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대학생의 K-MOOC 학습 경험에 대한 내용 분석

        박태정(Tae-Jung Park),나일주(Ilju Rah)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2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이 K-MOOC을 활용하여 학습함에 있어 강좌 선정의 동기, 학습활동 및 기술과 관련한 학습경험 및 그에 따른 교육적 효과를 이해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K-MOOC 강좌를 수강하여 학습한 94명의 한국 대학생이 작성한 개인별, 그룹별 성찰일지를 귀납적 내용분석 방법에 따라 수집 및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의 특정 K-MOOC 선정 및 수강의 주된 동기는 해당 주제에 대한 평소 관심과 흥미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적호기심, 전공공부 및 진로탐색, 오프라인 강좌와의 비교, 인기도 등이 그 뒤를 따랐다. K-MOOC 학습활동과 관련하여 학생들의 긍정적 경험과 부정적 경험은 주로 동영상 시청과 퀴즈 및 시험에서 야기된 것으로 드러났다. K-MOOC 기술에 대한 학생들의 경험은 대부분 긍정적이었으나 일부 학생들은 기술적 단순오류뿐 아니라 고급 학습분석 플랫폼 기술의 부재로 부정적 경험을 보고하였다. K-MOOC 학습경험을 통한 학습효과에 있어서는 지식(기억, 이해), 태도(감수), 기술 순이었다. 본 연구는 새로운 대중 온라인 학습환경인 K-MOOC 수업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학습경험을 비정형화된 자유 서술식 형태의 성찰일지를 통해 실제 학습자의 인식에 근거하여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추후 학습경험과 학습효과의 직접적인 관계에 대해 실증적인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understand the various aspects of learning experience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on K-MOOC. Analyses on the major motivation of the enrollment in a certain MOOC class, the actual learning experiences in the class and the perception of the achievement of the class were the three main foci of the current study. The study employed inductive content analysis as a major analysis tool. Reflective journals from 94 students who enrolled in K-MOOC class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t the end of the semester.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most of students selected the specific K-MOOC classes based on their general interests on the topics the class offered. Other factors such as intellectual curiosity, practical reasons for their study or work and popularity were also influential on the selection of MOOC classes. Watching videos, taking quizzes and taking tests were the three major sources of the students’ satisfaction. Most students felt that K-MOOC is technically satisfactory. However, some students reported on simple errors and absence of advanced functions in the platform. Students perceived positively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s of obtaining knowledge(remembering and understanding), attitudes (receiving), and skills through K-MOOC. This study ultimately showed a new awareness of learning experiences around K-MOOC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udents.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and the students’ performance in MOOC classes.

      • KCI등재

        Comparing American MOOCs and K-MOOC Paper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Korean Journal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조순정(Cho, Soon-jeong),이동현(Lee, Dong-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2

