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나님의 이름과 영광 그리고 종교양태의 변화

        이사야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4 기독교사회윤리 Vol.28 No.-

        This paper is intended to show how exilic & post-exilic Isaiah and Ezekiel have recognition of God in their times and to give main theological paradigms in the sense of Deuteronomist’s God’s name, universal theo-epistemology, God’s glory in the Priest’s source and change of individual forms of religious life. Exilic and post exilic Isaiah and Ezekiel present holy community’s vision focusing on the new temple and at the same time, use the name and glory of God who once departed from the people of Judah but will come back to them. To the people of Judah, the historical disaster that the Jerusalem temple was destructed and the monarchy failed down, 587 B.C., means not merely disappearing the royal authority of Judah, David’s descendants. It was the great theological emergency in the meaning of YHWH’s departure from Israel. So the most important thing to the returned people of Judah was the return of YHWH. Exilic and post exilic Isaiah and Ezekiel gave hopeful message of YHWH’s return to the returned people, to the people who was in the land of Judah and to the foreigners through God’s name and glory. Israel couldn’t find the symbol of God’s presence in the ark or temple with the disaster of 587 B.C., but their recognition of God’s being with themselve was not broken. The destruction of the temple changed their thought of God’s presence from the earth to the heaven and brought out the universal recognition of God. In the period of Exile, For them, God just dwelt in heaven not on earth, because they needed universal God, not God of Jerusalem. Such exilic and post-exilic theological thought also brought out change of individual forms of religious life.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responsibility to sin and repentance and the forms of religious life such as observance of Sabbath, circumcision, fasting and individual prayer etc also brought out ethical responsibility. In doing so, they hoped new generation when God, the savior of Jerusalem/Zion will come back and set there his name and glory(Ezekiel 48:35). 본 논문은 하나님이 유다 땅과 유다 백성을 완전히 떠나지 않고 함께 하심을 확신한 이사야와 에스겔이 야웨의 이름과 영광을 사용한 신학적 의미를 추적하고 포로기 이후의 신명기사가의 하나님 이름 신학과 보편주의적 신인식, 그리고 제사장 자료의 하나님의 영광 신학과 개인적 종교생활의 변화라는 측면에서 이 시대에 전환된 주요 신학적 패러다임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사야와 에스겔은 에스겔이 무엇보다도 다시 성전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거룩한 공동체의 비전을 제시하면서 유다 백성을 떠난 하나님이 다시 자기 백성에게로 돌아오실 것을 소망하는 맥락 가운데 하나님의 이름과 영광을 사용한다. 예루살렘의 멸망과 성전의 파괴라는 587년의 사건은 비단 유다 백성의 민족적, 정치적, 민족적 대재난이었을 뿐만 아니라, 하나님 야웨의 이스라엘 떠남이라는 신학적 대위기의 사건이기도 했다. 때문에 포로기간의 종식과 함께 유다 땅으로 ‘돌아온 유다 백성’(return of Judah)에게 남겨진 가장 중요한 문제는 ‘야웨의 돌아옴’(return of YHWH)이라고 할 것이다. 이사야와 에스겔은 자신들을 포함한 예언자들이 제시했던 희망들이 아직 현실화되지 않은 가운데 바벨론에서 돌아온 사람들과 유다 땅에 머물러있던 유다 사람들 그리고 포로기간 동안 그 땅에 들어와 살거나 바벨론에서 함께 온 이방인들 모두에게 하나님 야웨가 돌아옴으로써 이루어질 회복의 메시지를 이름과 영광을 통해 전하고 있다. 587년 유다왕국의 멸망과 함께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임재의 상징을 더 이상 법궤나 성전에서 찾을 수 없었으나, 하나님이 그들과 함께 하신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었다. 성전의 파괴는 야웨의 처소에 대한 이스라엘의 이해를 땅 위의 성소에서 천상으로 옮겨놓았고, 이에 따라 예루살렘에 갇혀있던 하나님 이해는 범 우주적인 하나님 이해로 확대되었다. 유다가 바벨론 포로기간을 보내다 다시 예루살렘으로 돌아가기까지 하나님은 지상의 처소가 없는, 하늘에 계신 분으로 이해하였다. 바벨론으로 끌려온 이스라엘 사람들에게는 예루살렘에만 계시는 하나님 보다 어디나 계시는 보편주의적 하나님 이해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포로기 이후의 신학적 사상은 종교생활의 양태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이사야와 에스겔은 포로기 이후 중요하게 자리잡은 안식일 준수, 할례, 금식, 기도생활 등의 개인적 종교생활의 양태과 아울러 개인의 죄에 대한 윤리적 책임과 회개를 강조하면서 예루살렘/시온의 구속자이신 야웨께서 돌아오셔서 그의 영광과 이름을 다시 그곳에 두실(겔48:35) 새 시대를 소망하고 있다.

