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디어의 ESG 보도 증가에 따른 기업 담당자들의 ESG 커뮤니케이션 인식 연구: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박란희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22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30 No.3

        본 연구는 미디어의 ESG 보도 증가에 따라 기업 담당자들이 ESG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하고 있는지 심층 인터뷰하고 이를 근거이론을 통해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미디어의 ESG 보도가 증가함에 따라, 기업 ESG 담당자들은 ESG 활동에 관한 외부 커뮤니케이션 및 내부 공감대 형성에 어려움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중심현상의 원인에 해당하는 인과적 조건으로는, 기업 ESG에 대해 경쟁적으로 과열 보도하거나 언론사 자체의 시상식과 섣부른 ESG 평가로 인해 경영진의 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등 언론의 부정적인 관여(engagement)가 파악되었다. 중심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조건으로는 CSR과 ESG 메시지의 혼돈이 있었는데, 기업 담당자들간에 CSR과 ESG의 개념에 대한 인식이 서로 달랐다. 이러한 인식의 작용/상호작용으로, 기업 담당자들은 현재 자사 혹은 타사의 ESG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할 뿐만 아니라, ESG 워싱으로 비판을 받을 것에 대한 두려움을 인지하고 있었다. 너무 광범위하고 어려운 주제로 인해 수용성이 낮은 ESG 메시지는 이러한 작용/상호작용의 중재적인 조건으로는 파악되었다. 그 결과 기업 담당자들은 외부 미디어 노출을 회피하려는 것과 같은 소극적인 ESG 커뮤니케이션 행동 의도를 지니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기업 ESG 활동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 방법론이 필요하다는 점을 도출할 수 있다.

      • KCI등재

        ESG경영 활동 효과가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균형성과 기업 준법성에 대한 공중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 반기업정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현정(Kim, Hyun Jeong),정현주(Jeong, Hyeon Ju) 한국광고홍보학회 2023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공중관계 활동(PR)의 효과와 연계하여 실질적 측면에서 ESG경영 활동의 효과를 검증하여 보고자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ESG경영 활동 효과가 공중에 대한 조직의 커뮤니케이션 균형성의 필요와 그러한 커뮤니케이션 균형성이 미치는 실제적 의미를 강화해주며 기업의 준법경영에 대한 공중의 인식개선이나 공중의 기업에 대한 반기업정서 인식 완화에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ESG경영 활동에 관한 기업 예시를 보여주고 ESG경영 활동에 대한 지각을 묻는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ESG경영활동은 공중의 기업에 대한 유대감, 신뢰도, 재무건정성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ESG경영 활동의 효과(기업에 대한 유대감, 신뢰도, 재무건정성 평가 인식)는 기업의 커뮤니케이션의 균형성과 준법경영 준수성 인식 및 반기업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반기업정서는 ESG경영 활동의 효과가 기업의 커뮤니케이션의 균형성과 준수성 인식에 영향을 끼치는 데 있어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기업의 ESG 경영의 실천에 의한 공중과의 관계인식 변화에 따른 구체적이고 투명한 기업 평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actual ESG management activities.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showing examples of companies related to ESG management activities and conducting a survey asking the general public about their perception of ESG management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SG management activities were found to affect the evaluation of sense of unity of the corporate, reliability, and financial soundness of public companies. Second, the effectiveness of ESG management activities (sense of unity of the corporate, reliability, and financial soundness evaluation) was found to affect corporate communication balance, compliance with the law and anti-corporate sentiment. Third, anti-corporate sentiment has been shown to play a mediating role in influencing the perception of corporate communication balance and compliance with ESG management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providing implications for specific and transparent corporate evaluation by changing the perception of relationships with the public through the practice of corporate ESG management.

