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입도조(入島祖) 묘역에 나타난 제주의 형기론(形氣論) 풍수지리(風水地理)

        신영대(Young Dae Shin) 제주학회 2009 濟州島硏究 Vol.32 No.-

        제주에 산재 (散在) 한 모든 묘역(墓域)과 입도조(入島祖) 묘역은 전통적인 풍수지리(風水地理)의 한 축으로 불리는 형기론(形氣論)의 바탕 위에서 판단하는 좌향법(坐向法)이 사용되었으며, 이러한 장법(葬法)은 제주 특유의 지리적 상황과 융합되면서 형세(形勢)를 중시하는 제주풍수로 발전하게 되었다. 특히 종산(宗山)인 한라산과 오름을 연계한 지맥(地脈)의 유기적(有機的)인 관계는 제주의 양택(陽宅)파 음택(陰宅)을 이루는 풍수의 모태(母胎)가 되었다. 대부분의 묘역이 오름의 형세와 연계한 지형·지세의 기본 골격을 중시하였고 제주의 전형적인 형기론(形氣論) 풍수로 자리매김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오름이나 동산에 의지하여 묘역의 위치를 정할 때 음양오행(陰陽五行)의 원리에 따라 오성체(五星體)의 산형(山形) 과 형세적인 요소를 결합하면서 상징적인 물형(物形)의 형국이 묘역마다 부여되었다. 그 이면에는 한라산과 오름을 매개체로 한 지맥(地脈)의 개념이 근간(根幹)을 이루었으며 이러한 관념은 제주의 형기론 풍수를 발전시키는 원동력이 되었다. 한라산을 중심으로 동서남북으로 이어진 360여개의 오름과 마을의 동산에는 제각기 지세(地勢)의 형국을 바탕으로 독특한 성격과 상징을 가지고 있는 묘역이 산재하고 있다. 본 논고(論考)에서는 특히 지난한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때로 유배(流配)와 은거처(隱居處)로 제주에 낙향(落鄕)하여 지역 사회에 많은 영향을 끼친 대표적인 입도조(人鳥祖) 묘역을 중심으로 형기론(形氣論) 풍수를 고찰하고자 한다. 입도조 묘역에는 제주의 역사와 문화가 살아 숨 쉬고 제주 풍수의 형기적(形氣的)인 심미성(審美性)을 유추(類推)할 수 있다. 형기론 풍수에 각인(刻印)된 내면의 정신적인 가치와 자연적인 가치는 풍수의 형국(形局)에 바탕을 둔 풍수적 상정을 통하여 모든 분야에 더욱 제주적인 모습을 발현시킬 수 있다고 본다. 동시에 제주의 입도조(入島祖) 묘역에 나타난 제주풍수의 형기론적(形氣論的) 형국을 중심으로 독특한 제주 풍수의 방식과 제주의 관념, 정신, 생활, 윤리 등 한라산과 오름을 지맥의 매개체로 한 묘역의 지세를 통해 제주풍수의 참다운 모습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For all tomb sites around Jeju, including the ones form the first movers of a clan to the island, the applied method for site selection was Fengshui Direction or Jwahyangbeop(坐向法), a method used to select and place a tomb based on the Theory of Shape-Energy Relations, one the axes of the traditional feungshui principle. The practice of such method embraced and merged with Jeju s indigenous geographical surroundings to develop into Jeju s particular fengshui that emphases the shape and force of terrain. The organic relations of the mountain ranges(地脈) from the backbone mountain of Jeju, Mt. Hallasan, to the scattered volcanic cones ororeums have been the source of Jeju fengshui in selecting Yang-tack(陽宅) for people to live in and Yin-taek(陰宅) for the dead to be buried. Most of the tome sites display that the importance is given to the basic structure of the shape and energetic force of a site in connection with those of the surrounding oreum. This has been the opportunity from which Jeju s classic theory of shape-energy relations to be developed. In particular, when a tomb site was selected based on the surrounding oreums or hills, a shape of a symbolic object is assigned to the site by combining the shape of mountain in terms of the body of the five elements(五星體) and the elements that makes the shape based on the Yin and Yang and the Five Elements (陰陽五行). The basis of such practice was the concept of topography that uses Mt.Hallasan and surrounding oreums as medium, which has been the driver for the development of Jeju s theory of shape-energy relations of fengshui. There are tomb sites scattered around on more than 360 oreums, stretched out from Mt. Hallasan to the north, east, west, and south and on the hills near by villages. Each of the sites has a unique characteristic and a symbolic feature based on the shape and force of the site.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Theory of Shape-Energy Relations of feungshui by reviewing some of the representative tomb sites for the first movers of a clan who mad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ommunity. They were the people who became the first movers to form a clan on the island as they were sent to Jeju in exile or chose to sequester themselves in the island. The sites vividly reveal well-maintained history and culture of Jeju and the esthetic characteristics of Jeju fengshui s shape and energy. The spiritual and natural value, ingrained in the Theory of Shape-Energy Relations of fengshui, are embodied in fengshui symbols based on the shapes of fengshui, which shall be able to manifest the Jeju s unique features further in different areas. Based on the theory of shape-energy relations in Jeju s particular fengshui, the study also aims to highlight the genuine features of Jeju fengshui, such as its unique method of practicing and Jeju s idea, spirit, life, and morals as shown in the tomb sites of the first movers of a clan, by reviewing the shapes and the energy emitting from the sites that use the topography of Mt. Hallasan and its surrounding oreums as medium.

