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육 교재의 개선 방안

        홍승아 한민족문화학회 2019 한민족문화연구 Vol.65 No.-

        In recent decades, several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ave been published, but most of which have been published by government agencies. Among these various textbooks, this paper focused on the contents of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ich develop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Studies and some other instructional materials and studied to improve it. And as parents play a big role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immigrants also inspected if necessary. A review of textbooks reveals some improvement points. first, it would be better if there were a variety of conversations with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ecause there were more Koreans in the textbook. And the task-solving scenes need to be set aside from schools to experience a variety of situation. Sometimes there should be negative scenes that are uncomfortable or dissatisfied with the text. It raises the reality in education and lets children learn the solutions to those problems that will come to reality. In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for immigrants, it would be good to help them continue their happy lives in Korea, including words and actions that express amity and affection between couples and families. In textbooks, questions from multi- cultural students often finish simple things in the first place, but it would be better if they continue to ask more questions about answers, giving them depth and breadth of content.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육 교재는 주로 정부 기관에서 여러 종이 출간되었다. 본고에서는 그 가운데 국립 국어원에서 개발한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를 위주로 좀 더 보완이 필요한 내용들을 고찰하였다. 자녀 교육에서 부모의 역할이 크므로 필요에 따라서는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교재를 함께 살피기도 하였다. 이 교재에는 한국인이 더 많이 등장하여 다문화 가정 학생들과 다양한 대화가 있으면 더 좋을 것이다. 과제 해결 장면도 학교 외에도 다양한 상황이 설정될 필요가 있다. 다문화 가정 학생들은 교육을 받는 내용이 거의 대부분인데, 이들도 내국인에게 어머니 모국의 문화 등을 설명하고 심지어 가르치는 정도에까지 이르는 장면도 가끔 있다면 다문화 가정 학생들이 자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한국 생활을 해 나갈 태도를 갖게 하는 데에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내국인도 이러한 기회를 통해 문화적 포용력을 높이며 다문화 사회에 적응해 나가야 한다. 교재의 내용에는 불편하거나 불만스러운 부정적인 장면도 때로는 있어야 한다. 그것은 교육에서 현실감을 높이고 실제 현실에 닥칠 그와 같은 문제들에 해결력을 배우게 한다. 물론 이러한 부정적인 내용은 정도를 낮추어 부담감을 주지 않는 방식을 고려해야 한다. 대화의 상대방을 다양화하여 상대에 따른 높임법도 초등학생 단계부터 익히도록 한다. 이민자나 그의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육 교재의 내용에서는 부부나 가족 간에 화목하고 애정을 나타내는 언행도 다루어서, 그들이 한국에서 행복한 삶을 이어가는 데에 도움을 주면 좋을 것이다. 교재 안에서 다문화 가정 학생들의 질문은 간단한 내용을 1차로 끝내는 경우가 대다수인데 답변에 대해서도 계속 더 많은 질문을 하여 내용의 깊이와 폭을 갖게 하며 학습자들이 질문하는 습관을 가져 그들의 학습 효과를 높이도록 한다.

