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기도 주거만족도·선호도 분석을 통한 지역별 주택수요 변화 연구

        김태경,권대한,최은정,홍순영 경기연구원 2013 경기개발연구원 기본연구 Vol.- No.-

        In this research, determinants of housing type, housing tenure, housing dimension,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important factors for housing selection are analyzed through five binomial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s. Before modeling, a survey results of resident`s satisfaction and preferences are analyzed. People prefer detached house to apartment house, and the preference increases as age, number of households, and income increase. As concerned to housing tenure, people still prefer housing ownership as compared to rent. However, the preferences vary according to age, number of households, income,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For housing dimension, preference for bigger houses increases as age, number of households, and income. Residents are satisfied with `public transportation` and `house dimension`, while dissatisfied with `value of housing investment` and `cultural facilities`. When it is assumed that people move to another region, `better education facilities`, `job accessibility`, and `affordable housing price` are selected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selecting a new housing location. In the first model, as residents are dissatisfied with `housing facility`, `value for housing investment`, and `education environment`, their degree of dissatisfaction for housing environment increase. In the second model, if people regard `openness`, `accessibility for cultural facilities`, and `bigger house` as important factor in selecting housing location, their degree of dissatisfaction increases. Meanwhile, they could lesser be dissatisfied in case that `kinship`, `local familiarity`, `homogeneous neighborhood` are important factors in selecting their home location. In addition to this, income, age, and number of households significantly affect the degree of dissatisfaction. From the third model to the fifth model, various determinants of housing type, housing tenure, housing dimension various are analyzed and various interesting results are obtained.

      • KCI등재

        국제연합 사회권위원회와 인권이사회를 통한 주거권 보장

        여경수 대한변호사협회 2019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82

        This article seeks to explore the ensuring the right to adequate housing through the UN committee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ESCR) and Human Rights Council. The right to adequate housing was recognized for the first time at the international level in the 1948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In 1966 United Nations member states adopted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in which they recognized the right to Adequate housing. The Committee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is the body of independent experts that monitors implementation of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by its States parties. The Committee to carry out the monitoring functions assigned to the housings rights. ESCR had considered the periodic report of the Republic of Korea on the housing rights. Decides that the Human Rights Council shall be responsible for promoting universal respect for the protection of all human rights and fundamental freedoms for all. Undertake a universal periodic review, based on objective and reliable information, of the realization by each State of its housing rights obligations and commitments in a manner. Human Rights Council recommended the government had increased the number of public housing and public housing benefits to provide support to persons from vulnerable groups. and United Nations special rapporteur is titles given to individuals working on behalf of the United Nations within the scope of “special procedure” mechanisms who have a specific country or thematic mandate from the United Nations Human Rights Council. Special Rapporteur is independent experts appointed by the Human Rights Council to monitor specific rights. UN Special Rapporteur on adequate housing paid an official visit to the Republic of Korea in 2018. The Special Rapporteur’s report on the outcome of the visit and recommendations submitted to the UN Human Rights Council in 2019. 국제사회에서는 1948년 세계인권선언에서 처음으로 적절한 주거권이 권리로 인정되었다. 1966년 경제적·사회적·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제11조에서는 적절한 주거권을 규정하고 있다. 경제적·사회적·문화적 권리위원회(Committee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는 사회권규약을 실현하기 위한 기구이다. 사회권위원회는 주거권과 관련한 일반논평 4호(General Comment No. 4: The Right to Adequate Housing)와 일반논평 7호(General Comment No. 7: forced evictions)를 발표했다. 사회권위원회는 지금까지 4차례에 걸쳐서 최종 권고문(Concluding Observations)에서 우리나라의 주거권 보장의 미흡사항에 관한 개선을 권고하였다. 사회권위원회는 사회권규약 선택의정서(Optional Protocol of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에 따른 개인청원(Communications Procedure)을 통한 방법으로 주거권을 보장하고 있다. 국제연합 인권이사회(Human Rights Council)는 보편적 정례검토(Universal Periodic Review)와 특별보고관(Special rapporteur)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보편적 정례검토에서는 우리나라의 주거권 보장을 위한 공공임대주택의 공급과 주거급여의 대상을 늘려서 주거지원필요계층을 배려할 것을 권고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2018년 주거권 특별보고관(Special Rapporteur on adequate housing)이 우리나라에 방문했으며, 2019년 주거권 특별보고관은 우리나라의 주거권 실태에 관한 보고서를 인권이사회에 제출하였다. 이 글에서는 국제연합 사회권위원회와 인권이사회를 통한 주거권 보장방안을 다루고자 한다.

