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요한복음서의 영광에 대한 주요 연구동향과 사회학적 재해석

        이승문 한국대학선교학회 2010 대학과 선교 Vol.1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major study trends on the Glory in the Gospel of John in order to reinterpret it in a sociological aspect. Furthermore, it is to induce the social situation of the Johannine community that is under-toned in the paragraph of mutual glory, and to see what kind of social functions the ‘mutual glory of the Son of Man’ conducted in the Johannine community.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nvolves a sociological analysis employing a method of the sociology of knowledge with an assumption that each text of the New Testament reflects the social world of the community that produced its own document. The Son of Man ‘Jesus’ realize the mutual glory between the Son of Man(Jesus) and God by willingly walking the path of death without fearing death(John 13:31). However, John wrote ‘the mutual glory of the Son of Man’ as ‘the mutual glory of Johannine community’ instead of staying in ‘the mutual glory of the Son of Man’(Jn 17:22): “I have given them the glory that you gave me, that they may be one as we are one”. The glory that was given to John’s Jesus was the mutual glory of Son of Man. Jesus got glory by asking for it from God who sent him(Jn 5:41, 44; 7:18). He revealed God to the world by not fearing death(Jn 12:42-43) and he realized the mutual glory of the Son of Man by raising ‘God’s glory’ over ‘man’s glory’. Likewise, Jesus gave his mutual glory to his disciples, which means John's community. The members of Johannine community who received this glory needed to chase after the glory of Jesus, who was God(cf. Jn 17:10; 5:44; 14:31). Also the members of Johannine community needed to reveal Jesus, who sent them(cf. Jn 13:35), to the world by not fearing of death and by willingly sacrificing themselves(Jn 15:13). Therefore, the reason why John emphasized ‘the mutual glory for the Son of Man’ was not just to reveal high Christology, which says that Jesus is the Son of God and is therefore God. It was because John tried to legitimate the death in front of the danger that the community had, through ‘the mutual glory of the Son of Man’. 본 논문의 목적은 요한복음서의 영광 단락에 대한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사회학적 재해석을 통하여 상호영광 단락이 함의하고 있는 요한공동체의 사회적 정황을 도출하고, ‘인자의 상호 영광’이 요한공동체내에서 어떠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는지를 고찰하려는 데 있다. 본논문의 연구방법론은 신약성경의 각 텍스트가 그 텍스트를 산출한 해당 공동체의 사회적 세계를 반영한다는 지식사회학의 방법을 활용하는사회학적 분석을 포함한다. 인자이신 예수는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죽음의 길을 기꺼이 걸어가심으로써 인자와 하나님의 상호 영광을 이룬다(요 13:31). 그러나 요한기자는 인자의 상호 영광에 머물지 않고,인자의 상호 영광을 요한공동체의 상호 영광으로 옮기고 있다(17:22). “내게 주신 영광(인자의 상호 영광)을 내가 저희에게 주었사오니(요한공동체의 상호 영광) 이는 우리가 하나가 된 것같이 저희도 하나가 되게 하려 함이니이다”(17:22). 요한의 예수에게 주어진 영광은 인자의상호 영광이다. 예수는 자신을 보내신 자인 하나님의 영광을 구함으로자신도 영광을 얻는다(5:41, 44; 7:18). 그리고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음으로(12:42-3) 자신을 보내신 자인 하나님을 세상 가운데서 드러내었고, ‘사람의 영광’보다 ‘하나님의 영광’을 더 사랑함으로 인자의 상호영광을 이루었다. 이처럼, 하나님이 예수에게 주었던 상호 영광은 이제예수가 제자들에게, 즉 요한공동체에게 주고 있다. 이 영광을 받은 요한공동체 멤버들은 마땅히 그들을 보내신 하나님이신 예수의 영광을구하여야 한다(17:10; 5:44; 14:31 참조). 또한, 요한공동체 멤버들은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세상 가운데서 기꺼이 죽음으로(15:13) 자기들을 보내신 자인 예수를 세상에 알려야 한다(13:35 참조). 그러므로요한기자가 복음서에서 인자의 상호 영광을 강조하고 있는 궁극적인이유는 예수가 하나님의 아들, 하나님이라는 고등 기독론을 드러내는것에만 있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요한기자는 그 무엇보다도 요한공동체의 인자의 상호 영광을 통해서 공동체가 당면한 위기앞에서 ‘죽음의 합법화’를 이루려 하였기 때문이다.