      • KCI등재

        ESG 경영의 이해와 ESG 아카이브의 가능성

        임종철 한국기록학회 2024 기록학연구 Vol.- No.79

        2006년 UN PRI를 계기로 확산된 ESG 경영에 대한 관심이 최근에는우리 사회 전반에 걸쳐 확산되고 있다. 소비자는 기업의 ESG 분야에있어서의 적극성 여부를 소비행위의 기준으로 삼고 있으며, 국제사회는 다양한 규제조치들을 정비하여 강화하고 있다. 투자시장에서는 비재무성과(ESG 정보)가 재무성과(신용등급)와 함께 중요한 투자지표로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업평가 패러다임의 변화와 시장압력으로 인해 기업이 ESG 대응활동을 소홀히 할 경우 시장선택에서 배제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ESG 경영의 중요성도 높아져가고 있다. 기업은 이런 시장압력에 대응하여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노력을 하고 있지만 그 과정에서 ESG 경영의 근거가 되는 기록/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ESG 경영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위해 ESG의 대두과정과 현재 기업에 적용되는 ESG 관련 규제들을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ESG 경영은 기업의 선한 의지로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기업 평가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기업의 생존을 위한 경영 전략으로 수용되고있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기업의 ESG 관련 업무 담당자 면담을통해 기업의 ESG 대응 과정을 수동적 커뮤니케이션과 능동적 커뮤니케이션으로 구분하였고, 각 커뮤니케이션 유형별로 면담 과정에서 확인된 문제점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ESG 경영정보를 기업 내외부 이해관계자(Stakeholders)와 수동적/능동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하는 과정에서 ESG 아카이브가 각 커뮤니케이션 유형별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도구로서 기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기하고, 이러한 역할을 할 수 있는ESG 아카이브의 유형을 5가지로 제시하였다. Interest in ESG management, which spread through the UN PRI in 2006, has recently spread throughout our society. Consumers use a company’s activeness in the ESG field as the standard of consumption behavior,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reorganizing and strengthening various regulatory measures. In the investment market, non-financial performance (ESG information) is used as an important investment indicator along with financial performance (credit rating). Due to these changes in the corporate evaluation paradigm and market pressure, if a company neglects ESG response activities, it is more likely to be excluded from market selection, and accordingly, the importance of ESG management is also increasing. Companies are making various efforts to secure legitimacy in response to these market pressures, but in the process, it is difficult to systematically manage and utilize records/data that are the basis for ESG management. For a basic understanding of ESG management, this paper summarizes the emerging process of ESG and the current ESG-related regulations applied to companies.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ESG management is not carried out with the good will of the company, but is accepted as a management strategy for the survival of the company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corporate evaluation paradigm. Through interviews with the company’s ESG-related personnel, the company’s ESG response process was divided into passive communication and active communication, and the problems identified during the interview were summarized for each communication type.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passively and actively communicating ESG management information with internal and external stakeholders, the possibility that ESG archives can function as a tool to overcome problems for each communication type was raised, and five types of ESG archives that can play this role were presented.

      • KCI등재

        스포츠브랜드의 ESG경영 노출이 IMC활동, 위기커뮤니케이션 전략, 회복만족에 미치는 영향

        류민아 한국스포츠학회 2021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는 스포츠브랜드의 ESG경영 정보를 받아본 소비자를 대상으로, IMC활동, 위기커뮤니케이션 전략, 회복 만족 간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중심으로 스포츠브랜드 시장의 새로운 마케팅활동으로써 ESG경 영을 이해하고, 국내 스포츠브랜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 지역의 스포츠브랜드 소비자를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2021년 5월 1일부터 2021년 6월 30일까지 온라인으로 설문조사 를 실시하였다. 382부의 설문지를 표집한 후 최종적으로 불성실한 답변을 삭제하고, 350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SPSS WIN 24.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LISREL 8.80을 이용해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스포츠브랜드의 ESG경영 노출을 통한 IMC활동은 위기커뮤니케이션 전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브랜드의 ESG경영 노출을 통한 IMC활동은 회복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 츠브랜드의 ESG경영 노출을 통한 위기커뮤니케이션 전략은 회복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회복만 족 역시 위기커뮤니케이션 전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IMC activities, crisis communication strategies, and recovery satisfaction among consumers who have received ESG Management information from sports brands. Based on this, it was intended to understand ESG Management as a new marketing activity in the sports brand market and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to secure the competitiveness of domestic sports bran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t up as the population of sports brand consumers in the entire country and conducted an online survey from May 1, 2021 to June 30, 2021. After collecting 382 questionnaires, they were finally deleted and 350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WIN 24.0. Furthermor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performed with LISREL 8.80. First, empirical analysis showed that IMC activities through exposure to ESG Management of sports brands significantly affect crisis communication strategies. Second, IMC activities through exposure to ESG Management by sports brand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recovery satisfaction. Third, sports brands' crisis communication strategies through exposure to ESG Management were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recovery satisfaction, and recovery satisfaction also showed a significant impact on crisis communication strategies.

