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업무공간에서 선호되는 LED 조명의 조도와 상관색온도 분석

        윤혜경,우승현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6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8 No.1

        이 연구는 LED 조명의 사용 증가에 따라 업무공간에서 사용 또는 선호되던 기존의 상관색온도와 조도가 일관되게 사용되어도 될지를 사용자 중심으로 그 선호수준을 파악하고 LED 조명에 적합한 조도와 상관색온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는 LED 조명 사용에 따른 건축 계획 측면에서의 변경 요소들을 계획하는 것에 기초자료가 되리라 여겨진다. LED 조명의 조도와 상관색온도 관계를 업무공간행위와 선호도를 실험결과로 보여주는 문헌조사를 통해서 그 결과 값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LED 조명에서 조도의 경우에 작업면을 기준으로 500lux 이상일 때 선호도나 작업수행평가 결과가 우수하게 나타났고, 한글 위주인 국내 업무공간에 적합한 상관색온도는 6000K 이상으로 조명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선호도와 업무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proper illuminance and the Correlated Color Temperature(CCT) levels of Light-Emitting Diode (LED) lighting after analyzing the preference of the current illuminance and the CCT levels in workspace with LED lighting conditions as the lighting has been increasingly encouraged. It would be the fundamental data to design and to reply the changes of the workplace with LED lighting. To do that, data were collected and examined from the literature review based on experiments with preferences, satisfaction and task performances under various illuminance and the CCT levels in workspace. The findings show that more than 500lux and more than 6000K are the proper illuminance and the CCT levels respectively to bring better preference and performance for the workplanes of the workplaces under LED lighting.

      • 대구시 LED 조명 보급활성화 사업의 선정기준과 우선순위 결정에 관한 연구

        안성조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14 대구경북연구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 selection standard and priority of the LED light supply vitalization business with Daegu city as an example. To perform this purpose, the meaning and cases of the LED spotlight supply vitalization have been surveyed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the related theories and precedent studies and the part-specific weighted value and detailed business-specific priority have been analyzed through practical analysis. And, the part-specific weighted value and the business specific priority have been measured and assessed with the LED light professionals as objects. The main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ublicity, effectiveness, energy reduction, easiness of business performance and maintenance and durability were selected as the business selection standard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 of LED light and LED light supply vitalization business. Second, in the public part dissemination magnification as of the part-specific standard appropriateness for the LED light supply vitalization, the dissemination of LED spotlight of public institute government office building, dissemination of traffic facility LED spotlight, and the dissemination of public library LED spotlight etc were higher. In the demand creation of public field, the dissemination of apartment underground parking lot LED spotlight and dissemination of industrial complex LED light showed to be higher in the selection standard and appropriateness. Third, the energy reduction effectiveness showed the highest weight value for each standard for LED light supply vitalization and the second best one was maintenance and durability. Fourth, as for the priority for each detailed business for LED light supply vitalization, the supply of the public institute government office building LED spotlight was showed to be highest and the following oder was supply of traffic facility LED spotlight, supply of public library LED spotlight and supply of underground shopping district and tunnel LED spotlight etc.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시를 사례로 LED 조명 보급활성화 사업의 선정기준과 우선순위를 분석하는것이다. 이를위해우선관련이론및선행연구고찰을통해LED 조명등보급활성화사업의의의와사례를살펴보았고, 실증분석을통해부문별가중치와세부사업별우선순위를분석하였다. 그리고LED 조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부문별 가중치와 사업별 우선순위를 측정 및 평가하였다. 본연구의주요결과를요약하면다음과같다. 첫째, LED 조명과LED 조명보급활성화사업의특성을반영하여사업선정기준으로공공성, 효율성, 에너지절감효과성, 사업추진용이성, 유지관리및지속성을선정하였다. 둘째, LED 조명 보급활성화를위한부문별선정기준적합성으로는공공부문보급확대에서는 공공기관 청사 LED 조명등 보급, 교통시설 LED 조명등 보급, 공공도서관 LED 조명등 보급 등이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민간부문 수요창출에서는 아파트 지하주차장 LED 조명등 보급, 산업단지 LED 조명등보급이선정기준과적합성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마지막으로국내외협력및홍보에서는에너지관련국제행상활용LED행사추진, LED 조명시범마을조성이 선정기준과 적합성이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LED 조명 보급활성화를 위한 선정기준별 가중치는 에너지 절감효과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유지관리 및 지속성이 뒤를 이었다. 넷째, LED 조명 보급활성화를 위한 세부사업별 우선순위는공공기관 청사 LED 조명등 보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교통시설 LED 조명등 보급, 공공도서관 LED 조명등 보급, 지하상가 및 터널 LED 조명등 보급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조명심리연구에 대한 고찰과 전망

