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주의 전후의 루마니아 민족주의와 ‘Old’ & ‘New’ Immigrant

        김정환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20 동유럽발칸연구 Vol.44 No.3

        The Romanians who had been separated to the east and west of the Carpathians until modern times, were able to confirm their identity, thanks to the permission of the Greco-Catholic Church by Habsburg Empire, the formation of intellectuals, and the influence of Western Enlightenment. On the basis of national awakening, perception, and cultural self-understanding, continuous exchange and reintegration of East-West Romanians was achieved. The opportunity of national awakening and self-awareness was none other than the reaffirmation and establishment of ‘Latinity’ based on ‘language’ and ‘history’. This Latinity later became a symbolic focal point confirming the national self-identity of modern Romanians. Romanian nationalism, which created an unique Romania in the whirlwind of World War II, experienced extreme, exclusive, racial and cultural realities, and in the socialist era, it also showed various features such as ‘power-style nationalism’ (in the sense that it is led by power organizations such as communist party and government) and ‘national communism’ (in the consisting of nations guarding foreigners and foreign forces). If the ‘migration’ of the interwar period and the socialist era is based on nation and nationalism in political situation, it can be underlined that the trend of ‘de-ethnicity’ and ‘deterritorialization’ has been strong based on the economic logic in the transition after 1989. After the Versailles system, the great movement of people in Romania changed the pattern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socialist regime in 1947. If the issue of ethnicity and identity in the Versailles system is based on ‘immigrant’, the concept of ‘emigrant’ stands out first in the socialist system. Romania’s ‘emigrant’ (or diaspora) is active over three periods, the first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to North America and Europe, the second in post-World War II asylum and escape from socialist Romania, and finally, after the Revolution in 1989 and the EU membership in 2007. Correspondingly, ‘immigrant’ can also be described as “old immigrant” from ancient times to the Versailles system, “old “new” immigrant” in the communist era, and “new immigrant” after the transition in 1989. The “old immigrant” refers to the Romanized Dacians like the historical successor of this land and their descendants, the Romanians. The “old ‘new’ immigrant” refers to the old Romanian who was newly introduced into Great Romania, through the integration with Transylvania, Bucovina and Basarabia after World War I. And finally, the “new immigrant” is a term encompassing migrants who have been active since the end of the socialist era and after the Revolution in 1989, the Romanians of the Republic of Moldova (formerly Basarabia). 근대에 이르기까지 카르파티아산맥의 동서로 분리되었던 루마니아인이 자기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은 합스부르크제국에 의한 그레코가톨릭교회의 허용과 지식인의 형성 그리고 서구 계몽주의의 영향에 기인하는 바이다. 민족의 각성과 인식 그리고 문화적 자기 이해를 바탕으로 동서 루마니아인의 지속적인 교류와 재통합이 이루어졌다. 민족 각성과 자기 인식이 가능했던 계기는 다름 아닌 ‘언어’와 ‘역사’를 근본으로 한 ‘라틴성(Latinity)’의 재확인과 확립이었다. 이 라틴성은 이후 근현대 루마니아인의 민족적 자기 정체성을 확인하는 상징적 구심점이 된다. 양차 대전의 소용돌이 속에서 하나의 루마니아를 만들어낸 루마니아의 민족주의는 극단적, 배타적, 인종적, 문화적 실상을 경험하며, 사회주의 시대에 이르러 권력형 민족주의, 민족 공산주의와 같은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양차 대전 및 사회주의 시대의 ‘이주’가 정치적 논리를 배경으로 민족성, 민족주의에 기반하고 있다면, 1989년 체제전환 이후는 경제적 논리를 배경으로 탈민족성, 탈영토화의 추세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베르사유 체제 이후, 루마니아에서 일어난 민족의 대이동은 1947년 사회주의 체제 수립과 함께 그 패턴을 달리하게 한다. 베르사유 체제에서 민족과 정체성의 문제가 ‘immigrant’에 기반을 두고 있다면, 사회주의 체제에서는 ‘emigrant’의 개념이 두드러진다. 루마니아의 ‘emigrant’ (또는 디아스포라)는 세 번의 시기에 걸쳐 활성화되는데, 첫 번째는 19세기 말 20세기 초에 이루어진 북미와 유럽으로의 이주, 두 번째는 2차 대전 이후 사회주의 루마니아에서 이루어진 망명과 탈출 그리고 마지막으로 1989년 혁명과 2007년 유럽연합(EU) 가입 이후이다. 이에 상응하여 ‘immigrant’ 역시 시기와 유형에 따라 고대부터 베르사유 체제까지의 “old immigrant”, 공산주의 시대의 “old ‘new’ immigrant” 그리고 1989년 체제전환 이후의 “new immigrant”로 설명될 수 있다. “old immigrant”는 이 땅의 역사적 계승자이자 로마화된 다치아 기층인과 그 후손인 루마니아인을 가리키며, “old ‘new’ immigrant”는 1차 대전 이후 트란실바니아, 부코비나, 바사라비아와의 통합으로 인해 대(大)루마니아로 새롭게 유입된 옛 루마니아인을 의미하고, “new immigrant”는 사회주의 체제 말기 및 1989년 혁명 이후에 활성화된 이주민들을 아우르는 용어로써 몰도바공화국(과거의 바사라비아)의 루마니아인이 주류를 이룬다.