      • Relationship Between Demand-supply in the Housing Market and Unsold New Housing Stocks

        Jang, Sewoong,Lee, Sanghyo,Kim, Juhyung,Kim, Jaejun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2010 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 Vol.9 No.2

        <P>The phenomenon of unsold new housing stocks is an important indicator in the housing market system; it is directly related to the profitability of the construction business and appears as a result of an imbalance in the demand and supply of houses. Changes in demand-supply because of various factors are another phenomenon that occurs in the housing market. It is considered that these changes in demand-supply are closely related to the unsold new housing stocks. Therefore, we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demand-supply in the housing market and unsold new housing stocks using the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We used data from Seoul as the spatial scope of this study, and the temporal scope of time series data ranged from July 2001 to July 2009. To obtain the time series data, databases of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ne Affairs, Statistics Korea, CERIK, and Kookmin Bank were utilized. The results of variance decomposition analyses indicated that for changes in unsold new housing stocks, the explanatory powers of housing selling price indexes and housing loans were high while the explanatory powers of production factors were relatively low. Based on the results of impulse response analyses, the quantity of unsold new housing stocks showed larger changes in response to the impulses of housing prices and housing loans than to the impulse of production factors. Also, it was indicated that, among the production factors, unsold new housing stocks showed a pattern of continued change in relation to the financing status of suppliers while showing impromptu responses to the impulses of the material or manpower situation but no continued change.</P>

      • KCI등재

        한국형 사회주택의 개념 정립과 유형화 연구

        신서경,윤영호,권오정,최병숙 한국주거학회 2017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28 No.6

        Housing stability of the disadvantaged exacerbates by economic downturn; furthermore, the lack of public rental housing supply and service is a major housing policy issue which existing public rental housing bears. To resolve this housing issue the central government begins to consider social housing that could respond to various rental housing demands. As a means of establishing social housing in rental housing market, non-profit organizations and small-scale private enterprises participate in the market with financial supports and tax incentives. Also, the central government makes tenants criteria reasonable to accommodate rental housings for diverse households such as students and newlyweds. This study focuses on such emerging change in rental housing policy and market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social housing in Korea. As a result, the central government plans to support private and non-profit organizations for rental housing supply. Second,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the concept of life cycle management blend into tenants criteria which heavily centered on income levels before. Diversifying rental housing suppliers and making reasonable tenants criteria show potential for social housing. Lastly, the market paradigm of rental housing needs to transform from supply-oriented to actively demand-responsive. 개인소득과 경제상황의 불안정성이 높아지며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의 주거문제가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기존의 공공임대주택정책이 임대주택 수요에 부응하고 있지 못하는 현실에서 임대주택의 양적 공급과 질적 서비스의 향상은 중요한 주택정책과제이다. 이러한 가운데 사회주택이 주택정책의 대안적 방향으로 논의되기 시작하며 다양한 임대주택 수요에 부응하기 위한 중앙정부차원의 주택정책마련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양질의 임대주택 공급을 확보하기 위하여 비영리 조직과 개인사업자, 민간기업 등 다양한 민간 임대주택사업자를 임대주택시장에 참여시키기 위한 국가차원의 금융․세제지원 제도를 재정비하고 있다. 또한 최저소득계층뿐만 아니라 차상위계층의 사회초년생, 노인, 신혼부부 등 다양한 임대주택의 수요자를 고려한 다각화된 임대주택 재고와 입주(공급)기준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정부의 임대주택 정책을 살펴보고 정책적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2016년 4월 발표된 맞춤형 주거지원 대책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한국형 사회주택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첫째, 기존에 공공 중심으로 이루어진 임대주택공급체계를 민간 사업자의 임대주택 공급참여로 확대하여 보다 다양한 임대주택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정책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둘째, 보다 다양한 임대주택 수요자를 포용하기 위하여 소득뿐만 아니라 가구특성, 가구별 생애주기 등 을 고려하는 임대주택 입주(공급)기준을 운영하기 시작했다. 임대주택 공급주체의 다양화와 입주(공급)기준 다각화는 한국형 사회주택을 정착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한국형 사회주택의 정립과 정책적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임대주택 시장패러다임을 공급위주에서 수요위주로 바꿔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개인과 가구의 소득과 주거비용 간에 상관관계를 비롯한 보다 정밀하고 세분화된 정량적, 정성적 데이터 축적 및 분석이 장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주택법제에서 공법의 기능과 공동주택 관리