      • KCI등재후보

        제주향토음식이미지가 관광객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제주방문관광객 대상 설문조사분석을 중심으로-

        최광수 제주학회 2019 濟州島硏究 Vol.52 No.-

        본 연구는 제주향토음식 경험이 있는 제주를 방문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제주향토음식이미지와 관광객만족 그리고 행동의도와 관련하여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결과 제주향토음식이미지는 청정이미지, 지역이미지, 전통이미지, 메뉴이미지, 거리이미지가 도출 되었다. 제주음식이미지가 제주관광지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청정음식이미지(.331), 전통음식이미지(.137)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인 구전에는 청정음식이미지(.318), 지역음식이미지(.171)가 재방문에는 청정음식이미지(.283)가 추전에는 청정음식이미지(.282), 지역음식이미지(.259)가 각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제주향토음식이미지 중 관광객 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청정음식이미지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정음식이미지를 높이기 위해서는 제주향토음식점의 청결과 제주향토음식 메뉴의 현대화 그리고 종사원의 위생관련 교육의 지속적인 실시와 제주 식재료의 청정 이미지 등을 통하여 제주향토음식의 청정 이미지화를 높여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제주에서 만이 먹을 수 있는 지역 브랜드 메뉴를 강조하여 메뉴 구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eju native food image, tourist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of tourists visiting Jeju with local food experience. As a result, the clean image, regional image, traditional image, menu image and street image of Jeju native food image were derived. The effect of Jeju food image on the satisfaction of Jeju tourist destination was influenced by clean food image (.331) and traditional food image (.137), and the positive word of mouth factor was influenced by the clean food image (.318) and local food image (.171), while the revisiting factor was influenced by clean food image (.283), and the recommendation factor was influenced by the clean food image(.282), and local food image(.259) respectively. Therefore, the clean food image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among Jeju native food images which affects the satisfaction and the behavioral intention of tourists. In order to improve the image of clean food, cleanliness of local restaurants in Jeju, modernization of local food menu in Jeju, clean image of Jeju food ingredients and hygiene education of employees of Jeju restaurants should be reinforced.

