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청소년의 체험활동 참여기회 격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코호트 비교를 중심으로
황여정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8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5 No.1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in youth activities using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data colle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In particular, in this study, the cohort of high school first grade in 2013 and in 2016 were used to make a cohort comparis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mother education, family income, regional scale, and school typ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ticipation in youth activities and the number of activities that youth have participated in per year. Next, the results of binary logit analysis and OLS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variables such as gender, mother 's educational level, local scale, academic achievement level, community consciousness, family travel experience, self-directed learning time were found to be factors affecting possibility to participate in youth activities and the number of activities. Particularly compared to the 2013 cohort, the interreginoal gap became clearer in the cohort of 2016, so students in Seoul we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youth activities than local residents, and to participate in more diverse activ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socioeconomic and regional gaps should be alleviated in youth activities.
황여정 한국교육사회학회 2018 한국교육사회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 Vol.2018 No.2
이 논문은 청소년의 지역사회 참여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현재 운영 중인 청소년 지역사회 참여 활동의 문제점과 개선집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청소년 지역사회 참여가 나아갈 새 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고찰, 설문조사를 비롯해 청소년 지역사회 참여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을 위한 OLS 회귀분석 및 Logit 분 석을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청소년들이 보다 만족스러운 지역사회 참여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찹여에 대해 내재적 동기를 갖는 것이 도움이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청소년들로 하여금 지역사회 참여를 가장 어렵게 하는 애로사항은 참여시간의 확보 문 제로 확인되었으며, 지역사회 참여 활동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사전 교육, 체계적인 활동 내용, 그리고 청소년 중심의 의사결정 구조가 필수적 요소로 도출되였다. 이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지역사회 참여가 지향해야 할 새로운 방향으로, 일반적·다수 참여, 실질적 참여, 일상적 참여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이 같은 방향으로 청소년 참여가 활성화 되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과의 연계가 요구됩을 제언하였다.
위기청소년 현황 및 실태조사 기초연구 : 예비조사 데이터분석보고서
황여정,이정민,김수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위기청소년 대상 정책이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진되도록 지원하고자, 정책 기초 자료로 활용될 실태조사를 설계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 과정을 거쳐 개발된 「위기청소년 실태조사」 조사표(안)의 타당성과 적절성을 검토하고, 수정·보완 사항을 확인하기 위해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는 조사내용 개선 사항을 확인하는 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지만, 동시에 조사 문항에 대한 시범적 분석을 통해 제한적인 범위에서나마 위기청소년 실태와 현황을 파악하는 데도 목적을 두었다. 본 [예비조사 데이터분석보고서]는 위기청소년의 실태와 현황 파악을 위해, 예비조사에 사용된 문항에 대한 분석 결과를 수록한 것이다. 예비조사의 조사대상은 위기청소년의 다양한 유형 중에서 중복 위기를 경험하는 고위기군이 주로 분포하는 가출청소년 및 범죄․비행 청소년을 주요 조사대상으로 삼았다. 표집은 해당 위기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주요 지원기관의 입소(이용)자수를 조사 모집단으로 삼아 할당표집하였으며, 목표 표본크기는 600명이고, 확보 표본수는 627명, 실제 분석에 사용된 최종 사례수는 565명이다. 조사 내용은 ‘가정 안팎의 생활 경험’, ‘일상생활 경험’, ‘(성)폭력 피해 경험’, ‘심리․정서적 특성 및 관련 행동’, ‘정책적 수요’, ‘일반적 특성’ 등 6개 영역 14개 세부 주제 123개 항목으로 구성되었으며, 해당 문항에 대한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 위기청소년의 절반 이상이 최근 1년 이내 가정폭력 피해 경험이 있으며, 가출을 경험한 비율도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집을 나오게 된 이유는 주로 ‘가족간의 갈등’이었고, 가출청소년이 가장 필요로 하는 지원은 ‘숙식을 제공해주는 생활지원’이었다. 최근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디지털 성범죄 피해와 관련하여, 디지털 성범죄 피해 경험이 있는 위기청소년의 비율은 21.7%로 나타났다. 디지털 성범죄 피해 경험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뚜렷해서, 여자청소년의 피해율(36.6%)이 남자청소년(11.8%) 보다 3배 이상 높았다. 