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및 진로정보인지수준 영향요인

        황여정 한국교육사회학회 2007 교육사회학연구 Vol.17 No.1

        Using a sample from the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KEEP), this study explores the factors influencing career decision and perceived level of career information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First, the results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gender, male guardian's occupational status, ego-identity, determining their own desirable job and career-related dialogues and activities with family a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on students' deciding their future career. School career programs, however, don't have any effect on it. Next, this study examined determinants of the perceived level of career information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is analysis found the family support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with ego-identity and career guidance of school as the other positive factors on career information percept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ndividual factors such as family background and support are much more influential on student's career development than public resources such as school programs.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to improve school careers programs and the need to give special consideration to students who have difficulties in having good career guidance at home, so that they are not alienated from developing their career. 본 연구에서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1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합리적인 진로결정을 위해 필수적인 ‘진로정보’ 획득수준을 결정하는 요인은 무엇인지에 관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희망전공에 관한 결정여부에는 성별, 남성보호자의 직업, 자아정체감, 미래의 직업결정여부, 가정 내 진로관련 대화활동 등이 유의미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학교에서 제공하는 진로관련 프로그램에의 참여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했다. 다음으로, 희망전공을 결정했다고 응답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와 관련하여 인지하고 있는 진로정보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 가정 내 진로지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정체감, 학교의 진로지도가 그 뒤를 이었다. 이는 아직까지 학생들의 진로결정 및 진로정보습득에 있어서 학교 등 공적인 지원체계보다는 가정을 비롯한 개인적 자원이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학교의 진로지원체계를 개선강화하여 그 효과를 증대시키고, 특히 가정에서 양질의 진로지도를 경험하기 어려운 학생들이 진로개척과정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배려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체험활동 참여기회 격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코호트 비교를 중심으로

        황여정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8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5 No.1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in youth activities using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data colle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In particular, in this study, the cohort of high school first grade in 2013 and in 2016 were used to make a cohort comparis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mother education, family income, regional scale, and school typ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ticipation in youth activities and the number of activities that youth have participated in per year. Next, the results of binary logit analysis and OLS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variables such as gender, mother 's educational level, local scale, academic achievement level, community consciousness, family travel experience, self-directed learning time were found to be factors affecting possibility to participate in youth activities and the number of activities. Particularly compared to the 2013 cohort, the interreginoal gap became clearer in the cohort of 2016, so students in Seoul we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youth activities than local residents, and to participate in more diverse activ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socioeconomic and regional gaps should be alleviated in youth activities. 본 연구는 청소년 체험활동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면서 체험활동 참여 기회에서 계층 간․지역 간 격차가 발생하는지를 살펴보고, 정책 환경의 변화 및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이 같은 양상에 변화가 나타나는지 확인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수집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 데이터 초4패널 6-7차년도 데이터 및 중3패널 3-4차년도를 활용하여, 2013년 고교 1학년 코호트와 2016년 고교 1학년 코호트를 대상으로 체험활동 참여기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코호트 비교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체험활동 참여 여부와 연간 참여한 체험활동 종류 수에 대한 집단별 평균 비교 결과, 어머니 학력, 소득 수준, 지역규모, 고교 계열에 따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2013년 코호트에 비해 2016년 코호트에서 계층 및 지역에 따른 격차가 좀 더 분명하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로짓분석과 OLS 회귀분석 결과, 성별, 어머니 학력, 지역규모, 학업성취수준, 공동체의식, 가족여행 경험, 하루 평균 자기주도학습시간 등이 체험활동 참여 여부와 참여 종류 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특히 2013년 코호트에 비해 2016년 코호트에서 지역 간 격차가 뚜렷해져서, 지방 거주 학생 대비 서울 지역 학생들이 체험활동에 참여할 가능성도 더 높고, 좀 더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체험활동에서 계층 간․지역 간 격차가 심화되지 않도록 다각적인 지원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 청소년 `일 경험` 제도 운영 실태 및 정책방안 연구 Ⅰ

