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 이민정책의 배제・동화프레임 : 이주노동자와 여성결혼이민자정책을 중심으로

        김태환 한국이민정책학회 2016 한국이민정책학회보 Vol.1 No.1

        한국의 이민정책은 이주노동자에게는 배제지향의 정책프레임으로 작동하고 여성결혼이민자에게 는 동화지향의 정책프레임으로 작동하여 프레임의 충돌현상을 낳고 있다. 이는 한국이 이민자를 사 회 공동체 안에서 수용하고 통합하기보다는 대상에 따라 구분하여 갈등을 더 확대하고 있다는 지적 을 하게한다. 이 글은 이러한 정부 이민정책의 이중성 프레임이 이미 상당부분 고착화되어 가고 있 음에 주목하였다. 이에 이를 진단하여 통합프레임으로 전환하기 위한 방향을 모색하는데 글의 초점 을 둔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 이민정책이 시기별로 어떻게 형성 되어왔는지를 살펴본다. 그리고 시 기별 상황논리에 따라 자연스럽게 정책의 대상으로 주목되며 선택된 이주노동자와 여성결혼이민자 에 대한 정책내용을 정책목적. 정책수단, 행위자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이의 배제적 특성과 동화적 특성을 살펴본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글이 제시하고자 하는 것은 대상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는 정책의 두 프레임이 장차 통합프레임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글의 함의는 이주노동자와 여성결혼이민자는 이민자라는 하나의 정책범주 안에 있으며 따라서 그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의 목 적도 다르지 않다는 것에 있다. The Korean immigration policy displays a dual frame. Viewing from outside it looks accommodating and integrating the foreign immigrants residing in the Korean society without discrimination, under the name of 'multicultural policy', but the reality of the policy is not quite like that. The target for the detailed practice of the immigration policy is to integrate all the residence within Korea and to promote common prosperity. It is also macroscopically for the all the residence of Korea and resident aliens, and microscopically for the mid-and long stay foreigners who have migrated and lived in Korea over one year. The numbers of the mid-and long term stay foreigners in Korea are approximately over 1.80 millions as of 2015. The composition of their population is classified into: about 560 thousand immigrant workers; about 180 thousand marriage immigrant women, about 300 thousand Chinese-registered Korean Chinese, about 80 thousand foreign students, and then undocumented foreigners. The issue is that the Korean immigration policy has conflicting political approaches towards those immigrant workers and the marriage immigrant women specifically, among the immigrants. The main targets of the current immigration policy for foreign residents are the immigrant workers and marriage immigrant women, excluding the Koreans with foreign nationality and the foreign students whose population is relatively small. Considering the not-so-long experience of the Korean immigration policy and the short history of emigration to Korea, it might seem to be not strange or unproblematic that the different or conflicting approaches to the different classes of the immigrants. However, the analysis results and insides of the Korean immigration policy has revealed that the political aspects of the policy is not desirable, furthermore, it may be a quite negative policy against social integration of the members of the national community in the future. A large part of such dual framework of the government's immigration policy already has set in. However, the very dualism that applies differently to the different target has gradually become the keyword questioning the flexibility, openness and the acceptability of the Korean society. Both the exclusion policy for the immigrant workers that justifies seeking economic benefit, and the assimilation policy for the marriage immigrant women that premises unconditional assimilation into the nation are excessively national oriented and one sided policies. The dual framework of Korean immigration policy is influenced by the policy that differentiates relevant ministry according to the target, however, more fundamental background of the dual framework arises from the deep-rooted homogeneous-, monoculture-myth mindset of Korean society, and the patriarchal way of thinking, as well as downrating attitude towards the workers. Thus, in order to convert Korean immigration policy with the above background to a new policy structu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eta framework that can reopen and accept, as well as achieve true social integration of the Korean natives and the immigrants is very urgent. It is because the analysis result of this research has revealed that the dual framework of the current Korean immigration policy tends to bring about more undesirable results with time, therefore, it seems an inappropriate policy for the coexistence of the future natives and the immigrants in Korean society.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국내 지방자치단체의 상호문화도시 프로그램 참여 연구