        박현수,이찬수,장자순,김현택,이강희 한국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0 No.1

        Recently, as the LED industry has rapidly developed, LED lighting market is also expanding. LED lighting is drawing attention as the next generation lighting that leads low-carbon green growth in terms of the environment-friendly lighting characterized by its low power consumption, long life, and nontoxicity. And it is in the spotlight as an emotional lighting because it easily implements a variety of color dimensions,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affecting human emotion. However, it is true that psychological research on conventional lighting as well as LED lighting hasn't been so active until now.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not only the various colors of LED lighting but also general lighting characteristics such as illumination and color temperature to human mind and behaviors. If plentiful contents and technology of lighting that accord with human mind are developed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y will be driving forces for the growth of lighting industry and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sychological research on lighting. In this paper, the effects of light and color as the basis for the psychological research on lighting are examined and the outcome of psychological research on lighting so far are summarized breaking it down into affective, physiological and behavioral one. From those approaches, some recent findings confirmed the possibility that LED lighting has different emotional, physiological, and cognitive effect on human mind and behaviors from conventional lightings are introduced. In addition, future research tasks and prospects of the psychological research on lighting are discussed. 최근 들어 LED(발광다이오드) 산업이 급격하게 발전하면서 LED 조명시장 역시 확대되고 있다. LED 조명은 적은 전력소모와 긴 수명, 그리고 무독성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인 조명이란 점에서 저탄소 녹색성장을 견인하는 차세대 조명으로 주목을 받고 있고, 인간의 감성을 자극하는 중요한 요소인 색을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감성조명으로도 각광을 받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LED 조명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조명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는 그다지 활발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조도나 색온도와 같은 일반적인 조명 특성과 함께 LED 조명의 다양한 색상들이 인간 심리와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충분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인간의 심리에 부합하는 풍부한 조명 컨텐츠와 기술을 개발한다면, 이는 조명산업의 성장 동력이 될 뿐만 아니라 조명심리연구의 발전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조명심리연구의 기초가 되는 빛과 색의 심리적·생리적 효과를 살펴본 다음, 조명심리연구의 주제를 조명감성연구, 조명생리연구, 조명행동연구로 구분하여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들을 요약하고 앞으로의 과제와 전망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또한 각 주제와 관련하여 LED 조명이 기존조명과는 다른 정서적, 생리적, 인지적 반응을 야기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최근의 연구결과들을 소개하였다.

      • KCI등재

        LED 조명에 대한 청색광 위험 평가

        정명훈,양석준,육주성,오상영,김창진,류정묵,최은정 한국안광학회 2015 한국안광학회지 Vol.20 No.3

        Purpose: To evaluate blue light hazards of LED lightings in an optical store with blue light radiance used as the quantitative indicators of photobiological hazard. Methods: The spectral radiance of each LED lightings was measured, and blue-light radiance and the corresponding maximum exposure time were calculated. Then each LED lighting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risk group from IEC 62471 standard. Results: The yellow LED lightings used in showcases and white LED lightings used on ceilings and logo were classified into risk group RG0. But the white LED lightings used on showcases were classified into risk group RG1. The blue light radiances of white LED lightings used in showcases are dozens of times larger than that of fluorescent lamp. Conclusions: Using the value of the blue light radiance could quantitatively express the blue light hazard to various lightings. It was confirmed that white LED lightings for the showcases had high blue light hazards because of their high luminance and color temperature. Therefore, when replacing lightings in optical shop it is necessary to select the appropriate brightness and color temperature for eye health in the long term. 목적: 청색광 위험도의 정량적 지표인 청색광 복사휘도를 이용하여 안경원 내 LED 조명에 대한 청색광 위험도를평가하였다. 방법: LED 조명의 분광복사휘도를 측정하고 청색광 복사휘도와 최대노출시간을 산출한 후, IEC 62471 분류기준에 따라 위험군을 분류하였다. 결과: 진열장에 사용된 황색 LED 조명, 천장에 사용된 백색 및 황색 LED 조명, 그리고 로고에 사용된 백색 LED 조명은 위험제외군 RG0로 분류되었지만, 진열장에 사용된 백색 LED 조명은 위험군RG1으로 분류되었다. 진열장에 사용된 백색 LED 조명의 청색광 복사휘도는 형광등에 비하여 수십 배나 높은 것으로나타났다. 결론: 청색광 복사휘도의 값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조명에 대한 청색광 위험을 정량적으로 표현할 수 있었다. 진열장용 백색 LED 조명은 높은 휘도와 색온도로 청색광 위험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안경원 내의 조명 교체 시 장기적이 측면에서 시건강을 위해 적절한 밝기와 색온도의 조명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 KCI등재후보