        황여정,김승경,전현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8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대표적인 ‘일 경험’ 제도인 직업계고 현장실습과 관련하여, 그간 다양한 문제점들이 지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체계적인 실태조사가 부재했던 상황을 고려하여, 현장실습의 운영 실태를 세밀하게 살펴볼 수 있는 정책 기초자료를 산출하는 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다. 아울러 실태조사 분석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들이 보다 긍정적인 경험을 할 수 있는 현장실습 제도 구축을 위해 정책과제를 도출하는 데도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 같은 연구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선행연구 고찰, 2차 자료 분석, 법령 및 정책 분석, 설문조사, 면담조사, 전문가 자문 등 다양한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청소년 ‘일 경험’ 제도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직업계고 현장실습제도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현장실습 제도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을 정리하고, 기존 연구의 한계를 확인함으로써, 본 연구의 관점과 분석 대상 및 방향을 설정하였다. 2차 자료 분석에서는 현장실습이 직업계고 청소년들의 취업을 위한 절대적인 입직 통로로 인식되고 있지만, 예상보다 그 효과는 크지 않았고 특히 취업의 질과 연속성을 담보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법령 및 정책분석에서는 현장실습 제도를 규율하는 법체계가 미비하다는 점을 확인하고, 최근 도입된 제도는 그 본래 의도와는 달리 실습생의 권익보호에 불리하게 작용할 우려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현장실습이 이루어지는 실태 파악을 위해 현장실습을 경험한 졸업생 및 재학생, 새로운 현장실습 제도에 대한 잠재적 수요자인 고3학생, 현장실습 업무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조사 내용으로는 현장실습으로 유입되는 과정, 현장실습 운영 과정, 실습생에 대한 근로보호 실태, 현장실습의 중단과 복교,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 기제’로서 현장실습, 새로 도입된 ‘학습중심 현장실습’ 제도를 위한 준비 상황 및 현장실습 제도 개선을 위한 의견 등이 포함되었다. 또한 직업계고 졸업생 및 재학생, 직업계고 현장실습 담당교사와 현장실습 업체 담당자 등 현장실습과 관계된 이해당사자들의 경험과 의견을 수렴하고자 면담조사도 함께 실시하였다. 여기에서는 주로 현장실습 참여(운영) 경험과 그로부터 도출된 제도 개선에 관한 의견들을 수렴하였다. 특히 면담조사를 통해 산업체 담당자들의 입장과 의견을 청취하였다. 상술한 선행연구 검토, 2차 자료 분석, 법령 및 정책 분석, 설문조사 및 면담조사 결과를 모두 종합하여, 직업계고 현장실습 제도 개선의 큰 방향과 세부 과제들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실습이 취업을 위한 수단이 아니라, 다양한 직업체험을 통해 ‘현장적응력을 갖춘 전문인력의 양성’ 기제가 되어야 한다고 전제하고, 이러한 현장실습 제도 구현을 위해 기본적으로 추구해야 할 정책 방향으로 ‘인권이 보장되는 일경험 환경 구축’, ‘학습으로서의 현장실습 성격 재정립’, ‘청소년의 효과적인 직업세계 이행 기제로서의 현장실습’ 등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를 뒷받침하는 중점과제로는 인권이 보장되는 일경험 환경 구축 지원, 학습중심 현장실습의 효과적 추진 지원, 고졸 청소년/청년을 위한 취업 지원 강화, 학습 및 취업준비 과정으로서의 현장실습 재정립을 위한 법령정비, 현장실습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정책 환경 조성을 설정하고, 구체적인 세부 과제들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following study was to compile basic information related to the policies to look into the reality of work experience programs for teenagers,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re was an absence of evaluation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current issu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programs. Through this the study aims to draw up a solution to provide realistic and positive experiences for the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se results effectively, the study was done through contemplating earlier studies, secondary data analysis, law and regulation analysis, surveys, interviews, advice from specialists among many other various research methods. Specifically, the work experience programs being run in occupational high-schools were closely analysed as to organize the different perspectives towards the policies themselves, as well as identifying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in order to set the direction and the viewpoint of this study more accurately. It was clear to see after the analysis of secondary data that although work experience programs had the reputation of being the gateway for employment for the students in school, while not having as much of an effect in reality. There was no real guarantee for the quality and continuity of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the students. It was also confirmed through the analysis of laws and regulations that there were several weaknesses in the legal structure of the work experience programs themselves. It caused some concerns of having a negative effect on the protection of the apprentices’ rights and interest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current students and graduates with experience of the program, potential candidates and the teachers in charge of the operation of the program. Opinions and thoughts related to the process of entering the program, operations, labour protection, the end of the program and returning of students to school, the transition from school to workplace and ideas for the general improvement of the program were included in the survey. The interview was to take into consideration of the experiences and opin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who are involved with the program by mainly listening to the students and teachers ideas and experiences as well as the opinions and thoughts related to the program by the industry representatives. The aforementioned processes were all collectively analysed and the large-scale improvement direction was deducted for the future of the work experience program. The study presumed the program not as a gateway to employment for students as a way to develop specialized personnel with field adaptability, and concluded the importance of building a work experience environment protective of human rights, the reconstruction of the program as an educative program and the provision of an effective program to construct professional mind-sets in students. The study also discussed in detail the support for the construction of a human rights friendly work experience environment, the effective encouragement of an education based work experience program, the improvement of employment support for high-school graduates, the necessary repair of the legal structure to re-construct the work experience program and to shift relative paradigms by setting the composition of the policy environment.

