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커뮤니티 리질리언스 인식에 공동체활동이 미치는 영향은 커뮤니티 사업의 성격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 : 서울 성북구 장위구역을 중심으로

        조효상 ( Cho Hyo-sang ),구자훈 ( Koo Ja-hoon ) 한국도시재생학회 2024 도시재생 Vol.10 No.1

        Community resilience closely related to Collective activities, these activities can be categorized into resident- and public-led activities, is vital for addressing local issues. Two types of community projects exist in Jangwi district. The Community-Building Project is resident-led and public-supported, while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s administration-led and resident-participated. Therefore, this study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o examine whether resident-led or publicly led community activities affect community resilience depending on the community project characteristics. The results showed that resident-led activities had a direct impact on community resilience in community building projects. However,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public-led activities had a direct effect on community resilience, while resident-led activities had an indirect effect on community resilience. This results have two main implications. First, the academic implication is that even in regions where collective activities are not very active, such as the West, the community activities that have the greatest impact on community resilience are resident-led activities based on daily exchanges. Second, the policy implication is that community projects should be implemented in a way that software projects that strengthen residents' collective activities are implemented first, followed by hardware projects that improve the physical environment. These implications make this an important empirical case study for community resilience research and community projects.

      • KCI등재

        여성의 지역사회활동 참여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서울시 서초구를 중심으로 -

        장정순(Jung-Soon Jang) 한국지방행정학회 2017 한국지방행정학보 (KLAR) Vol.14 No.2

        This research aims at contributing to activation of local social welfare by studying the factors which affect women’s participation needs for community social activities. This research involves a survey conducted during a month from August 1st to August 31st, 2016 for 242 Seocho-Gu resident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members of community committees as well as residents through community centers. The survey focuses on effects of variables including socio-demographic factors, community satisfaction, cognition degree of social problems, and community attachment on participation needs of community social activities. As a result, the average number of participation in community social activities of the respondents is 2.44(SD = .095). For the effects of socio-demographic factors on participation needs of community social activities, all the variables are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For the correlations among main variables, participation needs of community social activities is positively related to cognition degree of social problems(r = .244, p < .01) and community attachment(r = .174, p < .01). Based on these analyses on correlations, the effects on participation needs of community social activities by community satisfaction, cognition degree of social problems, and community attachment are the followings. Firstly, as a result of including community satisfaction variable in the model, its effect on participation needs of community social activities i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Secondly, as a result of including cognition degree of social problems variable in the first model, it explains about 6.8% factors of participation needs of community social activities. Thirdly, as a result of including community attachment variable in the second model, it explains about 10.4% factors of participation needs of community social activities thus, additionally explaining about 3.6% statistically meaningfully.

      • KCI등재

        일본 가스가시의 지역학교협동활동 활성화 사례 연구 : 가스가서(西)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박상옥 ( Park Sangok ),마츠모토유키 ( Matsumoto Yuki ),김보경 ( Kim Bokyung ),전창민 ( Jeon Changmin ),최서린 ( Choi Seori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4 교육문화연구 Vol.3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와 지역의 연계를 토대로 일본 ‘지역학교협동활동’의 구체적인 실천 사례와 그 활성화의 기반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커뮤니티스쿨 및 지역학교협동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일본 후쿠오카현 가스가시를 사례 지역으로 선택하였으며, 학교와 지역의 연계·협력 활동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지역 내 한 초등학교인 가스가서초등학교의 지역학교협동활동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가스가서초등학교의 지역학교협동활동은 커뮤니티스쿨의 일환으로 아이들의 시민성 함양을 공육 목표로 하여 학교-가정-지역이 연계한 교육활동이다. 지역학교협동활동은 고학년으로 갈수록 학생들의 주도적인 참여가 나타나고 있으며, 지역주민의 높은 관심과 지지를 바탕으로 한 활동이 많고, 홍보 및 참여 촉진 활동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둘째, 지역학교협동활동의 활성화 기반으로 교육위원회의 지원과 관리, 학교와 지역사회를 연결하는 지역코디네이터, 학교와 지역 연계 교육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지역주민, 활성화된 자치회의 협력이라는 네 가지 요소를 도출하였다. 일본 가스가서초등학교를 중심으로 가스가시의 지역학교협동활동 사례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학교와 지역 연계·협력 정책 또는 마을교육공동체 운동의 발전을 위해서 여러 교육 주체 간 교육 방향 및 목표의 공유, 학교와 지역을 연결하는 구조와 주체의 역할, 학교의 협력 파트너로서 지역사회의 역할이 중요할 수 있다는 시사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activation of local school cooperation activities based on the connections between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in Japan.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by selecting Kasuga City Fukuoka Prefecture, where community schools and local schools are actively engaged in cooperating with the local community. We examined the local school cooperation activities of Kasuganishi Elementary School in Kasuga City. First, Kasuganishi Elementary School's local school cooperation activities are educational activities linked by schools, homes, and regions to foster children's citizenship as part of a community school. Local school cooperative activities are characterized by students' proactive participation in higher grades, many activities are based on high interest and support from residents, and promotional and participation promotion activities are also actively conducted. Second, four elements were derived as the basis for revitalizing local school cooperative activities, namely the support and management of the Board of Education, local coordinators connecting schools and the community, the residents' active participation in educational activities, and cooperation between active local government associations. Through an analysis of the case of local school cooperation activities in Kasuga City, focusing on Kasuganishi Elementary School in Japa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haring of educational directions and goals among various educational agents in the community, the role of structures and agents connecting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and the role of the local community as a cooperative partner of school may be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school-local community linkages and cooperation policies or Maeul education community movements in Korea.