        박건우 한국집합건물법학회 2023 집합건물법학 Vol.47 No.-

        The traditional housing law system of Korea centered on supply and demand, which was formed against the background of rapid urbanization and population growth, could no longer be maintained as the housing supply rate exceeded 100% and the country entered a rapidly declining population. The changed social structure is demanding institutional transformation in the direction of boldly abandoning the ‘construction promotion act’ system in Korean housing legislation, remodeling old apartments, and delicately managing apartments. It is time to discuss the reform direction of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the housing law system through social consensus and discussion. In this article, we reviewed the process of introducing the institutional function of the current housing law system and its social background, following the historical process of the formation of the framework of Korea's housing law system. When the social reality, which is the foundation of the housing legislation, changes, the function and system of the norm cannot help but change accordingly. In this article, we looked at the achievements of adaptation to the current legislation and future tasks under the premise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Korean housing law system will inevitably shift to the ‘management function of apartment housing’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in the future. The change in Korean society, which has escaped from the desperate housing shortage and is entering a declining population, is an institutional challenge, but on the other hand, it can act as an opportunity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city. We look forward to the rebirth of the housing law system that upgrades our apartment buildings to a more pleasant environment and a space with efficient and reasonable functions including informatization, awa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evelopment era. 급격한 도시화와 인구성장 구조를 배경으로 형성된 물량공급 중심의 전통적인 주택 공법 체계는 주택공급률 100% 초과와 급격한 인구감소사회로의 진입으로 더 이상 유지될 수 없게 되었다. 변화된 사회구조는 우리 주택법제에 ‘건설 촉진법’ 체계를 과감하게 포기하고 낡은 공동주택을 개조하고 공동주택을 섬세하게 관리하는 방향으로 제도적 변신을 요구하고 있다. 사회적 합의와 토론을 통하여 주택 공법 체계의 근본 구조의 개혁 방향을 논의하여야 할 시점이다. 이 글에서는 한국의 주택공법체계의 골격이 형성되는 연혁적 과정에 따라, 현재의 주택 법제가 발휘하고 있는 제도적 기능이 도입된 과정과 그 사회적 배경을 검토하였다. 주택법제 역시 그 성립의 기초가 되는 사회현실이 변화되면 그에 따라 규범의 기능과 체계가 변모하지 않을 수 없다. 이 글에서는 우리 주택공법의 무게중심이 향후 상당기간 ‘공동주택의 관리 기능’으로 옮겨질 수 밖에 없다는 전제 하에, 현행 법제의 적응의 성과와 향후 과제를 살펴보았다. 절박한 주택난에서 벗어나 인구감소기로 진입하고 있는 우리 사회의 변화는 제도적 도전이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 도시의 질적 향상을 위한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 개발시대의 시각에서 주택 정책을 바라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보다 쾌적한 환경, 정보화를 포함한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기능을 갖춘 공간으로 우리의 공동주택을 업그레이드하는 주택 법제의 거듭남을 기대한다.