      • KCI등재

        비이주배경 청소년의 이주민 권리 인정에 대한 국가 수준 제도요인 분석: 접촉이론을 중심으로

        정성경,박환보 한국비교교육학회 2023 比較敎育硏究 Vol.33 No.6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attitudes toward recognizing the diverse rights that immigrants should enjoy as humans change according to the level of institutionalization of equality in a country, with a focus on non-immigrant-background adolescents. Specifically, based on the contact theory that various types of 'contact' promote positive attitudes toward specific groups, the study examines the role that the nation's institutions can play as a contact environment. [Methods]The study utilizes data from international assessments such as PISA, MIPEX, and World Bank to analyze factors at the individual, school, and national levels. A hierarchical linear model is applied to identify factors at three levels. [Result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countries with a high level of institutionalization of equality, non-immigrant-background adolescents show positive recognition of the rights of immigrant adolescents. Second, adolescents who have direct contact with immigrant peers in the friend group and the attending school tend to have a more positive recognition of immigrant rights than those who do not. Third, there is an interactive effect between the level of institutionalization of equality and direct contact with immigrant peers within the school. [Conclusion] Direct contact with immigrant peers is crucial for non-immigrant-background adolescents to positively recognize the rights of immigrants, especially in peer groups where close relationships can be formed. Non-immigrant-background adolescents in countries with a high level of equality institutionalization tend to have a more positive recognition of immigrant rights, and state institutions guaranteeing equality can play a greater role in driving the attitude of non-immigrant-background adolescents in contact with immigrants, who are relatively distant in social relationships.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이주민이 인간으로서 누려야 하는 다양한 권리를 인정하는 태도가 국가의 평등성 제도화 수준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연구 대상으로 비이주배경 청소년에 초점을 두고 탐색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다양한 유형의 ‘접촉’이 특정 집단을 향한 긍정적인 태도를 촉진한다는 접촉이론에 기반하여, 접촉환경으로서 국가의 제도가 과연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분석자료로 국제학업성취도평가인 PISA, MIPEX, Worldbank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개인-학교-국가 차원의 요인을 확인할 수 있는 3수준 위계적 선형모델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등성의 제도화 수준이 높은 국가에서 비이주배경 청소년이 이주민의 권리를 더 긍정적으로 인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친구 집단 그리고 재학 학교에서 이주배경 또래와의 직접 접촉을 한 청소년이 그렇지 않은 청소년보다 이주민의 권리를 더 긍정적으로 인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평등성 제도화 수준과 학교 내 이주배경 또래와의 직접 접촉은 상호작용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주배경 또래와의 직접 접촉은 비이주배경 청소년이 그들에 대한 권리를 인정하는 데에 중요하며, 가까운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또래 집단에서의 접촉이 매우 중요하다. 선주민과 이주민 간 평등성 제도화 수준이 높은 국가의 비이주배경 청소년이 이주민의 권리를 더 긍정적으로 인정하며, 평등성을 보장하는 국가 제도는 비교적 사회적 관계 거리가 먼 위치에 있는 이주민과의 접촉하는 비이주배경 청소년의 인정 태도를 견인하는 데에 더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 KCI등재