      • KCI등재

        체육활동을 통한 청소년 시민성 함양 방안 모색

        박선영,김응준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1

        This research has begun to analyse the influence of sport activities for young people in relation to understanding of community and sense of community because both play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active citizenship for young people. Understanding of community and sense of community are the very important components of citizenship education. The aims of the research were firstly to validate the consequence of sport activities with regard to citizenship education, secondly, to analyse the influence of sport activities on the understanding of community awareness and sense of community lastly, to find whether there is gender difference between sport activities and understanding of community and sense of community. This study has used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KCYPS) from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As a conclusion, this research found that firstly, the more participation of sport activities can lead the more in-depth contribute to community involvement and civic participation. It means that sport activities can strengthen the understanding of community awareness and sense of community which are the fundamental prerequisite of citizenship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 that sport activities can be used as a method of citizenship education and there is a need for creative citizenship education approach in relation to sport activities. Further sport activities should be encouraged in terms of active citizenship education provision. 본 연구는 청소년의 체육활동 참여 여부와 참여 정도가 청소년의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과 공동체 의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청소년의 지역사회 인식과 공동체 의식은 청소년에게 요구되는 중요한 시민성의 덕목중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의 목적은 첫째, 시민교육의 새로운 방법과 시도로서 체육활동과 시민성과의 관계성을 분석하고 둘째, 청소년의 체육활동이 청소년의 지역사회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를 확인하며 셋째, 체육활동이 공동체 의식의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체육활동 참여 여부와 참여정도가 청소년의 지역사회 인식과 공동체 의식 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스포츠 활동에 참여할수록 그리고 참여 시간이 많을수록 의미가 있었다. 즉 청소년의 체육활동 참여는 청소년 시민교육에 있어 중요한 목표가 될 수 있는 청소년의 지역사회 인식과 공동체 의식을 강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청소년의 체육활동 참여가 청소년의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공동체 의식을 강화함으로써 청소년 시민교육의 주요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앞으로도 보다 적극적인 청소년의 체육활동에의 참여를 유도하는 다양한 방법이 강구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지역 공동체 의식에 따른 지역 사회 참여 활동과 지역 매체 및 대인 커뮤니케이션, SNS 이용 행태에 대한 연구

        이영원(Youngwon Lee)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4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8 No.1

