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최영묵(Young-Mook Choi)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2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6 No.3
정수장학회(구 5.16장학회)는 장학 사업을 하는 공익법인이다. 1961년 쿠데타로 집권한 박정희는 당시 부산지역의 대표언론사였던 김지태 소유의 부산일보, 부산문화방송과 토지등을 강제 헌납 받아 5.16장학회를 설립했다. 이후 5.16장학회는 부산일보, 부산문화방송, 문화방송 등의 실질적 사주로서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지금도 정수장학회는 부산일보 주식 100%, 서울MBC 주식의 30%, 경향신문사 건물 부지를 소유하고 있다. 언론사와 토지를 사실상 ‘강탈’당한 김지태씨와 그 유족들은 지속적으로 재산의 반환을 요구해 왔다. 1970년 이후 국회에서도 논란거리였다. 지난 2005년에는 국정원의 진실위원회에서, 2007년에는 과거사위원회에서 부일장학회 헌납사건 등을 조사하고 원상회복을 권고했지만 아직도 해결되지 않고 있다. 정수장학회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정수장학회 거버넌스를 공영으로 바꾸고 부당하게 소유하고 있는 언론사 지분을 유족과 해당언론사에 무상 반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Jung-Soo Scholarship Foundation(previously, 5.16 Scholarship Foundation) is public association for public service. In 1961, Junghee Park who took power through military coup established 5.16 Scholarship Foundation by the votive offerings including Busan Ilbo that belongs to Jeetea Kim and is one of the leading newspaper in Busan, Busan Munhwa Broadcasting Company, a land forcibly from Jeetea Kim. Since then, 5.16 scholarship association wielded strong influence over Busan Ilbo, Busan Munhwa Broadcasting Company, Munhwa Broadcasting Company(MBC) as an actual company owner. Even now, Jung-Soo Scholarship Foundation is possessing 100% shares of Busan Ilbo, 30% share of Seoul Munhwa Broadcasting Company, and Kyounhyang Sinmun’s building site. Jeeteas Kim and his bereaved family who are actually robbed of media companies and a land continue to reclaim their properties. After 1970, it is a subject of considerable debate in the National Assembly continuously. Even though the Truth Commission of Korean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in 2005 and the Past Affairs Commission in 2007 investigated Buil scholarship association offering case and advised restoration, it has not solved yet. To solve the problem of Jung-Soo Scholarship Foundation, it is desired that the governance of Jung-Soo Scholarship Foundation change to public management, and Jung-Soo Scholarship Foundation is taking unjustified possession of media companies’ shares give back to Kim’s bereaved family.
관광지로서 부산 이미지 정립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 방안 연구
신기혁(Kie H Shin)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5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9 No.4
관광산업은 높은 고용창출효과와 고부가가치효과 등으로 인하여 국가경제의 기반산업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그런 가운데 지난 몇 년 간 중국인 관광객이 급증하고 있고, 이미 중국인 관광객은 한국에서 가장 중요한 외국인 관광객의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한국 최대 외국인 관광 고객으로 자리 잡은 중국인 관광객들에게 부산을 제대로 알리는 것은 중국인 관광객을 유치하는 정책을 마련하는 것 못지않게 중요한 사항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네 가지 문제를 설정했다. 연구문제 1: 중국인 방한 관광객의 급증 배경은 무엇인가? 그리고 급증하는 중국인 관광객들을 위해 생각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2: 중국인 관광객들의 부산 유치를 위해 커뮤니케이션 대상은 누구로 설정할것인가? 연구문제 3: 그들에게 전달되어야 할 부산 관광의 핵심적 가치는 무엇이 되어야 하는가? 연구문제 4: 그러한 핵심적 가치는 어떤 경로를 통해 전달되어야 할 것인가? 연구 결과 지리적 여건과 문화적 호감, 중국의 경제적 성장과 관광 정책, 한국의 중국인 관광객들에 대한 유연한 정책 등이 중국인 관광객을 증가시킨 요인이었으며, 지역적으로는 중국 북부권역과 함께 상해와 광동성을, 인구통계학적 측면에서는 고학력의 2,30대의 젊은 계층과 여성이, 소득 수준은 다양한 계층의 중국인 관광객들이 부산을 찾고 있어 어느 특정 계층을 대상으로 접근하기는 어려울 것이란 점이 드러났으나, 소득 수준이 오르면 관광행태도 고급화 되는 것이 보통이란 점에서 고급 관광 수요에 대한 준비도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인들의 해외여행 패턴이 단순 관광차원에서 점차 가치 중심으로 옮겨갈 수 있다는 것이 드러났으며, 그로 인해 문화적 요소가 중요해지고, 따라서 중국인들을 향한 부산의 핵심적인 메시지는 문화 코드로 설명이 되어야 한다는 점 또한 알 수 있었다. 