      • KCI등재

        하나님의 영광에 대한 헤르만 바빙크의 견해

        박재은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22 생명과 말씀 Vol.34 No.3

        The ‘only’ principles that Reformation theology of the 16th and 17th-centuries pursue ultimately converge with the concept of the ‘glory to God alone’(soli Deo gloria). If the principles of the Scripture alone(sola Scriptura), Christ alone(solus Christus), grace alone(sola gratia), and faith alone(sola fide) stand firm, the final result is solely one: the glory to God alone. If the principle of the ‘glory to God alone’ is greatly important, what is the ultimate ‘content’ of this principle? This study will try to answer this question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works of Herman Bavinck(1854-1921), a Reformed theologian who lived in the Netherlands in the 19th and 20th-centuries. Bavinck was a person who constantly pondered and worked hard on how to reveal the ‘glory of God’ in all areas. In his writings, Bavinck correctly describes the principle and context of the concept of the glory of God, and the way and attitude toward this principle with a uniquely balanced tone. In particular,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Bavink’s ‘theological context,’ which deals with the expression of God’s glory, because if we closely examines the nature of theological context in which Bavinck uses the expression of God’s glory, the nature and attributes of the principle of ‘God’s glory’ and the ‘glory to God alone’ can be clearly revealed. This point is the core thesis of this paper. The procedure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the study will review Bavinck’s works as a whole, and identify and analyze the theological context in which Bavinck uses the expression and concept of ‘glory of God.’ Based on this analysis, the paper will grasp the essence and attributes of the concepts of the ‘glory of God’ and the ‘glory to God alone’ and conclude this paper with a final arrangement after examining the practical consideration points of all previous discussions. 16-17세기 종교개혁 신학이 지향하는 ‘오직’ 원리들은 ‘오직하나님께만 영광’(soli Deo gloria)이란 개념으로 궁극적으로 수렴된다. 만약 오직 성경(sola Scriptura), 오직 그리스도(solus Christus), 오직 은혜(sola gratia), 오직 믿음(sola fide)의 원리들이 건실하게 서 있기만 한다면, 그 최종 결과는 오직 하나님께만영광이 될 수 있다. 오직 하나님께만 영광이라는 원리가 그토록 중요하다면, 과연이 원리가 궁극적으로 말하고 싶은 ‘내용’은 무엇일까? 본고는이 질문에 대한 답을 19-20세기 네덜란드를 살았던 개혁파 교의학자 헤르만 바빙크(Herman Bavinck, 1854-1921)의 작품들을 포괄적으로 분석하며 내려 볼 것이다. 바빙크는 모든 영역 속에서‘하나님의 영광’이 어떻게 하면 오롯이 드러날 수 있는지에 대해부단히 고민하고 애썼던 인물이었다. 바빙크는 자신의 글 가운데서 하나님의 영광이라는 개념의 원리와 맥락, 이 원리를 대하는방식과 자세에 대해 특유의 균형감 어린 논조로 올바르게 말해주고 있다. 특별히 하나님의 영광이라는 표현을 다루는 바빙크의‘신학적 맥락’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그 이유는 바빙크가 하나님의 영광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신학적 맥락의 본질을 면밀하게 살피다 보면 ‘오직 하나님께만 영광’이라는 원리의 본질과 속성이 선명하게 드러날 수 있기 때문이다. 바로 이 지점이 본고가지향하는 핵심 논지이다. 본고의 진행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바빙크의 작품들을 전반적으로 훑어보며 바빙크가 ‘하나님의 영광’이라는 표현과 개념을 어떤 신학적 맥락에서 사용하는지를 파악하고 분석할 것이다. 이런 분석을 토대로 ‘하나님의 영광’이라는 개념의 본질과 속성을 파악하고, 앞선 모든 논의의 실천적 고찰 지점을 살핀 후 최종정리하며 본고를 마무리 짓도록 하겠다.

