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디자인 시스템 맥락에서의 기능 중요도에 따른 UX 라이팅 사례 연구

        정주미(Jumi Jeong),정글지(Gulji Chung),송수진(Sujin Song),전수진(Soojin Jun) 한국HCI학회 202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2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고도화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협업하며 하나의 공통된 언어로 표현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그리고 그것을 규격화하여 일종의 매뉴얼로 제안하는 형태로 디자인 시스템이 발전되어왔다. 디자인 시스템은 사용자의 경험을 더 나은 형태로 제공하기 위해 특정 상황에서 가장 적합한 UI 컴포넌트를 제공하도록 설계되어 활용되고 있다. 이와 함께 인터페이스에 표기되는 모든 언어적 표현을 말하는 UX 라이팅의 역할 또한 함께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 시스템 차원에서 적용될 수 있도록 UX 라이팅을 유형화하여 일관되고 효율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도록 돕는 데 있다. 이를 위해, UX 라이팅의 사용자가 당면한 작업을 완료하도록 돕는 관점에 집중한다. 화행의 종류가 사용자의 작업수행 정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과 디자인 시스템에서 기능 중요도에 따라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사례를 분석하여 기능 중요도와 직간접화행을 연결 지어 UX 라이팅을 유형화하였다. 사례분석을 통해 유형화한 내용을 검증하며 추가논의 사항을 도출했으며, 향후 기존 디자인시스템의 발전과 함께 진행할 수 있는 UX 라이팅 전략을 정립하는 연구를 진행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SCOPUS
      • 학습 맥락의 챗GPT 프롬프트 UI/UX 연구

        정주미(Jumi Jeong),박선진(Seonjin Park),김유진(Eugene Kim),강연아(Younah Kang),송인한(Inhan Song),김동환(Dongwhan Kim) 한국HCI학회 202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4 No.1

        ‘챗GPT 사용률 하락은 대학생 방학 때문’ 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생성형 AI가 유용하게 활용되는 맥락은 ‘학습’이다. 생성형 AI 활용 역량이 향후 학습 능력 및 결과에 많은 영향을 줄 것이라 예견되는 만큼, 학생 이용자 간 활용 역량 격차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생성형 AI 활용 결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프롬프트 입력 과정에 주목하였다. 생성형 AI 서비스의 프롬프트 가이드 UI/UX 흐름을 바탕으로 포롬프트를 돕는 UI/UX 를 포함한 챗 GPT 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실험 연구를 통해 프롬프트 가이드에 대한 만족감 및 효용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학습 및 과제에 초점을 맞춘 생성형 AI활용 관점에서 사용자에게 도움이 되는 프롬프트 가이드를 제안 및 실증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전문가 워크숍을 활용한 경계선 사례 다크패턴 디자인 개선 연구

        정주미(Jumi Jeong),백병수(Byungsoo Baek),전수진(Soojin Jun) 한국HCI학회 202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4 No.1

        다크패턴의 피해 경험이 증가하면서 다크패턴 디자인에 대한 관심과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크패턴은 유형과 정도가 매우 다양하여 섣불리 규율하기 어렵다. 또한 기업이 다크패턴을 의도적으로 생성하고자 했는지를 파악하기 어려운 모호한 사례의 다크패턴이 존재한다. 이러한 사례를 제재하는 경우 오히려 기업의 정상적인 마케팅 활동까지도 위축시킬 수 있어 실무의 입장을 고려한 다크패턴 개선 가이드 라인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모호한 사례의 다크패턴을 경계선 사례의 다크패턴이라 명명하고, 기업, 사용자를 모두 고려한 디자인 전문가의 관점을 반영하여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실무 경험이 있는 사용자 경험 디자인 전문가를 대상으로 워크숍 및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여 다크패턴에 대한 개선안과 실무에서의 다크패턴에 대한 입장을 탐색한다. 연구 과정에서 얻은 내용을 바탕으로 개선안과 다크패턴과 연관된 특징적 요인을 도출했으며, 향후 해당 개선안을 검증하고 디자이너를 위한 가이드라인의 초석을 다지는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메타버스를 활용한 도시 텃밭 농작물 거래 서비스 디자인 제안

        안지아(Gia Ann),정주미(Jumi Jeong),최준호(Junho Choi) 한국HCI학회 202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2

        도시 텃밭이 활성화되며 잉여 농작물 처리 문제와 사용자간 커뮤니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버려지는 잉여 농작물의 경우 금전적 손실 뿐만 아니라, 환경 오염문제를 발생시키며 사용자간 커뮤니티 부재 문제의 경우 도시 텃밭이 지역주민들이 한곳에서 마주치는 만남의 장소임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효용성을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최근 각광받는 메타버스 기술을 활용하여 도시 텃밭 사용자를 지역기반 서비스의 농작물 수요자와 연결하여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메타버스가 우리의 일상생활에 어떠한 형태로 유용하게 녹아들 수 있는지를 고민하여 신기술을 적용, 마을공동체적 사회적 가치 창출뿐만 아니라 마을 경제활성화를 통한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가치 실현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디자인 씽킹 방법론으로 진행되어 ‘새싹광장’ 서비스 및 주요 기능인 ‘새싹마켓’, ‘작물성장기록’, ‘새싹지수’를 발굴하였다. 이에 프로토타입을 제작, 전문가 3인과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여 농작물 생장 모니터링 자동화 시스템, 판매자에 대한 신뢰 측정 지표를 추가 개선해야 함을 발견하였다. 해당 서비스 연구는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 관점에서의 기술과 인간의 상호작용 증진, 메타버스 활용, 마을경제활성화를 통한 ESG가치 실현 측면에서 의의를 지닌다.

      • 관계에 따른 한국어 특성을 반영한 UX writing framework

        송수진(Sujin Song),정글지(Gulji Chung),정주미(Jumi Jeong),전수진(Soojin Jun) 한국HCI학회 202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2

        UX 라이팅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UX 라이터들은 서비스가 어떠한 보이스톤으로 말하고 어떠한 단어와 표현을 사용할지 고려해야 하며, 이는 기업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형성에 강한 영향을 미친다. 이미 해외에서는 전략적 보이스톤 구축을 위한 가이드라인과 프레임워크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언어의 차이 때문에 해외 사례를 국내에 바로 적용하기는 어렵다. 이러한 사유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시장에 적용할 수 있는 한국어 UX 라이팅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관계에 따라 사용하는 화법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서비스와 사용자가 맺는 관계 정의가 필요하다. 대인관계 이론에 대한 기존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서비스와 사용자 간의 관계를 2 차원 형태로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서비스와 사용자 간의 관계를 정의하고 보이스차트 프레임워크에 대입하였다. 본 연구의 프레임워크는 한국어의 언어적 특성을 문법, 어휘, 화행, 음운 관점에서 반영한 것으로 특히 높임법 표현에 주목하여 구성되었다. 또한 기존의 언어 형식외 이모지, 해시태그와 같은 ‘디지털 언어’도 추가하였다. 전문가들은 프레임워크를 통해 한국어 서비스 UX 라이팅 업무 시에 관계에 따라 달라지는 높임법이나 공손 표현 사용 여부를 보다 쉽고 체계적으로 설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