중국인 관광객들의 부산 유치를 위한 정보 접점으로서 여행사, 주변 인물, 인터넷이 중요한 정보 채널이었으며, 이들 각 채널에 맞춘 정보 콘텐츠 관리와 개발, 그리고 호의적인 이미지 조성을 위한 부산 시민들의 협조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our industry is regarded as an basic industry in a country due to its job creation and added value effects. For last several years, Chines tourists are rapidly increasing in Korea, and now they become the biggest foreign tourist in Korea. To give them valuable information is as important as to develop tourism promotion policies. For that, following 4 questions were set up. 1. Why Chinese tourists are so rapidly increasing in Korea, and what do we think of that change? 2. Who will be our target among those Chinese? 3. What will be the core message? 4. Through which channel do we carry the message? Result shows: 1. Nearness, culture, economic growth of China, flexible tourism policy of Korea are the main reason of the rapid growth of Chinese tourists. 2. Geographically northern part of China with Shanghai and Guangdong province, demographically higher educated 20s to 30s and female are important. Regarding income level, selecting particular segment has no meaning because various range of people visit Busan. But income level is still important because if their incomne raise up, they seek higher quality of travel. And Busan should prepare for that. 3. Core message to promote Busan tour should be explained with cultural code because culture is very important factor for sightseeing. 4. Travel agency, friends with experience of Korea travel, and internet are the most important channels for information travelling to Korea. In this regard, support from the people of Busan is as important to build favorable image among Chinese tourists as to develop and manage information contents.
부산과 울산의 브랜드자산 구축을 위한 도시브랜드 개성 연구
이상훈(Sang-Hoon Rhee),박성현(Sung-Hyun Park)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1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5 No.1
본 연구는 도시브랜드로서의 부산과 울산이 지니고 있는 브랜드 개성을 조사하여 공중과의 커뮤니케이션 영향요인을 도출함으로써 효율적인 도시브랜드화 과정에 필요한 커뮤니케이션 방안을 모색하려는 목적에 따라 수행되었다. 브랜드 개성은 공중과의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논의할 수 있는 요인이자 도시 브랜드화에 핵심적인 부분이므로 다양한 개성의 차원과 영항요인을 파악할 수 있다. 조사대상 공중으로서의 표본은 부산과 울산에 거주하는 대학생으로 구성하였으며 표본의 크기는 전체 300명이었다. 연구의 결과 표본에게 제시한 도시브랜드로서의 부산과 울산이 지니는 브랜드 개성은 부산의 경우는 크게 ‘능력’, ‘전통’, ‘유머’, ‘세련’, ‘친절’, ‘명랑’ 등의 6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울산은 ‘능력’, ‘정감’, ‘유머’, ‘세련’, ‘전통’, ‘친절’ 등의 6가지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현재 부산과 울산에 대한 도시브랜드 PR캠페인을 전개하는 과정에 표현영역과 의미구현영역에 고려해야 할 개성요인이 무엇인가를 제시해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personality factors of citizen for Busan and Ulsan city brand of communication effects. So this study intended to show the influence and process of brand personality factors between brand attitude formation on Busan and Ulsan city brand PR campaigns. Therefore survey goes side by side will conducted for the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and Ulsan. For the research sample was consisted of 300 persons. The results showed that Busan’s city brand personality distributed 6-factors like ‘ability’, ‘tradition’, ‘humor’, ‘sophistication’, ‘kindness’. Ulsan was ‘ability’, ‘affection’, ‘humor’, ‘sophistication’, ‘tradition’, ‘kindness’. These results are indicated that utilizing various communication mix or divide is more available to differentiate city brand. Moreover, this study met with significant results when maintained the consistency of city brand PR campaign strategies between personality factors and attitude formation process. So this study may give useful guide for communicators to city brand PR campaign strategies using various communication tools about appeal range and message construct in brand perspective.