      • KCI등재

        기획논문 : 타자화(打字化)된 문자의 발화성(發話性) 획득이 갖는 의미

        김우필 ( U Pil Kim ) 한민족문화학회 2014 한민족문화연구 Vol.47 No.-

        구술문화는 개연성, 첨가성, 상황성을 바탕으로 기억정보를 짜깁기하는 스토리텔링 문화다. 반면 문자문화는 인과성, 선형성, 체계성을 바탕으로 기억정보를 해석하는 내러티브 문화다. 그런데 인쇄매체가 기술적 매체와 결합하면서 문자문화에 청각성이 부각되었고, 문자문화와 구술문화 사이에 트랜스미디어 현상이 나타나면서 제2의 구술문화가 등장했다. 특히 디지털미디어는 문자언어의 기록-저장-소통방식에 변화를 일으켜 시각중심적인 문자를 복합적 감각을 추구하는 멀티미디어콘텐츠로 변모시켰다. 이 과정에서 문자문화와 구술문화는 기술적 매체와 문화적 대중의 이해관계로 상호보완관계를 형성했다. 오늘날 대중문화는 인쇄매체, 방송매체, 전자매체로 형성된 문자성과 구술성이 서로 경합하고 융합하면서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서 ≪뉴욕타임스≫와≪아시아경제≫(인쇄매체), EBS FM 라디오(방송매체), 버즈피드와 트위터(전자매체)를 사례로 분석하였다. 먼저 EBS FM <책 읽어주는 라디오>는 문자문화가 구술매체로 재매개화가 되는 현상을 대표적으로 보여준다. 그러나 매체의 형식적 변화만으로는 내용의 변화를 충족시킬 수 없다. EBS FM은 문자문화를 재활용하여 대중문화를 교양화하려 했지만 구술문화의 장점과 문자문화의 가치 모두를 활용하는 데 실패했다. 한편 문자매체를 기반으로 하지만 구술문화의 장점인 친밀감을 바탕으로 신뢰의 관계망을 구축한 버즈피드와 트위터는 트랜스미디어의 성공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사람들은 가까운 관계(인접성)와 공감하는 관계(신뢰성)에 주로 의존하여 수많은 정보 중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려는 경향이 있다. 버즈피드와 트위터는 이러한 구술문화의 특징을 매체의 기술적 개념으로 적극 활용했다. 또한 ≪뉴욕타임스≫와 ≪아시아경제≫의 스토리텔링 뉴스는 디지털미디어에 적합한 뉴스의 생산-소비 방식이 더이상 내러티브에만 의존할 수 없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대중매체의 핵심콘텐츠인 뉴스마저도 구술문화의 전통을 기술적으로 재현하고 있으며 의식화와 오락성 모두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문자성과 구술성의 융합을 시도하고 있다. The patchwork storytelling culture to remember information based on probability, additivity, and situation oral culture. While the narrative culture to interpret the remember information based on causality, linearity, and system character culture. However, the nature of the text was highlighted auditory culture media and technology combined with print media, emerged between the character appears on the trans-media culture and oral culture is an oral culture phenomenon of the second. In particular, the change Caused stored, the recording, the digital media is a communication method of written language, was transformed into a multimedia content to pursue a combination of visual sensory central character. In this process, forming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the public interest in culture media and technology culture is an oral culture and character. Conflict with each other have been developed and formed by the fusion of print media, broadcast media, electronic media, popular culture, character and oral character today. To examine these changes, “New York Times” and “Asian economies” (print media), “EBS FM radio” (broadcast media), were analyzed in cases with “Buzz Feed” and “Twitter”(electronic media). Shows a typical phenomenon remediated character culture to the oral media first, EBS FM <to read the book Radio> is. But it can not meet the change of the content of the media changes are formally. Failed to take advantage of all the value of character cultural benefits of oral culture and trying to recycle educated character culture popular culture, but the EBS FM. The character is based on the medium, but can be called successful examples of trans-media, and building trust based on the closeness of the advantages of oral culture Buzz Feed and Twitter. The technical concept leverages the features of the oral culture of the media Buzz Feed and Twitter. Also showed that it can not rely on narrative methods suitable for digital media news production and consumption more than the "New York Times" and the "Asian economic" storytelling news. Even the content of the news media is a key technology to reproduce the tradition of oral culture, so the fusion of the character and orality attempt to meet all of conscious and entertainment.

