. 오늘날 한국교회의 양적 성장이 한계에 부닥쳤다. 그동안 급성장하던 한국교회는 지금 정체상태 내지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다. 그에 반해 가톨릭교회는 급성장을 이룩하고 있다. 우리는 한국교회의 현실을 직시하고 현실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을 찾아내지 못하면, 불행하게도 서구 교회를 따라가게 될 것이다. 필자는 한국교회가 “영성”을 미래를 위한 필수적인 과제로 받아들이고 강조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우리 선배들의 영성을 회복해야 한다. 그리하면, 한국교회가 견고한 반석 위에 서고 다시금 세계의 모범교회가 될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영성의 정의, 마귀, 천사, 기도론, 영성교육 커리큘럼 등 영성신학의 기초적인 부분에 대해서 다루었다. 앞으로 성경공부,찬양, 영적 독서 등 실천적인 분야에 대해서 더욱 더 연구해야 할 것이다. 2012년 제106년차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총회에서 신학교육정책위원회는 서울신학대학교 신학교육의 새로운 방향정립을 위한 보고서를 제출하였으며 필자는 이 보고서 가운데서 “영성과 덕성”분야를 집필하였다. 그동안 전반적인 신학교육이 지나치게 지성교육에 치우친 감이 있으며 이것은 전체 커리큘럼의 학점 수에 의해서 증명된다. 신학교육정책위원회에서 그동안 말로만 그쳤던 영성교육과 덕성교육의 새로운 방안을 모색한 것은 성결교회의 2세기를 위해서 필요한 작업이라고 생각한다. 필자는 서울신학대학교가 영성과 지성과 덕성을 겸비한 교회지도자를 양성하는 신학교육기관으로 거듭나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 일에 참여하였다. 이 논문은 위의 보고서에 제출한 필자의 글을 확장한 것이다. 그리고 이 주제는 앞으로 영성신학으로 발전해 가야 하는 과제이기도 하다. 이 논문에서는 영성교육의 기초로서 영성신학의 나아갈 방향에 대해서 모색해 보고자 한다. 필자는 영성신학을 성령론적 영성신학으로 그 특징을 규정하고 영성신학의 정립을 위한 기초적 작업을 이 연구에서 수행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서 웨슬리안 복음주의 위에 서 있는 성결교회가 지향해야 할 영성신학의 올바른 방향을 모색해 보려고 한다. 다만 논문의 제약 때문에 개괄적이고 기초적인 연구가 될 수밖에 없음을 인정하며 앞으로 더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하여 성령론적 영성신학이 정립되어 가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