        다문화 시대의 이주민 연극 -프랑스 사례를 중심으로

        임재일 ( Jaeil Lim ) 한국연극학회 2015 한국연극학 Vol.1 No.56

        1970년대 경제위기로 인해 일자리를 위협받게 된 프랑스 이주노동자들은 자신들의 권리나 인권을 스스로 지켜내야 했다. 이 과정에서 이주노동자는 이주민 연극을 통해 자신들이 처한 상황을 알리려 한다. 이주민 연극은 당시 수 백 개의 이주민 극단이 활동했을 만큼 활발했는데, 대부분의 공연이 알 아시파 극단처럼 거리나 파업 및 시위현장에서 이루어져 사회현실을 추구하는 앙가주망적인 성격에 가까웠다. 1980년대 이주민 연극은 정부의 新이주민정책으로 변화를 맞게 되는데, 젊은 이주민 2세대가 주도적으로 이 연극을 이끈다. 이전 시기의 극단과 달리 이들은 프랑스인이자 외국인으로서 자신들이 느끼는 정체성의 혼란이나 종교적 갈등, 또는 이질적인 문화를 다룸으로서 기존 사회와의 융화에 힘을 쏟는다. 정치적이거나 미학적인 측면보다는 이주민이 지역 사회에 쉽게 적응하도록 하는 사회적 성격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 이주민 연극은 프랑스 사회에 여러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오는데, 극을 통해 이주노동자가 겪고 있는 고충을 알렸고, 본인들이 처한 현실이 혼자만의 문제가 아니라 이주민 전체와 관련된 것임을 인식시켰으며, 외국인에 대한 차별이나 편견의 부당성을 제기하며 자신들도 프랑스 사회의 한 일원임을 당당히 밝힌 점이다. Immigrant workers in France had been under serious threat of losing their jobs due to the economic crisis in 1970’s. They had to fight for themselves to protect their own basic rights. In this regard, the immigrants wanted to let the world know more about their situation through immigrant theatres. In fact, there were hundreds of different immigrant theatre troupes, showing how active immigrant theatres were back then. Most of them took place on streets or near strike/protest scenes just like those of Al Asifa. As such, immigrant theatres showed a disposition towards the engagement movement in post-war France, in that they highlighted the social issues at hand.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new immigrant policy of the French government in 1980’s, immigrant theatres faced a period of transition mainly led by young, second-generation immigrants. Unlike their predecessors, they concentrated on bringing harmony between their world and the existing social order. To this end, the second-generation immigrants deal with topics like identity crisis, religious conflict, and alien culture they experience as both French and foreigner at the same time. In this stage, immigrant theatres put much bigger emphasis on their social functions than their political or aesthetic aspects so as to help immigrants better adjust themselves into local community. New immigrant theatres had some important implications to the French society. First, they raised public awareness on the difficulties immigrant workers were going through. Second, they convinced the community that their struggle is not confined to their own sakes alone, but extends to well being of all immigrants in the community as a whole. And third, they sent a strong message that they are also a part of the French society, raising their voice on the injustice in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against foreigners.

      • KCI등재

        이주배경 청소년의 정치적 관여에 대한 유럽 17개국 비교연구: 수용국의 이주민 통합 정책의 역할

        김형렬,유가현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미래교육학연구 Vol.36 No.3

        Most prior research has viewed the political engagement of immigrant-origin adolescents as an individual decision. However, we know that policy efforts to integrate immigrants into society can motivate immigrant-origin adolescents to engage in the host country’s political system. This article indicates that the host country’s policy context surrounding immigrant integration can influence immigrant-origin adolescents’ discussion of political issues and interest in politics in the host country over and above their individual and family attributes. To assess this relationship, we combine the 2009 International and Civic and Citizenship Education Study (ICCS) with the 2007 Migration Integration Policy Index (MIPEX). Our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HLM) meta analyses of 17 European countries show that in countries with more inclusive integration policies, immigrant-origin adolescents are substantially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political discussions and become interested in politics than their native peers. In particular, the inclusiveness of the legal-political dimension of immigrant integration policy appears to exert a strong influence on the political engagement of first-generation adolescents, while the inclusiveness of the socioeconomic dimension of immigrant integration policy, especially immigrant education policy, emerges as a key predictor for the political engagement of second-generation adolescents. Based on our findings, we also discuss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 KCI등재