      • KCI등재

        요한복음에 등장하는 영광 언어

        송승인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20 신학과 사회 Vol.34 No.4

        본 연구는 요한복음에 등장하는 영광 언어에 대한 연구다. 요한복음에는 영광 언어가 많이 등장하고 중요한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이 주제와 관련된 연구는 이제까지 많지 않았다. 이 언어를 네 가지로 분류하는 쾨스텐베르거의 연구는 많은 통찰력을 주지만, 그의 분석은 비교적 간단하고 철저하지 못한 약점과 함께 요한복음에 분명히 기록되어 있는 선재한 로고스로서의 예수의 영광에 대해(17:5a; 17:22; 17:24) 고려하지 않으므로 수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필자는 본 연구를 통해 쾨스텐베르거의 분류를 보완했다. 먼저 필자는 요한복음의 영광 언어를 분류하되 이 단어의 의미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했다. 헬라어 는 두 가지 주요 의미를 가지는데 첫째는 “영광(glory)”이고 두 번째는 “명예, 명성, 의견(honor, reputation, opinion)”이다. 전자는 하나님의 임재로부터 뿜어져 나오는 가시적인 밝음이나 광채를 가리키거나 하나님의 성품의 계시를 통해 나타나는 불가시적인 그의 영광을 가리킨다. 요한복음 1:14, 2:11, 11:40, 12:41이 이 경우에 해당하고, 이 경우 하나님이나 예수의 성품, 모습, 행동을 통해 드러나는 신적 영광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는 빈번하게 가 “보다”라는 동사와 함께 사용되는 특징이 있다. 의 두 번째 의미인 “명예”는 요한복음에서 흔히 “영광을 취함”, “영광을 구함”, “영광을 돌림”이라는 표현으로 사용된다. 이런 경우 하나님이나 사람으로부터 칭찬이나 찬양을 받거나 높임을 받는 행위를 가리킨다. 이 범주에 속하는 구절들이 첫 번째 경우보다 훨씬 많은데, 5:41, 5:44(x2), 7:18(x2), 8:50, 8:54(x3), 9:24, 12:43(x2), 17:4; 17:5a, 17:5b, 17:22, 17:24가 이 경우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필자는 영광 언어가 구체적으로 표현되는 방식에 따라 다음 여섯 가지로 분류했다. 첫째, 요한복음에서 영광 언어는 성부께서 허락하신 선재한 로고스로서의 예수의 영광을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17:5a; 17:22; 17:24). 둘째, 표적을 포함한 공생애 동안 예수가 행한 여러 기적을 통한 예수의 영광이다(1:14; 2:11; 11:4; 11:40; 12:28). 셋째, 요한이 이 언어를 통해 가장 많이 묘사하는 사건은 예수의 십자가 사건이다(7:39; 12:16; 12:23; 12:28(x3); 12:41; 13:31-32(x5); 17:1(x2)). 넷째, 성령을 통한 예수의 영광이다(16:14). 다섯째, 제자들을 통한 성부와 성자의 영광이다(14:13; 15:8; 17:10; 21:19). 마지막으로 사람의 영광과 하나님의 영광이 대조되어 나타난다(5:41; 5:44(x2); 7:18(x2); 8:50; 8:54(x3); 9:24; 12:43(x2)). This study examines the language of doxa in the Gospel of John. Although the language of doxa occurs many times in the Gospel of John and is an important concept, there have been not many studies on this subject. Köstenberger’s four categories of this language of doxa give a lot of insight. But his analysis has two weaknesses. First, it does not provide a thorough analysis. Second, it omits the category of the glory of preexistent Logos which is mentioned in this Gospel (17:5a; 17:22; 17:24). Therefore, I supplemented his classification through this study. First, I classified the doxa language of John’s Gospel according to the meaning of this word. The Greek word doxa has two main meanings: the first is “glory” and the second is “honor”, “reputation”, or “opinion.” The former refers to the visible light or brilliance emanating from God’s presence, or to the invisible glory of God through the revelation of his character. John 1:14, 2:11, 11:40, 12:41 belong to this case, and these references mean the divine glory revealed through the character, appearance, and behavior of God or Jesus. In this category, doxa is frequently used with the verb “see.” The second meaning of doxa, “honor,” is often used in the Gospel of John with the words “to take the glory”, “to seek glory,” or “turn glory.” In this category, it refers to the act of receiving praise or exaltation from God or man. There are far more references in this category than in the first category. John 5:41, 5:44 (x2), 7:18 (x2), 8:50, 8:54 (x3), 9:24, 12:43 (x2), 17:4, 17:5a, 17:5b, 17:22, 17:24 fall into this category. Next, I classified the doxa language ​​into the following six categories in terms of its manners that it is expressed. First, in the Gospel of John, the language of doxa is used to refer to Jesus’ glory as a preexisting Logos (17:5a; 17:22; 17:24). Second, it is Jesus’ doxa through the many miracles Jesus performed during his earthly life, including the signs (1:14; 2:11; 11:4; 11:40; 12:28). Third, the events that John describes most in the language of doxa are Jesus’ crucifixion (7:39; 12:16; 12:23; 12:28 (x3); 12:41; 13:31-32 (x5); 17:1 (x2)). Fourth, it is Jesus’ doxa through the Holy Spirit (16:14). Fifth, the doxa of the Father and the Son through the disciples (14:13; 15:8; 17:10; 21:19). Finally, the doxa of human and the doxa of God appear in contrast (5:41; 5:44 (x2); 7:18 (x2); 8:50; 8:54 (x3); 9:24; 12:43 (x2)).

      • KCI등재

        로마 8,18의 고난과 영광에 대한 주석 연구

        임숙희(Lim, Sook Hee)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2 神學展望 Vol.- No.178