뉴미디어상의 언론자유와 인격권의 갈등: 판례와 조정중재 사례를 중심으로
이근옥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25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29 No.1
언론자유와 인격권의 갈등 문제는 주로 피해자 보호 중심의 입법 전개나 행정조치로 이행되어왔다. 그러나 언론의 자유는 모든 기본권으로 나아가기 위한 문(門)이기에 그 제한에 있어서는 엄정하고, 법적 보장에 있어서는 뚜렷해져야 할 것이다. 뉴스 수용자들의 뉴스 소비 플랫폼은 대부분 뉴미디어로 이동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뉴미디어상의 언론보도에 의한 인격권 침해사례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법원의 판결과 언론중재위원회의 중재 결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뉴미디어는 전통 매체가 분량의 제약이나 언론 윤리적 기준으로 인해 보도하지 못하거나 다루지 않는사안들까지도 공표하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법원은 유튜브와 같은 1인 미디어의 경우 기존 언론사가 운영하는 뉴미디어에 비해 주의의무나 사실 확인 노력 정도를 상대적으로 완화된 잣대로준용하고 있었다. 뉴미디어 환경에서 수용자들은 자청하여 인터뷰에 응하거나 유튜브 방송에 출연하였어도 동의 없이 2차 공표되는 것은 다른 층위의 문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뉴미디어 환경에서도 허위와 오신성의 부정은 여전히 위법성의 중요한 구성요소로 작용하며 피해 보상의 주요청구 논리로 기능하고 있었다. 원고나 청구인들은 ‘허위사실’을 들어 인격권 침해를 주장하는경향이 두드러졌는데 고위공직자들의 공적 사안 관련 사례에서도 예외는 아니었다. 언론이 제기하는 의혹이 불완전하다고 법원이 이것을 허위로 규정하고 규율한다면 언론은 권력에 대한 저항과 비판의 자세를 견지할 수 없게 될 것이다. 뉴미디어 환경에서도 언론보도의 특수성을 인정하는 법리적 보완과 법적 기준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In the case of conflict between freedom of speech and protection of personality rights have been implemented legislative or administrative measures development centered on victim protection. Freedom of speech is the gateway to all fundamental rights. Therefore, its restrictions must be rigorously applied, and its legal guarantees must be explicitly establish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personality rights infringements caused by media reporting in the new media environment, this study analyzed court rulings and arbitration decisions by the Press Arbitration Commission. The analysis reveals that the Media Arbitration Act classifies Internet news services and Internet multimedia broadcasting as “media, etc.,” regulating them under a duty of care equivalent to legacy media. The court applies relatively lenient standards for assessing the duty of care or fact-checking efforts in cases involving citizen journalists and independent content creators, such as YouTube, compared to new media operated by established media organizations. Unlike legacy media, which often omit definite issues due to space constraints or adhere strictly to journalistic ethics, new media frequently reports on matters that legacy media cannot or does not cover. In the new media environment, audiences perceive the secondary dissemination of content without consent—despite voluntarily participating in interviews or appearing on YouTube broadcasts—as a different issue. Even in the new media landscape, falsehoods and misinformation are key to arguments in damage claims. Plaintiffs and claimants increasingly cite “false facts” to allege personality rights violations. In cases involving high-ranking public officials, labeling incomplete suspicions raised by the media as falsehoods and imposing regulations could lead to significant chilling effects, potentially paralyzing the essential watchdog function of media. This study underscores the need for broader academic discourse and legal refinements to get the balance between protecting personality rights and ensuring freedom of speech to function effectively.