        다문화국가 이민자 정착 정책 및 지원 서비스 분석: 미국과 캐나다 사례를 중심으로

        이로미,장서영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0 국제지역연구 Vol.14 No.1

        This paper analyzes immigrant settlement policies and services of the U.S. and Canada and compare them to gain policy implications for the better settlement support of woman immigrant spouses in Korea. In the U.S., the settlement support for immigrants is based on liberalism and is rather limited to the support on English acquisition and naturalization process. The reasons can be found partly from its culture that considers immigrants as self-sufficient and independent, and partly from the U.S.'s challenging condition of increasing illegal cross-borderers which ends up restricting the expansion of support for immigrant settlement. Canada, contrastingly, has rather firm societal agreement on the value of immigrant for the country's future and offers comprehensive immigrant settlement services which are based on multiculturalism by the well-structured system that links federal, provincial government and local NPOs(non-profit organizations). Korea has provided settlement policies and services for woman immigrant spouses who are the first immigrant group in Korean history. Even though the Korean government provides the settlement policies and services in the name of “multicultural policy", they are actually close to assimilation one. Also, the settlement services mainly focus on childcare and family relation improvement, which are too short to deal with their settlement-related needs. Therefore, the settlement policies and services for woman immigrant spouses in Korea should be expanded in order to meet their needs as an individual immigrant. 이 글은 ‘다문화 국가’ 로 분류되는 미국과 캐나다의 이민자 정착 정책 및 지원 서비스 체계 사례를 선택하여 비교ㆍ분석하고, 여성결혼이민자의 통합을 위해 다문화적 정책을 추구하고 있는 우리나라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미국은 주류사회로의 동화에 초점을 맞추어 이민자의 정착지원을 언어 습득 및 귀화 지원에 한정하고, 서비스의 제공도 자유방임주의에 근거하여 정부의 개입이 제한적이다. 이에 비해, 캐나다는 공동체주의에 근거한 다문화주의를 바탕으로 이민자들이 출신국의 정체성을 보존하면서도 사회에 통합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이민자 서비스 기관이 연방 정부의 재정지원을 받아 초기정착 서비스와 취업지원 서비스 등 다양한 정착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최초의 정착 이민자 집단이라고 볼 수 있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을 대상으로 한 정착 정책과 지원 서비스가 존재하지만, 다문화 정책이라는 이름하에 실제로는 동화주의를 지향하고 서비스가 대부분 자녀양육지원 및 가족관계 증진 등 아내이자 어머니의 역할 증진에 대한 지원에 집중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이 이민자 개인으로서 갖는 정착지원 요구에 대응하는 각종 서비스가 정부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 KCI등재

        이민 전·후의 연결망이 결혼이민자여성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우울도와 삶의 만족도를 중심으로

