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대학생의 온라인 공개강좌(MOOC) 수용 요인 - 확장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하여 -

        조순정(Cho Soon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9

        온라인 공개강좌(MOOC)는 미국의 주요 MOOC들이 2012년 서비스를 개시한 이 후, 현재 성숙기에 접어드는 단계이다. 하지만 국내의 교육정보화 분야에서 MOOC 학술 연구는 아직 미진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혁신확산이론과 확장기술수용모델을 근거로 국내 대학생들의 MOOC 수용에 관한 요인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E-러닝 관련 선행 연구들이 입증한 이론적 모형과 최근 해외 연구자들이 제시 한 MOOC 수용 요인들을 결합시켜 연구 모형과 가설을 마련하였다. 방법론은 두 가 지의 다른 자료원을 정성·정량적으로 분석하는 혼합기법(Mixed Method) 방식의 설 명적(Explanatory) 연구이다. 우선 연구 1단계로써 2차 자료를 내용분석에 따라 예비 조사한 결과, 기존의 국내 E-러닝 및 해외 학습자들의 MOOC 수용 요인들과 국내 대학생들의 MOOC 수용 요인들은 전반적으로 일치함을 발견하였다. 예비조사 결과를 토대로 후속의 본 조사 에서는, 서베이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정량적으로 분석, 동 논고에서 제시한 변인들 의 인과 관계 및 가설을 입증하고 연구 모형을 확정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 온라인 수업·교육 관한 문헌들이 충분히 설명할 수 없는 국내 학습자들의 MOOC 수용 현상을 사회기술적(Socio-technology) 관점의 모델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국내 정보화교육 분야에 기여하고자 한다. Grounded in Diffusion of Innovation Theory an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2,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factors influencing domestic undergraduate students’ acceptance of Massive Open Online Courses(MOOCs) in Korea. Drawing on overarching theoretical frameworks in Education Information, and employing dominant predictors that the latest studies on MOOCs address, an explanatory study will be conducted to confirm a causal conceptual model and its constructs. Also, the outcomes from a pilot test using secondary data sources conducted in August 2015 will be referred to the stage of main study. The pilot test by using content analysis shows that the majority of potential constructs are identical to those of the previous E-Learning and overseas MOOCs research. This study thus suggests the conceptual model and multiple hypotheses that will be confirmed by an subsequent empirical analysis in a quantitative way to investigate factors in the individual student s MOOCs acceptance. From the socio-technologial perspective, this research will make a contribution in fostering educational information research and filling a gap in the knowledge of Education Information, by explaining the acceptance phenomena of MOOCs that extant literature related to E-Learning and online education has not theoretically accounted for.

      • KCI등재

        이민자 부부의 영어 역량과 학습 의지가 배우자의 자존감과 행복감에 끼치는 영향-뉴질랜드 교민 사례

        조순정(Cho, Soon Jeong),이동현(Lee, Dong Hyun) 한국성인교육학회 2018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1 No.2