        본고는 로마 8,18을 통해 바오로 영성의 중요한 주제인 ‘고난과 영광’의 의미를 탐구한다. 8,18은 8,19-30에서 더욱 발전될 내용을 대표하는 ‘주제구절’이라고 할 수 있다. 8,18-30해석의 주된 어려움은 8,18의 정확한 의미가 분명하지 않다는 것이다. 많은 학자가 미래의 영광을 강조하면서 고난과 영광을 단지 ‘비교’나 ‘대조’의 관계로 해석해왔다. 그러나 이런 해석은 미래의 영광보다는 현재의 고난에 더욱 초점을 맞추는 8,19-30의 흐름과 연결되지 않으며 그리스도인의 삶에서 현재의 삶과 영원한 삶을 구분하게 한다. 본고에서는 고난과 영광이 현세에서부터 뗄 수 없는 관계라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8,18을 해석한다. 바오로가 8,18-30의 주제 구절인 18절에서 ‘나는 여깁니다’ (λογ?ζομαι)라는 뜻의 일인칭 단수형 동사를 사용하는 것은 이 구절의 해석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일인칭 동사의 사용은 8,18에서 바오로가 말하는 고난과 영광이 자신의 체험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그것을 공동체가 떠올리고 본받기를 바란다는 암시가 들어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바오로의 체험에서 볼 때 고난과 영광은 신앙 여정의 처음부터 끝까지 뗄 수 없는 관계이다. 바오로 자신이 ‘그리스도 안에서 하느님께 영광을 드리는 사도’로서 그의 생애 동안에 고난을 겪으면서 그리스도의 영광스런 모습으로 변형되어 가는 여정을 계속 하였다. 지금 우리가 겪는 고난은 우리 안에 계시될 미래의 영광을 막는 것이 아니라 준비한다. 8,18에서 바오로는 믿는 이의 ‘고난과 영광’이라는 주제를 통해서 로마 공동체에 그리스도의 수난과 죽음, 그리고 부활에 참여하며 그리스도를 닮아가는 삶을 통해 하느님께 영광을 드리라고 권고한다. This article examines ‘suffering and glory’ in Rm 8,18,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themes of Pauline spirituality. The major difficulty of the interpretation of Rm 8,18-30 comes from the fact that the meaning of 8,18, the thesis statement of 8,18-30, is not certain. Many commentators interpret the relation between suffering and glory in Rm 8,18 either as a comparison or a contradiction focusing on the future glory. But these interpretations are not related with the whole structure of 8,18-30 which is focused on the present suffering and furthermore may distinguish between this world and eternal life in Christian life. With this point of view, I interpreted Rm 8,18 considering the inseparable relations between suffering and glory. First of all, it is important to attend that Paul uses the first person singular of the main verb. ‘I consider’ (λογ?ζομαι). This observation is significant for our interpretation of 8,18. Because from this verbal form, we can glimpse that the suffering and glory in Rm 8,18 may be rooted in Paul’s personal experience of life by which Paul wants the Roman Community to record and imitate his example regarding present suffering. Viewing Paul’s experience, suffering and glory are inseparable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during the journey of the faith. Paul himself experienced the transforming journey form glory to glory continuously during his suffering life as an ‘apostle glorifying God in Christ’. The present suffering is not a hinderance for the future glory that will reveal in us but preparation for it. With the theme on suffering and glory in 8,18, Paul exhorts to the Christian communities in Rome to participate on Christ’s passion, death, and resurrection and be conformed with Christ always to glorify God.

      • KCI등재

        The Rhetorical Function of the ‘Glory’ Motif in John’s Gospel

        신숙구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22 Canon&Culture Vol.16 No.2

        The theme of glory pervades the entire Gospel of John and contributes significantly to our understanding of the Johannine conceptual world. Over the past decades, considerable work has been done in terms of exploring the historical and theological backgrounds of this important concept, but not much has been discussed as to how the notion of glory functions rhetorically in the Gospel of John. This article attempts to fill this lacuna by analysing the rhetorical impact that the δόξα-motif has on readers in John’s Gospel. It is suggested that the author presents the two radically different portrayals of glory through the characterisation of Jesus and his opponents and tries to influence readers not only to believe in Jesus as the Messiah but also to embody the glory that is revealed through the life and death of Jesus. This Johannine glory is not only counter-cultural but also oxymoron in every aspect because it is most vividly manifested through the least honourable means—crucifixion. It is in this vulnerability of Jesus that readers find the true meaning of glory.

      • KCI등재

        UML을 활용한 GLORY의 기능적 요구사항 분석 및 검증

        궁상환(Sang Hwan Kung),이재기(Jae-Ki Lee),남궁한(Han Namgoong) 한국콘텐츠학회 200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5

        서술 지향적인 방법에 의한 요구사항의 도출은 명확한 요구사항을 정의하는 데 있어서 불충한 것으로 지적되곤 한다. 이것은 요구사항을 기술하는 작업자들이 시스템을 이해하는 관점에서 차이가 있기도 하지만, 내용의 표현방법이나 다루는 내용의 깊이, 그리고 이러한 내용을 문서화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큰 차이를 갖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서술적인 방법으로 도출된 GLORY(GLObal Resource management sYstem)의 요구사항을 개선하기 위하여 UML 기반의 다이어그램을 이용한 요구사항 분석기법을 적용한 사례이다. 특히 다이어그래밍 기법을 활용함으로써 요구사항을 체계적으로 명확하게 도식화 하고, 이를 통해 요구사항의 일관성 유지와 아울러, 중요한 요구사항의 누락 방지 등의 성과를 달성할 수 있었다. In is often claimed that the descriptive way of documentation is insufficient to define software requirements as being unambiguous. This is caused by not only the difference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the stakeholder as to system but also the difference in the way of documentation like method of representation as well as depth of description. The study explains the process and results of applying a diagraming tool like UML to improve the requirements of GLORY(GLObal Resource management sYstem) initially defined in descriptive way. Especially, the result shows that the requirements are more accurately improved with the good hierarchies and well-leveled functionalities, with the help of diagraming tool, expecting easy maintenance of requirements and prevention of omission of requirements.