      • 위기청소년 현황 및 실태조사 기초연구

        황여정,이정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청소년 보호·복지 정책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책대상자의 실태를 보여주는 체계적인 통계자료가 부재했던 ‘위기청소년’ 분야의 정책 통계 환경 개선을 위해 「위기청소년 실태조사」를 설계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 고찰, 2차 자료 분석, 행정통계자료 검토, 기존 조사 내용분석, 전문가 대상 FGI 및 온라인 의견조사, 위기청소년 당사자 대상 예비조사(설문조사 및 면접조사 포함) 등 다양한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위기청소년 실태조사」의 설계는 크게 조사대상 설계, 조사내용 설계, 실사 추진 방안 설계로 나누어 추진되었다. 조사대상 설계를 위해 정책목표 집단으로서 위기청소년의 개념을 설정하고, 관련 법령과 자료를 검토하여 귀납적 방법으로 위기청소년의 유형과 범주를 설정하였다. 위기청소년의 범주는 가족적 위기, 교육적 위기, 개인적 위기, 사회적 위기로 구분하였으며, 각각의 범주에 빈곤, 가출, 가정폭력․학대, 학교부적응, 학교폭력 가․피해, 유해 약물 이용,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게임 과몰입, 도박중독, 범죄 가․피해, 심리․정서적 위기청소년이 세부 유형으로 포함되었다. 조사내용 설계는 기존에 수행된 유관 실태조사 29종에 대한 설문지 내용분석과 전문가 FGI, 정부 부처 의견 수렴, 위기청소년 당사자 검토 및 연구진의 반복적인 검토를 거쳐 총 6개 대영역 14개 세부주제에 대해 123개의 조사항목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조사내용에 대해 전문가를 대상으로 내용의 적절성과 타당성을 검토한 결과, 모든 영역과 주제에 대해 적절성과 타당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위기청소년 당사자 627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유효표본 565명의 응답결과를 분석하였다. 조사표의 난이도, 내용의 적절성 등은 양호하게 평가되었으며, 예비조사를 통해 조사표 수정·보완 사항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조사표 수정방안을 제시하여 최종 조사내용을 확정하였다. 그리고 이를 종합하여 조사 명칭, 조사 목적, 목표 모집단 및 조사 모집단, 조사 목표 인원과 조사 유형, 조사 방법, 조사 주기 등을 포함한 실사 추진 방안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위기청소년 실태조사가 성공적으로 구축되어 정책활용도 높은 기초자료로 활용되도록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위기 청소년 실태조사의 법적 근거 마련 및 타 실태조사와의 법적 근거 정비, 정부의 주요 정책계획과의 연계, 효과적인 조사 거버넌스 구축, 기존 실태조사와의 중복 방지를 위해 기존 조사 흡수·통합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위기청소년 실태조사가 정책적으로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가칭)위기청소년 지원 종합대책」을 수립하여 조사결과를 연계 활용하고, 청소년 보호·복지 분야 성과 지표로 활용하며, 지자체 청소년안전망 사업에 연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위기청소년 지원 정책 추진을 위한 향후 과제로 경계선 지능 장애 청소년에 대한 정책연구의 필요성과 장기적 관점에서 실태조사 자료와 행정통계 자료와의 연계 방안이 모색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sign the “Youth At-risk Survey” for the improvement of the statistical environment concerning youth at-risk, where systematic statistical data were unavailable despite their importance to the youth protection and welfare policy. To effectively achieve the goal of this research, we surveyed previous research, analyzed secondary data, reviewed administrative statistical data, and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FGIs), an online survey of experts, and pilot survey of youth at-isk (including a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The design of the “Youth At-Risk Survey” is divided largely into three parts: survey target, survey items, and factual survey methods. For the design of the survey target, we set youth at-risk as the group to be targeted by this policy and inductively based the types and categories of the group on the results of a review of relevant laws and data. We categorized the risk factors into family, education, personal life, and society and included poverty, running away from home, domestic violence, abuse, school adjustment problems, school violence, harmful substances, Internet, cell phone, and game addiction, gambling, crime, psychology, and mental risks in each category. The survey items consist of 123 items on 14 topics in 6 categories, based on the analysis of 29 surveys conducted by relevant organizations, FGIs by experts, opinions of government offices and youths at-risk themselves, and reviews conducted by researchers. The appropriateness and validity of the survey items have been assured by experts. We also conducted a preliminary survey of 627 at-risk young people and analyzed the responses provided by 565 respondents. The degree of difficulty of the questionnaire and appropriateness of the survey items have been positively assessed. Also, the questionnaire was revi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survey. By considering all aspects mentioned above, we proposed the factual survey methods, including the survey name and purpose, number of proposed survey examiners and actual examiners, number of survey respondents, and survey types, methods, and frequency. Finally, we proposed the following measures to ensure the success of the factual survey of youth at-risk and ensure that its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olicy making. First, we proposed a method for absorbing and integrating existing investigations to prepare the legal basis for investigations of youth at-risk, improve the legal basis for other investigations, forge connections with major government policy plans, establish effective investigation governance, and prevent duplication with existing investigations. Second, we proposed ways of utilizing the survey results by formulating the “Comprehensive Policies for the Support of Youth At-Risk” in order to use the data of the factual survey of youth at-risk as performance indicators in the areas of youth protection and welfare. Last but not least, we suggested the importance of research on policy related to youth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as a future task for the policy for supporting youth at-risk and ways of incorporating the factual survey data into administrative statistical data from a long-term perspective.