      • KCI등재

        하나님의 영과 신인식 - 이사야와 에스겔을 중심으로 -

        이사야 한국구약학회 2016 구약논단 Vol.22 No.4

        구약학에서 חור(루아흐)와 성령론은 다른 신학적 주제어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연구된 것이 사실이다. 실제로 구약성서에 등장하는 שודק חור(루아흐 카도쉬/성령)에 대한 직접적인 표현은 시편 51편 13절(개역-11절), 이사야 63장 10절, 11절 뿐이다. 하지만 구약성서 특히 예언서는 신인식론적인 하나님의 영에 대해 65회 언급하고 있다. 하나님의 영과 힘으로서의 신(神)인식론적인 의미는 구약성서만이 지니고 있는 독특한 표현이다. 특히 예언자들이 말하는 하나님의 영은 하나님의 임재의 한 방법이다. 본 논문은 구약의 예언서, 특히 포로기와 그 이후에 나타나는 하나님의 영 본문들을 주석적으로 살펴보면서 그 신학적 특징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루아흐가 구약성서의 또 다른 신학적 중심어라는 사실을 주목함과 동시에 구약의 영과 영성, 성령론에 대한 빈곤한 연구 건축에 돌 하나를 얹고자 한다. 하나님의 창조와 재창조, 절대주권, 이스라엘의 회복, 하나님의 절대 주권, 신인식에 대한 보편주의, 개인의 신앙양태의 변화는 예언서에서 하나님의 영과 맞물려 나타나는 중요한 신학적 특징들이다. 에스겔은 단순히 생기를 통한 피조물의 생명 얻음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이스라엘 민족의 회복을 선포하고, 생명의 호흡으로서의 하나님의 영을 통해 이스라엘의 회복과 새로운 창조를 말하면서 이스라엘의 내면적, 윤리적 변화를 요구한다. 이사야도 하나님의 영이 임재할 이스라엘 백성을 통해 본토와 민족의 회복이라는 사실에 대한 보다 폭넓은 의미를 제시한다. 그리고 전통적인 기름부음을 대신하는 영부음이 나타나고, 하나님의 이름과 영광, 손 그리고 말씀과의 연합이 나타난다. 이는 전통적인 임재의 상징이었던 법궤를 대신하는 표현들이라고 할 수 있다. 학개와 스가랴 그리고 에스겔은 성전의 재건과 회복된 공동체의 필수요건으로서의 하나님의 영을 말한다. 특히 이사야 63장의 שודק הור(루아흐 카도쉬/성령)는 하나님의 거룩함에 대한 강조가 하나님의 현현묘사까지 나아간 것으로, 이는 하나님의 영에 대한 인식이 하나님의 권능을 나타내는 도구에서 하나님의 현현을 통한 존재 자체에까지 확장되는 점에서 신인식론적인 대전환(大轉換)이라 할 수 있다. 이는 하나님에 대한 인식과 마찬가지로 하나님의 영에 대해서도 다양성과 인식의 변화가 있었음을 보여준다고 할 것이다. Studies on the theme of הור or Holy Spirit are rare in comparision with other theological themes in the Old Testament. In fact, the word Holy Spirit (שודק חור) occurs only three times in the Old Testament(Ps.51:13; Is.63:10,11). But the books of Prophets include sixty-five times of God’s Spirit of theoepistemological meaning. The theoepistemological meaning of God’s Spirit and Power is unique expression which could not find in any other near eastern texts except the Old Testament. Especially, God’s Spirit was a way of God’s presence to the prophe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clear theological features in interpreting God’s Spirit texts in the Prophets and to prove the fact that חור is one of the theologically important themes in the Old Testament an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tudies of Holy Spirit in the Old Testament. God’s creation and re-creation, supremacy, Israel’s restoration, universalism on the theoepistemology, changes of individual religious life are main theological characteristics engaging with the God’s Spirit in the Prophets. Ezekiel said not merely the creatures' life-receiving through life-giving spirit, but entire Israel's restoration and new creation(Ez.37) and required Israel’s internal, ethical changes. Also Isaiah presented the fact that the meaning of new life-giving was not restricted in natural creatures and pointed out wider meaning about the restoration of the own land and nation(Is.40:12-14; 44:1-5 etc.). And there appeared the integrated relationship between pouring of oil and presence of Ruah YHWH, so to speak, the selection of YHWH appeared through oil-pouring was replaced by pouring of Ruah YHWH. Shem YHWH, Kabod YHWH and Yad YHWH supports the presence of Him(Is.59:19; Ez.3:12,14; 43:5 etc.). These are the alternations of the ark which was traditional symbol of God’s presence. Haggai, Zechariah and Ezekiel paid attention to God’s Spirit, necessary element of the reconstruction of the temple and the restoration of the faith of Israelite community. Especially שודק חור(Is.63:10,11) was the expression of God’s presence itself (not a symbol) starting from the emphasis of God’s holiness and it could be the theological great conversion because God’s Spirit appeared as the agent of YHWH or even His own manifestation. We could see the diversity of the epistemology of God’s presence and even its changes in the prophets.