        본 연구는 지역성을 기반으로 하는 지역 공동체 의식이 지역사회 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지역사회 관여도와 정서적 유대감을 통해 알아보고, 이 과정에서 지역 매체를 포함한 대중 매체와 대인 커뮤니케이션, SNS 이용 행태는 어떻게 나타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사회 관여도가 높을수록 대외 지역 활동이나 사교성의 친목활동 모두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적 유대감에 따른 지역 사회 활동은 사교성의 친목 활동에만 긍정적 영향력을 나타내 지역사회 관여도와는 차별적 영향력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남성 보다는 여성의 지역사회 내에서 사교성 친목 활동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대외 지역 활동과 친목 활동 모두 많은 것으로 나타나 중, 장년층의 지역 사회 활동이 보다 다양하고 활발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학력에 따른 지역 사회활동은 사회, 교육 분야 등 대외적 지역 활동에만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 고학력자일수록 개인적 사교 모임 보다는 사회적 목적을 가지는 지역 사회 활동에 대한 참여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공동체 의식에 따른 매체 이용 효과는 지역사회에 관심이 많을수록 지역 매체 이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 사회 활동 면에서는 대외적 지역활동이나 친목 모임이 많을수록 지역 매체 이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지역사회 활동이 다양할수록 지역 매체 이용률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비해, 정서적 유대감이 높을수록 대인 커뮤니케이션 이용이 많았으며, 지역 사회 활동 중에는 사교적 친목 활동이 많을수록 대인 커뮤니케이션 이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매체 이용에 있어 지역 공동체의식에 따른 차별적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지역사회와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SNS 활용도는 아직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흥미로운 것은 지역 활동 중 사교성의 친목 활동이 활발할수록 지역 매체를 포함한 SNS 이용, 대인 커뮤니케이션 이용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나, 대외적 지역 활동 보다는 친목 모임이 많을수록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을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a sense of local community on the local community activities through the local community involvement and the emotional connection, and on the use of local media, SNS, and th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higher the local community involvement, the more the formal and informal local community activities. It also shows that the effect of the emotional connection to informal local community activities was positive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the higher age, the more formal and informal local community activities, which means that the aged group has the diverse and active local community activities. It also shows that the higher education, the more formal local community activities. The effects of a sense local community on the local media use shows that the more local community involvement, the more local media use. It also shows that the more formal and informal local community activities, the more local media use, which means that the diverse local community activities encourage the local media use. In contrast, the higher the emotional connection, the mor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the more informal local community activities, the mor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The effect of the local community interaction on the use of SN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 KCI등재

        활동적인 노인의 일상적 활동 참여가 시민참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 소공동체 응집성의 매개효과와 소공동체 이기주의의 조절효과

        이주일,김태웅,김필현,이한송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6 No.2

        Since the early 2000s, Korea has continued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due to low fertility and increased life expectancy. As a result, Korea has now entered the aging society. Because of this demographic change, proportion of active elderly have increased, and many academics, such as sociology, economics, and psychology, have conducted various studies on the active elderly. This study focused on active elderly based on the activity theory of old age and the positive effect of small community participation activity on the elder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active elderly’ participation in everyday activities, small community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affect citizen participation actively in society as a citizen, and in the process, mediates the effect of small community cohes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mall community selfishness. This study performed a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an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f 700 elderly people who are participated actively in various small communities. As a result,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mall community cohesion was show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everyday activities and citizen particip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mall community selfishness was also show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government and interested parties need to develop and implement policies for the small community participation of elderly citizens in consideration of their small community activities, small community cohesion and small community egoism. 저출산과 평균수명의 증가로 국내 고령인구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인구 구조의 변화는 연령과 상관없이 노년기의 활동을 증가시켰고, 이에 따라 변화하고 있는 노년기 인구의 특성에 대한 연구가 다수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노년기의 활동이론에 기반을 둔 활동적 노년에 관심을 갖고 활동적인 노인의 소공동체활동 참여가 우리 사회에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인 영향에 초점을 맞추었다. 구체적으로 활동적 노인의 일상적 활동과 소공동체활동 참여가 지역사회 문제해결이나 선거 참여 등 사회적 시민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시민참여’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소공동체 응집성의 매개효과와 소공동체 이기주의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소공동체에 소속되어 활동하고 있는 노인 700명을 대상으로 일상적 활동 참여, 소공동체 응집성, 소공동체 이기주의, 시민참여를 측정하여 단계적 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일상적 활동 참여와 시민참여 간의 관계에서 소공동체 응집성의 매개효과가 나타났고, 소공동체 이기주의의 조절효과 역시 유의했다. 이러한 결과는 고령사회의 양적, 질적 측면에서 점증하고 있는 노년기 인구의 활발한 시민참여가 사회에 미칠 영향력이 적지 않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국가 및 이해관계자들이 노인의 일상적인 활동 참여와 소공동체 응집성 및 소공동체 이기주의 성향을 고려하여 노인들의 시민참여 정책이나 사회 참여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진행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