        비영어권 국가인 한국의 교민들이 영어권 거주국에서 발휘하는 언어적 능력은 현지 동화와 사회 활 동에 있어 중요한 도구이며, 가족 구성원의 삶에도 직간접으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 교민 부부의 영어 능력과 학습 의지는 자신은 물론 배우자의 자아 존중과 개인 행복에도 영향을 준다고 하겠다. 사회언어학 관점과 성인 교육 맥락에서, 동 연구는 해외 거주 부부의 영어구사 역량과 영어학습 의 지가 자존감과 행복감에 영향을 끼치는지 보았다. 이에 본 연구에 적합한 이론 모형인 행위자-상대 자 상호의존모델(APIM)을 근간으로 자신(행위자)과 배우자(상대자)간 독립 변수(영어구사 역량․ 영어학습 의지)와 종속 변수(자존감․행복감)의 인과 관계를 설명하고자, 동 연구자들의 체류 경험 이 있고 현직 활동 중인 뉴질랜드에서 한인 부부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했다. 2017년 6 월부터 2개월 간, 현지의 교민 104쌍(총 208명)으로부터 온라인-오프라인 응답지를 수집하여 위 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배우자의 영어학습 의지는 물론 자신의 영어학습 의지 역시 배우자 의 자존감과 행복감에 각각 유의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부부의 영어구사 역량은 배 우자의 자존감 및 행복감에 주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음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뉴질랜드 이민자 부 부의 경우, 현재 각자의 영어구사 역량보다는 공동의 영어학습 의지가 자신은 물론 배우자의 자아 존중과 개인 행복에 강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부부가 참여하는 과정이나 공동의 관심 주제를 반영한 현지 성인영어 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번에 실험한 모델과 설명된 변수들 을 토대로, 타 영어권 국가들의 한인 부부를 대상으로 확장된 연구 조사를 통해 분석 결과의 일반 화를 꾀하고자 한다.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influences of language competence and learning intention on immigrants social activities in an English-speaking environment, thereby examining how the related factors interact with immigrant couples and their self-esteem and happiness. To to this, amongst Korean couples in New Zealand, this work tested multiple variables in English language competence and English learning intention on self-esteem and happiness; a research framework was first designed in line with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and theoretical variables were then arranged into the framework based on previous research on immigrants language competency and learning intention in English as well as self-esteem and happiness. A combined online-offlin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out New Zealand in June-August 2017, followed by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data collected from 104 Korean couples(i.e. 208 persons in conjugal relations). The results explain that English learning intention is significantly interdependent with the partner s self-esteem and happiness, while English language competence is little interdependent; in particular, among Korean-New Zealand couples, English learning intention of actors exerts the strong influence on self-esteem and happiness against their partners. To generalize the outcomes from this study, further research in different countries will be performed in more overseas Korean couples.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 능력과 대학생활 적응 관계 : 천안·아산 지역 국제 학생을 대상으로

        조순정(Cho, Soon-Jeong),전정미(Jeon, Jung-mi)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6

        본 연구는 많은 외국인 유학생이 있는 교육 도시임에도 유관 연구의 공백에 있는 천안·아산 지역국제 학생의 학습 능력과 대학생활 적응 관계를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2018년2학기와 2019년 1학기에 두 도시 내 4개 사립대 학부 과정의 10여 개국 재학생을 상대로 다국어로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외국인 학생의 학습 역량과 학교생활 적응 등에 관한 선행 연구를 토대로, 총 333명의 수집 자료를 한국어 성적(TOPIK 급수), 고교 성적(자기 평가), 대학 성적(지난 학기)과3대 변수를 포함하는 학업 역량 및 대인 관계, 수업 참여, 심리·신체 건강, 대학생활 만족을 변수로하는 대학생활 적응으로 나눠 상관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대학 성적은 한국어 성적과 유의한 선형관계가 없었다. 반면, 대학 성적과 고교 성적에서 정(定)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또한, 한국어 성적은학교생활 적응 변수 중에서 대학생활 만족, 대학 성적은 수업 참여 변수와 상호 간 연관이 있으나강도는 낮은 편이었다. 한편, 자기주도 학습력 및 전공교과·교양교과 학업 효능감은 수업 참여와대학생활 만족과 비교적 강한 선형 관계가 있는 가운데, 자기 효능감은 대인 관계에 뚜렷한 양(陽)의상관 값을 보였다. 이 연구는 수도권에서 벗어나 지역 대학의 연계를 통해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 능력과대학생활 적응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앞으로의 유학생 대상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모색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갖는다. 또한 상관관계가 밝혀진 각종 변수 간의 인과 관계를 설명할후속 연구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도 생산적인 결과라 할 수 있겠다. Our empirical study, in a quantitative manner, aims to see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ility to study and academic adjustment to university of the international students (IS) in the twin cities of Cheonan-Asan, whose Korean higher education research on local IS is scarce. To this end, we conducted a multilingual questionnaire survey on 333 undergraduate IS from over ten countries attending four private universities in these twin cities. Referring to the literature on the adaptation of IS to university, we carried out a twofold correlation test, including partial and bivariate correlations, broken up into three variables in academic achievement, as well as into six sub-variables in academic competence within the ability to study domain, as well as into four variables within the domain of academic adjustment to university. As a result, in academic achievement, the university credit scale (in the last semester) showed no significant linear relationship with the language competency scale (by TOPIK), while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high-school grading scale (by self-evaluation) and the university credit scale. Korean language competency in academic achievement correlated with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within the academic adjustment to university domain, and the university credit scale in academic achievement and participation in class within the same domain also stayed in a linear relationship.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low, however. Meanwhile, self-directed learning in the liberal arts, as well as major papers corresponding to academic efficacy, which are fall into academic competence, were also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in class within the academic adjustment to university domain. In contrast, self-efficacy in academic competence showed a relatively stronger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in the domain of academic adjustment to university. Several findings, however, differ from those of the literature in that, for instance, no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Korean language competency and university credits appeared. With a lesson from the multilingual questionnaire survey,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our research will involve future work by using a relevant theoretical model in higher education for local IS; one that will expla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significant variables that this work identified.