      • KCI등재

        조선시대 제주지역 무과 운영의 실제에 관한 연구

        강동호(Dong-Ho Kang) 제주학회 2022 濟州島硏究 Vol.58 No.-

        본 연구는 그동안 제주 지역사 연구에서 소외되어 왔던 제주지역 무과 운영과 무과급제자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여 그 실제를 파악해 보았다. 조선시대 제주는 지리적인 이유로 과거 운영에 있어 상당한 수준의 배려가 있었다. 식년시와 증광시 전라도향시 인원 25인 중 3인을 배정받아 1513년(중종 8)부터 시행되었다. 실제 제주 무과향시의 운영 사례를 검토한 결과 기록으로 확인되는 횟수는 73회이고, 124명이 입격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제주 무과향시는 거르지 않고 모두 시행된 것으로 보인다. 다음은 제주에서 시행된 외방별과와 외방별시를 살펴보았다. 조선시대 제주 무과 외방별과는 모두 19회로 파악되며, 156명이 입격하였다. 철종대에는 제주 외방별과가 외방별시로 승격되어 총 두 번 시행되었는데, 무과 장원 급제자 이언길과 양제호를 확인하였다. 또한 1854년(철종 5) 갑인제주별시 방목을 통해 급제자 8명을 추가로 확인한것도 본 연구의 큰 성과라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마병도시와 별포과의 운영에 대해 살펴보았다. 마병도시와 별포과는 거수자에게 직부전시의 특혜를 주는 시험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늦게 시행되었다. 그리고 제주지역 무과 급제자 현황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역대인물」 급제자 174 명, 제주별시 8명, 홍패 확인 인원 9명, 급제선생안 73명, 증보탐라지 21명 등 모두 285명(중복 제외)이 확인되었다. 이 인원은 제주지역 무과급제자 최소 인원이라고생각된다. This study confirmed specific case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military exam in Jeju.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first Jeju military exam was continuously conducted by assigning three personnel belonging to Jeolla Province, and through the records, 73 tests were conducted and 124 people passed. Next, an official who was assigned a special mission was sent to Jeju to take a military exam. A total of 19 tests were conducted and 156 soldiers passed. During the reign of King Cheoljong, special military exams were conducted only in Jeju, and in two tests, Lee Eon-Gil and Yang Je-ho took first place. In 1854, eight soldiers passed the special military exam conducted in Jeju. Finally, the operation of Jeju Mabyeongdosi(馬兵都試) and Byeolpo-Gwa(別砲科) was considered. Through this study, 285 people who passed the Jeju military exam were confirmed, and this number is considered to be the minimum number of those who passed the Jeju military exam.

      • KCI등재

        제주음식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향후 연구 과제

        주영하(Young Ha Joo) 제주학회 2012 濟州島硏究 Vol.37 No.-

        본고는 제주음식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그 동안의 연구 성과를 살피고, 향후 이에 대한 연구에서 지녀야 할 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기존 연구 성과를 살펴본 결과 제주음식에 대한 문화적 특징을 통시적으로 파악하지 못한 점에 문제가 있었다. 필자가 살펴본 바는 다음과 같다. 제주음식의 역사적 특징은 주식이 분식(粉食)에서 입식(粒食)으로 변화되었다는 점이다. 적어도 19세기 말까지 제주도 사람들은 기장·조·피·콩·메밀·보리 등의 잡곡을 분식으로 만들어 주식으로 삼았다. 그래서 반찬보다는 국물이 있는 음식을 주로 범벅 이나 빙떡 과 함께 먹었다. 20세기에 들어와서 보리 재배가 증가하면서 보리가 주식이 되었다. 비록 부분적으로 한반도의 육지로부터 멥쌀이 유입되었지만, 본격적으로 쌀밥을 주식으로 먹기 시작한 때는 1960년대 제주도에서의 벼농사 본격화 이후이다. 보리밥과 쌀밥이 주식으로 자리를 잡으면서 범벅이나 빙떡은 특별한 날 먹는 음식으로 변했다. 그 대신에 육지와 유사하게 각종 반찬이 보리밥이나 쌀밥을 먹을 때 마련되었다. 나는 제주음식의 이러한 역사과정을 문화적 육지화(cultural landization) 라고 명명한다. 1980년대 이후 제주도가 관광지로 인식되면서 제주음식은 관광객을 위한 음식으로 탈바꿈을 하였다. 오늘날 한국인들이 생각하는 제주음식은 대부분 1980년대 이후에 개발된 관광음식이다. 제주도를 방문하는 관광객은 처음에 관광지에서 해당 지역의 특이한 음식에 관심을 가지지만, 자신들이 익숙한 음식을 소비하려는 경향을 가지게 된다. 그래서 육지에서 온 관광객은 대체로 각종 회와 갈치·고등어·전복·성게 등을 비롯한 각종 생선을 재료로 한 음식을 제주음식이라고 인식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향후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최근에 제기되고 있는 관광음식, 로컬푸드운동, 지역학으로서의 제주학과 제주음식에 대한 연구가 더욱 심도 있게 진행되리라 믿는다.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history and the culture of Jeju-food and it aims to suggest the extended tasks. The results of the established studies did not satisfy the cultural diachronic characteristics of Jeju-food. My argument is as follows.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Jeju-food show that main staple changes to grain based food from flour based food. The residents of Jeju Island have eaten the grain based food such as proso, millet, sawamillet, pulse, buckwheat and barley at least until the end of 19th century. So they have eaten Bumbuck and Bingduck (like korean pudding) with soup rather than with side dishes. Barley has been the main staple food due to its increase in production in the 20th century. Although some nonglutinous rice got into Jeju Island through the main land of the Korean Peninsula, the people in Jeju have been eating rice as main staple after they have begun rice farming in 1960s. Bumbuck and Bingduck have become special food after boiled barley and cooked rice settled as the main food. Instead, residents in Jeju island have started cooking rice and side dishes just like main land. I named this historical process of Jeju-food the cultural landization. Since 1980s when many people began to recognize Jeju as a tourist attraction, Jeju-food has transformed so that they are suitable for tourists. Jeju-food are known to Koreans today. Tourists who have visited Jeju are interested in the local food but they tend to consume more familiar food. Therefore tourists from the main land have been recognizing Jeju-food as follows. Various kinds of sashimi made of hairtail, mackerel, abalone, and sea urchin.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with critical mind in Jeju studies and Jeju food which are now focused on tourist food, and local food movements.