        수공냉 대류방식을 이용한 1.2kW급 LED 조명등 개발

        윤병우,송종관,박장식,권홍배,Yoon, Byung-Woo,Song, Jong-Kwan,Park, Jang-Sik,Kwon, Hong-Bae 한국전자통신학회 2015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0 No.5

        반도체 제조기술의 발달로 고효율 및 고휘도의 LED가 개발됨에 따라 재래식 조명들로부터 LED를 이용한 조명으로 조명산업이 이동하는 추세이다. LED 조명등은 에너지 효율이 재래식 조명보다 뛰어나지만 많은 열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대형 LED 조명등에서는 이러한 발열문제가 심각한 실정으로, LED에 의한 메탈기판의 열은 납땜 부분을 열화시켜 조명등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주된 원인이 된다. 따라서 대형 조명등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대형 LED 조명등에서 열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고, 제시한 방식으로 1200W급 LED 조명등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방법은 LED 조명등에 워터재킷을 설치하여 냉각수를 채웠으며, 소형의 수중펌프를 이용하여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As the development of high efficiency and high flux density LEDs, the trend of illumination lamp industry transfers from conventional-lamps to the LED-lamps. For energy efficiencies, LED lamps are superior to the conventional lamps, but they have heat problems. Especially, the heat problems are severe for the high luminance lamps. They degrade the soldering point of the metal PCB, and shorten the life cycle of LEDs. So, the solution of the heat sinking is very important to develop high luminance LED lamps. This study suggested a new method to solve the heat problems for high luminance LED lamps, and developed a LED lamp which has 1200W power. In this study, a water jacket is installed to the LED lamp, and the cooing water is circulated by a water pump.

      • KCI등재

        가정용 LED 조명 기구의 디자인 연구 - 조형적 특징을 중심으로

        백박도 ( Bo Tao Bai ),김철수 ( Chul Soo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5

        LED 제조 기술은 급속도로 발전하였지만 조명 기구 디자인은 그 뒤를 따랐다. 조명 기구는 상품 디자인상에서 대체적으로 원래의 형태는 그대로 유지한 채 단지 전통 조명 기구안의 광원만 LED로 대체하였다. LED 광원의 독특한 성능은 조명 기구의 조형 디자인에 변화를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은 Kiss의 연구논문 검색을 활용하여 조형특징, 조형요소, 조명의 Keyword를 검색하여 조사된 조형에 관한 연구논문 중 본 연구 주제와 관련이 있는 30개 선행연구 논문을 선정하여 조형의 특징에 관한 분석방법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인 조명 제품은 매우 광범위 하며, 연구내용이 디자인의 조형성을 다루고자 하기에 굿 디자인으로 인정되는 제품을 연구대상의 범위로 한다. 이에 조명 디자인의 표본은 세계적으로 Good Design 공인된 RED DOT(표본 110개), IF(표본 17개), IDEA (표본 19개) 3 대 국제공모전상 3년 건(2009년-2011년도)의 수상작을 연구의 대상으로 선택하였다. Image Mapping 방법을 통해 형태, 색깔, 재료 의 3개 방면으로부터 가정용 일반 조명기구와 LED조명기구에 대해 연구한다. 이어서 일반 조명기구와 LED 조명기구의 조형적 특징을 근거로 미래 조명 기구의 조형 디자인에 대한 발전 추이를 예측할 수 있다. 첫째: 심플하고 이성적인 조형. 구조적으로 다양한 기능성을 지니는 디자인이 증가될 것이다. 둘째: 특이한 조형을 자유롭게 시도된 디자인이 다양화될 것이다. 셋째: 다양한 문화 현상과 친환경적인 이념을 중시하고 자연적 요소를 활용한 디자인이 증가될 것이다. 따라서 얻어낸 결론과 결합하여 가정용LED조명 기구에 대하여 개념 구색 디자인을 진행한다. Along with the high speed development of the LED lighting technology, lamps and lanterns design follows with high gear, too. Currently, LED lamps design is more like a photo source replacement by LED, keeping the basics of the original shapes of the lamps and lanterns. Still, LED photo source shows its special characteristics. This essay, by selecting the key words “styling characteristics, styling basics, lighting” from the KISS Essay Web site, analyzes the study and research methods of 30 papers related from the web site. There are many products for lamps and lanterns. Those with better and special design are chosen for the object of study. Lamps rewarded by the world three product design institutes are used in this essay, RED DOT(110 samples), IF(17 samples), IDEA(19 samples). The Image Mapping is used to analyze the shape, color and material of the samples. Based on the styling characteristics of both the LED and conventional lamps, forecast the future styling design of the LED lamps as well as its development trend. Trend 1: styling features are more simple and rational. Styling design is more focus on function. Trend 2: different and unique shapes are freely adopted. Decorative purpose is addressed more. Trend 3: lamps design addresses multi-culture theme and environment friendly concept. People see more and more features reflecting nature in the styling design of the lamps. Last, based on the conclusion, start the styling design of home use LED lamps.