      • KCI등재

        기획논문 : 교수요목기의 민족문화 형성과 발전 -국정중등 국어교과서에 수록된 작품을 중심으로-

        최창헌 ( Chang Heon Choi ) 한민족문화학회 2016 한민족문화연구 Vol.53 No.-

        본 논문은 교수요목기의 국정중등 국어교과서에 수록된 논설문과 설명문, 기행문 중심의 실증적 자료를 바탕으로, 초기 국어 교육에서의 민족문화 형성과 발전에 관한 연구 내용이다. 일제로부터 해방된 우리나라는 신생독립국으로서 읽고 쓰기 위주의 문식성 교육을 통한 국민 만들기가 강조되었다. 새로운 나라 만들기에서의 국어교육은 ‘언어-문화-민족’의 관계망 속에서 국민을 재생산하여 국가에 편입시키는 기능을 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 일제강점기에 상실된 우리말 회복과 보급이 우선시되었다. 일제 잔재의 지식과 문화를 폐기시키고, 동시에 우리의 민족문화 중심의 정체성 확보는 시대가 요구한 사명이었다. 어수선하고 결과가 정해지지 않은 사회적 변화 과정에서, 어떤 저작의 의미와 중요성은 당대의 특정한 담론적 틀 안에서 이해되고 해석된다. 새로운 체험과 견문, 감상 등을 기록한 기행문은 학습자에게 현시적 교수에 의한 우리의 문화유산을 관찰하게 함으로써, 민족문화 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방편으로 국어교과서에 수록되었다. 지식인들의 눈을 통해 관찰된 문화유산의 기록은 일본 제국주의 문화의 폐기뿐만 아니라, 미군정 시기에 도입된 외래 사상과 문물의 주체적인 수용과 민족문화전통의 계승이라는 한국적인 사상과 문화를 표상하는 것이다. This study is the paper which elucidated the real picture of the national culture formation & development in early Korean language education on the basis of empirical materials of logical writing for persuasion, descriptive writing, and travel essay included in the state-designated secondary Korean language textbook during the course of study. In Korea, which was liberated from the Japanese Empire, a nation-building was emphasized through literacy education with focus on reading and writing as a newly-independent country.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making a new nation served to transfer people to the nation by reproducing people in the network of ‘Language-Culture-Nation.’ In such circumstance of the time, restoration and supply of our language, which was lost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was a top priority. Inspiring the language nationalism into the people for securing legitimacy by scrapping the knowledge & culture embedded in the vestiges of Japanese imperialism, and forming national cultures at the same time were the very mission demanded by the times for securing our identity. In the process of muddled, undetermined social changes,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a certain writing are understood and interpreted in a specific discourse framework of the day. A travel essay recording a new experience, knowledge, impressions while traveling was included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as a means of inspiring the national cultural consciousness into learners by getting them to observe our cultural heritage through explicit instruction. Our cultural heritage observed through the eyes of intellectuals was the representation of Korean ideas and cultures via disuse of Japanese imperialistic culture, independent acceptance of foreign ideas and material culture introduced during the US military government period, and succession to traditions of national culture.

      • KCI등재

        일반논문 : 상위 언어 개념의 다문화가족 유아 교육 적용에 관한 기초 연구

        구지민 ( Ji Min Gu ),김한샘 ( Han Saem Kim ) 한민족문화학회 2015 한민족문화연구 Vol.49 No.-

        다문화가족은 가족 내에 두 개 이상의 문화가 혼합 또는 결합된 가족이다. 이렇게 언어적 배경을 달리하는 가족원들이 결합할 경우 가족원들 사 이에서 2개 이상의 언어가 사용되는 것은 당연하다. 본 연구에서 다문화 가족 유아의 언어 교육을 논하기 위해 도입하고자 하는 ``상위 언어 (meta-language)``는 특정한 언어 구조와는 상관없는 언어에 대한 일반적 지식, 언어를 사용할 줄 아는 지식이 아닌, 언어 지식을 사용하는 능력을 말한다. 상위 언어 능력이 우수한 유아는 다른 사람의 발음을 듣고 식별하는것, 어휘 의미를 이해하고 사용하며 문장을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구성 하는 것, 사고력을 동반하는 읽기와 쓰기 과제 등을 효율적으로 처리한다. 다문화가족 유아의 한국어 능력은 일반 가정 유아에 비하여 뒤처질 우려 가 크지만 이들의 상위 언어 능력은 다른 양상을 보일 수 있다. 다문화가 족 유아의 상위 언어 능력을 살핀다면,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다문화가족 유아의 언어 능력 뒤에 숨겨진 이면을 파악할 수 있다. 다문화가족 유아의 언어 능력에 대한 다각적인 접근은 한국어 능력의 부진 여부로 논의하던 지금까지의 이차원적 접근을 벗어나 연구의 기조를 다른 방향으로 이끄는 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며, 다문화가족 유아의 언어 교육에 큰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사회적 맥락, 특히 가족적 이중 언어 환경과 상위 언어 습득 에 초점을 기울인다. 언어 습득을 위한 상호 작용의 선결 조건이 불충분하 게 충족된다면 목표어 능력뿐 아니라 상위 언어 능력에도 영향을 미칠 것 이므로, 한국적 환경에서 어떠한 조건이 다문화가족 유아의 상위 언어 능 력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 요인을 발견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가족 내에서 ``역동성이 구현되는 양상``에 초점을 맞추어 이러한 다양한 양상에 따른 다문화가족 유아의 언어 발달 상황을 살펴보고 상위 언어 개념의 도 입을 기반으로 다문화가족 유아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 정책을 제안 하기 위한 첫걸음을 시도하고자 한다. 다문화가족 유아의 상위 언어 능력 을 다각적으로 밝히는 것은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이들의 언어 능력에 숨 겨진 이면을 보는 것으로, 결과에 따라 이들의 언어 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the concept of meta-language and discuss the ways of applying it to early childhood language education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 meaning of meta-language as the meta-cognition is complex in aspect of meta-linguistic knowledge, ability and awareness. This paper mentioned the importance of acquisition of meta-language in social context, especially in bilingual settings, and suggests meta-language ability measurement model in bilingual environment design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four bilingual settings on meta-language ability and the effect of meta-language ability on Proficiency in Korean and Learning ability. For effective experiment, Ricciardelli(1993)``s Form-Meaning Judgement, Word Renaming and Grammar Judgement Tasks were modified considering the linguistic nature of Korean and, then, used to measure three meta-linguistic domains:phonological, word, and syntactic awareness. To find out meta-language ability of early childhood in multi-cultural families multi-dimensionally indicates the hidden side of their external linguistic competence, and it expects greater implications i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후보