응답자의 24.3%는 최근 1년 이내에 2주 이상 지속되는 우울감을 느낀 적이 있다고 답했고, 지금까지 자해를 시도해본 청소년 비율은 30.5%, 자살 시도 경험이 있는 청소년 비율은 20.1%로 나타나, 우울·자해·자살 시도 등을 경험한 고위기청소년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과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위기청소년이 주로 경험하는 어려움은 ‘내 미래에 대한 불안감’과 ‘가족 간의 갈등’이었고, 희망하는 지원서비스로는 ‘청소년이 마음 놓고 일할 수 있는 일자리 제공’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예비조사 분석 결과를 토대로 위기청소년 지원 정책의 추진 방향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sign a survey that will be used to collect basic policy data for the formulation of efficient and systematic policy for youth at-risk. To this end, we reviewed the validity and appropriateness of the “Youth At-Risk Survey” questionnaire developed for this purpose and conducted a pilot survey to identify problems. The pilot survey was intended primarily to identify problems with the factual survey, but it also aim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youth at-risk, although in a limited way, through analysis of the preliminary survey. Among the several types of youth at-risk groups, the targets of the preliminary survey were young adults who have run away from home and youths involved in juvenile crime and delinquency, as they belong to the high-risk youth group who are vulnerable to multiple risks. For this study, we used quota sampling by creating a sample involving users of major institutions that support youth at-risk. The target sample size was 600 people, and the number of surveyed samples was 627 people, but 565 people were used as the sample for the actual analysis. The survey consists of 123 items on 14 topics in 6 categories, including experiences related to family and daily life, experiences of sexual violenc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uniqueness and related behaviors, policy demand, and general characteristics. The data analysis showed that over half of youth at-risk had experienced domestic violence in the past year and many of them had run away from home. The main reason for leaving home was family conflict, and the support desired most by such youths was support for accommodations and meals. It was also found that 21.7 percent of adolescents have suffered from digital sex crimes, which has become a serious social issue. There is a clear difference between the sexes in terms of their experiences of digital sex crimes, with the number of female victims (36.6 percent) being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ir male counterparts (11.8 percent). Among the respondents, 24.3 percent said they had experienced depression that lasted over two weeks in the past year, while 30.5 percent had experienced self-harm and 20.1 percent had attempted suicide, pointing to the need for aggressive intervention and support for such high-risk youths. The difficulties youth at-risk experience include “insecurity about their future” and “family conflict,” and the support they wanted the most was access to employment opportun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that policy for supporting youth at-risk should take.
황여정,이정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청소년 보호·복지 정책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책대상자의 실태를 보여주는 체계적인 통계자료가 부재했던 ‘위기청소년’ 분야의 정책 통계 환경 개선을 위해 「위기청소년 실태조사」를 설계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 고찰, 2차 자료 분석, 행정통계자료 검토, 기존 조사 내용분석, 전문가 대상 FGI 및 온라인 의견조사, 위기청소년 당사자 대상 예비조사(설문조사 및 면접조사 포함) 등 다양한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위기청소년 실태조사」의 설계는 크게 조사대상 설계, 조사내용 설계, 실사 추진 방안 설계로 나누어 추진되었다. 조사대상 설계를 위해 정책목표 집단으로서 위기청소년의 개념을 설정하고, 관련 법령과 자료를 검토하여 귀납적 방법으로 위기청소년의 유형과 범주를 설정하였다. 위기청소년의 범주는 가족적 위기, 교육적 위기, 개인적 위기, 사회적 위기로 구분하였으며, 각각의 범주에 빈곤, 가출, 가정폭력․학대, 학교부적응, 학교폭력 가․피해, 유해 약물 이용,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게임 과몰입, 도박중독, 범죄 가․피해, 심리․정서적 위기청소년이 세부 유형으로 포함되었다. 조사내용 설계는 기존에 수행된 유관 실태조사 29종에 대한 설문지 내용분석과 전문가 FGI, 정부 부처 의견 수렴, 위기청소년 당사자 검토 및 연구진의 반복적인 검토를 거쳐 총 6개 대영역 14개 세부주제에 대해 123개의 조사항목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조사내용에 대해 전문가를 대상으로 내용의 적절성과 타당성을 검토한 결과, 모든 영역과 주제에 대해 적절성과 타당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위기청소년 당사자 627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유효표본 565명의 응답결과를 분석하였다. 