      • KCI등재

        한국형온라인공개강좌(K-MOOC) 연구의 동향: 한국학술지인용색인 논문의 주제범위 문헌고찰

        조순정 ( Cho Soon-Jeong ) 한국융합과학회 2021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0 No.4

        연구 목적: 본 연구는 2015년 10월 K-MOOC 출범 이후 5년간 소개된 K-MOOC에 관한 문헌 전반을 검토하여 그간의 연구 동향과 특성을 조사했다. 이를 통해, 국내 전 학계에서 K-MOOC를 주제로 삼은 기존 연구의 근거를 분류하고 향후 연구 방향에 정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2015년부터 2021년 4월까지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등재지와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총 63편의 K-MOOC 논문의 18가지 서지정보를 체계적으로 선별한 후, 주제범위 고찰방식에 따라 연구의 추이와 연구자별·기관별·학술지별 특성을 세분하며 연구의 유형을 분류했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 주목할 만한 발견 사항은, 첫째, 2020년 이후 K-MOOC 연구가 급감 중이며, 둘째, 약 70%의 논문이 인문사회·교양 학계에서 소개된 점, 셋째, 국공립 대학교의 K-MOOC 연구는 수적으로 미미한 기여를 하였으며, 넷째, 이공계 분야 학술지보다 예체능 영역의 학술지에서 K-MOOC 연구가 더 많았던 점, 끝으로, 과반이 넘는 논문은 탐색적 형태에 1차 자료원을 대거 사용하는 등 연구 방법 측면에서 편중된 점이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처음으로 그간 출간된 K-MOOC 전체 연구물의 공백과 지식의 간극을 인지할 수 있었고, 정부 당국의 K-MOOC 플랫폼의 기술적인 개선 계획에 맞추어 이공계 분야의 K-MOOC 연구 참여가 절실하며, 국공립 대학의 다방면의 연구 참여와 학술적 맥락의 이론적 접근 등 연구의 외연이 보다 확장될 필요가 있음을 보였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he research evidence on K-MOOC and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about future work and decision-making for new K-MOOC services by investigating K-MOOC literature published since October 2015. Methods: We undertook a scoping review in five categories by the research move in 2015-2021, including the significant features of the researchers, institutions, and journals, and the attribute of K-MOOC specific studies. To do this, we systematically collected 18 bibliographic data from a total of 63 papers published in the Korea Citation Index-accredited/candidate journals across all academic areas. Results: Highlighted results are: (i) the number of K-MOOC work has decreased since 2020; (ii) more than 70% of K-MOOC work was published in Humanities & Social Science; (iii) the government-established institutes made a minor contribution to the K-MOOC studies in number; (iv) Arts & Sports and inter-disciplinary journals introduced more K-MOOC studies than those of Natural Science & Engineering; and (v) the majority of the literature has rooted in exploratory research using primary data by relying on particular research methods. Conclusion: The implications from this pioneering scoping study include the classified key pieces of evidence for K-MOOC practitioners and their future work, the wide use of this scoping review in Korean higher education academia, and the considerations in five categories for decision-making on the education policies in terms of the K-MOOC services. This research also recommends eager participation in the studies on K-MOOC from national/public universities and a broader theoretical approach in the academic context.