      • KCI등재

        선교적 책으로 구약읽기를 위한 한 모색

        이사야 한국대학선교학회 2019 대학과 선교 Vol.39 No.-

        It is not easy to find the concept and idea of mission in the Old Testament, because all focus is on Israel from the beginning. It is true that the Old Testament emphasizes God’s love and grace for Israel as a chosen nation, rather than a missionary community that draws other nations into the category of Israel’s faith community and shares their faith and culture with them. And it is true that the interpretation concentrated on some of these texts classifies the Old Testament as a non-missionary book, and so far the study of missionary thought in the various fields of Old Testament has become inevitable. However, building missionary theology in the Old Testament is of great value because it is a field of jewelery that is not yet polished. I seek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missionary thought as a subject of the Old Testament studies and look for the activation of this field further. I will look at the concepts of mission found in the Old Testament, especially in Isaiah, and try to interpret the texts from the missionary perspective of the Old Testament. I would like to prove that mission is one of the important theological ideology of the Old Testament and try to escape from the poverty of study of missionary thought. 구약성서에서 선교라는 개념과 사상을 찾기는 쉽지 않다. 처음부터 모든초점이 이스라엘에게 맞추어져 있기 때문이다. 구약성서는 다른 민족을 이스라엘 신앙공동체 범주 안으로 끌어와서 그들과 신앙과 문화를 공유하는 선교하는 공동체를 지향하기보다는 선택된 민족으로서의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를 보다 강조하는 것이 사실이다. 심지어 이스라엘이 거주할 땅을 차지하기위해 서슴없이 다른 민족을 학살하고 쫓아내는 것을 정당화하고, 하나님을잔인한 분으로 인식하게 한다. 이와 같은 일부 본문들에 편중된 해석은 구약성서를 비선교적인 책으로 분류하게 했고, 지금까지 구약학의 여러 분야 중선교 사상에 대한 연구가 미진할 수밖에 없는 이유가 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구약성서의 중요 연구 분야로서의 선교신학을 세워나가는 일이아직 다듬어지지 않은 보석과도 같은 분야이기에 그 가치가 크다. 구약성서학의 한 주제로서의 선교사상에 대한 가능성을 찾고 한 걸음 더 나아가 이분야의 활성화를 모색하고자 한다. 구약성서에 대한 왜곡된 시각에서 벗어나 구약성서 특히 이사야서 안에서 찾아볼 수 있는 선교 개념을 살펴보고, 각각의 본문들에 대해 신학적 해석을 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선교가 구약성서의 신학적 중심어 가운데 하나라는 사실을 증명함과 동시에선교사상에 대한 신학적 연구의 빈곤으로부터 탈출을 시도하고자 한다. 주전 8세기에서 포로후기까지, 예언서 중에서 지리적, 시대적으로 가장넓은 범위를 아우르는 이사야서는 이러한 인식의 변화를 가장 잘 보여주는책이다. 전통적인 예루살렘 중심 사상에서 이방인 제사장과 선교사 파송에이르기까지, 구약성서 안에 나타나는 선교사상을 가장 역동적으로 보여 준다. 이와 같은 선교사상의 잉태는 예루살렘의 멸망과 포로라는 역사적 사건과 밀접히 연관된다. 주전 587년, 예루살렘의 멸망과 성전의 파괴라는 역사적 현실은 대재앙을 겪은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사회적, 경제적으로는 가장힘들고 어려운 시기를 보내게 했지만 반면에 성숙한 종교적, 신학적 열매를맺게 한 계기가 되기도 했다. 하나님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하나님 백성으로서의 자신들의 정체성에 대해 새로운 성찰을 불러일으켰기 때문이다. 하나님은 더 이상 이스라엘 민족만의 하나님이 아니라는 보편주의적 인식이 형성되고, 언약민족으로서의 하나님의 백성은 스스로를 더 이상 민족적, 인종적 구분이 아닌 개인적, 신앙고백적인 차원에서 규정했다.

