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유아중심교육 실천을 위한 핵심 개념과 교사의 역할 재정립

        임환미,윤선영 한국질적탐구학회 2022 질적탐구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ata for the application of young child-centered education by redefining the core concepts and the role of teacher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o practice young child-centered education. For this, the researchers reviewed the papers related to “young child-centered”, “young child-centered education”, “perspective on children”, “child-centered”, “child-centered education”, “revised Nuri course”, “standard childcare course”. The analysis process consisted of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was to define and organize academic concept of young child-centered education and the role of teachers. And the concept of young child-centered education and the role of teachers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4th standard childcare process were summarized. In the second stage, the perception, practice methods, concerns and difficulties of teachers who practice young child-centered education were analyzed, and with the analysis, issues of perception, practice, evaluation, and environment were defined. Based on this, the core concepts ‘respect’, ‘interest’, ‘change’, and ‘responsibility’ of young child-centered education were derived. In the third stage, by analyzing the results of stage 1 and 2, ‘to recognize’, ‘to be together’, ‘to live an exemplary life’, ‘self-evaluating’ and ‘to guide’ were derived as the roles of teachers. Lastly, as measures necessary to support practice of teachers’ role, suggestions were made on ‘working environment’, ‘evaluation system’, ‘teacher and ledger’s education syste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esenting practical guidelines for teachers who apply young child-centered education. 본 연구는 2차 자료인 문헌연구를 통해 영유아중심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핵심 개념과 교사의 역할을 재정립하여 영유아중심교육 적용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아동관’, ‘아동중심’, ‘아동중심교육’, ‘영유아중심’, ‘영유아중심교육’, ‘개정 누리과정’, ‘표준보육과정’ 관련 논문을 고찰하였다. 분석과정은 3단계로 이루어졌다. 먼저 1단계에서 영유아중심교육의근거로 제시된 학자들의 이론과 2019 개정 누리과정·제4차 표준보육과정에서의 영유아중심교육 개념 및 교사의 역할을 정리하였다. 2단계로 영유아중심교육을 실천하는 교사들의 어려움을분석하여 인식, 실천, 평가, 환경의 문제를 발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영유아중심교육의 핵심개념 ‘존중’, ‘흥미’, ‘변화’, ‘책임’을 도출하였다. 3단계에서는 1, 2단계의 결과를 분석하여 교사의역할로 ‘인식하기’, ‘함께하기’, ‘모범적인 생활하기’, ‘자기평가하기’, ‘안내하기’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교사의 역할 실천 지원에 필요한 방안으로 ‘근무 환경’, ‘평가제도’, ‘교사 및 원장의 교육 시스템’ 개선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영유아중심교육을 적용하는 교사들에게 실제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 교육에서 자유의 의미 -자유교육과 아동중심교육을 중심으로-

        반채익 ( Chae Ik Ban ) 경희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구.교육문제연구소) 2006 慶熙大學校 敎育問題硏究所 論文集 Vol.22 No.1

        본 연구는 교육에서 자유가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를 밝히기 위해 자유교육과 아동중심교육에서의 자유의 관점을 검토하였다. 자유교육에서의 자유는 교육의 결과 가지게 되는 마음의 상태에 비추어 의미가 규정된다. 자유교육에서의 자유는, 교육의 결과 자유로운 마음의 발달이나 이성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게 될 때, 그러한 마음이 나타내는 특질이라는 점에서 적극적 자유를 강조하는 것이다. 반면에, 아동중심교육에서의 자유는 교육의 과정에서 `아동을 어떻게 취급해야 하는가`에 대한 관점을 제시하며 아동의 흥미와 자발성을 방해하는 외적 요소를 제거해야 한다고 본다는 점에서 소극적 자유를 강조하는 것이다. 교육에서 소극적 자유와 적극적 자유는 다같이 중요한 것으로 다루어져야 한다. 소극적 자유인 구속이나 강제로부터의 자유는 이성적 능력과 같은 적극적 자유를 위한 조건으로 그 중요성을 갖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larify an educational bearing of freedom in the liberal education and child-centered education. Liberal education aims at seeking knowledge itself while child-centered education attaches importance to child`s spontaneity and his independent participation as the process of education. First, in terms of the liberal education, freedom is the one in the sense that education makes human mind to free, which leads the man to speculate the world. `Liberal man` as its purpose of education is its ideal. This is the meaning of freedom which the liberal education implies. On the other hand, freedom in terms of child-centered education is the one in the sense of respecting child`s interest and need. This regards education as a liberal activity through his spontaneous participation, taking his interest and need into consideration. In this reason, its content is mainly found in the actual life which can stimulate his interest and need. Also, its process of learning is focused on his own activity and his own life. Shown above, when we divide the meaning of freedom into positive and negative, liberal education falls within a positive meaning of freedom, while child-centered education falls within a negative meaning of freedom in that Rousseau emphasizes child-centered education by nature. In addition, Dewey`s thought includes the two, positive and negative, in that he emphasizes not only simply child`s interest but child`s capacity of self-control and reflective thinking in course of education.