        오정은 한국이민정책학회 2020 한국이민정책학회보 Vol.3 No.1

        한국 정부는 2000년대 중반부터 이민배경을 가진 개인에게 사회적응에 필요한 각종 지원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민자 사회통합 정책을 전개하였다. 다문화정책이라 불리는 한국의 이민자 사회통합 정책은 10여 년이 흐르 면서 이민배경이 있다는 이유로 특혜를 주는 것은 일반국민에 대한 역차별이라는 비난에 직면하게 되었다. 한국 보다 앞서 이민자를 수용한 이민 선진국에서는 개인에 대한 지원이 아니라, 이민자가 많이 거주하는 지역에 대해 지원하면서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이민자와 일반국민 모두에게 혜택을 주는 사회통합을 추진하는 경향이 있다. 유럽에서는 2008년부터 상호문화도시 프로그램이란 이름으로, 이민자가 많이 거주하는 도시들이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상호문화주의를 실천하는 이민자 사회통합 정책을 전개해 왔다. 유럽의 상호문화주의는 이민자를 지역 사회 구성원으로 간주하고, 법적 장치를 동원해 이민자에 대한 차별을 금지하며, 문화다양성을 창의적이고 혁신 적인 아이디어를 산출하는 자산으로 인식하고, 이민자 사회통합을 위해 교육・문화 사업을 전개한다는 점에서 다 문화주의와 유사하지만, 다양한 문화의 공존보다 교류를 강조하고, 이민자의 집단정체성보다 개인정체성을 강조 한다는 점에서 다문화정책과 구분된다. 유럽 상호문화도시 프로그램은 유럽지역 도시들만 참여하는 프로그램으 로 시작되었지만, 점차 타 지역 도시들도 참여하게 되었고, 2020년 2월에 한국의 안산시도 회원도시로 가입하 였다. 안산시의 상호문화도시 프로그램 가입은 향후 국내 이민자 사회통합 정책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지방자치단체들 사이에 상호문화도시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이민자 1만명 이상 도시들이 결성 한 전국다문화도시협의회의 활동 내용에도 변화가 생길 수 있다. 나아가 국내에서 유럽의 상호문화주의 개념을 포함하여 포괄적 의미로 사용되던 다문화주의 개념을 유럽에서처럼 상호문화주의와 구분되는 개념으로 사용하 려는 움직임이 나타나 다문화주의 개념에 대한 논쟁도 부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Since the mid-2000s, the Korean government has implemented a social integration policy for immigrants by providing various support for individuals with immigration background. Korea's policy for social integration of immigrants, called multiculturalism, has faced criticism over the past decade that giving preferential treatment for immigration background is reverse discrimination against the general public. In advanced countries that accepted immigrants ahead of Korea, they tend to push for social integration, which benefits both immigrants and the general public, while providing support for areas where many immigrants reside, not for individuals. In Europe, under the name of the Mutual Culture City Program since 2008, cities with large numbers of immigrants have formed networks to implement the social integration policy for immigrants. European mutual culturalism is similar to multiculturalism in that it considers immigrants as members of the community, prohibits discrimination against immigrants by mobilizing legal devices, recognizes cultural diversity as assets that produce creative and innovative ideas, and implements educational and cultural projects for social integration of immigrants, but it is distinguished from multicultural policies in that it emphasizes exchanges rather than coexistence of diverse cultures, and emphasizes individual identity rather than collective identity of immigrants. The European Mutual Culture City Program began with a program in which only European cities participated, but other cities gradually joined the program, and Ansan City in Korea joined the program in February 2020. Ansan City's entry into the mutual cultural city program is expected to bring about a change in the policy of social integration for immigrants in Korea in the future. Interest in mutual cultural city programs among local governments in Korea may increase, and the activities of the National Multicultural Cities Council, formed by cities with more than 10,000 immigrants, may also change. Furthermore, there is a movement to use the concept of multiculturalism, which was used in a comprehensive sense in Korea, including the concept of mutual culturalism in Europe, as in Europe, which is expected to raise controversy over the concept of multiculturalism.