      • KCI등재

        공공임대주택이 주택 매매 및 전세 가격에 미치는 영향 -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

        이재영(Lee, Jai Yeong),박태원(Park, Tae Won) 한국부동산원 2016 부동산분석 Vol.2 No.1

        본 논문은 장기공공임대주택재고의 정책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주변지역의 주택매매 및 전세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25개 구에 대하여 2010년부터 2014년까지 5개년의 주택매매 및 전세가격 변동률자료와 이들 지역의 장기공공임대주택재고, 매매가격대비 전세가격 비율, 회사채 수익률 등의 패널데이터를 구축하여, 고정효과모형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패널분석 결과에 따르면, 장기공공임대주택재고는 주변지역의 전세가격을 낮추는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저소득층이 많이 거주하는 소형아파트에 대한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매매가격에 대해서는 일반의 인식과 달리 상승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이 공공임대주택은 직접 수혜를 받는 입주자의 편익뿐만 아니라 주변지역 가격 안정을 통한 다수의 세입자들에게 주는 긍정적 외부효과도 있으므로, 국민임대,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 재고 확충을 위한 정부의 노력은 더욱 강화될 필요가 있겠다. In this paper, we have investigated the impact of the public rental housing on housing price of surrounding areas. For this purpose, we gathered housing purchase price, jeonse(rental) price and stock of public rental housing, as well as ratio of jeonse to purchase price for housing and corporate bond yield rate, in 25 boroughs of Seoul between 2010 and 2014 as panel data. We did regression analysis using fixed effect model of panel mode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blic rental housing supply and the region’s jeonse price changes led to the finding that the public rental housing was effective in lowering jeonse price.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blic rental housing supply and the region’s housing purchase price changes led to the finding that the public rental housing had raised the purchase price. Considering tenant’s benefits and the indirect effects of public rental housing, such as lowering private jeonse price, more emphasis should be put on public rental housing programs such as National Rental Housing and Happiness Rental Housing.

      • KCI등재

        상품화·금융화된 주택시장에서의 의존적 독립과 주거선택전략: 서울 거주 30대 청년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이봉조 한국공간환경학회 2022 공간과 사회 Vol.32 No.2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using choices of young adults in the commercialization and financialization of housing. Such growing housing phenomena lead to not only young adults in housing anxiety but also delayed independence towards full adulthood in social and economic aspects. In the contexts, this study collected interview data from 30-somethings, which were a series of housing experiences according to life-course.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had tried to attain social and economic autonomy regardless of departure from their parental home or not; simultaneously, the uncertainty of the labour and housing markets resulted in a longer and heavier reliance on parental financial support. Indeed, the material support from parents ha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life transitions toward adulthood. Parental perceptions and financial abilities often were reasons young adults experienced inadequate housing. Meanwhile, the Korean government has attempted to generalize access to the financial market in order to keep the conventional housing ladder. Nevertheless, the participants had relied deeper on debt and parental finance; otherwise, poor housing was experienced by those who could not meet credit criteria. 이 연구의 목적은 심화되는 주택시장의 상품화·금융화 과정에서 성인이행기 청년들의 주거선택과정을 탐색하는 것이다. 주택의 상품화·금융화는 청년들의 주거불안을 야기하고 동시에 사회적·경제적으로 완전한 성인으로의 독립을 유예시킨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30대 청년들의 생애과업단계에 따른 주거경험을 인터뷰데이터로 수집·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분가 여부와 상관없이 성인으로서 부모로부터 사회적·경제적 자율성을 성취하기 위해 노력하지만, 노동시장과 주택시장의 불안은 부모에게 경제적 의존을 심화시키기도 한다. 실제로 부모의 물리적 지원은 청년의 성인이행기 전반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부모의 인식, 경제적 역량에 따라 상품화된 주택시장에서 청년들이 열악한 주거를 경험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한편, 전통적인 주거사다리가 작동할 수 있도록 금융자본의 접근성을 보편화하기 위한 정책적 시도들이 있었다. 그러나 청년들은 빚을 지면서도 부모의 경제력에 더 의존하게 되고, 대출기준에 미치지 못한 청년들은 더 열악한 주거를 경험하는 원인이 되었다.