        일반 논문 : 임화의 문화담론과 에세이 연구 -미디어에 대한 성찰을 중심으로-

        권성우 ( Seong Woo Kwon ) 한민족문화학회 2006 한민족문화연구 Vol.19 No.-

        이 논문은 비평가 임화의 다양한 글쓰기 중에서 문학미디어에 관한 담론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씌어졌다. 지금까지 진행된 임화 연구는 주로 시와 소설비평, 문학사 연구에 집중되어 있다. 그러나 임화가 시도했던 다양한 글쓰기의 전모를 세밀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문화담론, 에세이, 잡문 등의 이른바 변두리 장르에 대한 미시적 탐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임화의 글쓰기 중에서 문화담론에 대한 연구는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임화는 1930년대 후반부터 1940년대 초반까지 신문, 잡지, 문화산업 등의 당시 문학과 문화가 유통되던 미디어에 대한 집중적인 관심과 성찰을 보여준 바 있다. 임화는 「잡지문화론」, 「문화기업론」등의 글들을 통해 비판적 해석의 복원을 시도했다. 임화는 당대의 문예잡지들이 정론성과 사회성을 상실했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문학의 정치성 회복을 위해 문예잡지와 신문, 문화기업 등 문학미디어의 역할과 현황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시도했던 것이다. 또한, 임화는 저널리즘이 당시 문학장에서 차지하고 있는 역할에 대한 예리한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임화는 저널리즘이 수행하는 `배제`와 `선택`이라는 역학관계에 대해 주목함으로써, 당시 문학판이 작동하는 방식을 인식할 수 있었다. 즉 임화는 문학미디어가 지닌 권력적 속성을 정확하게 간파한 선구적 비평가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임화의 문학미디어와 문화산업에 대한 인식과 통찰은 지금 이 시대에도 현재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지대한 문학사적 의의를 지니고 있다고 생각된다. This thesis is written to analyze a critic, Imwha`s discourse on literary media. The previous researches on Imwha are mainly focused on his poetry and criticism of novel, and his study on the history of literature. But, to understand the whole features of his various writings, it is necessary to research his cultural discourse and essays. Therefore, the research of Imwha`s discourse on literary media is very significant. Imwha showed intensive interest and introspection on literary media such as newspaper and magazines between the late 1930s and the early 1940s. He tried to restore critical interpretation through the writings such <Argument on Journal Culture> and <Argument on cultural business>. He noticed that the literary magazines of those days lost political and social roles. And he also tried the critical introspection on the role of literary media to retrieve the political role. Imwha showed keen recognition of the role of journalism in the literary field of those day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mwha was the pioneer, who understood the authority property of the literary media correctly. Imwha`s study of literary media and cultural industry means a lot to this age.