      • KCI등재

        16세기 제주도의 위기와 流民 증가 그리고 출륙금지령

        양정필(Jeong-Pil Yang) 제주학회 2023 濟州島硏究 Vol.59 No.-

        15세기에 제주도의 경제적 상황은 나쁘지 않았다. 그러나 16세기 들어서 제주도는 위기에 처하였다. 16세기 초반에 제주도에서는 흉년이 계속되고 전염병이 빈발하였다. 그 결과 굶어주고 병들어 죽는 사람이 많았다. 또 제주도 지방관들의 失政과 탐학도 이어졌고, 進上도 가중하여서 제주도인의 삶은 피폐해졌다. 무엇보다 여러 재난이 짧은 기간에 연이어 발생하여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없었던 것이 상황을 악화시켰다. 위기의 여파로 제주도에서 살 수 없다고 판단하고 본토로 떠나는 유민이 증가하였다. 16세기 전반에 사망자와 유민의 증가로 제주도의 인구는 격감하였다. 당시는 왜적의 침입이 빈발하여서 제주도를 방어하는 것은 중요하였다. 조정에서는 제주도의 인구 격감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인구를 회복시키기 위한 정책들을 추진하였다. 우선 제주도를 떠나 본토에서 떠도는 유민들을 쇄환하였다. 그리고 삼남 지방의 사람들을 제주도로 들여보내 인구를 늘리려는 논의도 있었다. 이러한 대책에도 불구하고 제주도의 위기와 인구 감소는 극복되지 못했다. 16세기 후반에 제주 목사들은 제주도인의 본토 출입을 통제하였다. 제주도인은 목사가 자신의 부정행위가 알려지는 것을 우려해서 출입을 막는다고 생각하였다. 그렇지만 그 시책은 결과적으로 제주 유민의 발생을 막고 제주도의 인구 감소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다. 그래서 정부에서는 1629년에 제주 목사의 시책을 공인하여 출륙금지령을 내린 것으로 이해된다. In the 15th century, the economic situation in Jeju Island was not bad. However, in the 16th century, famine continued and infectious diseases occurred frequently. So many people starved and died sick. Also, local officials in Jeju Island did not manage well. In addition, the tax burden increased, making the lives of Jeju Islanders even more impoverished. Jeju Island was unable to escape the crisis as several disasters occurred in a short period of time. Those who judged that they could not live in Jeju Island began to leave Jeju Island. As the number of deaths and displaced people increaseds, the population of Jeju Island decreased sharply. The Government took this seriously. Because at that time, invasions of Japanese pirates were frequent, so it was important to defend Jeju Island. So the government pushed for policies to restore the population. First of all, the refugees who left Jeju Island and wandered from the mainland were repatriated. There was also a discussion to increase the population by bringing people from the southern regions into Jeju Island. Despite these measures, Jeju Island's crisis and population decline had not been overcome. Meanwhile, in the late 16th century, local officials of Jeju controlled Jeju Islanders from entering the mainland. the policy had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Jeju refugees and curbing the population decline in Jeju Island. Therefore, in 1629, the government authorized the Jeju official's policy and imposed a ban on Jeju people from leaving the island.