인지된 부산국제영화제 후원 사실이 기업이미지와 브랜드 충성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현(Hyun Kim)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3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7 No.3
부산국제영화제는 국제적으로도 인지도를 높여가고 있는 명실상부한 국내 최대의 영화관련 행사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부산국제영화제는 기업의 입장에서 문화마케팅, 특히 후원의 대상으로 그 가치가 높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기업의 마케팅 담당자들에게 후원 대상으로서의 객관적, 정량적 기준을 제공할만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이 부산국제영화제를 후원할 때, 그 후원이 기업이미지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통해 부산국제영화제의 후원 대상으로서의 가치에 대한 객관적 기준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국제영화제 후원 사실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여부가 기업이미지, 브랜드 충성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고, 이 결과인지 그룹과 비인지 그룹 간에 통계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국제영화제 후원 사실에 대한 인지여부와 브랜드 충성도 및 구매의도의 관계에서는 기업이미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기업이미지는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산국제영화제의 후원이 해당 기업에 대한 기업이미지, 브랜드 충성도, 구매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growing international reputation is becoming to the largest movie-related event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companies,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s an object of culture marketing and sponsorship worth is estimated to be higher. However, there is little research that provided objective and quantitative criteria of sponsoring target for company"s marketers. This study analyzed corporate sponsorship for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effect on corporate image and brand loyalty. And aimed to provide objective standards for the value of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s sponsoring target. In this study, it was verified that consumer recognition of sponsoring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impact on corporate image, brand loyalty and purchase intent. As a result,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recognition group and the non-recognition group.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corporate image, corporate image was partially mediated in relation of consumer recognition of sponsoring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to brand loyalty and purchase intention. In addition, corporate sponsorship of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influence positively on its corporate image, brand loyalty and purchase intention.
OECD 통계는 우리 사회와의 비교 잣대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가: OECD가 인용된 언론보도에 대한 텍스트 마이닝 분석
양혜승,양수연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25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2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 언론보도가 OECD를 언급하는 맥락을 자세히 들여다보기 위해서다. 1997년부터 2024년까지의 기간을 대상으로, OECD가 언급된 기사 42,852건을 수집한 후 텍스트 마이닝 기법으로 분석했다. TF-IDF 빈도 분석과 단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보수와 진보언론의 프레임 차이를 살펴봤다. 그 결과, 보수 언론은 OECD 통계를 주로 ‘기업’, ‘성장’, ‘시장’ 등 경제 성장과 국제 경쟁력을 강조하는 비교 도구로 사용했다. 반면에 진보 언론은 ‘복지’, ‘노동자’, ‘소득’과 같은 키워드를 통해 사회적 평등과 약자 보호를 강조하며 사용했다. 한편OECD에 가입한 김영삼 정부 때부터 윤석열 정부 때까지 보수와 진보 언론의 프레임이 어떻게달라져 왔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봤다. 그 결과, 언론사의 성향 그리고 시대적 맥락에 따라OECD 통계가 선택적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이명박 정부 시기보수 언론은 기업 및 투자 활성화 맥락에서, 진보 언론은 복지와 서민 안정 맥락에서 OECD를언급하는 경향이 있었다. 문재인 정부 시기 보수 언론은 경제 성장과 일자리 창출 맥락에서, 진보 언론은 노동자 권리 확대와 고용 안정 맥락에서 OECD를 인용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분석 결과들과 더불어, OECD를 우리 사회와의 비교 잣대로 삼는 언론보도 관행이 우리 사회에상대적 박탈감을 심화시킬 수 있음을 논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 detail the contextual patterns underlying the frequent references to OECD statistics in South Korean news media. Utilizing a corpus of 42,852 news articles published from 1997 to 2024, this research employed text mining techniques, including TF-IDF frequency analysis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the framing strategies of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media outlets. The analysis revealed that conservative media primarily deployed OECD statistics as a comparative tool to emphasize economic growth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frequently invoking keywords such as “corporations,” “growth,” and “markets.” In contrast, progressive media framed OECD statistics around issues of social equity and the protection of vulnerable groups, highlighting terms such as “welfare,” “workers,” and “income.”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d how media framings of OECD statistics evolved across successive administrations, from Kim Young-sam to Yoon Suk-yeol.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selective use of OECD data has been contingent upon both media ideology and the broader socio-political context. For instance, during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conservative media emphasized OECD statistics within the discourse of corporate revitalization and investment, while progressive media foregrounded welfare expansion and public stability. Under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conservative outlets stressed economic growth and job creation, whereas progressive media framed OECD data in relation to labor rights and employment security. Beyond the empirical results, this study also considers the concern that repeated media references to OECD statistics as a global benchmark could intensify feelings of relative deprivation within South Korean society.