      • KCI등재

        일반논문 : 1960년대 대중매체 보급과 미의식의 근대화 양상 -김수영 텍스트를 중심으로-

        김우필 ( U Pil Kim ) 한민족문화학회 2013 한민족문화연구 Vol.42 No.-

        4.19혁명으로 민주적 이념이 고취되면서 1960년대는 국민들의 대중문화 욕구가 본격적으로 등장하게 된 시기이다. 제1공화국 시기까지 한국사회는 인쇄매체를 중심으로 하는 엘리트 문화가 대중문화를 지배하였다. 그러나 1960년대 제3공화국이 수립된 이후 라디오, TV 같은 방송매체가 급속히 보급되면서 방송매체를 기반으로 하는 대중화 단계로 한국사회의 문화 환경이 빠르게 변하게 된다. 제3공화국을 수립한 박정희의 군부정권은 정부의 경제발전정책을 선전,선동하기 위한 홍보수단으로 방송매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1960년대 한국은 50% 가까운 높은 문맹률과 빈곤 때문에 쉽고 빠르게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라디오를 중심으로 방송매체가 확산되었다. 라디오 이후 TV가 보급된 것도 군부정권의 파시즘적 대중정치의 정당화를 위한 방편으로 나타난 현상이었다. 이렇게 정치적 의도로 활성화된 방송매체의 보급 탓에 1960년대는 소비대중문화의 시대를 맞이하게 된다. 방송매체의 갑작스런 보급으로 소비대중문화가 나타났지만 대중문화는 콘텐트가 부족하여 여전히 인쇄매체문화에 기댈 수 밖에 없었다. 더구나 지식인 엘리트들은 새롭게 등장한 방송매체 중심의 대중문화에 쉽게 적응하지 못하고 문화적 갈등을 일으켰다. 인쇄매체와 방송매체를 중심으로 각각 대중문화의 헤게모니 갈등이 나타날 때 김수영은 새로운 매체 의식을 알레고리적으로 표출하기도 하였다. 김수영은 소비대중문화가 빠르게 전파되면서 등장한 키치를 저급한 스노비즘으로, 아방가르드를 고급한 스노비즘으로 보았다. 1960년대 문화, 정치, 경제 분야 모두에서 전면적으로 등장한 스노비즘은 피할 수 없는 미의식의 근대화 양상이었다. 식민지 조선 때부터 이미 등장했던 교양주의는 전후에 교양속물주의로 확장되었고 1960년대에는 대중들과 엘리트모두를 잠식하면서 스노비즘 사회가 전면적으로 등장했다. 김수영은 이러한 스노비즘을 완전히 거부할 수 없음을 인식하고 고급한 스노비즘으로서 아방가르드를 새로운 미의식으로 제기하였다. A democratic idea be inspired by april 19 revolution, it was time to appear that desire about popular culture of people in earnest. Until The First Republic, A Korea society governed by elite`s culture base on printed media. But After The Third Republic established, As a broadcast media the same thing Radio and TV has came into wide use, Cultual environment of Korea society became quickly to base of broadcast media. The Park regime who The Third Republic established has made use of broadcast media to advertising for propagate economic developement policy of government. As it has problem of fifty percent illiteracy rate highly and poverty in the 1960s, a broadcast media spread of radio mainly. After radio`s spreadable, it was happening that popular rule of fascism justify oneself TV has came into wide use too. Because the broadcast media was active for political intention, In the 1960s was up popular consumer culture period. Kim Su-young recognized kitsch when it appeared with popular consumer culture as vulgar snobbism, avant-garde as classy snobbism. The advent of snobbism was unavoidable modernization aspect of aesthetic. The culturalism which it appear already since colonial Joseon spread as cultural snobbism in postwar and snobbism society appeared completely as encroach all people and elite in the 1960s. Kim So-young recognized snobbism as unavoidable completely, raised avant-garde as classy snobbism as new aesthetic.

      • KCI등재

        전시 이념 ‘문화’를 둘러싼 상징투쟁

        장인수 ( Jang In-su ) 한민족문화학회 2021 한민족문화연구 Vol.74 No.-

        전시 이념 ‘문화’는 국방부 정훈국, 문교부 국민사상연구원 주변의 관학적 지식 엘리트에 의해 형성된다. 그것은 한국전쟁의 대의명분을 찾는 과정에서 중요한 기호로 부상한다. 지식 엘리트에게 ‘문화’는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양자택일의 문제가 아니라 외래문화에 응전해가면서 새롭게 창조해야 할 대상이었다. 이렇게 형성된 ‘문화’는 정훈 계통, 문총과 종군작가단의 문인에 의해 전파된다. 이 기획과 전파의 구도 안에는 이미 ‘지식의 위계’가 전제되어 있었고, ‘문화’라는 기호는 전시기 상징투쟁의 장을 연다. 문인들은 이념으로서 ‘문화’와 구체적 ‘생활’의 괴리를 느끼며 번민한다. 임긍재는 ‘생활’의 문제를 ‘모랄’의 차원으로 다룸으로써 이 괴리를 봉합하고자 한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그것은 문화를 규범적인 것으로 성역화하는 길로 이어진다. 전시기 ‘문화’는 점점 초월적 기표가 된다. 적치하에서 부역 혐의를 받은 문인은 ‘문화’를 정치와 무관한 반공·자유주의적 기호로 전용한다. 그러나 이 전용 자체가 지극히 정치적 행위였음은 물론이다. 전시기 많은 문인이 ‘문화’라는 기호로 상징투쟁에 참여함으로써 ‘정치’에 관여하고자 한다. 문화보호법을 둘러싼 혼란 속에서 그들은 ‘문화’를 일종의 ‘칭호’로서 획득하고자 경쟁한다. 또 여성의 풍기 문란과 부산의 퇴폐한 세태 등을 ‘문화’가 아닌 것으로 상대화함으로써 ‘규율하는 언어’로서 ‘문화’를 전유하고자 한다. 그러나 그들은 칭호와 상대화의 상징투쟁을 통해 지배계급의 원리를 재생산하는 데 부지불식간에 가담하게 된다. The wartime ideology “culture” is formed by the government-run intellectual elite around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s AFIED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s National Institute of Thought. It becomes an important sign in the process of finding the justification of the Korean War. For the intellectual elite, “culture” was not a matter of either capitalism or communism, but of responding to foreign cultures and creating new ones. The culture formed like this is spread by the AFIED, and the War Writers’ Group. Within this composition of planning and propagation, “the hierarchy of knowledge” was already premised, and the sign of “culture” opens the stage for symbolic struggles during the wartime period. Writers suffer from the difference between wartime ideology “culture” and specific “life”. Lim Geung-jae seeks to bridge this gap by treating the issue of life as a “moral” dimension. But as a result it leads to a path to sanctifying culture as normative. The wartime ‘culture’ becomes an increasingly transcendent significant. Writers accused of collaboration under the enemy rule use “culture” as anti-communist and liberal symbols unrelated to politics. But of course, the appropriation itself was extremely political. Many wartime writers want to engage in “politics” by participating in symbolic struggles under the sign of “culture.” Amid the chaos surrounding the Cultural Protection Law, they compete to acquire ‘culture’ as a kind of ‘title’. In addition, the writers aims to transfer “culture” as a “discipline language” by relativizing women’s promiscuity and Busan’s decadent world as not “culture.” However, they unconsciously participated in reproducing the principles of the ruling class through a symbolic struggle for title and relativization.