      • KCI등재후보

        1920년대 제주여자청년회의 성격과 활동

        한금순(Han, Geum-Soon) 제주학회 2021 濟州島硏究 Vol.56 No.-

        제주여자청년회는 사회적 역할을 추구하는 여성을 목표로 활동한 1920년대의 단체이다. 제주여자청년회는 여성에 대한 기존의 전통적 인식을 바꾸기 위한 강연 활동, 여성의 실력 양성을 위한 교육 활동으로 학술강습소 운영과 신문물 견학 등을 통해 여성운동을 하였다. 특히 제주도의 수해 구제 활동과 같은 제주 사회의 현안에 참여하는 활동을 제주청년회 등의 제주 사회단체와 연계하여 펼쳤다. 제주의 학생들을 위한 소년운동 분야, 노동운동과 농촌계몽운동, 사회운동 분야까지도 함께하였다. 또한 근우회, 조선사회단체중앙협의회 등의 전국적인 활동에도 참여하였는데 만주의 우리동포를 지원하는 재만동포옹호동맹 활동, 관북지방 수해 구제 활동 등에 참여하였다. 제주여자청년회 활동을 했던 대표 인물로는 강평국, 최정숙, 고수선 등을 들 수 있다. 제주여자청년회의 활동은 실력 향상을 바탕으로 하여 사회 개혁을 추구하고자 했던 제주 여성의 사회 참여 활동, 나아가 여성의 고전적 역할 인식의 틀에서 벗어나 사회 주체로서의 여성의 역할을 추구하였던 1920년대 제주 여성들의 활동이라 할 수 있다. Jeju Young Women’s Association(JYWA) was the organization in pursuit of women’s social roles in 1920’s. JYWA carried out feminist movement for women’s education. JYWA held lectures to change women stereotypes. It also established the scholastic training center and organized the field trip to learn new culture for women’s education. JYWA cooperated with other social movement group like Jeju Young Men’s Association(JYMA) for social activities to cope with social issues in Jeju. Relief activities for water damages are well-known case of JYWA’s cooperation. JYWA offered their assistance for various social movements for youth welfare, labor rights, and rural enlightenment. Furthermore, JYWA participated in nationwide movements like the activities of Keun-Woo Association, Chosun Central Council of Social Movement Groups, and Assistance Alliance for Koreans in Manchuria. JYMA participated in relief activity for water damages in Gwanbuk regions, northeastern region of Korean peninsula. Kang Pyeong-kuk, Choi Jeong-suk, and Ko Soo-seon are the representative activists who participated in Jeju Young Women’s Association.