        이민아 한국보건사회학회 2010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27

        This study aims to examine if and how family and co-ethnic networks before and after immigration are associated with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arriage immigrant women in Korea. Data analyzed are from a survey in which 810 marriage immigrant women residing in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Depressive symptoms and life satisfaction are outcomes to captur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immigrant women. In the findings, immigrant women who had co-ethnic networks in Korea prior to immigration are likely to have greater depressive symptoms. Also, analyzing the effects of post-immigration networks, strong tie with spouse and family members are beneficial to psychological well-being. Co-ethnic networks after immigration, however, do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ve symptoms but have an advers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t 10% level. Finally, the findings show that timing of co-ethnic networks matters. Immigrant women who have co-ethnic networks before arriving in Korea or at both time points (i.e., before and after immigration) are more likely to have depressive symptoms than those who do not have any co-ethnic networks before and after immigration. Also, immigrant women who have co-ethnic networks at both time points are likely to have lower level of life satisfaction than their counterpar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y that co-ethnic networks/ties are not always beneficial to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uggest that further in-depth research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o-ethnic network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immigrant women in Korea should be conducted. 본 연구의 목적은 이민 전과 후에 형성된 한국 내 연결망이 결혼이민자여성의 심리적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데 있다. 분석 자료는 경기도가족여성개발원이 2006년에 수집한 ‘경기도내 국제결혼이민자가족에 대한 조사: 외국인 부인 가족’이며 응답자는 경기도에 거주하는 총 810명의 결혼이민자여성이다. 심리적 안녕감은 우울도와 삶의 만족도로 측정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다변량 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는 본국출신 동료와의 연결망이 결혼이민자여성의 심리적 안녕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민 전에 한국 내에 존재하였던 본국 출신 동료와의 연결망은 우울도와 정적 관계를 가졌으며 이민 후 한국 내에 형성된 본국 출신 동료와의 연결망은 삶의 만족도와 부적 관계를 가지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본국 출신 동료와의 연결망 효과를 이민 전후의 시점에 따라 구분하여 분석해 본 결과, 이민 전 혹은 이민 전후에 모두 본국 출신 동료이민자와의 연결망이 있다고 응답한 여성들이 연결망을 전혀 갖지 않은 여성에 비해 우울도가 높았다. 반면 이민 전후에 모두 본국 출신 동료와의 연결망이 있는 여성들은 동료와의 연결망이 전혀 없는 여성들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낮은 삶의 만족도를 가졌다. 본 연구는 본국 출신 동료이민자와의 연결망 혹은 연계(co-ethnic tie)가 결혼이민자여성의 심리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상식적인 예상을 벗어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이민 후, 즉 조사시점의 연결망뿐 아니라 이민 전의 연결망효과에 대한 좀 더 깊이 있는 연구와 조사가 필요함을 함의한다.

      • KCI등재

        베트남 중도입국 청소년의 이주 초기 적응에 관한 연구

        융티탄프엉,김기화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8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7 No.4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itial adaptation process of Vietnamese immigrant adolescents starting a new life in an unfamiliar country of Korea after leaving their own homeland.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performed. For the collection of data, the FGI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targeting total five immigrant adolescents from Vietnam.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most of the immigrant adolescents from Vietnam showed the ambivalence over the immigration to Korea because of the anxiety about unfamiliar immigration life and the expectation of a new start. Second, the immigrant adolescents who used to grow in Vietnam had the firm identity as Vietnamese even after entering Korea. Third, the immigrant adolescents from Vietnam were satisfied with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Korea. Fourth, the immigrant adolescents from Vietnam faced the difficulties such as communication, leisure life, and academic performance. Based on such results, this study aims to make suggestions as follows for more smooth immigration life of immigrant adolescents from Vietnam. First,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the support based on the connection of home, school, and community, so that the immigrant adolescents could be fully prepared psychologically for the immigration. Second, there should be the social support for the immigrant adolescents to become healthy members of society by pursuing the physical/psychological health and experiencing the sound and beneficial leisure life. Third, it would be necessary to consider Vietnamese as their mother tongue by developing the textbook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Vietnamese or supporting the teachers who can speak Vietnamese for the effective education of immigrant adolescents from Vietnam in the aspect of education. 본 연구는 모국을 떠나 한국이라는 낯선 나라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하는 베트남 출신중도입국 청소년들의 이주 초기 적응과정이 어떠한지를 다양한 차원에서 탐색하는 데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질적연구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자료수집은 베트남 출신 중도입국 청소년 5명에 대한 FGI를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베트남 출신 중도입국 청소년들은 대부분 낯선 이주생활에 대한 불안감과 함께 새로운 시작에 대한 기대감을 느껴 한국으로의 이주에 대한 양가감정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국에서 성장하던 베트남 중도입국 청소년들은 입국 후에도 베트남인으로서의 확고한 정체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이주생활에 있어 베트남중도입국 청소년들은 이주국인 교육 환경에 대한 만족감을 보이고 있었다. 넷째, 베트남출신 중도입국 청소년들은 의사소통, 여가생활, 학업수행에 있어 어려움에 직면하게 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 출신 중도입국 청소년들의 보다 원활한 이주생활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중도입국 청소년들이 이주에 대한 충분한 심리적 준비를 할 수 있도록 가정, 학교, 그리고 지역사회의 연계 방안이모색되어야 한다. 둘째, 중도입국 청소년들이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추구하며 건전하고유익한 여가생활을 경험함으로써 건강한 사회 구성원이 될 수 있도록 사회적 지지가 필요하다. 셋째, 교육적 측면에서 효과적인 교육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베트남어 특징을 반영한 교재의 개발이나 베트남어 구사가 가능한 교사 지원 등으로 그들의 모국어인 베트남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 KCI등재