      • 포스트 코로나와 기술혁명 시대를 대비하는 이민정책 고찰

        김현채 한국이민정책학회 2021 한국이민정책학회보 Vol.4 No.2

        In the midst of Covid 19 and digital innovation, future-oriented discussions to be used in a direction beneficial to the human are actively conducted in various fields of society. Immigration policy is no exception. Not passively attracted to the changes brought by Covid 19 and digital revolution, future immigration policies should maximize the positive influence of 'people' and use it as our social energy. The immigration policy, which considers what kind of foreign power should be accepted as our social member, requires a sophisticated strategic framework. Future prediction is a difficult task even for futurists who do it as a job, but it can be predictable enough when constant discussion and communication based on social solidarity continue. The ultimate goal of immigration policy to be reached through these future prediction is to draw a blueprint for immigration policies that create growth engines. 코로나 이후 펼쳐질 새로운 환경에 대응하면서 기술혁명을 인간에게 이로운 방향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미래지향적 논의가 사회 각 분야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민정책도 예외는 아니다. 이민정책은 특히 '사람'에 관한 정책이기 때문에 무엇보다 사람이 중심이 되는 정책이 필요하다. 국민의 삶에 힘이 되는 이민정책, 외국인을 우리 사회 능동적인 구성원으로 만드는 이민정책이 필요하다. 기술혁명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가 가져오는 변화에 수동적으로 끌려가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중심이 되어 변화를 주도하면서 '사람'이 주는 긍정적인 영향력을 극대화하여 우리 사회 에너지로 활용하는 것이 미래 이민정책의 핵심이다. 디지털 시대가 몰고 올 일자리 혁명은 전에 없던 신기술 분야에서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 것이라는 기대와 동시에 기술혁명이 기존의 일자리를 대체하면서 대량 실업을 유발할 것이라는 우려를 동시에 낳고 있다. 이러한 기대와 우려 속에서 어떤 외국인력을 얼마나 우리 사회로 받아들여야 할 것인지를 고민하는 이민정책은 보다 정교한 전략틀이 필요하다. 코로나가 가져온 비대면 환경, 정부의 역할과 국제연대 성격의 변화 등 이민정책이 담아야 할 미래의 정책변수에 대한 밀도 있는 탐색이 필요하다. 미래예측은 그것을 업으로 하는 미래학자들에게도 어려운 과제이지만 정책입안자와 집단지성과의 끊임없는 토론, 사회적인 연대를 바탕으로 하는 소통이 지속될 떄 충분히 예측 가능한 것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미래 예측을 통해 도달해야 할 이민정책의 궁극적인 지향점은 국민에게 힘이 되고 국가의 성장동력이 창출되는 이민정책의 청사진을 그려내는 일일 것이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이민정책 대상에 대한 용어 정의 현황분석 : 법령, 자치법규, 통계 용어를 중심으로

        정기선,유민이,조하영,이정우 한국이민정책학회 2021 한국이민정책학회보 Vol.4 No.1

        공공영역에서 명확한 정책용어의 사용은 사회적 변화에 대해 국민과 정확하게 소통하고, 그와 관련한 정책적 개입 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조건이다. 한국사회에서 이민자와 관련한 용어로 ‘재한외국인’, ‘다문 화가족’, ‘외국인주민’ 등을 정책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혼용하여 사용하며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 서는 공공영역, 특히 법률과 자치법규, 국가통계에서 활용하고 있는 이민·다문화 관련 정책대상 지칭 용어의 사용 현황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분석대상은 출입국관리법 등 7개 법률, 광역 및 기초 지방자치단체의 이민 관련 조례, 8개의 행정통계 등이다. 분석결과 법령의 체계정당성, 명확성, 최소보장의 원칙 등의 기준에 비추어볼 때 이민자와 관련한 정책용어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첫째, 다양한 이민자의 구성을 법 적용어로 반영하지 못하는 포괄성의 문제, 둘째, 정주형 이민자 유형의 증가에도 통합의 대상은 결혼이민자와 귀화 자에 한정하여 지칭되는 점, 셋째, 비숙련노동자 외에도 외국인노동자 전체를 대상으로 적용할 법령보강의 필요성, 넷째, 지방자치단체 조례의 용어정의, 지원대상 규정 등에서 체계정당성이 부족한 문제, 마지막으로 통계산출 시 행정기관마다 동일한 대상을 각기 다르게 규정하는 관행이 고착화되는 문제 등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정책대상을 구분할 때에는 목적별로 다양한 이민자 명칭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필요 혹은 판단에 의해 정책대상의 범주를 변경하는 경우 기존 법령의 기능과 입법의 일반원칙을 고려하는 노력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use of clear policy terms in the public domain is a basic requirement to communicate accurately with the public. However, in the case of policy terms related to immigration, confusion is aggravating as a consistent agreement has failed to reach socially as well as within the government. In response,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and coherence of the terms used in the public domain. As a resul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efinition and scope of terms that refer to policy targets in the laws and regulations under the jurisdiction of public sector. In conclusion, when setting targets, sufficient review of various immigrant names is essential for each department, and efforts should be made to check whether they violate the functions and general principles of legisla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이민자 사회통합정책의 해외연구 동향 및 시사점