      • KCI등재

        E-러닝 경험, MOOC 특성과 학습자 배경이 MOOC 수용 의도에 주는 영향

        조순정(Cho, Soon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3

        동 연구는 비영어권 국가인 한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MOOC 수용 요인을 규명하고 인과 관계를 종합적으로 설명하였다. 앞선, 2015년 연구 당시 소개한 E-러닝 기반의 개념 모형 위에 MOOC 특성과 학습자 배경에 관한 변인을 추가하여 설문 응 답, 인터뷰 내용과 토론방 자료를 분석했다. 2018년 1월부터 7월까지, 국내 4년제 대학생과 해외 거주를 포함한 사이버대 재학생 등 총 189명의 설문 응답을 조사한 결과, MOOC의 용이성과 함께 MOOC 강좌에 대한 해석 수준이 매개되어 MOOC 수용 의도에 영향을 준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MOOC의 유용성, MOOC 교수자와 상호작용과 MOOC에 접근했던 심리는 수용 의도에 끼친 영향이 유의하지 않았다. 학습자 배경에서는, 주관적 규범은 조절 효과로 작용했으나 수강자의 영어 실력은 조절 효과로 연관이 없었다. 한편, 설문지의 자유 서술(51명), 별도의 현장 면접(6명) 및 온라인 토론방(14명)에서 얻은 텍스트 자료를 질적으로 분석한 바, 영어학습 병행과 관심분야 지식 습득에 따른 유용성, 수강에 조건 없이 공개된 용이성, 교수자의 원어 민 발음에 따른 해석 수준과 시청각 효과에 의한 상호 작용이 MOOC 수용에 관계가있었다. 아울러, 교수자의 명성이 MOOC의 접근에 심리적으로 작용하였고, 보다 영어 실력을 높이려는 수강자의 의욕도 MOOC 수강 의지에 일조했다. 동 연구는 MOOC를 활용한 교육 현장의 플립러닝과 평생 학습을 위한 교육정보화는 물론 영어문 강의 도입에 관련된 K-MOOC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causal factors in Massive Open Online Course (MOOC) acceptance, explaining the cause-effect relationship across the key factors. Based on the conceptual model and findings from a pilot study conducted in 2015, this empirical research analyz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by adopting a mixed method. To sharpen the former research framework, it applied interaction theory as well as construal level theory and selected three constructs that may influence the acceptance of MOOC: E-learning experience, MOOC specificity, and learners background. This work, as the main study, then undertook a questionnaire survey in the first half of 2018, followed by text-based inquiries, face-to-face interviews, and online discussions in February/July 2018. Using survey data from 189 local/overseas Korean general and online university students, a series of multiple regressions identified ease of use in terms of E-learning and construal level within the context of MOOC specificity exerted an influence on MOOC acceptance, while the background of learners controlled the level of accepting MOOC; however, competency in English turned out to be insignificant. Freestyle replies, interviews, and online discussions revealed that not only improvement in English and knowledge acquisition by personal interest, but also the openness to all potential learners across the borders led to accepting MOOC. Interaction with a native-speaker accent and practical audio-visual tools were keys to selecting MOOC whereas the reputation of MOOC lecturers played a minor role psychologically in the MOOC s approach. Besides, the desire of the learners to improve their English skills affected the willingness to accept MOOC. This work will contribute to the utilization of MOOC in the area of lifelong and higher education, the application of MOOC to flipped-learning and the development of K-MOOC in delivering lectures in English.