        멕시코 코리안 이민사회의 형성과정과 문학의식 -『신한민보』와 『깍뚜스』의 작품을 중심으로-

        김환기 ( Kim Hwan-gi ) 한민족문화학회 2017 한민족문화연구 Vol.59 No.-

        본고에서는 멕시코 코리안의 `전기 이민사`와 `후기 이민사`의 형성과 전개과정을 짚고 문학텍스트를 통해 이민자/이민사회의 문화현상과 자기(민족) 정체성을 검토해 보았다. 한정된 텍스트로 검토에 한계는 있었지만, 구한말과 일제강점기를 전후해 발간된 『신한민보』와 글로벌시대의 문예잡지 『깍뚜스』는 초국가적 월경의 관점에서 멕시코 코리안들의 이주/재이주, 이민자/이민사회의 다양한 사회문화적 지점을 확인시켜 주었다. 특히 『신한민보』의 문학작품에서는 제국일본의 만행에 분개하며 해방조국을 위한 민족정신을 비롯해서 조국의 금수강산 예찬, 고향(조국)에 대한 그리움, `에니껜` 농장주의 착취와 억압, 희망을 잃어버린 `에니껜` 생활과 허무감 등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어 주목된다. 그리고 『깍뚜스』에서는 글로벌시대의 이민자/이민사회를 둘러싼 초국가주의, 열린 세계관, 인간의 심리(추리소설), 가족애와 인류애, 이방인 의식과 아이덴티티, 이문화와의 교류소통, 교회문화 등을 형상화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이러한 멕시코의 코리안 이민문학의 특징은 구소련권과 중국을 비롯해서 북미와 중남미 지역, 일본과 독일, 호주 등지의 이민문학과도 다른 역사적 사회문화적 지점이 아닐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멕시코 `에니껜`에 대한 연구는 답보상태에 머물고 있고 그들 이민자/이민사회를 표상하는 역사문화적인 기록물이 간행되지 못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코리안 이민사회는 물론이고 어떤 공동체의 역사적 사회문화적 활동의 약화와 기록문화의 부재는 결국 그 공동체의 구심점 상실과 정체성 약화로 이어질 수밖에 없음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examined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es of `early immigration history` and `late immigration history` of Mexican Korean and reviewed the culture phenomenon and self (national) identity of immigrants / immigrant community through literature text. Despite a limit due to limited literature text, 『Shinhanminbo』 published around the latter era of the Choson Dynasty and Japanese colonial era and 『Cactus』, which is a literary magazine published in the global era, identified diverse social and cultural points of migration/re-migration, immigrants/immigrant community of Mexican Koreans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national cross border. In particular, the literary works of 『Shinhanminbo』 are noteworthy that they show admiration for the country`s land of beautiful scenery, longing for hometown (country), exploitation and oppression of `HENEQUEN` farmers, `HENEQUEN` life and a sense of futility without hope including the ethnic spirit for the liberated country while being outraged at brutality of Imperial Japan. And a meaning can be found in 『Cactus』 in that open world view, human psychology (mystery novel), family affection and humanity, foreign consciousness and identity, interchange communication with other cultures, church culture and transnationalism surrounding immigrants/immigrant community in the global era were embodied. This feature of the Korean immigrant literature of Mexico is a historical socio-cultural point which is different from immigrant literature of North America and Central and South America, Japan and Germany, Australia including the Soviet Union and China. Nonetheless, research on the Mexico `HENEQUEN` remains at a standstill and it is a reality that historical and cultural records representing immigrants/immigrant community are not being published.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the weakening of the historical socio-cultural activities of a community as well as the Korean immigrant community and the absence of the recording culture is bound to lead to the loss of the pivot of the community and the weakening of the identity.