      • KCI등재

        미가 6장 6-8절에 담긴 주전 8세기 예언자들의 예배 비판과 사회윤리

        이사야 한국대학선교학회 2017 대학과 선교 Vol.35 No.-

        Prophet Micah epitomizes not only his own messages but also messages of the eighth-century prophets in Mic 6:6-8. The call to do justice and to love devotion/kindness and to walk humbly with God at the end of this passage captures the essential themes of the eighth-century prophets and indeed of the Old Testament. Micah questions “What does the Lord want from me?” “What have to I bring with me when I come into His presence and do sacri- fece that will make me acceptable?” “How can I approach God?” God requires not some external things from His people but internal. He requires ultimately “to practice justice”, “ to love kindness”, and “to walk with God.” The notion “to practice justice” is a dynamic one. It is the thematic word of Amos, especially Amos 5:24. It means to work forthe establishment of equity for all, especially for the powerless. The second notion, “to love devotion” matches hesed of prophet Hosea. These two words, justice and devotion are like the two side of a coin to the chosen people. And third no- tion, “to walk humbly with your God” is the main topic of Isaiah who preaches unconditional belief in God. And it stresses the theological di- mension of the sort of life God wants. The word “walk”(חלך) is used to de- scribe the whole orientation of one’s life in the Old Testament. Micah and three other eighth-century prophets exert important influence upon each other. To them, the worship to God is not only liturgical behavior but also theological, social ethics. 미가 6장 6-8절은 비단 미가 자신의 메시지의 핵심일 뿐 아니라 모든 예언자들이 외쳤던 하나님의 뜻을 집약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하나님을 제물 과 물질로 만족시킬 수 있다는 잘못된 예배의식을 질문형식을 통해 질타하 고(6-7절), 형식적인 예배가 아닌 하나님의 뜻에 따라 율법에 순종하는 일상 의 삶에서 하나님을 기쁘시게 해야 한다고 말한다(8절). 정치적, 종교적 지 도자들을 하나님의 법정 앞에 세운 미가는 생명력을 잃은 예배행위와 사회 적 불의를 가차 없이 질책하면서 하나님께서 요구하시는 이스라엘의 삶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하나님이 원하시는 제물의 품목으로 세 가지를 제시하 는데(8절), “정의를 행하며”, “인자를 사랑하고”, “겸손히 하나님과 함께 행하 는 것”이 그것이다. 이는 각각 동시대의 예언자 아모스, 호세아, 이사야가 외쳤던 메시지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주전 8세기의 예언자들은 국가의 존망이 걸린 위기의 때에 예배를 드리 라고 말하지 않는다. 오히려 하나님 앞에서 행하는 모든 예배를 중단하라고 외친다. 이는 예배의 중요성을 인정하지 않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예배의 중요성을 더 강조하는 것이다. 이들 주전 8세기 예언자들이 말하는 예배는 신명기역사가의 예배장소의 중앙화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미가가 남북 두 왕국의 수도인 사마리아와 예루살렘 모두를 하나님께 범하는 죄악의 온상으로 보았던 점에서도 분명히 드러난다(미 1:5). 그들에게 있어서 진정 한 예배는 장소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윤리의 실천과 하나님에 대한 절대 적 신뢰에 있었다. 미가를 비롯한 이들 예언자들은 하나님이 받으시는 진정 한 예배는 사회적 윤리와 결합되어 있음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 레위기의 5대 제사 연구