조사표의 난이도, 내용의 적절성 등은 양호하게 평가되었으며, 예비조사를 통해 조사표 수정·보완 사항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조사표 수정방안을 제시하여 최종 조사내용을 확정하였다. 그리고 이를 종합하여 조사 명칭, 조사 목적, 목표 모집단 및 조사 모집단, 조사 목표 인원과 조사 유형, 조사 방법, 조사 주기 등을 포함한 실사 추진 방안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위기청소년 실태조사가 성공적으로 구축되어 정책활용도 높은 기초자료로 활용되도록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위기 청소년 실태조사의 법적 근거 마련 및 타 실태조사와의 법적 근거 정비, 정부의 주요 정책계획과의 연계, 효과적인 조사 거버넌스 구축, 기존 실태조사와의 중복 방지를 위해 기존 조사 흡수·통합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위기청소년 실태조사가 정책적으로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가칭)위기청소년 지원 종합대책」을 수립하여 조사결과를 연계 활용하고, 청소년 보호·복지 분야 성과 지표로 활용하며, 지자체 청소년안전망 사업에 연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위기청소년 지원 정책 추진을 위한 향후 과제로 경계선 지능 장애 청소년에 대한 정책연구의 필요성과 장기적 관점에서 실태조사 자료와 행정통계 자료와의 연계 방안이 모색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sign the “Youth At-risk Survey” for the improvement of the statistical environment concerning youth at-risk, where systematic statistical data were unavailable despite their importance to the youth protection and welfare policy. To effectively achieve the goal of this research, we surveyed previous research, analyzed secondary data, reviewed administrative statistical data, and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FGIs), an online survey of experts, and pilot survey of youth at-isk (including a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The design of the “Youth At-Risk Survey” is divided largely into three parts: survey target, survey items, and factual survey methods. For the design of the survey target, we set youth at-risk as the group to be targeted by this policy and inductively based the types and categories of the group on the results of a review of relevant laws and data. We categorized the risk factors into family, education, personal life, and society and included poverty, running away from home, domestic violence, abuse, school adjustment problems, school violence, harmful substances, Internet, cell phone, and game addiction, gambling, crime, psychology, and mental risks in each category. The survey items consist of 123 items on 14 topics in 6 categories, based on the analysis of 29 surveys conducted by relevant organizations, FGIs by experts, opinions of government offices and youths at-risk themselves, and reviews conducted by researchers. The appropriateness and validity of the survey items have been assured by experts. We also conducted a preliminary survey of 627 at-risk young people and analyzed the responses provided by 565 respondents. The degree of difficulty of the questionnaire and appropriateness of the survey items have been positively assessed. Also, the questionnaire was revi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survey. By considering all aspects mentioned above, we proposed the factual survey methods, including the survey name and purpose, number of proposed survey examiners and actual examiners, number of survey respondents, and survey types, methods, and frequency. Finally, we proposed the following measures to ensure the success of the factual survey of youth at-risk and ensure that its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olicy making. First, we proposed a method for absorbing and integrating existing investigations to prepare the legal basis for investigations of youth at-risk, improve the legal basis for other investigations, forge connections with major government policy plans, establish effective investigation governance, and prevent duplication with existing investigations. Second, we proposed ways of utilizing the survey results by formulating the “Comprehensive Policies for the Support of Youth At-Risk” in order to use the data of the factual survey of youth at-risk as performance indicators in the areas of youth protection and welfare. Last but not least, we suggested the importance of research on policy related to youth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as a future task for the policy for supporting youth at-risk and ways of incorporating the factual survey data into administrative statistical data from a long-term perspective.