      • KCI등재

        탈영토화적 관점에서 본 "세계한민족문학" 형성 가능성 고찰 -조선족 시문학 연구사 검토를 중심으로-

        임수경 ( Su Kyung Lim ) 한민족문화학회 2009 한민족문화연구 Vol.29 No.-

        재외한인문학의 연구는 한국문학의 연구에 비해 극히 일부에 한정되어 진행되고 있다. 우리의 문학임에도 불구하고 공간적 한계와 언어적 문제에 부딪쳐, 그들 모두를 아울러 한국문학으로 포괄하려는 방대한 작업의 진행을 꺼려하고 있다. 이것은 국내에서 재외한인문학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었다, 라기 보다는, 한국문학의 범주를 넓히는 작업을 진행하기에 그들의 문학에 대한 국내의 관심이 그만큼 부족했다는 편이 더 설득적일 듯하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의 개혁 개방과 본격화된 한중수교로 재중 조선족의 문화전반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에 따라 한민족의 문학 범위를 세계로 확장시켜 `세계한민족문학`이라는 개념으로 한국문학사와 그들의 문학사를 아우르는 넓은 범위로 접근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일기 시작했다. 본 연구는 `세계한민족문학`을 정립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재외한인 중 현재까지 가장 활발한 문학활동을 하고 있는 조선족의 시문학 연구사에 대한 접근을 검토한다. 그들의 시문학 연구사는 중국측 연구자와 한국측 연구자의 연구 시각을 비교하고, 그에 따라 중국 조선족의 문학과 문화에 접근할 수 있는 하나의 시각을 제시하려 한다. 접근방법론으로 들뢰즈-가타리의 `탈영토화` 개념을 도입하여, 궁극적으로는 전세계의 한민족문학을 아우르는 `세계한민족문학`의 형성 가능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하여 재외한인들의 문학과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실천적 방법론으로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 study on the overseas Korean literature has been limited at a certain extent. Although it also belongs to Korean literature category, the research work will not carry out effectively owing to space limitation as well as language problem. This is because researchers in Korea tend to have less consideration for the overseas Korean literature rather than they do not have professional knowledge on it. From the last decades, Chinese government has rapidly carried out reform and open policy to the other world, and the diplomatic relation between China and Korea is also strongly associated each other. In this situation, the general culture of the Koreans in China has been gradually increased, Therefore, the movement of "Overseas Korean Literature" which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ries to extends to including their literature naturally occurs. To sum u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ork history of poetry in the Koreans in China in order to establish the basement of "Overseas Korean Literature". This research will compare between Chinese aspect and Korean aspect about the point of study. Consequently, through carrying out this work, the alternative point of view will be elicited out. Also, it is expected that the approach way to understand the culture and literature of the international Koreans should be prepared.