      • KCI등재

        ESG 활동이 커뮤니케이션 행동에 미치는 영향: 신뢰와 기업 명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지연 ( Jiyeon Park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최근 기업의 지속 가능 경영을 측정하는 지표로 ESG가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ESG 활동이 신뢰와 기업 명성을 매개로 커뮤니케이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이를 위해 IBM SPSS Statistics 23.0,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본 연구의 결과 ESG 활동과 커뮤니케이션 행동의 관계에서 신뢰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조직 명성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ESG 활동과 커뮤니케이션 행동 사이에서 신뢰와 기업 명성의 매개효과를 밝히는 최초의 실증연구이고, 이를 통해서 ESG와 기존의 재무성과 이외 다른 비재무적 성과의 변수들로 연구를 확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Recently, ESG is attracting attention as an indicator for measuring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companie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impact of ESG activities on communication behavior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trust and corporate reputation. For this purpose, IBM SPSS Statistics 23.0, Process macro program was used to conduct mediation effect analysis for research hypothesis tes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trus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SG activities and communication behavior was not significan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orporate reputation was verified. It is the first empirical study to cla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rust and corporate reputation between ESG activities and communication behavior. In this regard, it has laid the groundwork for extending research with ESG and existing non-financial performance variables beyond financial performance.

      • KCI등재

        기업은 ESG를 통해 어떻게 정당성을 확보하는가? 질적 면담을 통한 실무자 인식의 탐색

        윤태일 한국언론학회 2022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8 No.3

        Companies are subject to legitimacy pressures from stakeholders. This is because stakeholders expect and demand that ESG management should be practiced to secure legitimacy, since survival and competitiveness can only be enhanced when corporate practices are recognized as appropriate by complying with social norms. By conducting qualitative interviews with 15 practitioners in related fields based on the theory of legitimacy, this study tried to examine how companies secure legitimacy through ESG in response to stakeholder pressure. Results of the analysis found that the pressures on ESG were stronger than those of CSR because investment-related evaluation was involved, and that the pressures came in various ways from various stakeholders including global evaluation agencies and investors. In responding to the legitimacy pressures, practitioners communicated through various channels, including the sustainability report, pointed out several problems, such as decoupling between ESG reality and its representation, and suggested future direction of ESG.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that have focused on effect analysis without a clear theoretical basi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d a specific mechanism of the corporate legitimation process from a deontological perspective. 기업은이해관계자로부터정당성압력을받는다. 기업활동이사회규범에부합되어 바람직하다고인정받아야생존과경쟁력확보가가능하기때문에, 정당성확보를위 해ESG의실천을이해관계자들이기대하고요구한다는것이다.정당성이론을바 탕으로관련분야실무자15명과질적면담을수행함으로써, 이연구는이해관계자 의압력에대응하여기업이어떻게ESG를통해정당성을확보하는지규명하고자 했다. 분석결과ESG는투자관련평가가개입되기때문에CSR보다그에대한압 력이더강하게작동하며, 그압력은글로벌평가기관이나투자자를비롯해서여러 이해관계자로부터들어오는것으로드러났다. 이에실무자들은주로실용적정당성 을추구하면서, 정당성압력을가하는이해관계자에대해전략적으로대응하기위 해, 지속가능성보고서발간을비롯해서여러활용가능한채널로소통하고있다. 그 과정에서경영실체와커뮤니케이션이괴리되는디커플링의위험성을경계하면서 향후의바람직한ESG방향을제시했다. 그동안뚜렷한이론적기반없이효과분석 위주로진행되온기존연구와비교할때, 이연구는의무론적관점에서기업정당화 과정의구체적인메카니즘을미시적으로규명했다는의의가있다.