        고상두,이혜경,조영희 한국이민정책학회 2022 한국이민정책학회보 Vol.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implications through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immigration social integration policies abroad. To this end, overseas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and implications were presented from the perspective of various index development trends, types of governance theory, and importance of local governments. The analysis results of overseas research trends are as follows. First, comprehensive index development is being actively carried out, centering on immigration acceptance countries. Second, the concept of governance to explain the cooperation of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civil society is actively being developed and used. Third, as interest in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in immigration policies increases, index development is attempted to evaluate local government policies, and studies are increasing to evaluate urban immigrant policies and systems. The implications of overseas immigrant social integration policy research trends on Korean society are as follows. First, rather than evaluating and ranking the performance of social integration policies, it is necessary to pay more attention to evaluating policies with the goal of calculating social integration policies suitable for our unique environment. Second, using the concept of governance, current immigration policies can be evaluated based on theory, and more scientific policy alternatives can be presented. Third, efforts are needed to disperse the excessive policy burden of the central government through the enhancement of interest, capacity, and autonomy in immigration policies of local governments. 본 연구는 해외의 이민자 사회통합정책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지수개발의 동향, 거버넌스 이론의 유형, 지방정부의 중요성 관점에서 해외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시사점을제시하였다. 해외 연구 동향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민 수용국을 중심으로, 종합적 지수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중앙정부, 지방정부, 시민사회 등의 협치를 설명하기 위한 거버넌스 개념이 적극적으로 개발, 활용되고 있다. 셋째, 이민정책에서 지방정부 역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지방정부 정책을 평가하는 지수개발이 시도되고, 도시 차원의 이민자 정책과 제도 등을 평가하는 연구들이 늘어나고 있다. 해외의 이민자 사회통합정책 연구 동향이 한국 사회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통합정책의 성과를 평가하고순위를 매기는 것보다, 우리의 고유한 환경에 적합한 사회통합정책을 어떻게 산출할 것인지를 목표로 정책을 평가하는 데 더 큰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둘째, 거버넌스 개념을 활용하면 현재의 이민자 정책을 이론에 기반하여 평가할 수 있고, 보다 더 과학적인 정책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 셋째, 지방정부의 이민자 정책에 관한 관심과역량, 자율성 신장을 통해, 중앙정부의 과도한 정책적 부담을 분산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외국인력정책 방향 수립을 위한 스웨덴 사례연구

        김연홍,차승우 한국이민정책학회 2021 한국이민정책학회보 Vol.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이민정책의 선진국인 스웨덴의 사례를 연구하여 노동이민이 어떻게 발전해 왔고, 어떤 제도적 으로 적용되었는지를 검토하여 이민정책에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스웨덴 방문 전에 인터뷰 대 상자를 선정 하여 연구주제에 대한 질문과 내용으로 논의하였고, 현장에 방문하여 인터뷰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 째, 외국 인력을 고용하는데 ‘점수제’ 등을 통하여 선 순환적 선발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둘째, 사업장 변경에 이주노동자에게 완전한 정보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셋째, 계절적 이주노동자의 관리체계를 체계화하여야 한다. 넷째, 스웨덴의 전문 이주노동자 유인에 역량의 신호기재인 지식, 기술, 태도를 지표화하여 ‘비전문에서 숙련 전 환’ 등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다섯째, 이민법을 재정하여 이행 추진 체계를 일원화하여야 한다. 여섯 번째, 고용허가제의 반대개념으로 노동허가제를 잘못 사용되고 있는 것을 바로 잡아야 한다. 일곱 번째 이민처(가칭)를 설립하여 이주자의 사회정착에 다각적인 지원하여야 한다. 여덟 번째, 이민자들의 체류지원을 위한 ‘정착지원 안 내자 제도’를 도입하여야 한다.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2018년에 이와 유사한 ‘고용허가제(EPS) 현장컨설팅 사 업’을 신규 도입하여 ‘2019년 공공기관 서비스 혁신 최우수상’을 받았다(김연홍・이성순, 2019). 아홉 번째, 스 웨덴은 노동이민정책의 실행에서 지방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대한민국이 아시아 노동시장에서 안 정적으로 외국인력을 공급받기 위하여 노동시장과 제도의 내실화를 통하여 발전을 도모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the cases of Sweden, examine how labor has developed, and what institutional applications have been made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immigration policy. Interviewees were selected prior to the actual visit to Sweden to discuss the research topics, questions and content, and visited the site for the interviews. First, research results have a pre-cyclical selection system through the “score system.” Second, complete information should be given to migrant workers when there are changes to the workplace. Third, management system of seasonal migrant workers should be organized. Fourth, a system “transition of expertise from non-specialized to skilled” shall be established by indicating knowledge, technology, and attitudes that signal competence in attracting professional migrant workers in Sweden. Fifth, implementing promotion system shall be unified by financing the Immigration Act. Sixth, the work permit system misuse should be corrected and not an opposite concept of employment permits. Seventh, immigration office (tentative name) shall be established to provide various support for social settlement of migrants. Eighth, a ‘settlement support guide system’ shall be introduced for immigrants. The Korea Industrial Resources Corporation introduced a similar “EPS field consulting project”in 2018 and received the “2019 Best Innovation in Public Institutions”(Kim Yeon-hong and Lee Sung-soon, 2019). Ninth, Sweden’s role in the implementation of labor migration policies is important. Finally, in order for the Republic of Korea to receive a stable supply of foreign power in the Asian labor market, it should promote development through the internalization of the labor market and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