      • KCI등재

        <아리랑>의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 목록 등재로 비롯된 한중간 문화갈등 배경 연구 - 중국 조선족 문화의 이중정체성을 중심으로 -

        이정원,공정배,김용범 한민족문화학회 2012 한민족문화연구 Vol.40 No.-

        This paper is the study about the background of cultural conflict between Korea and China and trends and prospects of the expected future conflict between the two countries that were originated from listing folksong <Arirang> in Representative List of the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of UNESCO. Cultural conflict between Korea and China raised by China's Northeast Project 'research projects in 2002 is surfaced as <Gangneung Dano festival> in korea is listed in the Unesco in 2005 and showed contending aspect as China listed <Dragon Boat Festival>, changing the name, in 2009. What is more, when the 「Tonguibogam 주제어 : 중앙아시아 고려말, 종결어미, 대화 등급, 중앙아시아 고려인 소설, ≪레닌기치≫, ≪고려일보≫of Korea is listed in 2009, China listed <Chinese Sewing Kit> in 2011. And cultural conflict between Korea and China is being run in contending aspect for preoccupancy of item while China listed <Nongak> of Korean race as <Farmer's Dance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in 2006.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Chinese Ministry of Culture selected <Arirang>, <Pansori>, <Gayageum art> as China's national cultural heritage material through the notification of State Council for the third national cultural heritage materials registration in 2011. China is claiming to advocate the policies that protect minorities' cultural heritage, but behind them the intention that lead the flow of the East Asian cultural identity through preoccupancy of listing heritage that is shared by South Korea, North Korea, and China in Unesco is laid. In its origin, there is ethnic Koreans with different cultural double identity in China as a Chinese citizen in national identity and as Koreans in ethnic identity. And, the conflict that takes place and is overlapped with korea in process ethnic Koreans represent the position of China in culture terrain of international society is the source of cultural conflict between Korea and China. The problem is the fact that the cultural conflict which encircles <Arirang> is just beginning. Korea and China share 17 ethnic Koreans' cultural heritage among three Northeastern provinces of the country's cultural heritage materials in China. The number of cultural heritages that are shared by two countries is increased to 60 when a level is lowered to district cultural heritage material. District cultural heritage material is upgraded to national cultural heritage material through evaluation in any time. When upgrading is regarded as a being listed, the ethnic Koreans' cultural heritages are the factors of cultural conflicts between Korea and China. 본고는 민요 <아리랑>의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 목록 등재로 비롯된 한중간 문화갈등 원인 및 배경과 향후 예상되는 양국 간 갈등 추이 예측에 관한 연구이다. 2002년 중국의 ‘동북공정’ 연구 사업으로 불거진 한중 문화갈등은 2005년 한국의 <강릉단오제>가 유네스코에 등재됨에 따라 양국 간 문화마찰이 표면화되고 뒤이어 2009년 중국은 <용선축제>로 이름을 바꿔 등재하는 경합 양상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2009년 한국의『동의보감』이 등재되자 2011년 중국은 <중국침구>를 등재했고, 2006년 중국이 한민족의 농악을 <중국에 거주하는 조선족의 농무>라는 이름으로 등재하는 등 경쟁적 아이템 선점 양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2011년 중국 문화부는 제3차 국가급비물질문화유산 등록에 대한 국무원 통지를 통해 <아리랑>, <판소리>, <가야금예술>을 중국의 국가급비물질문화유산으로 선정하였다. 중국은 국가 차원에서 자국 소수민족의 문화유산을 보호하겠다는 정책을 표방하고 있으나, 그 이면에는 한국 중국 북한이 공유하는 문화유산의 유네스코 등재 선점을 통해 동아시아 문화정체성에 대한 흐름을 주도하려는 의도가 내재되어 있다. 그 근원에 중국 국민으로서 국가정체성과, 한민족으로서 민족정체성이 상이한, 문화적 이중정체성을 지닌 조선족이 존재하며, 이들이 국제사회 문화지형 내 중국의 입장을 대변하는 과정에서 한국과 중첩되어 벌어지는 갈등이 한중 문화갈등의 근원이다. 문제는 <아리랑>을 둘러싼 한중 문화갈등이 시작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중국 동북3성의 국가급비물질문화유산 중 17개의 조선족 문화유산을 한국과 중국이 모두 공유하고 있다. 한 단계 아래의 성급비물질문화유산으로 내려가면 한중 양국이 공유하는 문화유산의 수는 60개로 늘어난다. 성급비물질문화유산은 언제라도 심사를 거쳐 국가급비물질문화유산으로 승급할 수 있으며, 승급이 유네스코 목록 등재를 전제한다고 볼 때 조선족의 문화유산은 한중간 문화갈등의 잠재 요소들이다.