임성원(Sung-Won Lim)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2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6 No.1
이 논문은 국내의 미학 관련 학회인 한국미학회, 한국미학예술학회, 민족미학회의 설립과 활동, 이들 학회가 출판한 학회지인 『미학』, 『미학·예술학 연구』, 『민족미학』을 각각 분석함으로써 한국미학의 위상을 고찰하는 데 있다. 특히 출판 커뮤니케이션을 연구의 중심에 놓고자 한다. 『미학』 1∼64집에 실린 논문 473편을 분석한 결과 ‘미술’ ‘음악’ ‘연희’ ‘영상’ ‘문예’ 등 장르예술보다는 (형이상학적) 미학 예술철학 예술학 등을 다룬 ‘미학’ 논문이 전체의 71%인 335편을 차지할 정도로 압도적이었다. 그리고 한국미학(34건, 7%)보다 서양미학(385건, 81%)에 경도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구의 앞선 미학이론을 국내에 소개하는 데 공을 들이고 있다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예술 현장에서의 미학적인 접목이나 한국미학의 저변 확대에는 소홀했다는 비판에 직면할 수 있을 것이다. 『미학·예술학 연구』에 실린 논문 333편을 분석한 결과 ‘미술’ (103편) ‘음악’ (27편) ‘연희’ (8편) ‘영상’ (22편) ‘문예’ (10편) 등 장르예술 관련 논문 편수가 170편으로 전체의 51%를 차지해 ‘미학’ 논문(163편)보다 우위를 보였다. 특수예술학 혹은 개별예술학 연구에 보다 치중했다는 반증이다. 한국미학 관련 논문도 전체의 25%를 차지해 7%에 그친 한국미학회에 비교우위를 보였고, 한국미학을 주제로 한 잇단 학술심포지엄을 통해 미학의 한국화에 노력한 점이 돋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the development of Korean Aesthetics by analyzing establishment and activities of ‘The Korean Society of Aesthetics’, ‘The Korean Society of Aesthetics and Science of Art’, ‘MinjokMihakHoe’, and the journal of these societies, “Mihak-The Journal of Aesthetics”, “The Journal of Aesthetics and Science of Art”, and “MinjokMihak-The Journal of Aesthetics”, respectively. As a result of analyzing 473 papers of the “Mihak-The Journal of Aesthetics” (1∼64), it was so overwhelming that 335 papers to which ‘Aesthetics’ papers, such as (metaphysical) aesthetics, philosophy of arts, Kunstwissenschaft, hit 71% of the whole rather than the art of a genre were occupied. And it turns out that it leans to European and American aesthetics (385 papers, 81%) rather than Korean Aesthetics (34 papers, 7%). This may be faced with criticism that it was negligent to an aesthetic combination in the field of art, and the base expansion of Korean Aesthetics although there is also affirmative side of the efforts for introducing a Western advanced aesthetics theory at home. The result which analyzed 333 papers of “The Journal of Aesthetics and Science of Art”, the number of the paper of the art relation of genres, such as ‘fine arts’ (103 papers), ‘music’ (27 papers), ‘play’(8 papers), ‘image’ (22 papers), and ‘literature’ (10 papers), occupies 51% of the whole by 170 papers. Predominancy was shown rather than ‘Aesthetics’(163 papers). It is the counterevidence of putting emphasis on research of special science of arts or each science of arts more. The paper of Korean Aesthetics relation also occupied 25% of the whole, and showed the comparative advantage as ‘The Korean Society of Aesthetics’ which remained to 7%, and the point of having done one’s best in Koreanization of the aesthetics through a series of symposium on the theme of Korean Aesthetics is remarkable.