      • KCI등재

        제주지역의 주거사정 변화와 주택수요예측에 관한 연구 : 1980년~1995년 인구,주택 조사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정별아(Byul Ah Jung),김태일(Tae Il Kim) 제주학회 2002 濟州島硏究 Vol.21 No.-

        제주도는 섬이라는 공간적 제약 속에서 육지부로부터의 인구 유입과 유출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지만 개발이 지속적으로 추진되면서 매년 유입비율이 높아지고 있고, 제주도내에서도 지역간 인구이동도 심화되고 있다. 특히 고령화가 육지부와 달리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등 주거사정에 많은 변화가 있다는 점에서 제주도의 주가사정에 대한 변화분석은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배경으로 본 연구는 인구구조의 변화가 주거사정 전반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에 초점을 두고 우리 나라와 제주도의 주거사정 변화를 비교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고 아울러 제주지역의 장래 인구구조 변화에 의한 계층별 주택수요를 예측하고자 함이 연구의 주요 목적이다. 연구에 사용된 분석 자료는 통계청이 5년마다로 실시하고 있는 인구·주택 총조사 2% 표본 원자료 1980년~1995년 자료로서 가구주만을 선별하여 인구구조 및 주거사정의 시계열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라이프 싸이클 매트릭스(Life Cycle Matrix L.C.M)의 개념, 즉 가구주의 연령과 가구원수와의 관계에 의한 세대구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세대구성은 3~4인 규모의 2세대가구가 증가하고 특히 전국에 비해 제주는 65세 이상의 고령 독신세대와 고령 부부세대의 증가가 크게 이루어져 고령자주택수요가 급증할 것을 예상된다. 주택 수요계층별로 살펴보면, 결혼 후 가정을 형성하지만 사회적 경제적으로 안정되지 못하여 임대주택을 선호하는 25~34세의 『世帶用賃貸 수요층』, 그리고 가정이 안정되어 자기 집을 갖고자 하는 수요계층인 35~49세의 『前期自家 수요층』이 급속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자기집을 마련하지 못한 이들 계층에서의 자가 및 임대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70세 이상의 고령가구에 있어서는 자가 비율이 떨어지고 있는 반면 월세로 거주하는 가구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형태에 있어서는 전반적으로 아파트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으나 연립주택의 비율도 상당히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거주인원수와 사용방수와의 관계에 의한 주거수준에 있어서는, 1980년에 비해 1995년에 높아져 1개 이상 사용인구가 전체의 70%를 넘어 전국보다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나 아직도 일정수준 이하의 주택에서 거주하고 있는 계층도 상당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제주지역의 주택수요는 양과 질적인 면에서 전국수준을 상회하나 신규 수요가 예상되는 세대용 임대수요층에 대한 물량과 35~49세에 해당하는 『前期自家 수요층』에서의 아파트 및 연립주택 수요가 예상되고 65세 이상의 고령자 단독가구 및 부부가구의 수요가 급속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이에 대한 정책적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fact that demand for housing has been under the influence of change of population structu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nge of housing situation with population structure change, and is to anticipate demand for housing with people of all classes in the future. To accomplish this research, 2% census data of 1980 to 1995, carried out by The Statistics Operations is used to ascertain relations between population structure change and housing demand. Data analysis depict as follows: I) Life Cycle Matrix, which represents relations between householders and the number of family members(L.C.M) indicates that there is an increase in second household s housing made up of 3~4 family members in Jeju compared to in other provinces. Also there is an increase in housing demand for old people in their late 65 s, especially for only one person household and an old couple household. 2) In terms of ownership of housing there is apparent demand for rental tenure of people who are 30~39 years old after marriage. In case of a group over 70 years old, they have a tendency to live in the rental house in stead of having their own house. 3) Usually, people have a tendency to live in apartments and apartment unit in a private house as well. 4) The ratio of occupying their own room is over 70% revealing people live in better condition in Jeju compared to in other provinces. Of course, there are still room for improvement. The findings show that demand for housing in Jeju is met comparatively well in quantity and quality respects. However, it is anticipated that there will be much more demand for rentals and housings designed for the elderly and for dwellers in rentals. It is necessary to plan a new housing policy to meet the several expected demands in Jeju.