      • KCI등재

        하나님의 이름과 영광 그리고 종교양태의 변화

        이사야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4 기독교사회윤리 Vol.28 No.-

        This paper is intended to show how exilic & post-exilic Isaiah and Ezekiel have recognition of God in their times and to give main theological paradigms in the sense of Deuteronomist’s God’s name, universal theo-epistemology, God’s glory in the Priest’s source and change of individual forms of religious life. Exilic and post exilic Isaiah and Ezekiel present holy community’s vision focusing on the new temple and at the same time, use the name and glory of God who once departed from the people of Judah but will come back to them. To the people of Judah, the historical disaster that the Jerusalem temple was destructed and the monarchy failed down, 587 B.C., means not merely disappearing the royal authority of Judah, David’s descendants. It was the great theological emergency in the meaning of YHWH’s departure from Israel. So the most important thing to the returned people of Judah was the return of YHWH. Exilic and post exilic Isaiah and Ezekiel gave hopeful message of YHWH’s return to the returned people, to the people who was in the land of Judah and to the foreigners through God’s name and glory. Israel couldn’t find the symbol of God’s presence in the ark or temple with the disaster of 587 B.C., but their recognition of God’s being with themselve was not broken. The destruction of the temple changed their thought of God’s presence from the earth to the heaven and brought out the universal recognition of God. In the period of Exile, For them, God just dwelt in heaven not on earth, because they needed universal God, not God of Jerusalem. Such exilic and post-exilic theological thought also brought out change of individual forms of religious life.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responsibility to sin and repentance and the forms of religious life such as observance of Sabbath, circumcision, fasting and individual prayer etc also brought out ethical responsibility. In doing so, they hoped new generation when God, the savior of Jerusalem/Zion will come back and set there his name and glory(Ezekiel 48:35). 본 논문은 하나님이 유다 땅과 유다 백성을 완전히 떠나지 않고 함께 하심을 확신한 이사야와 에스겔이 야웨의 이름과 영광을 사용한 신학적 의미를 추적하고 포로기 이후의 신명기사가의 하나님 이름 신학과 보편주의적 신인식, 그리고 제사장 자료의 하나님의 영광 신학과 개인적 종교생활의 변화라는 측면에서 이 시대에 전환된 주요 신학적 패러다임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사야와 에스겔은 에스겔이 무엇보다도 다시 성전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거룩한 공동체의 비전을 제시하면서 유다 백성을 떠난 하나님이 다시 자기 백성에게로 돌아오실 것을 소망하는 맥락 가운데 하나님의 이름과 영광을 사용한다. 예루살렘의 멸망과 성전의 파괴라는 587년의 사건은 비단 유다 백성의 민족적, 정치적, 민족적 대재난이었을 뿐만 아니라, 하나님 야웨의 이스라엘 떠남이라는 신학적 대위기의 사건이기도 했다. 때문에 포로기간의 종식과 함께 유다 땅으로 ‘돌아온 유다 백성’(return of Judah)에게 남겨진 가장 중요한 문제는 ‘야웨의 돌아옴’(return of YHWH)이라고 할 것이다. 이사야와 에스겔은 자신들을 포함한 예언자들이 제시했던 희망들이 아직 현실화되지 않은 가운데 바벨론에서 돌아온 사람들과 유다 땅에 머물러있던 유다 사람들 그리고 포로기간 동안 그 땅에 들어와 살거나 바벨론에서 함께 온 이방인들 모두에게 하나님 야웨가 돌아옴으로써 이루어질 회복의 메시지를 이름과 영광을 통해 전하고 있다. 587년 유다왕국의 멸망과 함께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임재의 상징을 더 이상 법궤나 성전에서 찾을 수 없었으나, 하나님이 그들과 함께 하신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었다. 성전의 파괴는 야웨의 처소에 대한 이스라엘의 이해를 땅 위의 성소에서 천상으로 옮겨놓았고, 이에 따라 예루살렘에 갇혀있던 하나님 이해는 범 우주적인 하나님 이해로 확대되었다. 유다가 바벨론 포로기간을 보내다 다시 예루살렘으로 돌아가기까지 하나님은 지상의 처소가 없는, 하늘에 계신 분으로 이해하였다. 바벨론으로 끌려온 이스라엘 사람들에게는 예루살렘에만 계시는 하나님 보다 어디나 계시는 보편주의적 하나님 이해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포로기 이후의 신학적 사상은 종교생활의 양태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이사야와 에스겔은 포로기 이후 중요하게 자리잡은 안식일 준수, 할례, 금식, 기도생활 등의 개인적 종교생활의 양태과 아울러 개인의 죄에 대한 윤리적 책임과 회개를 강조하면서 예루살렘/시온의 구속자이신 야웨께서 돌아오셔서 그의 영광과 이름을 다시 그곳에 두실(겔48:35) 새 시대를 소망하고 있다.