      • KCI등재

        중국 기업의 ESG 경영이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벽건,안영규 국제e-비즈니스학회 2022 e-비즈니스 연구 Vol.23 No.6

        최근 지속가능한 발전 개념이 각광받으면서 국내외 유수한 기업들이 ESG 경영을 앞 다투어 도입하고있다. 그러나 ESG 경영을 활발하게 추진 중인 일부 기업에서는 ESG 경영을 전략적으로 활용하여 ‘그린워싱’ 이나 ‘브라운워싱’ 등의 행위를 하고 있어, ESG 경영의 진정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동방재부망에서 발표한 상해심천300지수 성분주를 대상으로 CSMAR을 통해 추출한 재무·회계자료와 ESG 평가기관인 화정의 평가기준을 이용하여 기업의 ESG 경영활동과 커뮤니케이션활동 및 그린워싱행위가 재무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기업의 재무성과를 시장가치인 장부가/시가 비율의 경우에만 기업의 ESG 경영활동이 재무성과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토빈 Q나 총자산영업이익률 및 자기자본순이익률로 측정했을 경우에는 기업의 ESG 경영활동은 재무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업의 ESG 커뮤니케이션활동은 재무성과의 측정방법에 상관없이 모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기업의 ESG 경영활동과 커뮤니케이션활동의 차이를 통해 중국 기업의 그린워싱 가능성을 확인할 수있었으며, 재무성과를 장부가/시가 비율로 측정했을 때 이러한 그린워싱행위는 재무성과에 유의적인 정(+)의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Research Purpose: As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has emerged around the world, multinational companies are actively promoting ESG management. However, some companies that are strategically utilizing ESG management raise questions about the authenticity of ESG management such as ‘green washing’ or ‘brown washing’. We try to examine how ESG activities and ESG communication of Chinese companies affect their corporate financial performance(CFP). Research Methods: Using the 2020 Huazheng(华证) ESG Evaluation Standard a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we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ESG management and CFP. We also examine the possibility that there is ‘green washing’ or ‘brown washing’ through the analysis. Result in Research: ESG activities have different effects on CFP when we measured it by market value. In the case of book-to-market ratio, ESG activitie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FP. Another case of Tobin’s Q, ESG activities have an in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CFP. However, we find that ESG communication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FP regardless of market value and book value. Research Conclusion: We could finally provide empirical evidence that there is strategic communication activity such as ‘green washing’ rather than ‘brown washing’ from Chinese companies. Suggestions in Research: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at both CEO and governor can utilize our research result as reference materials when designing and implementing ESG systems or policies.