      • KCI등재

        주거권 보호 측면에서 주거 관련 제 법규에 대한 비판적 고찰

        김서기 한국집합건물법학회 2018 집합건물법학 Vol.26 No.-

        In connection with housing problems in Korea, among other things, the rapid drop of birth rate causes quite different housing types from the past. Also, as a result of diverse causes including the rapid drop of birth rate, the diffusion ratio of house reached to 103.5% at the end of 2014. Accordingly, under the judgement to need a shift in housing policy from the construction and supply of house to housing welfare, Framework Act on Housing was enacted and enforced in 2015. The Framework Act on Housing holds a high rank against other housing-related laws and regulations, and the legislative purpose of the Act is, first of all,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housing. By the way, in spite of having enacted and enforced the Framework Act on Housing, it is doubtful whether other housing-related laws and regulations ar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it. Morover, it seems that other housing-related laws and regulations do not reflect the contents of the Act enough. For this reason, in Part Ⅱ, this Article begins with a short explanation of main contents of Framework Act on Housing. In addition, Part Ⅱ shows what the legal character of housing right is. And then, in the light of the right to adequate housing, Part Ⅲ examines some specific problems of other housing-related laws and regulations. 2015년부터 제정․시행되고 있는 「주거기본법」은 명시적으로 주거권을 규정하고 이를 보장하기 위한 구체적 내용들을 두고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주거권과 관련된 다른 법률들과의 관계에서 「주거기본법」이 상위법에 해당함을 밝히고 있다. 그런데 「주거기본법」상 주거권의 구성요소들 중 ‘쾌적하고 안정적인 주거환경’의 구체적 의미가 무엇인지는 동법에 나타나 있지 않아 체계적 해석을 해야만 한다. 우리 헌법 제6조 제1항에 따르면 헌법에 의하여 체결․공포된 조약은 국내법과 같은 효력을 가지는데, 국회의 동의를 얻어 가입서를 제출하여 1990년 7월부터 국내법과 같은 효력을 가지는 가장 강력한 주거권 관련 국제규범으로 인정되는 UN 「사회권규약」은 UN 사회권 위원회의 일반논평을 통해 어떤 경우에 주거환경이 적절한지에 대해 상세히 밝히고 있다. 즉 점유의 법적 안정성(Legal security of tenure), 서비스 등 가용성(Availability of services, materials, facilities and infrastructure), 경제적 부담가능성(Affordability), 물리적 거주적합성(Habitability), 접근가능성(Accessibility), 입지적합성(Location), 문화적 적절성(Cultural adequacy)이 적절한 주거의 구성요소이다. 쾌적하고 안정적인 주거환경은 당연히 적절한 주거환경이므로 이상의 「사회권 규약」의 주거환경의 적절성 구성요소들 중 「주거기본법」제2조 주거권의 구성요소인 주거환경의 ‘쾌적성’과 ‘안정성’에 해당되는 것들을 추출해 냄으로써 ‘쾌적성’과 ‘안정성’의 의미들을 구체화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안정성’은 점유의 법적 안정성과 경제적 부담가능성을, ‘쾌적성’은 서비스 등 가용성, 물리적 거주적합성, 접근가능성, 입지적합성, 문화적 적절성을 구체적으로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지진과 같은 물리적 위험으로부터 해당 지역 주민들을 보호해주는 것은 무엇보다 「주거기본법」상의 주거권의 쾌적성, 특히 물리적 거주적합성의 보장을 통해 최소한의 주거 수준을 확보해 주는 것으로서 국가의 의무이다. 그럼에도 「주거기본법」제18조에서 최저주거기준 미달 가구에 대한 우선 지원을 국가 등의 재량사항으로 규정해 놓은 것은 지진과 같은 물리적 위험으로부터 국민의 최소한의 주거권을 보장함에 있어서 미흡한 것이다. 비록 사회적 기본권이 국가 내적 권리이므로 국가의 재정 형편 등에 따라 인정 여부가 결정되긴 하지만 주거권과 관련하여 최저주거수준을 확보해 주는 것은 국가의 의무사항으로 규정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임대차에 있어 임차인을 보호하기 위한 핵심적 수단 두 가지는 차임과 임대차 기간에 대한 통제이다. 그런데 차임 통제에 관해서만 유독 규율상의 미비로 젠트리피케이션 현상과 같은 새로운 사회적 위험에 맞서 임차인의 주거권, 특히 주거의 안정성 요소로서 점유의 법적 안정성이 크게 침해받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 결과 다른 거주민들의 주거권, 특히 주거의 쾌적성 요소로서 서비스 등 가용성도 침해받고 있다. 따라서 당사자들의 사적자치를 심각하게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임대차 기간에 대한 통제 수준의 차임 통제 조항들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서울특별시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조례」제35조 제1항 제1호 ‘무주택세대주’의 해석과 관련하여 서울시 행정실무에서처럼 세대구성원 전원이 무주택이어야 주택재개발사업 시 임대 ...