        동 연구는 국내 인문사회 유관 학술지의 미국 MOOC와 K-MOOC 연구 유형을 검토했다. 2012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에 출간된 MOOC 관련 논문 중,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인문사회 및 학제 간 분야 26개 등재지에 출간된 미국의 3대 MOOC, K-MOOC 문헌 총 52편을 체계적으로 고찰했다. 2015년 말 K-MOOC 출범 후, 약 3년이 지난 2019년 K-MOOC 논문이 수적으로 앞선 가운데, 두 유형의 MOOC 논문은 연구 형식, 자료 종류, 분석 기법 등 방법론에 큰 차이가 없었다. 연구 형식은 탐색형과 기술형이, 자료원은 설문조사에 의한 1차 자료가 압도적이다. 자료 분석은 추리 통계와 기술 통계가 대세이며, 표본 수는 200개 이하가 대다수였다. 반면, 계량 변수와 질적 변인의 유형은 크게 달랐다. 첫째, 미국 MOOC 연구는 만족도, 유용성, 태도 등의 매개/조절 변수가 포함된 개념 모형을, K-MOOC 연구는 중계 변수가 관여하지 않은 인과 모델을 주로 선택했다. 둘째, 전자의 문헌은 정량적 독립 변수로 MOOC의 인지된 유용성, 기대감, 적합성 등이, 종속 변수는 수용의도와 재사용이 주류였으나, 후자의 경우 독립 변수의 범주화가 힘들 정도로 다양했고 종속 변수는 수강 완료, 사용 중단, 학습 완료가 다수를 이뤘다. 셋째, 질적 방법에서 미국 MOOC 연구는 언어 습득, 교과 활용, 학습 동기가 주요 변인이나, K-MOOC 영역은 상호작용, 학습 평가, 과정의 질에 집중됐다. 넷째, 이론적 기반은 미국 MOOC 연구가 탄탄한 가운데, 분석 방식은 K-MOOC 연구가 다양했다. 끝으로, 연구 맥락에서 미국 MOOC는 플립러닝에, K-MOOC는 고등·직업 교육에 초점을 뒀다. Few comparative studies reveal the impact of American MOOCs (A-MOOCs) and K-MOOC in the Korean context. We conducted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the two MOOC platforms in the humanities, social science, and the related interdisciplinary field, comparing a total of 52 articles published in 26 Korea Citation Index-accredited journals in the period 2012-2019. The selected papers appear to recognize no apparent distinction between the two domains in terms of research design. Exploratory and descriptive are equally dominant research types, and primary data by survey method are common data forms. Overall, while the sample size is smaller than 200, inferential and descriptive statistics are widely used. However, research approaches clearly differ between the two: A-MOOCs studies utilize complex causal models combining mediators/moderators, whereas K-MOOC studies rely largely on simpler cause-effect frameworks. The former case primarily uses perceived usefulness, expectation, and conformation as independent factors, and intention to accept/re-use as key dependent factors. In contrast, the latter case selects various focal antecedents that are uncategorizable, including completion, drop-out, and accomplishment. The A-MOOCs context is mainly within flipped learning, yet many K-MOOC contexts relate to vocational learning. Lastly, K-MOOC papers outnumbered A-MOOCs articles in 2019.

      • KCI등재

        K-MOOC의 최근 변화 추세와 도전과제

        김명희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1

        K-MOOC is a Korean-style MOOC that was launched by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in 2015, when the Mass Online Open Courses launched in the US and Europe is called foreign MOO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change of operation compared with the trend of overseas MOOC for the past three years since the launch of K-MOOC, and to draw out the challenges and suggest implications accordingly. To do this, various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were collected and analyzed qualitatively based on literatur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that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National Institute for Lifelong Education have been continuously making changes in accordance with the established plans, and have reflected the changes in the overseas MOOC. Specifically, K-MOOC diversifies service development entities to respond to social demands and continuously encourages learning of associative lectures. It also creates an environment where students can always learn by always opening, and introduces overseas platforms with global MOOC lectures. It reflects how global MOOC operates overseas. In conclusion, it is proposed a way to enhance the social utility of global MOOC's profit model development and operation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business as a future challenge. 미국과 유럽에서 시작된 해외 대규모 온라인 공개강좌를 MOOC라고 한다면 K-MOOC는 2015년 한국 교육부의 주도로 출범한 한국형 MOOC이다. 이 연구는 K-MOOC 출범 이후 지난 3년 간 해외 MOOC의 추세와 비교하여 운영 상의 변화 추이를 진단하고 그에 따른 도전과제의 도출과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다양한 문헌들을 수집하여 문헌 분석 위주의 질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K-MOOC 총괄기관인 교육부와 주관기관인 국가평생진흥원은 수립된 계획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를 시도해왔고 그 과정에서 해외 MOOC의 변화의 흐름을 반영해왔음이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K-MOOC는 서비스 개발 주체를 다원화하여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고 지속적으로 연관 강좌의 학습을 유도하고 있으며 상시 개방으로 언제나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나아가 해외 플랫폼과 MOOC 강좌를 도입하는 등 일부에서 해외 MOOC의 운영방법을 반영하고 있음이 발견된다. 결론에서 향후 도전과제로서 사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K-MOOC의 수익형 모델 개발・운영과 이수증의 사회적 효용성 제고를 강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동아시아 로컬 무크의 현황과 과제 -JMOOC와 K-MOOC의 비교-

        윤지현,황영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종합연구원 2017 사이버교육연구 Vol.11 No.1