      • KCI등재

        기업지배구조와 감사인의 지배구조와의 커뮤니케이션 횟수가 감사시간에 미치는 영향: 직급별 감사시간을 중심으로

        박종일,이윤정 한국공인회계사회 2021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63 No.4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effect corporate governance (hereafter GOV) and the number of auditor’s communications with governance (GCOM) on the rank-specific audit hours. We also examine whether the effe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GOV and GCOM on the rank-specific audit hours. In addition, we examine whether the effe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GOV and BIG4 with the external auditors on the rank-specific audit hour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GCOM and BIG4 on the rank-specific audit hours. Prior research has documented that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total audit hours (i.e., Choi and Yang 2008; Kim and Kim 2012). Thus, we extend and complement this line of p rior research by p roviding new evidence, and we will exp lore these issues in more detail, systematic evidence suggesting that auditors consider corporate governance mechanism in their audit planning and audit practices with the rank-specific audit hours. Our study therefore contributes to and extends the literature on audit hours, corporate governance, and auditor’s communications with governance. For analysis, we use the GOV and ESG (environment, social, and governance) grade data produced by the Korean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KCGS) as a proxy for corporate governance. Following Kim and Jeon (2016), we use five positions with the rank-specific audit hours (e.g., the quality control reviewer (hereafter AH_Q), business management director (AH_P), registered certified public accountant (AH_A), probation certified public accountant (AH_J), experts with the computerized audit, tax, valuation (AH_C)) and total audit hours, and we collect the number of auditor’s communications with governance (GCOM) as disclosed in the audit report. The sample for our analysis is based on disclosed rank-rank-sp ecific audit hours and KCGS data from 2014 to 2019, our final samp le is 3,848 firm-year observations with publicly traded companies in Korea stock exchange. Our main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find that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GOV and rank-specific audit hours (except for AH_Q) as well as total audit hours. The results indicate that firms with good corporate governance are rank-specific auditors expend more audit effort. Second, we find that a significantly p ositive relationship between GCOM and rank-sp ecific audit hours as well as total audit hours. The results imply that more the frequency of the number of auditor’s communications with governance are rank-specific auditors expend more audit effort. Third, we also fin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GOV and GCOM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rank-specific audit hours (except for AH_Q and AH_C) as well as total audit hours. The results shows that the effe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GOV and GCOM are rank-specific auditors expend more audit effort. Our results obtain qualitatively similar when using ESG grade data. Moreover, our main results is driven by Big 4 auditors rather than non-Big 4 auditors. Finally, in additional tests, we find that the interactions between GOV and BIG4, and also the interactions between GCOM and BIG4 are positively related to the rank-specific audit hours as well as total audit hours, resp ectively. These result shows that the effect of Big 4 auditors link between GOV and GCOM are more likely to increase audit effort. Overall, our findings suggest that corporate governance (or ESG) data and the number of auditor’s communications with governance are positively related with the rank-specific audit hours and total audit hours. Moreover, our results shows that higher-quality corporate governance mechanisms by joint-auditor’s communications with governance lead to increasing auditors expend more audit effort. Therefore, these novel evidence suggests that our findings contributes to the prior literature by considering auditors’ response to corporate governance mechanisms. Specially, our findings contri... 본 연구는 기업지배구조가 직급별 감사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또한 지배구조와의 커뮤니케이션 횟수가 직급별 감사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며, 그리고 기업지배구조와 지배구조와의 커뮤니케이션 횟수의 상호작용이 직급별 감사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의 기업지배구조 및 ESG 등급을 이용하고, 직급별 감사시간은 5개 직급을살펴보았다.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분석기간 2014년부터 2019년까지 최종표본 3,848개 기업/연 자료가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는 첫째, 지배구조가 우수한 기업이면 품질관리검토자를 제외한 나머지 업무수행이사, 등록 및 수습공인회계사, 전산감사・세무・가치평가의 전문가의 감사시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또한 총감사시간도 증가하였다. 둘째, 지배구조와의 커뮤니케이션 횟수가 많은 기업은 모든 직급의 감사투입시간이 증가하였고, 또한 총감사시간도 증가하였다. 셋째, 기업지배구조 및 지배구조와의 커뮤니케이션의 상호작용변수는 주로 품질관리검토자, 등록 및 수습공인회계사의 감사시간 그리고총감사시간과 양(+)의 관계로 나타났다. 앞서의 결과들은 ESG 등급으로 분석해도 일관된 증거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추가분석에 따르면 앞서의 결과들은 non-Big 4 감사인보다는 Big 4 감사인 표본에주로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하면, 본 연구는 기업지배구조가 직급별 감사시간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고, 또한 기업지배구조와 외부감사인의 지배구조와의 커뮤니케이션의 상호작용 역시 직급별 감사시간에 차별적 영향이있음을 보여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본 연구의 발견은 선행연구에 새로운 증거를 제공한다.

      • KCI등재
      • 메타버스를 활용한 도시 텃밭 농작물 거래 서비스 디자인 제안

        안지아(Gia Ann),정주미(Jumi Jeong),최준호(Junho Choi) 한국HCI학회 202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2

        도시 텃밭이 활성화되며 잉여 농작물 처리 문제와 사용자간 커뮤니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버려지는 잉여 농작물의 경우 금전적 손실 뿐만 아니라, 환경 오염문제를 발생시키며 사용자간 커뮤니티 부재 문제의 경우 도시 텃밭이 지역주민들이 한곳에서 마주치는 만남의 장소임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효용성을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최근 각광받는 메타버스 기술을 활용하여 도시 텃밭 사용자를 지역기반 서비스의 농작물 수요자와 연결하여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메타버스가 우리의 일상생활에 어떠한 형태로 유용하게 녹아들 수 있는지를 고민하여 신기술을 적용, 마을공동체적 사회적 가치 창출뿐만 아니라 마을 경제활성화를 통한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가치 실현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디자인 씽킹 방법론으로 진행되어 ‘새싹광장’ 서비스 및 주요 기능인 ‘새싹마켓’, ‘작물성장기록’, ‘새싹지수’를 발굴하였다. 이에 프로토타입을 제작, 전문가 3인과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여 농작물 생장 모니터링 자동화 시스템, 판매자에 대한 신뢰 측정 지표를 추가 개선해야 함을 발견하였다. 해당 서비스 연구는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 관점에서의 기술과 인간의 상호작용 증진, 메타버스 활용, 마을경제활성화를 통한 ESG가치 실현 측면에서 의의를 지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