      • KCI등재

        Slim LED Bar를 이용한 Table 조명 디자인 개발

        이진욱 ( Lee Jin Uk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3 한국디자인포럼 Vol.40 No.-

        현대의 조명은 단순하게 빛을 밝히는 조명뿐만 아니라 고품질의 조명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인간의 감성을 충족하는 조형 욕구를 만족하게 해야 한다. 빛을 발생하는 단순한 기능에서 벗어나 실내공간에서 다양한 이미지로 공간 연출을 겸비해 개개인의 감성을 충족시키는 조명이며 친환경적으로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는 Slim LED Bar을 이용한 테이블 조명 디자인 개발을 연구하게 되었다. 연구의 방법으로 위해 테이블 조명의 사전 연구를 통해 테이블 조명의 디자인 경향과 소비자의 이해도를 파악하고 테이블 조명 시장을 분석하여 디자인 개발의 기본 방향을 설정했다. Slim LED Bar에 대한 소재 연구를 통해 Slim LED Bar의 특성과 디자인에 대한 적용 범위를 연구했다. 디자인의 조건으로 조명의 기본적 기능 충족, Slim LED Bar의 특성 활용, 미적 요소를 가진 감성 조명, 이동성과 안정성을 가진 디자인을 도출했으며 스케치와 CG 프로그램을 이용해 3D 모델을 생성하여 디자인을 구체화하고 차후 CNC 작업을 위한 수치화된 DB 생성했다. 이렇게 생성된 DB는 규격화된 CNC 가공을 이용해 실증 모델로 제작하고, 최종 결과물로 Slim LED Bar를 이용해 빛을 밝히는 조명의 기본목적에 충실하면서 소비자의 감성도 만족할 수 있는 테이블 조명의 시제품 제작까지 과정을 연구하였다. Modern lighting should meet the needs of art which satisfies human emotion by providing a high-quality lighting environment as well as the simple role of lighting.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a table lighting design using a slim LED Bar which can be eco-friendly in saving energy. For this study table lighting design trends were reviewed, an understanding of customers was researched, current table lighting markets were analysed, and basic directions for design development were presented. Then the study analysed the materials and characteristics of Slim LED Bars and sought their applicability in a design. The conditions for the design were the satisfaction of basic functions, the use of a Slim LED Bar`s characteristics, emotional lighting with aesthetic elements, and a design with mobility and stability, A 3D model was created using sketch and CG programs to specify the design and create a numerical Database for CNC. The DB was modelled with the use of standardized CNC processing and the Slim LED Bar, a table lighting design which is faithful to the basic purposes of lighting and that can satisfy the emotions of customers was developed.

      • 선박용 LED 조명등 제작을 위한 요소기술 개발동향

        남대근(Nam, Dae-Geun),이수형(Lee, Su-Hyung),정창일(Jung, Chang-Il),윤형표(Yoon, Hyung-Pyo),조형호(Jo, Hyung-Ho)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11