      • KCI등재

        부계 국제결혼가정의 삶과 교육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방글라데시 출신 결혼이주민 남성의 가정을 중심으로

        전은희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4 다문화교육연구 Vol.7 No.3

        The aim of this narrative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life and the education of a paternal international-marriage family whose marriage-immigrant man was from Bangladesh.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is paper shows the life of Bangladesh marriage-immigrant man’s family. The legal system and social attitude of Korea was not friendly for immigrant-worker and marriage-immigrant man, so that the couple of the family could not help but struggle for their marriage against social biases and institutional obstacles on marriage-immigrant man. After marriage, though the economic difficulties and everyday discrimination, they tried to strengthen the unity of family and leaded atransnational life with other immigrant-workers and Bangladesh relatives. Moreover, all family members including were bilingual even though the linguistic fluency among them varies noticeably. Since the marriage-immigrant man had taken Korean nationality a few years ago, the couple changed their mind and started to consider Korea as their permanent residence. Next, this paper shows the education of Bangladesh marriage-immigrant man’s family. Above all, the couple of the family not only revealed an open attitude on their multicultural background, but also tried to signify their differences affirmatively and positively. The marriage-immigrant man, furthermore, made an effort to show his kids authority and role-model as a father with the support and aid of his spouse and transmit his religious belief and cultural way of life to his kids. The wife of marriage-immigrant man tried not to internalize the partial, prejudiced attitude on the multiculture for herself and get along with the other immigrant-workers around her husband.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paper examined in what contexts the case family is located coming to the conclusion that there were contexts such as immigrant, cultural, social, domestic and intrepeted the meaning of connections and interactions between those contexts and their life and education. In additon to, this paper drew some institutional, academic,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future. 이 연구에서는 방글라데시 출신 결혼이주민 남성의 가정을 중심으로 그 구성원들의 삶과 교육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를 통해 방글라데시 출신 결혼이주민 남성이 속한 국제결혼가정의 삶에 대해서 알 수 있었다. 해당 부부는 낭만적 연애를 통해 결혼에 이르고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주변인들의 반대와 편견, 제도적 무관심을 겪고 있었다. 부부는 경제적 곤란과 차별적 시선을 겪으면서도 가족의 화목을 도모하고 있었으며 이주민 공동체와 방글라데시의 친족적 연망 속에서 초국가적 삶을 살고 있었다. 가족 구성원들은 모두 이중언어 사용자였으며, 부분적으로 이슬람 전통과 문화를 체화하며 살아가고 있었다. 또 한국 거주가 길어짐에 따라 이주민 남성은 한국에서의 영구 거주를 결심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이 연구를 통해 방글라데시 출신 결혼이주민 남성이 속한 국제결혼가정의 교육에 대해서 알 수 있었다. 해당 가정의 부부는 다문화적 배경에 대해 개방적 태도를 취하고 있었으며 자녀들이 차이에 대해 긍정적으로 지각하도록 유도하고 있었다. 배우자 여성은 자녀들에게 아버지의 권위와 역할을 강조하고 있었으며, 자신의 종교적, 문화적 전통을 지켜나가고자 하는 남편을 지지하고 있었다. 아울러 해당 여성은 자녀들이 다문화에 대한 한국사회의 차별과 편견의 시선을 내면화하지 않도록 자신부터 이러한 차별과 편견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였다. 이상을 기초로 방글라데시 출신 결혼이주민 남성이 속한 국제결혼가정의 이주경제적 맥락, 문화적 맥락, 사회적 맥락, 가정적 맥락과 그 구성원들의 삶과 교육의 관련에 대해 논의하였다. 아울러 부계 국제결혼가정 및 다문화 일반에 관한 정책적, 학술적,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후보