        이사야 남서울대학교 2010 남서울대학교 논문집 Vol.16 No.2

        The Pentateuch of the Old Testament tells us the laws which God gave Israel in full detail. Especially the Book of Leviticus, which is called so after the one of the twelve tribes of Israel, retains a lot of cultic teaching of God. And the Book of Leviticus shows the religious features in the time of the Old Testament. The term 'Leviticus' has a broad sense covering all that relates to ritual, cultic worhip in the Old Testament. There are five major offerings in the Book of Leviticus so to speak, the burnt offeing, the cereal offering, the peace offering, the sin offering, the guilt/compensation offering. Especially in the Book of Leviticus are written the customs and the life ordering of the people of Israel to establish the right relationship with their God Jahweh. The instructions of each offering are clearly related in layout, formulation and content with the life of the people of Israel. So the Book of Leviticus consists preponderantly of a large number of devine instructions of varying scope which tells us right worship in the time the Old Testament and from then on. So I would like to investigate the detail instructions about the five major offerings and their religious, theological meanings together. Key Words : Leviticus, burnt offering, cereal offering, peace offering, sin offering, guilt/compensation offering.

      • KCI등재

        하나님의 영과 사사들의 윤리

        이사야 한국구약학회 2023 구약논단 Vol.29 No.1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God’s Spirit in the Judges period, in which the judges in the book of Judges were symbols of God’s presence in the age of Judges, replacing the Ark of the Covenant. In the Old Testament, the representative method of acknowledging and announcing that God had chosen the leaders of Israel was anointing with oil. Samuel anointed Saul (1 Sam 10 : 1) and David (1 Sam 16 : 13) as leaders. However, in the book of Judges, Othniel (Judges 3 : 10), Gideon (Judges 6 : 34), Jephthah (Judges 11 : 29), and Samson (Judges 13 : 25; 14 : 6,19; 15 : 14) were not anointed by God. Through the presence of the spirit, they became the leaders of Israel and saved the Israelites from the oppression of the Gentiles. This wa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anointing. These leaders, clothed with the Spirit of God, have won wars and brought peace. Their extraordinary or supernatural powers were not innate, but due to the presence of the spirit. The period of the judges, which shows more convoluted dramas than any other part of the Old Testament, such as wars between nations, struggles for power, superhuman heroes, and tragic deaths, shows that God was with the people of Israel even in difficult situations. Obviously, the period of Judges was the time when the ark, which was the symbol of God’s presence, existed, but the author of the book of Judges did not mention the ark, but instead filled the place with a small number of charismatic leaders. After all, the Spirit of God in Judges is showing another symbol of God’s presence, replacing the previous form of anointing to select people. Othniel, who was a stranger like his uncle Caleb, was the first charismatic leader who saved Israel during the period of the judges. The peace that came for a generation until his death was the period Jacob’s descendants owed to the Kenizzites. It was the Spirit of God that made the cowardly and timid Gideon into a mighty warrior. To Gideon seeking a sign of salvation, God showed the sign of the time of the Exodus, provided salvation that Israel could not boast of, and the ‘day of Midian’ was remembered as an event of liberation from foreign rule and slavery. Jephthah, who won the war against Ammon, was the protagonist of an incident that cannot be understood by general ethics and common sense. Jephthah, in whom the Spirit of God came upon him, did not fully trust God who gave him the Spirit and made the wrong vow. He won the war, but he followed the Gentile human sacrifice and caused the division and destruction of the community. Samson, who received the Spirit of God four times, used the Spirit that came upon him only for personal greed and revenge. The purpose of his birth was to save Israel from the Philistines, but the fight against the Philistines he made remained only on a personal level. Even his death in the temple of Dagon has nothing to do with God’s spirit. He is the only judge among the war heroes in the book of Judges who failed to complete his given mission. Judges with the Spirit of God are not only remembered as good leaders. The Spirit of God appearing in the book of Judges was only related to military achievements, yet the presence of the Spirit was not continuous but temporary, and it did not cause any ethical or internal changes to the person upon whom the Spirit came.