        Recently, Open Education has been brought into light within the education field of study, bringing many to draw their attention to 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 This study has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most representative Local MOOC of the Eastern Asia region: Japan’s JMOOC, and Korea’s K-MOOC. The comparison was done looking at the following three factors in detail: (1)Background and purpose, (2)Features of provided courses, (3)Features of enrolled students. Also, meta-analysis was performed on studies that were done and/or related to MOOC within databases of the Korean and Japanese academic articles. The meta-analysis takes a look at: (1)Current trends and future prospects, (2)Demand analysis and evaluation on MOOC, (3)Design layout of the MOOC, (4)Development and study results of its implementation. Lastly, based on the course analysis of local MOOC and the results of meta-analysis on the studies, the conclusion proposes (1)Strategies for Korean styled MOOC and (2)Potential for foreign language education using MOOC. 최근 교육 분야에서 오픈 에듀케이션이 주목을 받으며 무크(MOOC: Massive Open Online Course)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동아시아 지역의 대표적인 로컬 무크인 일본의 JMOOC와 한국의 K-MOOC를 비교 분석했다. 구체적으로는 ①배경과 취지, ②제공하는 강좌의 특징, ③수강자의 특징을 중심으로 비교했다. 이어서, 한국과 일본의 연구문헌 데이터베이스에서 MOOC를 키워드로 검색하여 해당 논문을 정리한 후, 이들 논문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했다. 메타분석에서는 ①현재의 동향과 앞으로의 전망, ②MOOC의 수요 분석과 평가, ③MOOC의 설계, ④MOOC의 개발과 실시에 관한 연구 성과에 대해 고찰했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로컬 무크의 코스 분석과 연구 논문의 메타분석결과를 바탕으로 (1)한국형 무크 운영을 위한 전략과 (2)무크를 활용한 외국어 교육의 가능성에 대해 제언했다.

      • KCI등재

        K-MOOC의 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신희경,이지원,이종하 한국IT정책경영학회 2022 한국IT정책경영학회 논문지 Vol.14 No.1

        This study intends to study th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K-MOO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major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K-MOOC using the Unified Technology Adoption Theory (UTAUT). The collected data of 100 university students and workers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8 and AMOS 18 programs. Structural equation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performance expectations, social influence, and facilitation condition factors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K-MOOC. It was found to be insignificant as it did not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the K-MOOC.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helpful to practitioners in adopting and promoting K-MOOC, and by providing practical implications for activating K-MOOC, the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the right direction for establishing policies and systems.

      • KCI등재

        K-MOOC 플랫폼 환경을 고려한 판매외국어강좌 설계 및 개발 연구

        이선희,원종민,윤호숙,정현혁,김희진,박헌일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9 외국어교육연구 Vol.33 No.1

        After MIT initiated the OER (Open Education Resources) movement in 2002, online platforms have led the way in spreading higher education around the globe. South Korea is no exception, and many universities in the country are offering courses via the K-MOOC platform. However, conversational language courses have not been offered from 2015 to 2017. The lack of interaction makes it difficult for large-scale conversational classes to be successful in an online platform. In this paper, we look into existing constructivist instructional design models, objectivist instructional design models, and representative models developed for online education. We modify and apply the findings to construct an effectiv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for a conversational language course to develop ‘a language course for sales representatives. The linear-structured NBISD model based on the ADDIE model is modified into a circular structure, and we take advantage of rapid prototyped models to apply the early feedbacks received right after initial development. Moreover, our model was designed so that feedbacks received throughout the course period could be incorporated. After the instructional design stage, we developed and analyzed the course based on the design. Lastly, we propose a circular course structure that reflects both student and expert feedbacks. 공개교육자원운동이 2002년 MIT에서 시작된 이래 고등교육이 온라인플랫폼을 통해 대중화되는 현상이 전 세계적으로 이어져 왔다. 이런 흐름에맞물려 국내에서도 2015년부터 K-MOOC 플랫폼에서 국내 유수의 대학들이 강좌를 개설하였다. 그러나 2015년부터 2017년까지 3년의 기간 동안K-MOOC플랫폼에는 외국어회화 수업이 개설되지 못했다. 온라인교육이갖는 상호작용의 한계는 대규모공개강좌의 회화수업 개설에 적지 않은어려움을 주고 있다. 이에 본고의 연구진은 기존 객관주의 교수설계체제모형, 구성주의 교수설계체제 모형, 온라인 교육을 위한 교수설계체제 모형 중 전형적인 것들을 검토하고 온라인 회화수업에 적합하도록 변형하여 판매외국어강좌를 개발해보았다. 본고가 개발한 교수설계체제는ADDIE 체제를 기반으로 하는 NBISD 모형의 단점인 선형성을 극복하여순환적으로 작용하게끔 변형하였다. 또한 원형검토(Rapid Prototype) 방식의 장점인 초기개발 후 얻어진 피드백을 강좌에 반영하였다. 뿐만 아니라 개강이후 주어지는 피드백도 운영 중 최대한 반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교수설계모형을 구상한 후에는 설계 모형에 맞추어 강좌를 분석하고기획 개발하였다. 또한 전문가의 피드백과 학습자의 평가를 수업에 반영하여 순환성 있는 강좌 운영방식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K-MOOC(Korean Massive Open Online Course) 서비스 사용성 평가