부산지역 광고회사 현황, 문제점, 그리고 발전 방안 제안
신기혁(Shin, Kie-Hyuk)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5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9 No.1
본 연구는 부산의 광고회사 발전 방안을 찾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광고회사의 역할이 무엇인지를 정의하고 부산 지역 광고회사 역사와 현황을 분석했다. 그리고 3개 광고회사 대표와 4개 기업의 광고 혹은 마케팅 담당자를 선정하여 광고 회사에 대한 인식과 부산 지역 광고회사에 대한 의견 또는 문제점 등에 대해 각각 인터뷰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통해 부산 광고회사들이 안고 있는 문제점의 본질과 개선 방안을 찾고자 했다. 연구결과 부산은 광고 산업 발전을 위한 인적 자원과 국제행사 등 타 지역에 비해 광고 산업발전을 위한 기본적인 토양을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산의 광고회사들은 수도권 대형 광고회사들과 비교할 때 회사 규모의 열세로 인하여 부산 지역에 본사를 두고 있는 광고주들로부터 외면당하고 있다. 부산의 기업들은 영세한 규모의 광고회사가 자신에게 광고 및 관련 서비스를 제대로 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의문을 품고 있다. 반면 부산의 광고회사들은 경쟁 프레젠테이션에 참여하여 공정한 심사를 받고 싶어한다. 그것은 일부 광고회사의 경우 수도권 광고회사들과 경쟁을 통해 광고주를 유치한 경험을 갖고 있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무엇이 되었든 부산의 광고회사들의 규모가 영세한 것은 사실이며, 그로 인해 광고주들로부터 외면당하는 악순환의 고리가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부산 광고회사들의 자구적인 노력 예를 들면 국제광고제 참여를 통한 객관적 검증과 전문화 시도, 광고주는 부산 광고회사 참여기회 제공을 통한 공정한 경쟁 체제 마련, 학계는 뉴 미디어나 판촉 등과 같은 새로운 분야에 대한 기술적 지원과 광고계가 요구하는 맞춤형 인재 양성, 부산광역시는 정책적인 지원을 통한 부산 광고회사들의 사업 경험 증대, 정부의 광고관련 법규 개선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focused on how to improve advertising agency business in Busan. Major concern gave analysis of advertising business surroundings including history, problems and opinion of marketing executives in advertisers. Then, interviews with 3 different agencies’ presidents and 4 marketing or advertising executives followed. Results shows Busan has enough human resources as well as other related business fields. Main problem is that the scale of ad agencies are not enough to satisfy the demand of advertiser. Because of it, advertisers doubt about the ability of local agencies whether they could provide enough services. Meanwhile, some agencies who have winning experiences against agencies in Seoul ask equal chance to participate competitive presentation. It looks a vicious circle has made between agencies and advertisers. To improve situation, - first of all, agencies should find how to develop specialized service to clients, and how to prove their ability. for that participate AdStar is recommended. - advertisers give equal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competition, and consider multi-hiring-agency system. - university pay attention to local advertising industry needs and wants, especially human resource and new technology support. - courteous policy for local agency from Busan City would be helpful to expand business experiences and growth. Also, reforming regulations related with agency business are required.