      • KCI등재

        제주물의 이용 양상과 민속적 인식

        강수경 제주학회 2022 濟州島硏究 Vol.57 No.-

        이 글은 제주물의 이용 양상과 민속적 인식에 대해서 다룬다. 여기서 제주물은 상수도 시설 이전 제주 사람들이 이용하였던 물을 통칭한다. 곧 용천수, 봉천수, 우물, 빗물의 활용과 관련 있다. 제주물에 대한 인문적 관점의 연구는 용천수를 중심으로 다소 이루어진 바 있으나 폭넓게 전개되지는 못하였다. 제주물은 제주의 역사와 삶의 원천 이었다. 제주 사람들이 물을 생산하고 관리하며 이용하는 양상은 민속문화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 글에서 제주물의 이용 양상과 민속적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제주물의 폭넓은 연구를 지향하고자 한다. 이 글에서는 우선 제주물의 이용 양상에 대해서 용천수, 봉천수, 우물, 빗물 받기로 나누어 파악하였다. 해안에서는 주로 용천수를 중심으로 물의 이용이 이루어지고, 중산 간에서는 봉천수가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외에도 가정에 우물을 마련하는 경우도 있었고, 빗물조차 적극적으로 이용하였다. 이러한 제주물의 이용 양상을 바탕으로 명칭의 형성, 용도의 구분, 형태와 구조 등의 민속적 인식을 살펴보았다. 제주물은 마을의 지형과 지질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민속지식과 기술을 동원한 총체적인 산물이다. 제주물은 곧 마을의 고유자원이며, 화산섬 제주가 이룩한 물문화이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use and folk perception of Jejumul. Here, Jejumul refers to the water that Jeju people used before the water supply facilities. it is related to the use of spring water, Bongcheonsu, well and rainwater. Studies from the humanistic point of view on Jejumul have been conducted centering on spring water, but it has not been widely developed. Jejumul was the source of Jeju’s history and life. The pattern of Jeju people producing, managing and using water is also a folk culture. Therefore, in this paper, I intend to pursue a wide range of research on Jejumul by examining the patterns of usage and folk perceptions of Jejumul. In this paper, first I examined the pattern of usage of Jejumul by dividing it into spring water, Bongcheonsu, well and a collecting rain water. In the coastal areas, water was mainly used with spring water and Bongcheonsu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middle mountainous area. In addition, there were cases where families prepared well and rainwater is even used actively. Based on these usage patterns of Jejumul, I looked at folk perceptions such as the formation of names, classification of uses, forms and structure. Jejumul is overall a comprehensive product with folk knowledge and technology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topography and geology of the village. Jejumul is a unique resource of the village and a water culture established by Jeju, a volcanic island.

      • KCI등재후보

        제주도 해양문화자원에 대한 도민 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문순덕(Moon, Soon-Deok),김석윤(Kim, Seok-Yoon) 제주학회 2021 濟州島硏究 Vol.55 No.-

        제주도는 섬지역으로서 해양문화자원이 풍부할 것이라는 기대가 높은 편이므로, 제주 도민들이 지역의 해양자원을 공공자산으로 인식하고 그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해양문화자원에 대한 제주 도민들의 인식과 태도를 확인해 보고, 해양문화자원의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주도의 해양자원은 크게 자연자원, 인문자원, 산업자원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글에서는 인문자원만을 논의대상으로 삼았다. 해양인문자원은 역사자원, 생활자원, 문화콘텐츠로 분류하여 현황과 제주 도민들의 인식을 확인해 보았다. 제주도의 해양문화는 역사성과 지역성을 바탕으로 형성된 자원들이지만 급변하는 사회 환경에 따라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는데, 이는 과거의 자원으로서가 아니라 미래 자원으로서 잠재적 가치가 높다고 인식한 결과이다. 이에 제주사회의 변화를 고려하여 제주도의 고유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양문화자원의 가치를 귀중하게 인식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야 한다. 해양문화자원은 ‘이용의 대상이 아닌 공존’의 대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하며, 제주도 해양문화는 ‘제주 도민의 자긍심’으로 자리매김 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지역별․ 연령별 인식 차이의 원인을 규명하고, 그에 따른 합당한 보존과 활용 방안을 마련하려면 해양문화자원 전반에 대한 실태조사가 필요하다. 결국 제주도 해양문화자원의 보존과 활용 측면을 고려하여 제주도의 정책 방향에도 반영되어야 한다. Jeju-do is an island and has high expectations to have rich marine culture resources. It is thus necessary to come up with a plan for the residents of Jeju to view the region’s marine resources as public property and enhance its value.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Jeju residents on marine culture resources and proposes a novel method to newly recognize and utilize the value of marine culture resources. The marine resources of Jeju-do can be categorized broadly into the categories of natural resources, cultural resources, and industrial resources, but this study only discusses cultural resources. Marine culture resources were divided into historical resources, lifestyle resources, and cultural contents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perception of Jeju residents. The marine cultures of Jeju-do are resources formed based on its history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but its gravity is heightening according to the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This is the result from the perception that there is high potential value as a future-oriented value, rather than resources of the past. Accordingly, conditions should be provided considering changes in the Jeju society for placing value on the marine culture resources in order to maintain the uniqueness of Jeju-do. Therefore, an environment should be established to recognize marine culture resources as a subject of ‘coexistence rather than use’ and it should be possible for Jeju’s marine culture to become the ‘pride of Jeju residents.’ Furthermor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per region and age group, while providing suitabl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plan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all marine culture resources. In result,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aspects of marine culture resources should be considered and reflected in the policy directions of Jeju-do.