        전혜미(Jeon, Hye Mi)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3

        현재 IT기술과 대학 강의 콘텐츠를 융합한 MOOC 서비스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많은 학습자들은 MOOC 서비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분야의 실용적인 강좌를 학습하거나, 분야별로 단계별 학습 과정을 수강해 체계적인 학습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형 MOOC 서비스인 K-MOOC의 인터페이스와 학습 상황 속에서의 인터랙션에 관한 사용성 평가를 통해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헌조사를 통해 MOOC와 K-MOOC의 이해를 돕고, 휴리스틱 평가 방법론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평가 항목을 구성하여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를 통해 평가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인터페이스 측면에서는 주사용자들의 서비스 이용 목적과 플로우를 고려한 서비스 설계와 직관적이고 간결한 시각적 요소 사용 및 배치를 통해 사용성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학습 상황에서의 인터랙션 측면에서는 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을 높이기 위해 대화형 커뮤니케이션을 고려한 서비스가 필요하고, 명확하고 정확하게 학습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서비스의 신뢰도와 사용자의 만족감을 높여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K-MOOC의 주요 기능에 대한 인터페이스와 인터랙션에 대한 연구를 통해 서비스를 유용하게 사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하나의 사이트에 국한된 평가라는 한계점이 있다. 향후 개선 가이드라인을 적용한 서비스의 시험운영을 실시하고 사용자 대상의 검증 및 평가 통해 가이드라인의 구체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 진다. MOOC service, which combines IT technology and contents of university lectures, is rapidly expanding. Many learners use MOOC services to learn practical courses in various fields. In addition, they can take a step-by-step learning process in each field, and can systematically learn from the basic stage to the deepening st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the interface and interactions in learning situation and to suggest improvement directions for K-MOOC, a Korean MOOC service. Through literature surveys, I helped to understand MOOC and K-MOOC. The evaluation items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heuristic evaluation methodology and previous studies. The evaluation was conduct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s. As a result,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service should be designed considering the purpose and flow of service use of main users, and the usability should be increased by using and arranging intuitive and concise visual elements. The result of the interaction evaluation of the learning situation was that the service for the interactive communication was necessary. In addition, it should be able to confirm learning progress clearly and accurately, so that service reliability and user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will be useful to use the service effectively by studying the interface and interaction of the main functions of K-MOOC. However, there is a limit to the evaluation that is limited to one site. It will be necessary to carry out the trial operation of the service applying the improvement guidelines in the future and to make efforts to specify the guidelines through the verification and evaluation of the users.

      • KCI등재

        K-MOOC 수업 이수자와 미이수자의 이러닝 준비도와 이러닝 학습전략 비교분석

        도현미,김민정 한국교육방법학회 2019 교육방법연구 Vol.3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e-learning readiness and learning strategies between K-MOOC graduators and non-graduators and identify the core learning strategy factors differentiating the graduators from the non-graduator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K-MOOC attendants. Out of the 181 persons who responded to this study voluntarily, 109 persons who graduated from the K-MOOC course and 65 ones who did not were sampled. For this analysis, T-test and Logistics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e-learning readines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etween the two groups, while e-Learning strategy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m.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core e-Learning strategies differentiating the graduators from the non-graduators were expression and time-management strategies. This study may well be significant in that it empirically determined the MOOC graduators’ learning characteristics in comparison with the non-graduators and thereby, suggested a learning guideline for e-Learning. 본 연구의 목적은 K-MOOC 수업 이수자와 미이수자의 이러닝 준비도와 이러닝 학습전략에 차이가 있는지, 이수자와 미이수자를 구분하는 핵심적인 학습전략 요인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K-MOOC 수강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발적으로 응답한 총 181명의 데이터 중 이수자 109명과 미이수자 65명, 총 174명의 자료가 분석자료로 활용되었으며, 이를 위해 t검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이수자와 미이수자의 이러닝 준비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러닝 학습전략은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수자와 미이수자를 구분하는 핵심적인 이러닝 학습전략 요인은 표현전략과 시간관리 전략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수자와 미이수자로 구별되는 MOOC 학습자의 특성을 경험적으로 규명하고 학습가이드를 제시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글로벌 무크를 위한 한국어 교육 모형 개발