      • KCI등재
      • 위기청소년 현황 및 실태조사 기초연구 : 예비조사 데이터분석보고서

        황여정,이정민,김수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위기청소년 대상 정책이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진되도록 지원하고자, 정책 기초 자료로 활용될 실태조사를 설계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 과정을 거쳐 개발된 「위기청소년 실태조사」 조사표(안)의 타당성과 적절성을 검토하고, 수정·보완 사항을 확인하기 위해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는 조사내용 개선 사항을 확인하는 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지만, 동시에 조사 문항에 대한 시범적 분석을 통해 제한적인 범위에서나마 위기청소년 실태와 현황을 파악하는 데도 목적을 두었다. 본 [예비조사 데이터분석보고서]는 위기청소년의 실태와 현황 파악을 위해, 예비조사에 사용된 문항에 대한 분석 결과를 수록한 것이다. 예비조사의 조사대상은 위기청소년의 다양한 유형 중에서 중복 위기를 경험하는 고위기군이 주로 분포하는 가출청소년 및 범죄․비행 청소년을 주요 조사대상으로 삼았다. 표집은 해당 위기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주요 지원기관의 입소(이용)자수를 조사 모집단으로 삼아 할당표집하였으며, 목표 표본크기는 600명이고, 확보 표본수는 627명, 실제 분석에 사용된 최종 사례수는 565명이다. 조사 내용은 ‘가정 안팎의 생활 경험’, ‘일상생활 경험’, ‘(성)폭력 피해 경험’, ‘심리․정서적 특성 및 관련 행동’, ‘정책적 수요’, ‘일반적 특성’ 등 6개 영역 14개 세부 주제 123개 항목으로 구성되었으며, 해당 문항에 대한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 위기청소년의 절반 이상이 최근 1년 이내 가정폭력 피해 경험이 있으며, 가출을 경험한 비율도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집을 나오게 된 이유는 주로 ‘가족간의 갈등’이었고, 가출청소년이 가장 필요로 하는 지원은 ‘숙식을 제공해주는 생활지원’이었다. 최근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디지털 성범죄 피해와 관련하여, 디지털 성범죄 피해 경험이 있는 위기청소년의 비율은 21.7%로 나타났다. 디지털 성범죄 피해 경험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뚜렷해서, 여자청소년의 피해율(36.6%)이 남자청소년(11.8%) 보다 3배 이상 높았다. 응답자의 24.3%는 최근 1년 이내에 2주 이상 지속되는 우울감을 느낀 적이 있다고 답했고, 지금까지 자해를 시도해본 청소년 비율은 30.5%, 자살 시도 경험이 있는 청소년 비율은 20.1%로 나타나, 우울·자해·자살 시도 등을 경험한 고위기청소년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과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위기청소년이 주로 경험하는 어려움은 ‘내 미래에 대한 불안감’과 ‘가족 간의 갈등’이었고, 희망하는 지원서비스로는 ‘청소년이 마음 놓고 일할 수 있는 일자리 제공’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예비조사 분석 결과를 토대로 위기청소년 지원 정책의 추진 방향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sign a survey that will be used to collect basic policy data for the formulation of efficient and systematic policy for youth at-risk. To this end, we reviewed the validity and appropriateness of the “Youth At-Risk Survey” questionnaire developed for this purpose and conducted a pilot survey to identify problems. The pilot survey was intended primarily to identify problems with the factual survey, but it also aim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youth at-risk, although in a limited way, through analysis of the preliminary survey. Among the several types of youth at-risk groups, the targets of the preliminary survey were young adults who have run away from home and youths involved in juvenile crime and delinquency, as they belong to the high-risk youth group who are vulnerable to multiple risks. For this study, we used quota sampling by creating a sample involving users of major institutions that support youth at-risk. The target sample size was 600 people, and the number of surveyed samples was 627 people, but 565 people were used as the sample for the actual analysis. The survey consists of 123 items on 14 topics in 6 categories, including experiences related to family and daily life, experiences of sexual violenc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uniqueness and related behaviors, policy demand, and general characteristics. The data analysis showed that over half of youth at-risk had experienced domestic violence in the past year and many of them had run away from home. The main reason for leaving home was family conflict, and the support desired most by such youths was support for accommodations and meals. It was also found that 21.7 percent of adolescents have suffered from digital sex crimes, which has become a serious social issue. There is a clear difference between the sexes in terms of their experiences of digital sex crimes, with the number of female victims (36.6 percent) being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ir male counterparts (11.8 percent). Among the respondents, 24.3 percent said they had experienced depression that lasted over two weeks in the past year, while 30.5 percent had experienced self-harm and 20.1 percent had attempted suicide, pointing to the need for aggressive intervention and support for such high-risk youths. The difficulties youth at-risk experience include “insecurity about their future” and “family conflict,” and the support they wanted the most was access to employment opportun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that policy for supporting youth at-risk should take.