        한국 이민정책의 배제・동화프레임 : 이주노동자와 여성결혼이민자정책을 중심으로

        김태환 한국이민정책학회 2016 한국이민정책학회보 Vol.1 No.1

        한국의 이민정책은 이주노동자에게는 배제지향의 정책프레임으로 작동하고 여성결혼이민자에게 는 동화지향의 정책프레임으로 작동하여 프레임의 충돌현상을 낳고 있다. 이는 한국이 이민자를 사 회 공동체 안에서 수용하고 통합하기보다는 대상에 따라 구분하여 갈등을 더 확대하고 있다는 지적 을 하게한다. 이 글은 이러한 정부 이민정책의 이중성 프레임이 이미 상당부분 고착화되어 가고 있 음에 주목하였다. 이에 이를 진단하여 통합프레임으로 전환하기 위한 방향을 모색하는데 글의 초점 을 둔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 이민정책이 시기별로 어떻게 형성 되어왔는지를 살펴본다. 그리고 시 기별 상황논리에 따라 자연스럽게 정책의 대상으로 주목되며 선택된 이주노동자와 여성결혼이민자 에 대한 정책내용을 정책목적. 정책수단, 행위자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이의 배제적 특성과 동화적 특성을 살펴본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글이 제시하고자 하는 것은 대상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는 정책의 두 프레임이 장차 통합프레임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글의 함의는 이주노동자와 여성결혼이민자는 이민자라는 하나의 정책범주 안에 있으며 따라서 그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의 목 적도 다르지 않다는 것에 있다. The Korean immigration policy displays a dual frame. Viewing from outside it looks accommodating and integrating the foreign immigrants residing in the Korean society without discrimination, under the name of 'multicultural policy', but the reality of the policy is not quite like that. The target for the detailed practice of the immigration policy is to integrate all the residence within Korea and to promote common prosperity. It is also macroscopically for the all the residence of Korea and resident aliens, and microscopically for the mid-and long stay foreigners who have migrated and lived in Korea over one year. The numbers of the mid-and long term stay foreigners in Korea are approximately over 1.80 millions as of 2015. The composition of their population is classified into: about 560 thousand immigrant workers; about 180 thousand marriage immigrant women, about 300 thousand Chinese-registered Korean Chinese, about 80 thousand foreign students, and then undocumented foreigners. The issue is that the Korean immigration policy has conflicting political approaches towards those immigrant workers and the marriage immigrant women specifically, among the immigrants. The main targets of the current immigration policy for foreign residents are the immigrant workers and marriage immigrant women, excluding the Koreans with foreign nationality and the foreign students whose population is relatively small. Considering the not-so-long experience of the Korean immigration policy and the short history of emigration to Korea, it might seem to be not strange or unproblematic that the different or conflicting approaches to the different classes of the immigrants. However, the analysis results and insides of the Korean immigration policy has revealed that the political aspects of the policy is not desirable, furthermore, it may be a quite negative policy against social integration of the members of the national community in the future. A large part of such dual framework of the government's immigration policy already has set in. However, the very dualism that applies differently to the different target has gradually become the keyword questioning the flexibility, openness and the acceptability of the Korean society. Both the exclusion policy for the immigrant workers that justifies seeking economic benefit, and the assimilation policy for the marriage immigrant women that premises unconditional assimilation into the nation are excessively national oriented and one sided policies. The dual framework of Korean immigration policy is influenced by the policy that differentiates relevant ministry according to the target, however, more fundamental background of the dual framework arises from the deep-rooted homogeneous-, monoculture-myth mindset of Korean society, and the patriarchal way of thinking, as well as downrating attitude towards the workers. Thus, in order to convert Korean immigration policy with the above background to a new policy structu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eta framework that can reopen and accept, as well as achieve true social integration of the Korean natives and the immigrants is very urgent. It is because the analysis result of this research has revealed that the dual framework of the current Korean immigration policy tends to bring about more undesirable results with time, therefore, it seems an inappropriate policy for the coexistence of the future natives and the immigrants in Korea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