      • KCI등재

        일인칭 관찰자 시점의 창작효과 - 「모든 영광은」, 「벌레 이야기」의 지연 효과를 중심으로(1)

        박덕규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6

        In novels, the narrator’s point of view functions as a basisto justify the plot and give order to the narrative.The present thesis focuses on novels that achieve certain effectsthrough first-person narration, describing the main character’s experiences in such a way that the ‘I’, who is witnessing the event, can be meaningfully imprinted on the reader. It attemptsto derive a creatively valid methodology beyond the analysisstage of ‘point-of-view research’. Hwang Sun-weon’s “All Glory” andYi Cheongchun’s “The Story of theWorm” are as examples of literary achievement that in terms of creative methodology are also good guides for writers in their strategic adoption of a first-person perspective. “All Glory” describes one man’s process of becoming both victim and perpetrator during the war, then his experience as an observer facing and overcoming the extreme contradiction through the power of love. In the first half of the novel, ‘I’ is put off by a man’s approach but gradually, as he becomes absorbed in the man’s story, eventually becomessupportive of what the man’sfuture course of action. Here, the psychological transition process of ‘I’from ‘rejection’to ‘solidarity’is rooted in the ‘experiential delay’ he adopts as a first-person observer. “The Story of the Worm” similarly describes through the ‘I’ perspective of the husband the changesin his wife’s behavior after her child is kidnapped and eventually found murdered.The narrative does notstop atshowinga mother’s mental breakdown over the tragic death of her child through ‘I’’s perspective. ‘I’’s reflective process of revisiting and re-explaining the event several times as ‘narrator’ in order to properly convey the meaning of his wife’s actions, correspondsto a ‘descriptive delay’ as he tries to highlight the true meaning hidden in his ordinary reconciliation with and forgiveness of the wife’s actions. The first-person observer’s point of view is described from the point of view of creative writing, as an effective methodology for revealing complex situations, portraying events that require multiple layers of understanding, and describing people with subtle inner psychologies. “All Glory” and “The Story of the Worm” are works that successfully apply this technique, using ‘delay’ as a methodology for portraying the attitude of the ‘I’ towards the main character both in terms of experience and description. The works are understood as good examples showing the creative effect of viewpoint selection. This paper is the first of a series of papers on “All Glory” and “The Story of the Worm”. The second paper is about “The Story of the Worm” and will appear. This paper is the first of a series of papers on “All Glory” and “The Story of the Worm”. The second paper is about “The Story of the Worm” and will appear in the following magazine. 근대소설에서 서술자의 시점은 서술에 질서를 부여해 플롯을 정당화하는 근거로작동되고 있다. 이 논문은 일인칭 시점 소설에서 특히 주인물의 특별한 경험을 그 주변인인 ‘나’가 독자에게 의미 있게 각인될 수 있게 서술함으로써 일정한 효과를 거둔소설을 주목한다. 이는 시점 연구에서 분석 단계를 넘어 창작적으로 유효한 방법론을얻으려는 시도다. 황순원의 「모든 영광은」과 이청준의 「벌레 이야기」는 일인칭 관찰자 시점을 전략적으로 채택해 문학적 성취를 이룬 예로 창작적 방법론이라는 측면에서도 좋은 길잡이가 된다. 「모든 영광은」은 전란 중에 피해자이자 가해자가 된 한 사내가 자신이 처한 극심한모순을 사랑의 힘으로 극복해 가는 과정을 ‘나’가 관찰자로서 수렴하고 있다. 소설 전반부에서 ‘나’는 사내의 접근을 불쾌하게 여기며 거부감을 드러낸다. 그러나 점차 사내의 얘기에 빠져들면서 끝내 사내가 취할 행동에 대해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거부감’에서 ‘연대감’으로 전이되는 ‘나’의 심리적 전이과정은 곧 일인칭 관찰자로 채택된‘나’의 ‘체험적 지연’에 의해 기대효과를 발휘함으로써 독자의 공감을 유도한다. 「벌레 이야기」은 자식이 유괴되고 결국 살해된 시체로 발견된 것에 대한 아내의 행동 변화를 ‘나’를 통해 수렴하고 있다. 그 내용은 자식의 비극적인 죽음에 대한 어머니의 정신파탄이 어떤 것인가를 보여주는 데 그치지 않는다. ‘나’는 아내의 행동이 의미하는 바를 제대로 전하기 위해 ‘서술자아’로서 여러 차례 사건 자체를 되짚어 설명하는 과정을 드러낸다. 이러한 ‘되짚어 설명하기’는 아내의 행동이 통상적인 용서와 화해가 은폐시키는 진정한 의미를 제대로 부각하려는 ‘나’의 ‘서술적 지연’에 해당한다. 이는 독자에게 이 사건에 대한 정당한 평가를 넘어 진정한 가치평가를 유도하는 데기여한다. 일인칭 관찰자 시점은 창작적 관점에서 복잡한 상황, 중층적인 이해를 필요로 하는 사건, 미세한 내면 심리를 지닌 인물 등을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방법론으로 설명된다. 「모든 영광은」과 「벌레 이야기」는 이를 성공적으로 적용한 작품으로 특히 ‘나’ 의 주인물에 대한 태도를 각각 체험과 서술이라는 면에서 ‘지연’이라는 방법론을 적용해 성취를 얻었다. 이는 시점 선택의 창작효과를 밝히는 좋은 예로 이해된다. 이 글은 「모든 영광은」과 「벌레 이야기」 두 편에 관한 연이은 논문 중 제1편에 해당하는 소논문이다. 이어지는 논문은 「벌레 이야기」에 관한 것으로 다음 지면에 발표할 예정이다.