      • KCI등재

        Comparing American MOOCs and K-MOOC Paper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Korean Journal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조순정(Cho, Soon-jeong),이동현(Lee, Dong-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2

        동 연구는 국내 인문사회 유관 학술지의 미국 MOOC와 K-MOOC 연구 유형을 검토했다. 2012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에 출간된 MOOC 관련 논문 중,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인문사회 및 학제 간 분야 26개 등재지에 출간된 미국의 3대 MOOC, K-MOOC 문헌 총 52편을 체계적으로 고찰했다. 2015년 말 K-MOOC 출범 후, 약 3년이 지난 2019년 K-MOOC 논문이 수적으로 앞선 가운데, 두 유형의 MOOC 논문은 연구 형식, 자료 종류, 분석 기법 등 방법론에 큰 차이가 없었다. 연구 형식은 탐색형과 기술형이, 자료원은 설문조사에 의한 1차 자료가 압도적이다. 자료 분석은 추리 통계와 기술 통계가 대세이며, 표본 수는 200개 이하가 대다수였다. 반면, 계량 변수와 질적 변인의 유형은 크게 달랐다. 첫째, 미국 MOOC 연구는 만족도, 유용성, 태도 등의 매개/조절 변수가 포함된 개념 모형을, K-MOOC 연구는 중계 변수가 관여하지 않은 인과 모델을 주로 선택했다. 둘째, 전자의 문헌은 정량적 독립 변수로 MOOC의 인지된 유용성, 기대감, 적합성 등이, 종속 변수는 수용의도와 재사용이 주류였으나, 후자의 경우 독립 변수의 범주화가 힘들 정도로 다양했고 종속 변수는 수강 완료, 사용 중단, 학습 완료가 다수를 이뤘다. 셋째, 질적 방법에서 미국 MOOC 연구는 언어 습득, 교과 활용, 학습 동기가 주요 변인이나, K-MOOC 영역은 상호작용, 학습 평가, 과정의 질에 집중됐다. 넷째, 이론적 기반은 미국 MOOC 연구가 탄탄한 가운데, 분석 방식은 K-MOOC 연구가 다양했다. 끝으로, 연구 맥락에서 미국 MOOC는 플립러닝에, K-MOOC는 고등·직업 교육에 초점을 뒀다. Few comparative studies reveal the impact of American MOOCs (A-MOOCs) and K-MOOC in the Korean context. We conducted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the two MOOC platforms in the humanities, social science, and the related interdisciplinary field, comparing a total of 52 articles published in 26 Korea Citation Index-accredited journals in the period 2012-2019. The selected papers appear to recognize no apparent distinction between the two domains in terms of research design. Exploratory and descriptive are equally dominant research types, and primary data by survey method are common data forms. Overall, while the sample size is smaller than 200, inferential and descriptive statistics are widely used. However, research approaches clearly differ between the two: A-MOOCs studies utilize complex causal models combining mediators/moderators, whereas K-MOOC studies rely largely on simpler cause-effect frameworks. The former case primarily uses perceived usefulness, expectation, and conformation as independent factors, and intention to accept/re-use as key dependent factors. In contrast, the latter case selects various focal antecedents that are uncategorizable, including completion, drop-out, and accomplishment. The A-MOOCs context is mainly within flipped learning, yet many K-MOOC contexts relate to vocational learning. Lastly, K-MOOC papers outnumbered A-MOOCs articles in 2019.