황여정,김경근 한국교육사회학회 2014 교육사회학연구 Vol.24 No.1
Drawing on first wave data from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0,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determinants of ego resiliency among junior high school students with a social psychological approach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HLM) method. The results show that adolescents’gender, health condition, participation in volunteer activities, recognition of value of schooling, and parental education level are closely related to their ego resiliency. In addition, social support from parents, peer students, teachers, and neighbors is prove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ir ego resiliency. Contrary to a priori expectations, however, poverty, family structure, participation in religious activities, and being raised in a multicultural family by themselves have little to do with adolescents’ ego resiliency. At the school level, a high level of average peer support is likely to result in stronger ego resiliency. Taken together, it could be said that having adolescents build close meaningful relationships with others in and outside of the family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have them strengthen their ego resiliency. Finally, the current school climate, which is often characterized by strong pressure on academic success and fierce competition, should be changed drastically so that more adolescents could find their school lives more fruitful and meaningful.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ㆍ청소년패널조사 1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사회심리학적 접근을 통해 중학생의 자아탄력성 영향요인을 살펴보았다. 다층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학생의 자아탄력성은 성별, 건강상태, 봉사활동 참가, 학교교육의 효용성에 대한 인식, 부모 학력과 같은 개인 배경특성 및 부모, 친구, 교사, 이웃으로부터 제공되는 사회적 지지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선험적 기대와는 달리 빈곤, 가족구조, 다문화가정 출신과 같은 배경특성이나 종교생활은 그 자체로는 자아탄력성에 의미 있는 영향력을 발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학교수준에서는 전반적으로 학생들 간의 관계가 돈독한 학교일수록 학생들의 자아탄력성도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을 증진시키는 데는 무엇보다도 가정 안팎의 의미 있는 타자와 긴밀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가정에서 적절한 관심과 지원을 받기 힘든 청소년에게는 학교, 교사, 친구, 그리고 지역사회의 충분한 사회적 지지가 필요함을 밝혔다. 아울러 보다 많은 학생들이 학교교육을 통해 의미와 보람을 찾을 수 있도록 학업성취만을 강조하는 현재의 학교풍토를 획기적으로 개선함으로써 건강한 교우관계가 유지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황여정,임희진,오승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본 연구는 청소년을 둘러싼 환경이 빠르게 변모하고 정치적․정책적 변화를 경험하는 전환의 시기를 맞이하여, 중장기적 관점에서 청소년정책의 방향과 전략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통해 2023년부터 새롭게 시작하는 「제7차 청소년정책기본계획(2023-2027)」의 수립과 추진을 지원하는 데 연구의 일차적인 목적이 있으며, 나아가 청소년정책이 지향해야 할 장기적인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근본적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충실히 달성하기 위해, 체계적인 대내외 환경 분석, 청소년 관련 실태 점검, 정책대상자인 청소년 및 다양한 관계자 의견 수렴 등을 실시하여 사회변화를 고려한 청소년정책의 방향을 도출하였다. 거시적 관점과 중장기적 시각에서 정책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청소년정책 동향 파악에도 각별한 관심을 기울였다. 국내 청소년정책의 변천 과정과 동향을 분석하고, 특히 해외 청소년정책 동향 분석을 통해 전 세계적 흐름을 파악하여 국내 청소년정책과의 접점을 모색하였다. 