      • KCI등재

        알모도바르의 〈페인 앤 글로리〉 색채 미학 연구

        문새미(Moon, Saemee),배상준(Bae, Sang-Joon)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21 씨네포럼 Vol.- No.39

        본 연구의 목적은 〈페인 앤 글로리〉를 중심으로 페드로 알모도바르(Pedro Almodóvar)의 색채 미학을 고찰함으로써 그의 영화연구를 입체화 하는 데 있다. 알모도바르는 색채의 거장이라 불리는 스페인의 대표 감독으로서, 데뷔작을 포함한 모든 작품에서 자신만의 색체계를 구축해왔다. 색채 연출에 있어 두드러지는 그만의 독창성은 바로 원색의 사용이다. 알모도바르는 관습적으로 어두움으로만 표현되었던 반사회적 캐릭터들을 화려한 원색으로 부활시키며, 그들이 지닌 개별성과 주체성을 강조한다. 특히 빨강은 주인공 캐릭터가 지닌 고통과 욕망을 상징하는 색으로 사용되며, 이 빨강을 중심으로 구축되는 색체계는 그의 모든 작품을 관통하는 핵심 주제인 ‘욕망’을 형상화한다. 즉 알모도바르의 색채는 단순한 스펙터클의 요소가 아닌, 주제를 드러내는 영화적 장치인 것이다. 이는 색채사용에 있어 주제와의 연관성을 중시하였던 에이젠슈테인의 방식과 맥을 같이 한다. 색채를 독립적 표현요소로 간주하였던 에이젠슈테인은 인물과 색의 일대일 대응이 아닌, 극적 흐름에 따라 유기적으로 변화하는 색채 운동을 통해 주제를 드러낼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맥락에 따라, 〈페인 앤 글로리〉의 분석 또한 주요 색채의 단절적 해석이 아닌 상호작용과 변화에 집중하여 해석을 시도하였다. 그의 자전적 작품이라 평가되는 이 영화에서는 파랑과 빨강, 노랑과 초록이라는 원색을 통해 자기 성찰의 과정을 형상화하고 있으며, 각각의 색채는 주제와 연결되어 유기적으로 변화한다. 영화에서 빨강은 주인공의 과거와 연결된 색으로, 과거로 인한 고통과 되찾고 싶은 열정을 동시에 상징한다. 빨강과 대비를 이루는 파랑은 체념과 평온이라는 양가적 정서를 나타내는 색이다. 빨강과 파랑은 끊임없는 대립을 반복하는데, 이는 주인공의 정서변화를 시각화한다. 영광의 색으로 사용된 노랑은 주인공이 성찰의 과정을 통해 얻게 된 창작의 빛이다. 노랑으로 나아가기 위한 과정에서 과거와의 매개 역할을 하는 초록은, 원색으로 치장된 현재의 삶과 대조를 이루며 어린 시절의 순수함을 표상한다. 초록을 통해 다시 본래의 자아를 되찾고 과거와 화해하게 된 주인공은 영광의 색인 노랑을 회복하고 새로운 작품의 창작을 시작한다. 결국, 이 영화는 주인공이 체념의 상태에서 열정을 되찾고 영광으로 나아가는 성찰의 과정을 빨강과 파랑, 노랑 그리고 초록이라는 색의 상호작용을 통해 표현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color aesthetics of Pedro Almodovar concerning Pain and Glory and thus delve deep into his films. As Spain’s leading film director, Almodovar is known as a master of colors. His originality in color lies in using splendid primary colors to reinstate the so-called "anti-social" characters, who have been customarily described as dark, in order to emphasize their individuality and identity. In particular, red is used as a color symbolizing the pain and desire of the protagonist. The color system built around red gives shape to ‘desire’, a key subject matter that penetrates through all his films. In other words, for Almodovar, color is not simply an element of spectacle but is a cinematic mechanism to reveal the subject of a film. This is in line with Eisenstein’s method to emphasize the relevance of a subject in using colors. Eisenstein insisted on revealing the theme using color movements, which change according to the dramatic flow, rather than a one-on-one correspondence between a figure and a color. Aligned with this concept, the author attempted to focus on interaction and change of colors while analyzing the Pain and Glory. In this film, which is one of the most autobiographical works of his career, Almodovar gives shape to the process of introspection using the primary colors of blue, red, yellow, and green. Each of those colors is linked to the subject and changes organically. Red symbolizes the pain and passion of the protagonist connected to the past. Blue is a color symbolizing the ambivalent emotions of resignation and tranquility. Red and blue repetitively conflict with one another. This is a visualization of the protagonist’s changing emotions. Yellow, which was used as the color of glory, is a light of creation he obtains through the process of introspection. Green, which serves as a bridge to the past in the course of his march towards yellow, symbolizes childhood innocence as it forms a contrast to the artificially adorned present life. Having found himself and reconciled with the past through green, the man recovers yellow, the color of glory, and starts the creation of new work. Ultimately, this film expresses the process of the protagonist’s introspection to regain passion from a state of resignation and marches towards glory through the interaction of colors, red, blue, yellow, and green.