        김성숙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6 리터러시 연구 Vol.- No.16

        This study developed a Korean language teaching model for making a global MOOCs contents. As a minor language teaching model, this model is based on the organizing principle of the national flag of Korea. The specialty of these 4 steps in the model is the task process following the theory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e purpose of the analysing task is to raise the critical literacy for the 21st global intellectuals. The activation of Korean MOOCs will affect as follow: First, the cost for developing the same curriculum will be saved sharing the best courses in the nationwide universities. Second, increasing oversea students will improve the various index in Korea in the future including the higher education needs. Third, Korean MOOCs will enhance the value of the national brand, K-education will create the labor needs such as facilitators or curators for managing blended learning or flipped learning using K-MOOCs. 본고에서는 글로벌 무크를 위한 한국어 교육 모형을 개발한 뒤 적용한 사례를 소개하였다. 소수 언어인 한국어 교육 모형은 한국적 상황의 특수성을 반영하기 위해 태극기의 구성 원리에 기반을 두었다. 본 4단계 언어 교육 모형의 특징은 유학생으로서 왜 한국어로 특정 과제를 수행해야 하는지, 이 장르는 평소에 어떤 맥락에서 생성되고 유통되며 누구의 이익에 기여하는지를 검토하는 비판적 담화 분석 과정을 따른다는 점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21세기 글로벌 지식인에게 필요한 비판적 문식성을 기를 수 있다. 한국어 무크 교과의 국내외 활성화로 예상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국내에서는 대학 간 우수 강의를 공유함으로써 동일 강의 개발에 중복 투자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둘째, 평생교육의 저변을 확대하고 해외 유학생을 유입함으로써 학령인구 급감으로 인한 고등교육 인구 감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셋째, 대외적으로 국가 브랜드를 제고함으로써 교육 한류 관련 수요를 창출할 수 있다.

      • KCI등재

        중국 인문 교양과목의 새로운 대안 一 ‘근현대 중국의 지식인들-인간을 묻다’ MOOC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한지연,이은상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23 한중언어문화연구 Vol.- No.69

        This paper aims to suggest new possibilities for Traditional China liberal arts courses by focusing on the case of the development of the K-MOOC course “Modern and Contemporary Chinese Intellectuals”, which was developed in 2022 as part of the MOOC projects. There are two main categories of research contents. First, this paper describes the course development and operation processes of platforms of XuetangX & K-MOOC, and the current status of Chinese humanities-related courses on both platforms. Second, this paper discuss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Modern and Contemporary Chinese Intellectuals” course and the actual use of the course from the developer’s point of view. The study found that the importance of the MOOC platform in terms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courses, sharing and spreading knowledge, and the need to develop Traditional China liberal arts courses. In addition, the study was able to prove that the contemplation and exploration of human life, which has been carried out by the humanities, is also possible in ICT-based MOOC courses. 본 논문에서는 2022년 K-MOOC 강좌 ‘근현대 중국의 지식인들-인간을 묻다’의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중국 인문 교양과목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둔바, 크게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측면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중국의 최대 온라인 학습 플랫폼인 쉐탕X와 한국 K-MOOC의 플랫폼을 중심으로 각 플랫폼의 강좌 개발 운영 프로세스 및 두 플랫폼에 개설된 중국 인문학 관련 강좌 현황을 살펴보았다. 둘째, 무크 개발자의 관점에서 해당 강좌의 개발 과정과 실제 활용된 사례를 논했다. 본 연구를 통해 수강의 효율성 제고, 지식의 공유와 확산이라는 측면에서 무크 플랫폼의 중요성 및 고전을 텍스트로 삼아 ‘문사철’을 아우르는 인문 교양과목 개발의 필요성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지금까지 인문학이 수행해온 인간의 ‘삶’에 대한 사색과 탐구가 ICT 기반의 무크 강좌에서도 충분히 가능하다는 점을 입증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