      • KCI등재

        혼합현실 컨트롤에 최적화된 인터랙션을 위한 손 동작과 컨트롤 방식 Matching체계의 제안 - Augmented Behavior와 Meta Interface를 중심으로

        이사야,이은종,Lee, SaYa,Lee, EunJong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2022 스마트미디어저널 Vol.11 No.9

        In an era where non-face-to-face meetings become common, eXtended Reality(XR) is rapidly developing and filling areas that are not satisfied in online meetings based on existing photos/video method. In particular, general users are also able to easily access and use HMD-type mixed reality devices. However, the basic operations applied in HMD-type in Mixed Reality(MR) with hands as the main input tool do not have a standardized system, and each manufacturer operates in a separate response to each other's hand movements. Therefore, this study considered that a systematic hand motion matching system considering the usability and efficiency of operations performed in mixed reality was necessary, and conducted a study to clarify this. First, the basic operation performed in the MR environment and its attributes were investigated, and at the same time, the structure of the hand and the attributes of the possible hand movement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identified properties, it is intended to present a system that can intuitively and efficiently match basic operation properties in the MR environment with subtle operation properties according to the structure/context of the hand.

      • 성막과 그 기구들

        이사야 남서울대학교 2010 남서울대학교 논문집 Vol.16 No.1-2

        The God of the Old Testament is the One who is always with Israel. While the place in which God had met human for the first time is the Garden of Eden, the place in which God met Israel in the time of wilderness was Tabernacle. The Tabernacl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eme of the various branches of the Old Testament because it was the symbol of God's presence in the people of Israel and also symbolize the holiness of God. The Tabernacle was constructed by the plan of God Himself and had various instruments for example, the covenant box, two stone tablets of commandments, the table for the bread offered to God, the lampstand of gold(=Menorah), the altar for offerings, the altar for burning incense, the bronze basin, etc. Those instruments had their own functions and liturgical meanings for God and people of Israel. In the time of New Testament and from then on, the concept of the meeting place of God with Israel was substituted with the human being. Jesus Christ was and is the New Tabernacle and so are we. Key Words : tabernacle, temple, Old Testament, altar, menorah, offering

      • 한나의 화목제와 기도

        이사야 남서울대학교 2012 남서울대학교 논문집 Vol.18 No.2

        This Paper concerns on the religious and theological meaning about the Hannah's Peace-Offering and prayer to have a son. Hannah's prayer is one of the most cordial prayer and her son Samuel is one of the most respectful leader of Israel in the Old Testament. 13 century B.C., The community of Israel experienced the invasion of Palestine people and yearned to get out of judge-centered community and admired king-centered nation. Hannah's prayer and peace-offering and Samuel's birth narrative link between the old and new periods. The narrator says "Lord almighty, look at me, your servant. See my trouble and remember me. Don't forget me. If you give me a son, I promise that I will dedicate him to you for his whole life and that he will never have his hair cut", "I asked the Lord for him" and "I asked him for this child, and he gave me what I asked for. So I am dedicating him to the Lord. As long as he lives, he will belong to the Lord" through the mouth of Hannah. But it is not only Hannah's wishing and dedication but also those of narrator and all Israel. The narrator longs Israel's salvation through the narratives of Hannah's peace offering and prayer. Key Words : Hannah, Peace offering, Samuel, Prayer, Saul, pregnant, dedication, Palestines