        청소년 체험활동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 지역사회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강현주,신인순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9

        Facing the point where the importance of experimental activity is being emphasized due to introduction of free semester system,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experimental activity has on adolescent the sense of community and its related variables. Using the resource of Korean Youth Panel Study(2010), We performe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structural equational analysis and sobel test. we confirmed not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mental activity and the sense of community, but also local community functions as a mediator effect and gender difference.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experiential activity has a statistical effect on adolescent’s sense of community, a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tial activity and the sense of community of whole adolescent understanding of a local community functions as a mediator effect. Also, gender difference was confirmed as the sense of community, which had a mediator effect of male adolescent, the female adolescent do not have any effect. Based on the mentioned results, we suggested that experiential activity system should be reinforced for improvement of adolescent sense of community, that ‘school within the community' should be operated by vitalizing experiential activity of local community outside of school, and that community and school should cooperate to sufficiently connected activities by inputting local community manpower into school. Futhermore, the need for activity that adolescents can directly participate and contains gender-recognizing contents was discussed.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 도입을 앞두고 청소년 체험활동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시점에서 체험활동이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변수를 검토 하고자 하였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0) 자료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고, 변수사이의 예측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구조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구조경로별 관계와 유효성 검증을 한 후, Sobel test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체험활동은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체험활동과 전체 청소년 공동체의식의 영향관계에서 지역사회인식은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남자 청소년에게는 매개변인으로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인식이 여자 청소년에게는 효과를 나타내지 않아 성차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체험활동을 확대강화하고, 지역사회 중심의 학교 밖 체험활동을 활성화하여 ‘지역사회 내의 학교’를 운영하며, 학교 내로 지역사회인사가 유입되어 풍부한 연계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협력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청소년들이 직접 참여하여 그들의 욕구에 부합되고 성인지적인 내용이 포함된 체험활동이 계획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A Case Study on a Complex Community Space to Activate a Local Community

        임종훈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8

        (Background and Purpose) Due to rapid economic growth and industrialization, the urban environment is greatly affected. This is expressed as a lack of a sense of belonging, changes in social structure, reduced exchanges with local society, and absence of community activities. As a result, the concept of a communal society is gradually weakening and the quality of life centered on social relationships is declining. Therefore, in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the complex community center in the local society and the direction of the role of the public space are presented through the derivation of community activation elements and case analysis of the complex community space. (Method) In the theoretical review, it studies the concept and importance of the local community, local community activation elements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nalyzes the case of Sejong City, which is operated as a complex community center, and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complex community space to activate the local community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Results) First, the elements applicable to the complex community space for the physical environment type were derived as accessibility, functionality, and safety. Among the community activation elements, connectivity, openness, and connection have the same meaning as accessibility, scalability, complexity, variability, renewal, and eco-friendliness can be used as the same concept as functionality. Safety and security can be use as the same concept as safety. Second, the elements applicable to the complex community space for the psychological environment type were derived as comfort, aesthetic, and privacy. Among community activation elements, comfort and stability can be used as the same concept as comfort, Enjoyment, usefulness, friendliness, can be linked to aesthetic. Individuality, diversity, and autonomy can be approached in the same sense as privacy. Finally, the elements applicable to the complex community space for the social environment type were derived as publicity, local identity, sustainability, and social exchange. Of these, self-esteem, locality, and communality are in the same context as local identity, and flexibility, connectivity, and scalability can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sustainability. (Conclusions) The complex community center in urban environment has main placeness to realize community of local society. It is a very useful public space to activate the community of the local society, and various community-related contents suitable for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can be implemented, through which it will serve as a symbolic space for the region and at the same time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members.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can be applied when planning a complex community space and used as space evaluation elements by analyzing community activation elements and public design elements to derive elements that can be applied to the complex community space.