아울러 정책당사자인 청소년들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현장에서 정책 추진과 전달을 담당하는 현장전문가, 공무원 그리고 학계의 의견도 광범하게 수렴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청소년을 둘러싼 환경 및 청소년이 처한 실태 분석을 통해, 향후 청소년정책 수립 시 고려할 사항으로 인구 구조의 변화에 대한 적극적 대응, 저성장․사회양극화로 인한 청소년 복지정책 확대, 디지털 환경의 부각과 그에 대한 대비, 청소년참여에 대한 요구 증대 및 참여정책 개선, 청소년의 수요를 충족하는 정책 추진의 필요성 등이 도출되었다. 국내․외 청소년정책 분석을 통해서는 청소년의 권리 및 참여 강조, 청소년 자립 기반 마련, 사각지대 청소년 발굴 및 지원, 수요자 중심의 정책 수립, 생애 주기적 접근, 생활 전반에 걸친 포괄적 지원, 중장기 정책계획의 유연성 필요, 체계적인 성과 관리의 필요성이 시사점으로 도출되었다. 전문가 대상 델파이조사 및 FGI를 통해 청소년정책 추진체계의 전반적 쇄신, 수요자 중심 정책수립 및 추진, 청소년활동 정책의 혁신 및 활동 활성화, 위기청소년 및 청소년 정신건강에 대한 지원, 청소년지도자 처우개선 및 역량 강화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청소년 대상 의견조사를 통해서는 진로 지원 강화 등 수요자 요구를 충족하는 정책 추진, 체감도 높은 정책에 대한 요구, 청소년권리 보장 및 청소년참여에 대한 패러다임 전환, 생애주기와 발달단계를 고려한 청소년정책 추진, 청소년정책에서의 상대적 격차 해소에 대한 요구가 높게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중장기 청소년정책이 추구할 정책비전으로 “참여하는 시민으로서의 청소년, 행복한 일상을 누리는 청소년, 미래를 이끄는 청소년”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정책비전 실현을 위한 5대 전략목표로 ①지속 가능한 청소년정책, ②환경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청소년정책, ③시민청소년의 권리를 보장하는 청소년정책, ④차별과 배제 없는 청소년 정책, ⑤효율적․효과적인 청소년정책 추진체계 확립을 제시하였다. 정책비전과 5대 전략목표 실현을 위한 21개 세부 추진전략을 도출하였다.
황여정,백병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GOMS)' 1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4년제 대졸자를 대상으로 취업 여부 및 대기업 정규직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이항 로짓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취업 여부 및 대기업 정규직으로의 취업 여부에는 대학소재지, 전공, 대학시절 학점, 취업관련 대학의 지원활동에 대한 만족도, 졸업 전 구체적 취업목표 설정 여부, 어학연수에 지출한 비용 등이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취업 여부에는 연령, 가정의 소득순위, 재학 중 근무경험이 독립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기업 정규직 취업에는 여성에 비해 남성이 유리하며, 취업을 위해 별도의 사교육을 받는 것 또한 도움이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대졸 청년충의 노동시장 성과가 단순히 개인의 능력만으로 결정되는 것은 아니며, 귀속적 요인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귀속적 요인의 효과를 완화하기 위해 대학이 노동시장수요에 부합하는 양질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임을 제언하였다. Using a sample from a 1st wave of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0MS), this study attempts to ascertain determinants of employment status of university graduates youth in labor market, In this article, employment status was measured by two aspects, whether employed or unemployed, and being full-time job at the large corporation or not. The results reveal that variables such as location of university, major, GPA,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providing services, whether setting a concrete career goal before graduating or not, and cost spent in language training abroad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abor market status (employed/unemployed, and being full-time job in large firms/part-time job) in common. Also, age and the household income level in those days of entering university exert an influence on probability of being employed. Likewise, those graduates who are male and have experiences of supplementary private education to be employed are advantageous than female and those who did not. These findings imply that employment status of university graduates youth is determined by not only individuals' ability but also inborn traits. From these results, the authors suggest that to alleviate the effects of inborn traits, we should make a lot of effort such as providing university students with various and good programs.