      • KCI등재

        능력별 집단편성이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황여정 한국교육사회학회 2010 교육사회학연구 Vol.20 No.4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ability grouping on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data source for this study is the 2005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 a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is study employs multi-level modeling in the view of data structure. Through the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the ability grouping is effective only for highly competent students, but harmful for remedial class students. In particular, it is noteworthy that these effects can differ by student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conceptualized the student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regarding taking the lead in competitions as important, disliking to fall behind, and putting stress on comparisons and competitions against other people as 'competitive disposition'; then analyzed the effects of interactions between the competitive disposition and students' track placement on students' educational outcomes.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students of a more competitive nature exhibited relatively higher negative effects when grouped by their own academic achievement. This phenomenon is detected more readily in advanced classes. Meanwhile, it is found that school-level variables related to ability grouping do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more systematic and elaborate research on the mechanisms and contexts causing these results be carried out in order to make an appropriate decision on whether to continue or abolish ability grouping. Furthermore, there is a need to alleviate the competitive climate which has been rampant in Korean society so as to accomplish the intended goal of this practice because it is proved that this climate disturbs its expected positive effects and aggravates its unintended negative effects.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종단연구 데이터를 사용하여 다층모형 분석을 통해 능력별 집단편성이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이 제도가 한국 사회에서 지니는 함의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이 대체로 능력별 집단편성 참여 여부만을 고려하고 개별 학생이 배치되는 집단에 관한 정보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집단 배치에 관한 정보를 개인수준 변수로 활용하였다. 아울러 기존 연구에서 간과하였던 심리적 성향의 효과에도 각별한 관심을 기울였다. 