      • KCI등재

        해방 이후 제주사 연구의 성과와 과제

        홍기표(Hong Ki-pyo) 제주학회 2018 濟州島硏究 Vol.50 No.-

        해방 후 제주사에 대한 연구사 정리는 그 동안 세 차례 있었다. 1983년 제주대 탐라문화연구소, 1991년 제주도사연구회, 2011년 제주학회에서 수행하였다. 각각 당시까지의 제주사 연구 논저를 시대별, 주제별로 파악하여 그 성과를 검토하였다. 거기에 연구자 및 연구기관까지 소개하며 제주사 연구의 주체들을 파악할 수 있었다. 1983년의 연구사 정리는 1945년부터 1970년대 말까지 35년간 국내외에서 간행 발표된 역사 고고 분야에서의 제주도 관계 제반 논저를 개괄, 정리하였다. 1991년의 연구사 정리는 1980년대 논저를 대상으로 내용을 간략히 소개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이 두 차례의 연구사 정리는 제주사 연구 풍토나 역량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을 때의 산물이었다. 따라서 비교적 소량의 논저를 대상으로 그 내용과 비판 및 향후 주제 제시까지 세밀히 정리하였다. 2011년의 연구사 정리는 앞의 두 차례와 달리 내용의 소개와 검토까지 이루지는 못했다. 그 이유는 1990년대 이후 제주사 연구자의 증가, 연구기관(단체)의 창립이 이어지면서 다량의 연구 논저들이 쏟아져 나왔기 때문이었다. 본고는 이상의 연구사 성과를 검토한 후, 다음의 세 가지 주제에 초점을 맞춰 논지를 전개하였다. 첫째, 시대별 연구주제(연구자)와 전망. 둘째, 제주사 연구기관과 그 성과. 셋째, 제주사 연구과제 검토와 전망. 필자는 이상의 논지를 전개하기 위해 해방 이후부터 2017년 현재까지 제주사 관련 논저 목록을 작성 하였다. 논저는 국사편찬위원회의 『한국사연구휘보』 및 각 기관(단체)의 학술지 목록 등을 참고하여 대략 1,000편 전후가 수집되었다. 이상의 논저를 시대별, 주제별, 기관(단체)별 등으로 분류한 뒤 다음의 세 가지 목표를 설정하여 논지를 전개하였다. 첫째 제주사의 주요 논저 목록을 구체적으로 소개한다. 둘째 향후 제주사의 시대별 연구 방향과 주제를 제시한다. 셋째 제주사 연구의 과제를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After liberation, there had been three times of study on history of Jeju so far. One of them had been taken by “Tamra” culture research institute in Jeju university in 1983, the other one taken by research society of history of Jeju in 1991 and lastly, taken by Jeju Academy in 2011. Each of them reviewed the outcome of studies by figuring out the research paper chronologically and per subjects. On top of that, it informed researchers and research institute which makes people can grasp who is the main agent of the research. First of all, the review of study in 1983 organized and summarized the books related history and archaeology field of Jeju from 1945 to the late 1970s. Second of all, the review of the study in 1991 provided a brief introduction to contents of books in 1980s and present future research tasks. These two times of studies had been done while the capability and condition of history research was not in good order. Therefore, with small quantity of books, relatively, this manuscript organizes the contents of those books by from criticizing to presenting future research task. Lastly, the review of study in 2011. This study did not introduce and review the content of the studies unlike the previous two reviews. This is because the researcher and research institute on history of Jeju had increased in number after 1990s, which produced a number of research papers. This manuscript reviews the outcome of the previous three studies. After that, it develop the contents focusing on next three subjects. 1. chronological research subject(or researcher) and the prospect. 2. Reseach institute of history of Jeju and the outcome. 3. Review on research subject of history of Jeju and the prospect. The writer of this article made a list of books related to history of Jeju from after liberation to 2017. This list consisted of about a thousand of books which are referred to 『A Collection of Reports of Korea History』 by the ‘National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as well as journal lists of each research institutes. These books are classified by periods, subjects, and institutes. With these sources, this article set up three goals. Firstly, Introducing a list of primary books about history of Jeju in detail. Secondly, Suggesting future research direction and the subject of history of Jeju per period. Lastly, Suggesting the way of research on history of Jeju for conducting the study more synthetically and systematically.