황여정,김정숙,이수정,변정현,이미영,안시영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일하는 청소년은 증가하고 있지만 이들의 근로현실은 점점 더 열악해지는 현실에 근거하여, 청소년들의 근로환경에 대대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아르바이트 관련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정책과제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같은 연구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2개년 연구로 설계되었다. 1차년도인 2014년에는 만 15세 이상 18세 미만 연소근로자를 대상으로 이들을 둘러싼 아르바이트 참여 실태와 정책욕구를 확인하였다. 2015년에 수행된 2차년도 연구에서는 후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아르바이트 실태를 파악하고 관련 정책 수요를 발굴하였다. 주지하다시피, 18세 미만 연소근로자와는 달리 18세 이상의 청소년들은 성인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예외적인 보호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들은 성인들과 동일하게 근로를 제공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르바이트가 단기적, 임시적, 과도기적 근로라는 이유로 정당한 대우를 받지 못하고 있다. 상술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후기 청소년의 아르바이트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후기 청소년 아르바이트 관련 법령 및 정책에 대한 성과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와 면담조사 분석결과, 이들은 아르바이트에 상당한 시간과 에너지를 쏟고 있는 반면 부당대우와 권리침해를 경험하고, 근로권익에 대한 인식 수준도 높지 못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후기 청소년 아르바이트 정책 방안으로 4가지 범주를 설정하고 세부과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후기 청소년 아르바이트 구직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 과제로 인터넷 직업정보제공/직업 소개 사이트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 근로보호 정책 확산의 통로로 인터넷 직업정보제공/직업 소개 사이트 활용도 제고, 괜찮은 아르바이트 일자리 지원 방안을 제안하였다. 둘째, 아르바이트 근로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 과제로 근로계약서 작성 규정을 준수하는 노동시장 환경조성, 급여명세서 작성 강화, 휴게권 보장 방안, 사업장 근로감독 방법 개선, 근로감독 확대를 세부과제로 제안하였다. 셋째, 아르바이트 근로권익 보호를 위한 정책 과제에는 아르바이트 임금체불 대응 제도 개선, 부당대우에 대한 신고・상담제도 내실화, 아르바이트 일자리에서 수습 중 감액 금지, 감정노동종사자 보호를 위한 실질적 방안 마련을 제안하였다. 넷째, 노동인권교육 활성화를 위해 후기 청소년 대상 노동인권교육 방안과 고용주 대상 노동법 교육 실시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research is conducted with the understanding that the working conditions of youth need to be significantly improved, based on the fact that the percentage of Korean youth in part-time employment is increasing yet their working conditions are gradually deteriorating. This study aims to develop policy plans based on the thorough understanding of youths part-time working experiences. To effectively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he study was designed as a 2-year project. In 2014, the first year of research, survey was conducted on minors between the ages 15 and 18 to grasp their working conditions and to identify policy needs. In 2015, working conditions of late adolescents were studied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policy plans. Unlike minors under the age of 18, youths over 18 are considered adults and not subject to special protection. Although they are providing the same labor as adults, they are not receiving fair compensation because their part-time employment is deemed temporary, short-term, and transitional labor. With the abovementioned context in mind, survey and face-to-face interview were conducted to grasp the working conditions of late adolescent part-timers. Also, laws related to late adolescent part-time employment and the outcome of related policy measures were analyzed. Survey and interview results revealed that although the respondents were investing significant amount of time and energy to part-time employment, they were experiencing unfair treatment and violation of rights. Also, awareness of labor rights and interests were low among late adolescen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 makes policy suggestions for late adolescent part-time employment in 4 different areas. First, strengthening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online employment information sites/employment agency sites, increasing utilization of online employment information sites/employment agency sites as channels to spread labor protection policy, and supporting adequate part-time employment opportunities were proposed as ways to improve job searching environment for late adolescents. Second, nurturing labor market environment that complies to employment contract requirements, requiring detailed statement of wages, devising plans to guarantee rights to break, improving labor supervision methods in places of business, and expanding labor supervision were suggested as plans to improve part-time working conditions. Third, policy measures suggested for protecting part-time labor rights include improving the system for handling overdue part-time working wages, strengthening the reporting and counseling system for unfair treatment at workplace, prohibiting wage cuts of part-timers during probation, and devising substantial measures for protecting emotional laborers. Fourth, to stimulate labor rights education, implementing labor rights education to late adolescents and conducting labor law education to employers were proposed.