      • KCI등재

        청소년의 체험활동 경험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 누적적 경험의 효과를 중심으로

        황여정 안암교육학회 2018 한국교육학연구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youth activities on adolescents’ sense of community using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tudy」 data colle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Especially, this study tried to reflect various aspects of youth activities, such as participation in activities, number of types of activities, and satisfaction with activities. Also, this study paid particular attention to examining the cumulative effect of youth activitie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tion of youth activities, the satisfaction level of experiential activities, and the number of kinds of experiential activities varied according to income level and regional scale. Next, the results of the OLS regression analysis on adolescents’ sense of community show that participation in youth activities, number of kinds of activities that participated in, and satisfaction with activities during the first-year of high-school all influence adolescents’ sense of community.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effects of cumulative experience during middle school during middle school shows that it is difficult to ensure long-term effects by only participating in youth activities. Positive effects persisted only when adolescents participated in high quality youth activities during middle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qualitative aspects of youth activities are important for sustaining the effectiveness of youth activities. 본 연구는 체험활동 참여 경험이 청소년기에 함양해야 할 핵심역량인 공동체의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특히 이 과정에서 본 연구는 체험활동 참여 여부, 참여한 체험활동의 종류 수, 체험활동 만족도 등 체험활동 경험의 다양한 측면을 반영하고자 하였으며, 중1부터 고1까지 경험한 체험활동의 누적적 효과를 살펴보는 데 각별한 관심을 기울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초4패널 4〜7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주요 배경변인에 따라 체험활동 참여 여부, 참여한 체험활동의 종류 수, 그리고 체험활동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중학교 3년간의 누적적 경험과 고교 1학년 시기 경험에서 모두 소득수준과 지역규모에 따른 차이가 관찰되었다. 다음으로, 체험활동 경험이 공동체의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OLS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최근 1년(고교 1학년) 사이의 체험활동 경험은 참여 여부, 참여한 체험활동의 종류 수, 체험활동 만족도 모두 공동체의식 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에 비해 중학교 3년간의 누적적 경험의 효과는 양질의 체험활동을 경험했을 때에만 그 효과가 장기적으로 발휘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체험활동이 소기의 성과를 거두고 그 효과가 장기적으로 지속되려면, 체험활동의 질적 수준이 담보되어야 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확인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청소년들이 양질의 체험활동에 참여할 기회를 확대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싱가포르 공공주택단지의 커뮤니티 공간 유형 및 활동 특성 연구

        이수진,정서인 한국주거학회 2023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3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community space types in Singapore public housing complexes, analyze community activities conducted by residents, and derive community activity characteristics for each community space type. First, Singapore HDB has selected regions every four years to promote a comprehensive regeneration plan. The characteristic of the community plan of the HDB complex in Singapore can be seen as a plan in consider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necessary factor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region from the time of planning the public housing complex. Second, There are 3 types of space and activity support for revitalizing local communities: Town & Community Plaza, Community Art Project, and Community Participation Project. Third, there are five types of community space in Singapore’s public housing complex: ‘Outside Building Type of inside Housing Complex’, ‘Inside Building Type of outside Housing Complex’, ‘Outside Building Type of outside Housing Complex’ and ‘On-line Type’. Finally,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nd information on Singapore’s community activity programs and contents are expected to be highly active in the community plan of Korea’s public housing complex in the future, and are expected to be basic data for research on how to revitalize community activities not only for residents but also local residents. 본 연구는 싱가포르 공공주택단지의 커뮤니티 공간 유형을 도출하고, 주민들이 실시한 커뮤니티 활동을 분석하여 커뮤니티 공간 유형별로 커뮤니티 활동 특성을 도출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첫째, 싱가포르 HDB에서는 2007년부터 기존 HDB단지와 신축 HDB단지를 새롭게 변화할 수 있는 ROH(Remarking Our Heartland)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4년마다 지역을 선정하여 종합재생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싱가포르 HDB단지의 커뮤니티 계획의 특징은 공공주택단지를 계획하는 시점부터 지역의 입지에 따라 주변 환경 및 필요 요소를 고려하여 계획이라 볼 수 있다. 둘째,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공간 및 활동 지원으로는 크게 3가지로, 타운&커뮤니티 플라자, 커뮤니티 아트프로젝트 그리고 커뮤니티 참여프로젝트이다. 셋째, 도출된 공간유형은 5가지로 ‘단지 내부의 건물 안 유형’, ‘단지 내부의 건물 밖 유형’, ‘단지 외부의 건물 안 유형’, ‘단지 외부의 건물 밖 유형’ 그리고 ‘온라인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분석결과와 싱가포르의 커뮤니티 활동 프로그램 및 내용의 정보는 향후 우리나라 공공주택단지의 커뮤니티 계획에 있어 활동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고, 거주민 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들의 커뮤니티 활동을 활성화하는 방법의 연구에도 기초적인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