        최근 에너지 절감과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친환경적이고 에너지 효율이 높은 LED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으며, 국가 저탄소 녹색성장에 맞는 신성장동력산업의 하나로 LED가 선정되어 적극적으로 육성되고 있다. LED를 활용한 조명등은 현재까지 활발한 연구개발이 진행되었으며 백열전구를 능가하는 조명 효율을 확보하여 조명 광원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선박용 조명등의 경우에는 아직 관련 기술개발이 초기단계에 머물러있어 대부분의 선박들이 기존의 백열등 및 형광등과 같은 조명등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유리 조명등은 고소비전력과 제한된 수명에 따른 높은 유지비 및 제품 누수나 파손 등과 같은 안전성의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장기적인 관점에서 선박용 LED 조명 등에 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기술 개발을 저해하는 요소인 방열, 가격 등에 대한 추가적인 기술개발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서는 부산광역시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선박용 LED 조명등을 개발하고 있으며, 체계적인 연구를 위하여 선박용 LED 조명등의 요소기술에 대한 연구동향과 기술특성을 분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선박용 LED 조명등 개발에서 요구되는 요소기술에 대한 기술개발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고효율의 선박용 LED 조명등 개발에 필요한 요소기술로는 방열, SMPS, 광학, 제품 내진동, 제품 방수 등의 설계 및 제작기술이 있다. 이러한 요소기술을 알아보고 선박용 LED 조명등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무용 공연에서 LED를 활용한 조명 디자인 연구

        장소정,안경석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6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2 No.2

        이 연구는 무용 공연에 있어 필수요소인 LED 조명이 지니는 광학적 특성을 알아보고 LED 조명기의 사용을 무용 작품에 대입시켜 조명 디자인을 분석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무용 작품 속에서 LED 조명을 활용한 조명 디자인을 분석한 결과, 과거의 할로겐 조명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첫째, LED 조명의 균일한 빛의 분포는 무용수의 전체적인 움직임을 보여주었다. 둘째, 장면에 빠른 전환에 도움을 주었다. 셋째, 할로겐과 유사한 색상을 나타내는 LED 조명은 무용 공연 제작에 경제적인 이점을 드러내었다. 무용 공연에서 LED 조명의 활용은 무용수와 안무가에게 좋은 환경을 제공하며 향후 무용 공연 제작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optical characteristic of LED lighting, which is essential in dance performance, and analyze a lighting design by substituting use of LED lighting equipment in dance works and find out its effect. As a result of analyzing lighting design which uses LED lighting in dance work, it showed more positive effect than Halogen lighting in the past. First, even light distribution of LED lighting showed entire movement of dancers. Second, it gave help to fast conversion of scenes. Third, LED lighting that represent similar colors with Halogen revealed economic benefits in production of dance performance. It is considered that use of LED lighting in dance performance will provide dancers and choreographers with a good environment and give help to dance performance production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LED 조명램프 특성에 따른 디자인 방향에 관한 연구

        신동익,박경진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1 산업디자인학연구 Vol.5 No.1

        With the growing popularity of LED as the next generation light source or the light source of the future, its application is spreading from general lighting fixtures to the entire industry. The typical strengths of LED are low power consumption, excellent luminous efficiency, high response rate, and semi-permanent life, and there are many efforts to develop various products using these advantages of LED and also the value of lighting lamp which enables various designs and the presentations of light in a space is increasing. However, there are difficulties compared with existing lamps while the development of LED lighting lamps as the substitution of existing incandescent light bulbs and fluorescent lamps is progressed at a fast pace. The optical power and light distribution were greatly enhanced with LED, but the design has not made much progress from the uniform format that the only change that has been made simply seems to be the light source. There is a prevalent trend of approaching LED as the light source substituting the incandescent light bulb instead of a brand new tool that it needs certain developments in terms of design. This study compares existing lighting lamps and LED lamps by analyzing their structures and design characteristics to derive the direction of design and possible improvements for LED lamps, suggesting the new direction of design for LED lamps. 미래의 차세대 광원으로 각광받는 LED는 일반조명에서부터 산업전분야 까지 폭넓게 쓰여 지고 있다. LED는 저소비전력, 뛰어나 발광효율, 고 응답성 및 수명이 반영구적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LED를 이용한 다양한 제품을 상용화 하려는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가운데 공간에 대한 다양한 디자인 연출과 빛의 구현을 하는 조명램프의 가치는 점점 올라가고 있다 하지만 기존 백열전구와 형광램프 대체용으로 LED 조명램프 개발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여기에 따른 기존 램프와의 비교 어려움 등 을 나타내고 있다. LED를 통한 높은 광 출력과 배광의 효율성을 좋아지지만 기존의 조명기구에 광원만 교체하여 만든 일관적인 디자인 형태 구조방식에서 아직까지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LED를 새로운 도구가 아닌 단순히 백열전구를 대체하는 광원으로만 접근하는 경향이 있어 디자인적 요소가 반드시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조명램프와 LED 조명램프를 비교하여 각각의 구조적 해석과 디자인 특성을 분석하여 LED 조명램프 디자인 방향성과 개선안을 돌출시킴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LED 조명램프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려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