지역방송국의 생존전략을 위한 수용자 중심의 IMC전략 연구
정성호(Seong-Ho Cheong)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3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 No.1
본 연구는 방송사의 브랜드 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IMC 영향변인이 브랜드 연상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보고자 부산지역방송사의 브랜드이미지에 미치는 영향변인을 토대로 영향 요인을 경로 분석하였다. 이들 분석의 대상은 부산지역 시민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 중 195명을 최종 분석하였다. 부산지역 방송3사에 대해 시청자는 각기 다른 브랜드이미지를 형성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부산KBS는 공익성, 전문성, 시사/다큐 등의 공익적인 방송사로 인식하고 있고, 부산 MBC는 공공성과 오락성을 겸비한 방송사로 인식하고 있다. KNN은 오락성이 강한 방송사로 인식하고 있다. 하지만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IMC요인을 보면 부산의 방송사는 방송사PR만이 가장 영향력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KBS의 경우는 앞으로 펼쳐야 할 방송사 브랜드이미지를 위해서 부산KBS만의 존재감을 위한 다양한 홍보수단이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부산MBC는 방송사경영과 방송의 공공성이 영향변인으로 나타나고 있어 부산MBC의 브랜드 이미지 제고의 방향을 직원의 도덕성과 투명성, 정확하고 공정한 뉴스 및 객관적 시각을 갖춘 방송사의 이미지제고에 노력해야 할 것으로 본다. KNN은 방송사의 경영과 방송의 공공성이 영향력 있는 IMC요인으로 나타난 것은 마찬가지로 방송사의 도덕성과 투명성, 다양한 홍보수단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This study investigated which factors affect local broadcast station’s brand image, focusing on three Busan terrestrial stations, using path analysis. To do thi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using a sample of 200 Busan citizens, and finally used 195 samples for the analysis.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viewers have different brand images for three Busan terrestrial stations. Generally, viewers have a brand image of public interests which have a strong speciality of information and news programs for Busan KBS. On the other hand, viewers have an image of public interests and entertainments as well for Busan MBC. Viewers have a strong image which have an edge of entertainments programs for KNN. However, as far as the perspective of IMC, only PR works as a valid factor, which composes of KBS’s image. Also, business and management and public interests were valid factors for MBC. Therefore, it seems that cleanness, ethics of human resources, objectivity as well as fairness of news need to be more emphasized for the image improvement of MBC. The factors affecting the brand image of KNN turned out almost similar to that of MBC. So overall, three Busan terrestrial stations appear to need to use more various PR based on IMC strategies.
문종대(Jong-dae Moon)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21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25 No.1
현대 언론자유철학은 밀턴(John Milton)과 밀(J.S Mill)의 언론자유철학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 이들의 논의는 인간이성에 대한 신뢰를 기반으로 한다. 이성 없이 진리를 찾을 수 없다고 본 그들은 양심에 따라 자유롭게 말하고, 주장할 수 있을 때 진리를 가장 잘 발견할 수 있다고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언론자유와 이성과의 관계를 깊이 있게 논의한 논문은 찾기 힘들다. 칸트는 인간을 직관의 능력인 감성, 감성과 지성을 매개하는 상상력, 개념을 적용하는 판단능력인 지성, 추론하는 능력인 이성을 갖고 있다고 했다. 본 연구는 이들의 조합에 따라 언론자유가 어떻게 실현될 수 있는지를 탐구했다. 현대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수동적이고 감정적인 직관에 기반한 정보들에 의해 언론이 왜곡되고 있다. 그리고 고도로 전문화된 사회에는 지성과 이성이 중요해졌다. 본 논문은 이런 시대에 언론의 역할 모델을 제시했다. 먼저 언론은 지성에 기반한 이성을 회복할 것, 인류 공통의 고통과 세계사적 보편적 의식에 대한 공감능력을 확장할 것, 인권과 보편적 가치를 실천할 수 있는 지식인으로서의 언론인이 될 것을 제안했다. 그리고 언론은 오직 언론의 사명에 충실하고 자신의 권력을 정치나 자본권력 등으로 확장하지 말 것, 언론 본연의 가치에 충실할 것, 다원적 가치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관용정신에 기반한 다원적 평등사회 실현과 자유롭고 평등한 시민 민주주의 실현에 기여할 것을 제안했다. Freedom of speech discourse in the modern times is based on John Milton and J.S. Mill’s work. The foundation of their work lies on trust in man’s ability to “reason.” According to Milton and Mill, without reason, truth cannot be pursued and therefore, only when people speak according to their conscience they should be able to pursue the truth. This provides basis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reason and freedom of speech. Kant claimed that man has sense, imagination, understanding, and reason. This study explored how freedom of speech is achieved and demonstrated with those traits intertwined. Digital media convey information in a passive and emotional manner, and this easily results in distortion of information. In addition, the modern society is highly specialized, and therefore intelligence and reason became more important than ever. This study investigates media’s role within this context. The media must restore intellect based reasoning and expand its empathy to reflect history and universal values of mankind. The media should be faithful to its own mission and refrain from expanding its power with political or capitol power. The study would like to suggest the media to contribute to developing and sustaining liberal democracy, diverse and equal society by practicing tolerance. In addition, it would be a journalist’s duty to become a responsible intellect embracing human rights when practicing. Reason-based-freedom of speech shall be demonstrated and achieved through the aforementioned sugges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