      • KCI등재

        율법을 넘어서는 은혜 : 룻기의 윤리적-신학적 읽기

        이사야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3 기독교사회윤리 Vol.26 No.-

        The period of Judges was the representative period of confusion and unethics in the Old Testament. But The Book of Ruth, which has that period as its historical backgroud, is one of the best-loved works of biblical literature, notable for its literary delicacy and important theological thinkings. It is a treasure house of theological thinking which speaks the change of theological paradigms in the (Post-)Exilic period as well as one of the elaborate literary works in the Old Testament. We can see important themes such as the anti-nationalism, anti-monarchy, invisible sovereign power and grace of hidden God, deference and concern about the social weaks, universalism which permits foreigners as the people of God, international marriage, when we read this book theologically. Those all features are proven through the normal persons’ routine works and dialogues in the shape of diverse skills such as literary chiasmus and contrast. I’m going to try to read the book of Ruth theologically and ethically focusing on grace(??? hesed) which appears 3 times in the book(1:8; 2:20; 3:10). We can divide the entire book by that word: The story of failure and returning of two widows, The encounter of Boaz and Ruth and the expansion of new hope, legal dialogue between Boaz and a relative of Elimelech. Especially, in the chapters 2-3, we meet Boaz, a responsible relative of Elimelech, Ruth’s deceased father-in-law. Boaz took an interest in her, noting her loyalty to Naomi and Ruth asks Boaz to spread his cloak over her, metaphorically to give her grace and to marry her. During the flowing of the story. We can see the vivid change of the characters and ethical themes as well as significant features of the theological thinking. We can see the grace(???) of all characters which are expanded from that of God beyond the laws of Moses and traditional regulations and the stable hope from the emptiness to the fulness. The author shows us the challenge and change of the social weaks beyond the care/protection of the social weaks and tells us the importance of conversion to the religion of YHWH. He highlights theological messages, new cognition of God, change of theological paradigms desiring changing Israel community in the changed world through the encounter of Boaz and Ruth 흔히들 모든 시대가 다 위기의 시대이고 당대의 윤리적 잣대가 무너지는 시대라고 평가한다. 구약성서가 말하는 대표적인 혼란의 시대, 비윤리의 시대는 단연 사사시대이다. 사사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룻기는 읽는 이의 관점에 따라 그 의미와 강조점이 많이 달라지는 책이다. 정교한 교차대구법과 대조법을 위시한 고도의 문학적 기법들이 두드러지는가 하면, 신학적으로는 사사시대가 아닌 포로기 이후의 전환된 신학적 패러다임을 다분히 담고 있다. 본 논문은 다양한 문학기법과 신학적 사상 속에 나타나는 은혜(??? 헤세드)를 중심으로 윤리적, 신학적 읽기를 시도한다. 룻기 전체에서 헤세드라는 단어는 모두 3회 밖에 등장하지 않지만(1:8; 2:20; 3:10), 등장 인물들의 헤세드가 곳곳에 등장하고, 특히 숨어계신 하나님의 주권적인 헤세드가 저변에 깔려있다. 또한 룻기는 사람과 사건의 변화를 이끌어낸다는 점에서 변화된(changed) 여인들의 도전(challenge) 이야기이다. 풍요로움에서 텅 빔으로, 다시 텅 빔에서 채움으로 변화된 나오미와 백안시되던 모압 여인에서 야웨의 날개 아래 들어와 다윗의 조상이 된 룻의 변화가 그렇다. 필자는 룻기 본문에 등장하는 3회의 헤세드를 중심으로 이와 같은 은혜와 변화를 구약성서가 제시하는 윤리적, 신학적 덕목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룻기가 비단 한 가족의 아름다운 신앙의 이야기로만 귀결되는 것이 아니라 포로기 이후 유대인 공동체가 갈망하던 헤세드와 변화 그리고 책임있는 윤리의 모델로 제시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룻기의 윤리와 신학은 서로 별개의 것이 아니라 하나이다. 윤리적 연구가 부족한 구약성서 분야에서 룻기의 윤리는 구약성서에서 절대적 권위를 차지하는 오경의 율법을 훌쩍 뛰어넘는 윤리적, 신학적 교훈을 제시한다. 사회적 약자들로 전락한 여인들과 그 약자들을 배려하는 보아스의 헤세드 그리고 무엇보다도 숨어계시면서 주권적으로 모든 사건을 섭리하는 하나님의 헤세드는 많은 부분에서 이 책으로 하여금 마치 윤리 교과서적 역할을 감당하게 한다. 하나님의 주권과 섭리에서 시작된 은혜가 인간 상호간의 존중과 배려로 확장되어 모세의 율법과 전통적인 규정을 넘어서는 헤세드를 보여주며 변화된 세계에서의 변화된 이스라엘을 소망하는 윤리적, 신학적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