      • KCI등재

        컴퓨터매개의사소통(CMC)에 따른 학습자의 메타적 능력 변화와 학습자-교수자 관계 실증 모형: 코로나19 이후 대학 교육의 온라인 전환에 대하여

        조순정 ( Soon-jeong Cho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대학 교육의 온라인 전환에 상황에서 컴퓨터매개의사소통(CMC)에 의한 학습자의 메타적 능력 변화와 학습자-교수자 관계를 실증할 모형을 제시했다. 동 연구는 매체풍부성이론, 사회정보처리이론에 근거한 CMC 유관 문헌을 참고, 3대 메타적 능력과 인격적 관계에 대한 개념 모형을 구현 후, 2020년 1/2학기 천안 S대생 117명과 e캠퍼스에서 교환한 메시지를 내용분석하고, 동년 12월 102명의 온라인 설문 응답을 상관분석하여 모형의 신뢰성을 확인했다. 그 결과, 메시지 내용분석에서는 학습자의 메타인지, 메타정서, 메타사회 능력이 변인별로 두루 파악됐으나, 설문자료 상관분석에선 학습자의 메타인지, 메타정서 능력의 변화만 교수자 관계와 양(+)의 상관을 띠었다. 예비(Pilot) 연구로 진행한 동 연구는, CMC에 의한 온라인 교육으로 대학생의 메타적 능력 변화에 따른 교수자와의 관계를 밝히는 모델을 제시한 의의가 있으며, 2021년 1학기 후 설문 표본을 확대한 후속의 본(Main) 연구에서 각 요소 간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연구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Upon a full changeover to online education in response to the COVID-19 pandemic, this study aims to set out a research model examining changes in learner’s meta-ability and learner-teacher relations via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CMC) in the university. The research thus designed a conceptual framework that combines three different learner’s meta-abilities and learner-teacher relations by relying on CMC-related literature rooted in Media Richness theory and Social Information Process theory; to ensure the model’s reliability, it then conducted Content Analysis on the messages in the E-campus forum of Cheonan S-university where this researcher and 117 students exchanged during the second term of 2020, followed by Correlation Analysis on the online survey data from 102 students in late 2020. Empirical results showed that numerous constructs in meta-cognitive ability, meta-affective ability and meta-social ability were identified from the analyzed messages whereas only meta-cognition changes and meta-affect changes were in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arner’s and teacher’s relations. This pilot study is meaningful, as confirming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framework within the context of CMC to examine changes in meta-ability and learner-teacher relations. Future work in the form of main research to be taken with wider samples after the first term in 2021 will check to see the model’s validity by demonstrating a cause-effect relationship between three elements on changes in meta-ability and a set of variables in learner-teacher relations.

      • KCI등재

        가토 하악골 골신장 후 맥동전자기장이 조기 골경화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황경균,태형,송윤미,김도균,한성희,김인숙,순정,Hwang, Kyung-Kyun,Cho, Tae-Hyung,Song, Yun-Mi,Kim, Do-Kyun,Han, Sung-Hee,Kim, In-Sook,Hwang, Soon-Jung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2007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29 No.2

        Introduction: Distraction osteogenesis is widely used as for bone lengthening in patients with maxillofacial deformity and alveolar bone atrophy. One of the major problems in distraction osteogenesis is long consolidation period for 2-3 months, in which the devices have to be fixed on the bone to prevent relapse. It results in scar formation on the face, disturbance of mastication and speech.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stimulating effect of pulsed electromagnetic field on the early bone consolidation in distraction osteogenesis. Materials and methods: Total 10 rabbit were used (5 for control group, 5 for experimental group). A vertical osteotomy in the mandibular body was performed and the distraction device was fixed. After 5 days distraction was done 1mm per a day for 7 days. A pulsed electromagnetic field (38 Gauss, 60 Hz) was applied for 8 hours per day and it continued for 5 days immediately after distrac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Both groups were sacrificed after 2 weeks. Histological specimens with H&E and Masson Trichrome staining were made and histomorphometrically analysed with image analyser. Results: The device for distraction osteogenesis was displaced in one animal for each group, therefore, only four animals in both groups were evaluated. In both groups, a new bone formation was observed in the distracted area after 2 weeks. The bone formation was enhanced in the experimental groups ($31.76{\pm}8.68%$) compared with control group ($9.94{\pm}3.23%$), it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electrical stimulation with electromagnectic field may be effective in the early bone formation after distraction osteogenesis. Further studies with large number of animals are needed before clinical application.