      • KCI등재

        고소설 주인공의 지역 연고성 분쟁 사례를 통한 지역문화 콘텐츠 개발 연구 -홍길동전과 콩쥐팥쥐전을 중심으로-

        김용범 ( Yong Bum Kim ) 한민족문화학회 2007 한민족문화연구 Vol.22 No.-

        누구나 다 알고 있는 고소설 주인공의 지역 연고성을 확보한다면 지역문화의 정체성을 확립은 물론, 성공적인 문화관광을 이끌어 낼 수 있다. 따라서 각 지방자치 단체에서는 고소설의 주인공을 축제의 중심 테마로 설정, 지역문화 콘텐츠사업으로 확산시키고자 총력을 기우리고 있다. 그 과정에서 하나의 고소설을 두고 자기 지역의 연고성을 주장하며 분쟁이 야기되고 있는데, 본고는 홍길동전과 콩쥐팥쥐전을 주목하여 그 분쟁 사례를 검토하였다. 강원도 강릉시와 전남 장성군의 홍길동전 연고권 분쟁은 홍길동 실존의 학술적 근거를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홍길동 테마파크, 홍길동 축제 등 다양화하고 차별화된 지역문화콘텐츠를 개발한 장성군이 고소설 홍길동을 차지할 수 있었다. 전북 완주군과 김제시의 콩쥐팥쥐전 연고권 분쟁은 상표권 등록과 용역결과를 토대로 한 캐릭터 개발 및 테마파크 조성 등 문화콘텐츠적 전략을 선행한 완주군이 비교 우외에 있다. 고소설의 지역연고성을 확보한 위 지역자치단체의 전략에는 몇 가지 공통점을 찾아 볼 수 있다. 두 지역 모두 고소설 배경지에 대한 역사적 고증이 선행되었고 이를 기반으로 문화콘텐츠와 문화관광을 결합한 전략이 추진되었다. 이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새로운 수익모델 창출이라는 경제적 효과를 전제한 것이다. 지방자치제도가 정착되며 지자체는 자기 지역에서 새롭고 신선한 문화자원을 갈망하게 되고 그 수요에 부응하여 고소설의 주인공들이 새삼스럽게 조명되고 있다. 그 과정에서 자기 지역과 유관한 고소설의 주인공 또는 소설 배경지란 소재를 놓고 지자체간의 연고권 분쟁이 야기되고 있다. 확실하게 고소설 지역연고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지방자치단체들은 소재 개발 후, 연고성 증명을 위한 학계의 고증 용역, 용역을 바탕으로 문화브랜드 창출, 테마파크 건립과 문화축제 신설, 문화콘텐츠 산업으로의 확산이라는 전략적 수순을 밟아야 한다. 즉 지역연고성을 바탕으로 문화관광 사업과 문화콘텐츠 산업을 유기적으로 결합하고자 한다면 기획 단계부터 머천다이징을 전제로 한 정밀한 사업추진이 필요함을 유념해야 한다. In case of ensuring the relation between the area and the famous main character of Korean old novel, the identity of local culture as well as successful cultural tourism can be guaranteed. Therefore the local self-governments have chosen the main character of Korean old novel as the main theme of festival, utilizing the main character as the basement of each own local cultural identity. And they have devoted all their might to expanding local cultural contents business. In that process they bring about disputes, insisting that they have the preemptive rights of one Korean old novel. This article is about reviewing the dispute cases, concentrating ``Honggildong Jeon`` and ``Kongjuee Patjuee Jeon``. In the dispute between Kangrungsi in Kangwon province and Jangseonggun in South Jeolla province Jangseonggun won the victory of Korean old novel ``Honggildong``. As it had secured the academic basis of Honggildong`s existence and developed local cultural contents, such as Honggildong theme park, and Honggildong festival with diversity and specification. In the dispute between Wanjugun and Kimjesi in North Jeolla province Wanjugun is superior to Kimjesi, as it had fulfilled earlier the cultural contents strategy in such as character development and making up theme park. It amounts to that those areas, Jangseonggun and Wanjugun, had fulfilled the strategy combined with cultural contents and cultural tourism. Since the system of local self-governments settled down, local self-governments have been looking forward to new cultural source in their area. As the demand increased, the main characters of Korean old novel are concentrated. The local selfgovernments fulfill the strategies by stages. They develop the material to secure the definite relations with their area. And then confirm the academic and historical investigation to prove the relations between the material and the area. Next they create the cultural brand, and establish theme park and cultural festival. Finally they expand it to the cultural contents busi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