      • KCI등재

        제주 고지도를 활용한 지역학습 방안 : 중학교 사회과 1학년 지역탐구 단원을 중심으로

        김란영(Ran Young Kim) 제주학회 2009 濟州島硏究 Vol.32 No.-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사회 「I. 지역과 사회탐구」단원 학습에 있어서 고지도의 활용에 관한 방안을 구안하였다. 즉 고지도를 하나의 학습 매체로 인식하여 「I . 지역과 사회탐구」 단원 중 <1. 지역의 지리적 환경>, <2. 지역 사회의 변화와 발전> 단원에서 여러 가치 지리적 요소들을 추출하여 지역학습방안을 설계하였다. 현존하는 제주 고지도중 매우 사실적이고 내용이 풍부한 <濟州三邑全圖>를 활용하여 자연 지리적 요소를 이용한 학습, 인문 지리적 요소를 이용한 학습, 지역변화학습, 문화유적학습 등의 학습을 구성하고 4차시 교수·학습 과정안과 탐구학습지 자료를 개발하였다. 자연 지리적 요소를 이용한 학습에서는 <제주삼읍전도>를 활용하여 위치, 화산지형, 해안과 하천, 곶자왈의 특징 등의 내용을 학습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이를 통하여 제주지역의 자연환경의 특색을 파악할 수 있는 학습방안을 제시하였다. 인문 지리적 요소를 이용한 학습에서는 <제주삼읍전도>, 『耽羅巡歷圖』의 <漢拏壯촉>, <山莊狗馬> 등의 고지도를 통하여 제주도의 촌락, 방어시설, 과원, 목장의 특색을 파악하도록 구성하였다. 이를 통하여 제주지역의 인문환경의 특색을 파악할 수 있는 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지역변화학습에서는 <제주삼읍전도>와 현재 지도를 통하여 행정구역의 변천과정, 시대별 중심지, 교통·통신 수단의 변화, 지명의 변화 등을 학습하고 이러한 변화를 가져온 요인을 탐구하도록 구성하였다. 이를 통하여 제주 지역의 여러 가지 변화 요소들을 시각적이고 공간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학습방안을 제시하였다. 문화유적학습에서는 <제주삼읍전도>, 『탐라순력도』의 <濟州殿最>, <別防操點>, <한라장촉> 등을 통하여 제주목판아, 관방유적, 제주시권 문화유적, 향교 등을 탐구하도록 구성하였다. 이를 통하여 제주지역의 문화유적을 파악하도록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design a practical use of old map for the lesson of Exploring Regions unit in 1st year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I designed a teaching method of Jeju Region using old maps which are recognized as important teaching materials along with various geographical factors taken from 1. Geographical environment of Region and 2. Change and Development of Community in the 1. Region and Society Exploration unit. , one of the old maps of Jeju has graphic description and richness of contents. It was used for 4 period teaching plans including natural geographical factors, human geographical factors, region change, and culture. in the lesson using natural geographical factors, teaching plan was designed so that students could learn location, topography of volcano, seashore and rivers, Gojjawal s characteristic and so on. Through this, teaching method was suggested that learners could grasp specific character of natural environment in Jeju. in the lesson using human geographical factors, teaching plan was designed so that students could grasp specific character of village, defenses, orchard, ranch of Jeju Island through old maps such as , , and of Tamrasunryeokdo , Through these, teaching method was suggested that students could grasp specific character of human environment in Jeju. in the lesson using region change, teaching plan was designed so that students could understand change process of administrative division, center by period, the means of traffic and communication, change of place-name, and so on. These of are compared with those of present map. Through this, teaching method was suggested that learners could grasp various change factors in Jeju visually and spatially. in the lesson using cultural remains, teaching plan was designed that students could research Jejumokkwana, Gwanbangyoujeok Hyangyo in and , , of Tamrasunryeokdo etc. Through this, teaching method was suggested that students could grasp cultural remains in Jej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