      • KCI등재

        <더 글로리>에 나타난 가해자의 권력과 폭력 연구

        조규찬 어문연구학회 2023 어문연구 Vol.116 No.-

        <The Glory> is a work that shows the seriousness of school violence that still occurs and repeats in the Korean education field, showing the problem of school violence and the bare faces of the assailants who lead it. Especially, focusing on the main character who suffered physical and mental pain due to school violence in adolescence, the issue of power and violence is brought to the fore by dealing with the process of a group of assailants collapsing on their own due to the occurrence of a small gap. Hereat, this paper identifies the changes in the power structure and the aspects of violence over time, focusing on the members of the assailant group, who are the main drivers of school violence, and further examines the weakening of power through the destruction of relationships and the process of group dissolution. Chapter 2 examines the power structure and aspects of violence among assailant groups in adolescence. The power structure of the assailant group is formed by the wealth and social influence of the family in the case of adolescence. Those in power in the group of assailants maintain their power by means of freedom and violence, but unlike freedom, violence cannot lead to voluntary obedience. However, the way of freedom also hides objective violence behind it and is only an imperfect and weak power in that it can be easily broken at any time the moment it emerges from the surface. Chapter 3 looks at the process of weakening the existing power and the subsequent dissolution of the group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ssailant group members is cracked and destroyed after they become adults. The visualization of objective violence hidden in adolescence destroys existing relationships by revealing the problem of unilateral violence according to rank even among members of the same assailant group. The assailant group's power is weakened and further dismantled by using each other's weaknesses to overthrow the power structure that has been believed to be solid, or by using greater violence to prevent it in the process. As a consequence, the end of the assailant group members due to the weakening of power through the destruction of relationships and the dissolution of the group is punished in such a way that the assailant group members return to their adolescence Likewise, the significance of <The Glory> can be found in that it can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ower and violence by showing the conflicting structure of the victims and assailants of school violence during adolescence and adulthood. Also, it is expected that more diverse stories will be drawn in that it is possible to analyze not only the assailant group but also the relationship with the victims of school violence through follow-up research. <더 글로리>는 여전히 대한민국 교육 현장에서 발생하고 반복되는 학교 폭력의 심각성을 다룸으로써 학교 폭력의 문제와 이를 주도하는 가해자들의 민낯을 가감없이 보여준 작품이다. 특히, 청소년기 시절 학교 폭력으로 인하여 신체적‧정신적 고통을 당한 주인공을 중심으로 가해자 집단이 작은 틈의 발생으로 스스로 무너지는 과정을 다룸으로써 권력과 폭력의 문제를 전면에 내세운다. 이에 본고는 학교 폭력의 주동인 가해자 집단 속 구성원들을 중심으로 시절에 따른 권력 구도의 변화 및 폭력의 양상을 파악하고, 나아가 관계 파괴를 통한 권력의 약화와 집단 해체 과정을 살펴본다. 2장에서는 청소년기 시절 가해자 집단의 권력 구도와 폭력의 양상을 살펴본다. 청소년기 시절의 경우 집안의 재력과 사회적 영향력에 의하여 가해자 집단의 권력 구도가 형성된다. 가해자 집단의 권력자는 자유와 폭력의 방식을 동원하여 권력을 유지하지만, 자유와 달리 폭력은 자발적인 복종을 이끌어낼 수 없다. 그러나 자유의 방식 역시 그 이면에는 객관적 폭력이 감추어져 있으며, 수면 밖으로 드러나는 순간 언제라도 쉽게 깨질 수 있다는 점에서 불완전하고 약한 권력일 뿐이다. 3장에서는 성인이 된 이후 가해자 집단 구성원들의 관계가 균열되고 파괴되었을 때 기존의 권력이 약화되는 과정과 그에 따른 집단 해체가 이루어지는 방식을 살펴본다. 청소년기 시절 감추어져 있던 객관적 폭력의 가시화는 같은 가해자 집단의 구성원일지라도 서열에 따른 일방적 폭력의 문제점을 수면 위로 드러냄으로써 기존 관계를 파괴한다. 이 과정에서 서로 상대방의 약점을 이용하여 견고하다고 믿어 왔던 권력 구도를 전복시키려고 하거나, 이를 막기 위한 더 큰 폭력을 행사함으로써 가해자 집단의 권력이 약화되고 나아가 해체가 이루어진다. 결과적으로 관계 파괴를 통한 권력 약화와 집단 해체에 따른 가해자 집단 구성원들의 최후는 청소년기 시절 가해자 집단이 저질렀던 행위를 그대로 되돌려 받는 방식으로 처단이 이루어진다. 이처럼 <더 글로리>는 청소년기와 성인 이후 시절 학교 폭력의 피해자와 가해자 집단의 상반된 구조를 보여줌으로써 권력과 폭력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발견할 수 있다. 또한, 후속 연구를 통하여 가해자 집단뿐만 아니라 학교 폭력의 피해자들과의 관계 역시 분석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더 다양한 이야기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