      • KCI등재

        마카오 특별행정구역의 주택공급 및 주택관리에 관한 고찰

        이현정,윤정득 국토연구원 2010 국토연구 Vol.67 No.-

        The main goal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residential properties in the Macau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Based on in-depth interviews and site visits, this research finds that the housing policy in Macau centers on not just housing production but its property management. It's noted that the roles of the government are specified in the housing mechanism: it plays a regulatory role in the supply of private housing while it does a facilitatory role in the production of public housing. Further, the government is responsible to provide lower-income households with public housing in the form of either ownership or rental while private housing is available for those who can afford without any support from the public sector. There were two primary reasons to emphasize residential property management. The high populace forced the city to choose high-density residential properties as a solution to meet the high demand for housing. The other reason is to address public sanitation affected by poor and inadequate upkeep and deterioration in the aging process of residential properties. In midst of economic growth, the proliferation of housing production addresses professionalism in residential property management. The research implies that the housing policy in Korea deals with the importance of both housing production and property management, and the institutional supports in doing so are essential. 본 논문은 중국의 특별행정구역 중 하나인 마카오시의 부문별 주택공급과 주택관리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마카오 특별행정구역은 빠른 경제성장으로 주택공급이 확대되고 있으나 빈부격차가 심화시키는 구조의 산업발달로, 주택정책은 기본적으로 시장논리에 근거하여 규제를 통해 주택수급을 조절하는 동시에 서민층의 주거안정을 강조하고 있다. 즉, 민간부문에 의한 주택 건설을 촉진시키는 반면 공공부문은 저소득층이나 서민층을 대상으로 저렴한 분양주택과 임대주택 공급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인구밀도와 주택수요가 높은 상황에서 고층주택의 보급으로 주택관리가 강조되었으며, 주택관리는 초기 주거위생이라는 협의적인 의미에서 건물 노후화 지연, 쾌적한 도시주거환경이라는 광의적인 의미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단순히 주택건설에 그치지 않고 주택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는 마카오시의 사례를 통해 향후 우리나라 주택정책에서도 녹색성장 기조에 맞춰 주택개발과 관리가 공존하는 보다 적극적인 시책이 요구되어야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