      • KCI등재

        탄산아파타이트로 된 인공골과 소뼈에서 유래한 무기질 골의 초기 골전도에 대한 연구

        김도균,태형,송윤미,판휘,이수연,진임건,김인숙,홍국선,순정,Kim, Do-Kyun,Cho, Tae-Hyung,Song, Yun-Mi,Pan, Hui,Lee, Su-Yeon,Jin, Im-Geon,Kim, In-Sook,Hong, Kug-Sun,Hwang, Soon-Jung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2007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29 No.6

        Introduction: Although several types of calcium-phosphate coumpound have been frequently applied to osseous defects at maxillofacial area for many years, there is a controversy about its efficiency on bone conductivity comprared to xenograft bone substitute. Alloplastic carbonapatite has been introduced to improve disadvantages of hydroxyapatite and to mimic natural bone containing carbon elements. However, a preclinical study about its efficiency of osteoconductivity has not been reporte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arly osteoconductive potential of synthetic carbonapatite with multiple pores relative to anorganic bovine xenograft. Materials and methods: Total 5 beagle dogs were used for maxillary augmentation model. The control (anorganic bovine xenograft) and experimental groups (synthetic carbonapatite) were randomly distributed in the mouth split design. After bone graft, all animals were sacrificed 4 weeks after surgery. Histological specimens with Masson Trichrome staining were made and histomorphometrically analysed with image analyser.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paired t-test. Results: In both groups, all animals had no complication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relatively much new bone formation around and along the bone substitutes, whereas it was clearly reduced in the control group. The ratios of new bone area to total area, to material area and to the residual area excluding materials were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0.13{\pm}0.03,\;0.40{\pm}0.13,\;0.20{\pm}0.06$ respectively) than in the control group ($0.01{\pm}0.01,\;0.03{\pm}0.02,\;0.03{\pm}0.03$, respectively). And the differences between both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0.01, <0.01, respectively), while the ratio of material area to total area in two groups was not significant. Conclusion: Carbonapatite showed a high osteoconductivity in the early stage of bone healing compared to bovine derived anorganic bone substitute. This study suggests that this bone materials can be applied as a reliable bone substitute in the clinical treatment.

      • KCI등재

        쥐의 골수로부터 추출한 줄기세포를 이용한 조골세포로의 분화 유도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에 관한 분석 연구

        김인숙,태형,장옥련,이규백,박용두,노인섭,이종호,김명진,순정,Kim, In-Sook,Cho, Tae-Hyung,Zhang, Yu-Lian,Lee, Kyu-Back,Park, Yong-Doo,Rho, In-Sub,Weber, F.,Lee, Jong-Ho,Kim, Myung-Jin,Hwang, Soon-Jung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2005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27 No.1

        This study was aimed to characterize osteogenic potential of rat bone marrow stromal cells (BMSC) isolated with standard flushing method and investigate the plasticity of transdifferentiation between osteoblastic and adipocytic lineage of cultured BMSC. Unlike aspiration method in human, rat bone marrow was extracted by means of irrigation with culture media that elevates the possibility of co-extraction of committed osteoprogenitor, or preosteoblast or other progenitor cells of several types present inside bone marrow. The cultured stromal cells showed high ALP activity which is representative marker of osteoblast without any treatment. Osteogenic inducers such as Dex and BMP-2 were examined for the evaluation of their effect on osteogenic and adipocytic differentiation of stromal cells, because they function as osteoinductive agent in stromal cells, but simultaneously induce adipogenic differentiation. Osteogenic differentiation was evaluated by measuring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or mRNA expression of osteoblast markers such as osteopontin, bone sialoprotein, collagen type I and CbfaI, and in vitro matrix mineralization by von Kossa staining. Oil red staining method was used to detect adipocyte and adipocytic marker, aP2 and $PPAR{\gamma}2$ expression was examined using RT-PCR. It can be supposed that irrigation procedure resulted in high portion of already differentiation-committed osteoprogenitor cell showing elevated ALP activity and strong mineralization only under the supplement of $100{\mu}M$ ascorbic 2-phosphate and 10mM ${\beta}$-glycerophosphate without any treatment of osteogenic inducers such as Dex and BMP-2. Dex and BMP-2 seemed to transdifferentiate osteoprogenitor cells having high ALP activity into adipocytes temporarily, but continuous treatment redifferentiated into osteoblast and developed in vitro matrix mineralization. This property must be considered either in tissue engineering for bone regeneration, or in research of characterization of osteogenic differentiation, with rat BMSC isolated by the standard irrigation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