분석 결과, 능력별 집단편성은 상위반에 배치된 학생들에게는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하지만, 중ㆍ하위반에 배치되는 학생들에게는 부정적인 효과를 야기할 가능성이 큼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 같은 효과는 개인이 보유한 심리적 성향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서, 경쟁적 성향이 강한 학생일수록 능력별로 분류된 상황에서 부정적인 경험을 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능력별 집단편성 제도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상위반과 하위반 학생 간의 학업성취 격차를 확대시키는 기제로 작동할 가능성이 큼을 지적하였다. 아울러 한국 사회에서 이 제도의 효과가 불분명하고 모호하게 나타나는 데는 우리 사회 전반에 만연한 경쟁지향적 풍토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큼을 주장하였다.

      • 전환기의 국가청소년정책 전략 연구

        황여정,임희진,오승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본 연구는 청소년을 둘러싼 환경이 빠르게 변모하고 정치적․정책적 변화를 경험하는 전환의 시기를 맞이하여, 중장기적 관점에서 청소년정책의 방향과 전략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통해 2023년부터 새롭게 시작하는 「제7차 청소년정책기본계획(2023-2027)」의 수립과 추진을 지원하는 데 연구의 일차적인 목적이 있으며, 나아가 청소년정책이 지향해야 할 장기적인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근본적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충실히 달성하기 위해, 체계적인 대내외 환경 분석, 청소년 관련 실태 점검, 정책대상자인 청소년 및 다양한 관계자 의견 수렴 등을 실시하여 사회변화를 고려한 청소년정책의 방향을 도출하였다. 거시적 관점과 중장기적 시각에서 정책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청소년정책 동향 파악에도 각별한 관심을 기울였다. 국내 청소년정책의 변천 과정과 동향을 분석하고, 특히 해외 청소년정책 동향 분석을 통해 전 세계적 흐름을 파악하여 국내 청소년정책과의 접점을 모색하였다. 아울러 정책당사자인 청소년들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현장에서 정책 추진과 전달을 담당하는 현장전문가, 공무원 그리고 학계의 의견도 광범하게 수렴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청소년을 둘러싼 환경 및 청소년이 처한 실태 분석을 통해, 향후 청소년정책 수립 시 고려할 사항으로 인구 구조의 변화에 대한 적극적 대응, 저성장․사회양극화로 인한 청소년 복지정책 확대, 디지털 환경의 부각과 그에 대한 대비, 청소년참여에 대한 요구 증대 및 참여정책 개선, 청소년의 수요를 충족하는 정책 추진의 필요성 등이 도출되었다. 국내․외 청소년정책 분석을 통해서는 청소년의 권리 및 참여 강조, 청소년 자립 기반 마련, 사각지대 청소년 발굴 및 지원, 수요자 중심의 정책 수립, 생애 주기적 접근, 생활 전반에 걸친 포괄적 지원, 중장기 정책계획의 유연성 필요, 체계적인 성과 관리의 필요성이 시사점으로 도출되었다. 전문가 대상 델파이조사 및 FGI를 통해 청소년정책 추진체계의 전반적 쇄신, 수요자 중심 정책수립 및 추진, 청소년활동 정책의 혁신 및 활동 활성화, 위기청소년 및 청소년 정신건강에 대한 지원, 청소년지도자 처우개선 및 역량 강화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청소년 대상 의견조사를 통해서는 진로 지원 강화 등 수요자 요구를 충족하는 정책 추진, 체감도 높은 정책에 대한 요구, 청소년권리 보장 및 청소년참여에 대한 패러다임 전환, 생애주기와 발달단계를 고려한 청소년정책 추진, 청소년정책에서의 상대적 격차 해소에 대한 요구가 높게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중장기 청소년정책이 추구할 정책비전으로 “참여하는 시민으로서의 청소년, 행복한 일상을 누리는 청소년, 미래를 이끄는 청소년”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정책비전 실현을 위한 5대 전략목표로 ①지속 가능한 청소년정책, ②환경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청소년정책, ③시민청소년의 권리를 보장하는 청소년정책, ④차별과 배제 없는 청소년 정책, ⑤효율적․효과적인 청소년정책 추진체계 확립을 제시하였다. 정책비전과 5대 전략목표 실현을 위한 21개 세부 추진전략을 도출하였다.