황여정,김경근 한국교육사회학회 2006 교육사회학연구 Vol.16 No.2
학교교육의 성과는 객관적 지표인 학업성취도, 주관적 지표인 학생의 학교만족도로 대별할 수 있다. 그런데 그동안 학교교육의 성과에 대한 연구는 주로 학업성취도에 편중되어 있었고, 학교만 족도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구조방정 식모형을 사용하여 학생들이 지각하는 학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는 한편 이러 한 요인들 사이의 인과관계를 고찰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학교만족도 제고방안을 모색하 고자 수행되었다. 데이터는 한국교육개발원이 2003년도에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교 우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 교수학습만족도, 내재적 학습동기 등이 학교만족도에 직접적으로 높은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업성취도의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가정의 사회경 제적 배경은 직접효과는 부적 관계를 나타냈으나, 이를 능가하는 간접효과로 인해 총효과는 정적 관계에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의 학교만족도 제고를 위해서는 학업성취도 나 수업뿐만 아니라 학교 내 사회적 관계 형성에도 보다 세심한 관심이 기울여져야 하며, 특히 가 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낮은 학생들이 관계 형성이나 학습동기 측면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각별한 배려가 요구됨을 시사한다. Outcomes of schooling are divided into academic achievement as an objective result and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as a subjective one. During the past years, however, the researches on outcomes of schooling have laid disproportionate emphasis on academic achievement, while placing insufficient emphasis on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determinants of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to examine their causal relations and to try to find an effective way of raising the level of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It used a sample from the 'An Analytical Study on the Qualitative Level and Actual Condition of School Education: the Case of High School', conducted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in 2003, and employ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is analysis shows that relationship among students,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satisfaction with teaching and instruction, and intrinsic learning motivation are positive factors on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while academic achievement i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Meanwhile, the direct effect of socioeconomic background h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school satisfaction. However, its positive indirect effect exceeds negative direct effect, so that its overall effect proves to be positive. These results imply that careful attention must be placed not only on cognitive aspects of schooling such as academic achievement and instruction but also on student's building up of social relationships in school. In particular, special consideration is needed for students from low class so that they are not alienated from establishing friendly relationships with their teachers and classmates nor from having constructive learning motivations.
황여정,김경근 한국교육사회학회 2006 교육사회학연구 Vol.16 No.3
Outcomes of schooling are divided into academic achievement as an objective result and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as a subjective one. During the past years, however, the researches on outcomes of schooling have laid disproportionate emphasis on academic achievement, while placing insufficient emphasis on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determinants of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to examine their causal relations and to try to find an effective way of raising the level of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It used a sample from the 'An Analytical Study on the Qualitative Level and Actual Condition of School Education: the Case of High School', conducted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in 2003, and employ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is analysis shows that relationship among students,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satisfaction with teaching and instruction, and intrinsic learning motivation are positive factors on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while academic achievement i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Meanwhile, the direct effect of socioeconomic background h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school satisfaction. However, its positive indirect effect exceeds negative direct effect, so that its overall effect proves to be positive. These results imply that careful attention must be placed not only on cognitive aspects of schooling such as academic achievement and instruction but also on student's building up of social relationships in school. In particular, special consideration is needed for students from low class so that they are not alienated from establishing friendly relationships with their teachers and classmates nor from having constructive learning motivations. >학교교육의 성과는 객관적 지표인 학업성취도, 주관적 지표인 학생의 학교만족도로 대별할 수 있다. 그런데 그동안 학교교육의 성과에 대한 연구는 주로 학업성취도에 편중되어 있었고, 학교만족도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학생들이 지각하는 학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는 한편 이러한 요인들 사이의 인과관계를 고찰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학교만족도 제고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데이터는 한국교육개발원이 2003년도에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교우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 교수학습만족도, 내재적 학습동기 등이 학교만족도에 직접적으로 높은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업성취도의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은 직접효과는 부적 관계를 나타냈으나, 이를 능가하는 간접효과로 인해 총효과는 정적 관계에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의 학교만족도 제고를 위해서는 학업성취도나 수업뿐만 아니라 학교 내 사회적 관계 형성에도 보다 세심한 관심이 기울여져야 하며, 특히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낮은 학생들이 관계 형성이나 학습동기 측면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각별한 배려가 요구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