      • 청소년 지역사회 참여의 실태와 방향

        황여정 한국교육사회학회 2018 한국교육사회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 Vol.2018 No.2

        이 논문은 청소년의 지역사회 참여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현재 운영 중인 청소년 지역사회 참여 활동의 문제점과 개선집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청소년 지역사회 참여가 나아갈 새 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고찰, 설문조사를 비롯해 청소년 지역사회 참여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을 위한 OLS 회귀분석 및 Logit 분 석을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청소년들이 보다 만족스러운 지역사회 참여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찹여에 대해 내재적 동기를 갖는 것이 도움이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청소년들로 하여금 지역사회 참여를 가장 어렵게 하는 애로사항은 참여시간의 확보 문 제로 확인되었으며, 지역사회 참여 활동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사전 교육, 체계적인 활동 내용, 그리고 청소년 중심의 의사결정 구조가 필수적 요소로 도출되였다. 이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지역사회 참여가 지향해야 할 새로운 방향으로, 일반적·다수 참여, 실질적 참여, 일상적 참여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이 같은 방향으로 청소년 참여가 활성화 되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과의 연계가 요구됩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중학생의 자아탄력성 영향요인 분석: 사회심리학적 접근

        황여정,김경근 한국교육사회학회 2014 교육사회학연구 Vol.24 No.1

        Drawing on first wave data from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0,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determinants of ego resiliency among junior high school students with a social psychological approach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HLM) method. The results show that adolescents’gender, health condition, participation in volunteer activities, recognition of value of schooling, and parental education level are closely related to their ego resiliency. In addition, social support from parents, peer students, teachers, and neighbors is prove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ir ego resiliency. Contrary to a priori expectations, however, poverty, family structure, participation in religious activities, and being raised in a multicultural family by themselves have little to do with adolescents’ ego resiliency. At the school level, a high level of average peer support is likely to result in stronger ego resiliency. Taken together, it could be said that having adolescents build close meaningful relationships with others in and outside of the family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have them strengthen their ego resiliency. Finally, the current school climate, which is often characterized by strong pressure on academic success and fierce competition, should be changed drastically so that more adolescents could find their school lives more fruitful and meaningful.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ㆍ청소년패널조사 1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사회심리학적 접근을 통해 중학생의 자아탄력성 영향요인을 살펴보았다. 다층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학생의 자아탄력성은 성별, 건강상태, 봉사활동 참가, 학교교육의 효용성에 대한 인식, 부모 학력과 같은 개인 배경특성 및 부모, 친구, 교사, 이웃으로부터 제공되는 사회적 지지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선험적 기대와는 달리 빈곤, 가족구조, 다문화가정 출신과 같은 배경특성이나 종교생활은 그 자체로는 자아탄력성에 의미 있는 영향력을 발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학교수준에서는 전반적으로 학생들 간의 관계가 돈독한 학교일수록 학생들의 자아탄력성도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을 증진시키는 데는 무엇보다도 가정 안팎의 의미 있는 타자와 긴밀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가정에서 적절한 관심과 지원을 받기 힘든 청소년에게는 학교, 교사, 친구, 그리고 지역사회의 충분한 사회적 지지가 필요함을 밝혔다. 아울러 보다 많은 학생들이 학교교육을 통해 의미와 보람을 찾을 수 있도록 학업성취만을 강조하는 현재의 학교풍토를 획기적으로 개선함으로써 건강한 교우관계가 유지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