      • KCI등재

        교사들이 구성하는 아동중심교육의 의미

        정선아 한국유아교육학회 2004 유아교육연구 Vol.24 No.4

        본 연구는 교사들이 교육 현장에서 구성하고 있는 아동중심교육의 의미를 탐색하고 이 의미를 유아교육 전문가들의 발화 장르인 언어와 관련지어 맥락화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개 유아교육기관 각각 5세반의 전형적인 수업관찰과 3인의 교사 인터뷰를 통하여 이루어진 질적 연구이다. 교사들이 사용하는 아동중심교육의 의미는 유아교육 전문가들의 언어에 담긴 생각을 공유하고 있으면서도 다른 의미로 재구성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전문가들이 공유하는 아동의 개별성을 강조하는 아동중심교육의 의미에 교사들은 문제중심개입, 놀이중심, 목표 지향적 교육의 의미를 보태고 있었다. 교사들은 이러한 아동중심교육의 의미를 구성하면서도 갈등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리한 갈등은 아동중심교육이 어떠해야 할지에 대한 자신들의 변화를 모색하는 계기가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의 실천으로 살아있는 아동중심교육의 의미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갈등과 변화를 요구하는 용어인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explores teachers' narratives on child-centered education and contextualizes their narratives into the speech genr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is study, 2 classrooms were observed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teachers. Teachers' narratives about child-centered education are alive with ideas, perspectives, and language, all within the speech genr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ut at the same time teachers are reconstructing different and varied meanings of child-centered education within that genre. Specifically, this study revealed that teachers add considerations of problem-based intervention, play-centered education, and objective referent education into their meaning of child-centered education. Their articulated struggle to understand what their narratives mean and, so, with what child-centered education means, provides them with an opportunity to change their practices. The meaning of child-centered education thus develops through adding considerations and struggling to accommodate those considerations by changing practices.

      • KCI등재

        보육시설에서의 유아특수교육대상자 의무교육 시행에 대한 시설장의 인식- 포커스 그룹 인터뷰

        이병인,이지효,이미정,김현숙,강성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1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1 No.1

        The current study interviewed two focus groups composed of integrated child care centers and child care cent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of director of child care centers on implementation of compulsory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students in child care centers. Open coding was made for collected data using qualitative interview analysis strategy,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irector of child care centers were recognizing compulsory education in a positive way on the whole, but due to insufficient public relations and guidance there were some parts of misunderstanding compulsory education, and they answered that there are problems arising from duality of the relevant authorities. Second, they responded that curriculum should be administered according to standard child care curriculum and in order to administer quality curriculum the improvement in child care settings should be preceded. Third, they responded that assessment and evaluation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students should be selected and arranged depending on disability types. Fourth, they said that the reason why parents prefer child care centers is because they provide both education and care and it is easy to access them. Fifth, they responded that it is difficult to employ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due to poor working conditions of child care center at the present. Sixth, they said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mplete subjects related to child care and educate teachers and encourage learning at the national level.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present study will provide information for building desirable direction and developments so as to conduct compulsory education with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students in child care centers. 본 연구는 보육시설에서의 유아특수교육대상자 의무교육 시행에 대한 시설장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써 통합어린이집 시설장과 장애전담 어린이집 시설장으로 구성된 두 개의 포커스 그룹을 인터뷰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질적 면담 분석 전략을 사용하여 개방형 코딩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무교육에 대해 시설장들은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홍보와 안내의 미비로 의무교육에 대해 오해하고 있는 부분이 있었고, 관계부처의 이원화에 따른 문제가 있었으며, 의무교육 시행 준비에 대해서는 두 그룹 간에 인식 차이가 있었다. 둘째, 표준 보육과정에 따라 교육과정 운영이 이루어져야 하며, 양질의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서는 보육환경의 개선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셋째, 유아특수교육대상자의 진단ㆍ평가는 장애 유형에 따라 선별ㆍ배치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넷째, 부모들이 보육시설을 선호하는 것은 교육과 보호를 함께 제공하고 접근성이 용이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다섯째, 현재 보육시설의 열악한 근무조건으로 유아특수교사의 채용이 어렵다고 하였다. 여섯째, 유아특수교사의 보육관련 교과 이수와 국가차원의 교사 교육 및 장학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육시설에서 유아특수교육대상자의 의무교육 시행의 바람직한 방향 정립과 발전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아동중심교육’에서 ‘유아중심교육’으로의 표기를 위한 고찰

        임상도(Rim, Sang-Do),송영화(Song, Young-Hwa)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6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98

        본 연구는 유아교육에서 사용하고 있는 아동중심교육 대신에 유아중심교육으로 표기를 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비판적 탐구(critical inquiry) 양식에 의해 아동중심교육의 개념을 분석하였고 아동중심교육으로 표기하고 있는 실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아교육에서 아동중심교육은 내용 및 방법에서 아동에게만 집중될 때 과오를 범할 수 있음을 간과하였고 관습적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유아교육사상사적 측면에서 아동중심교육 대신에 유아중심교육으로 표기할 것을 제안하였다. 유아중심교육의 개념으로는 유아와 유아교사는 지식을 공유하면서 통합적․발현적 교육과정을 지향해야 하며, 유아교사는 권위를 사용하되 합리성을 함양할 수 있는 놀이 환경을 구성하는 것으로 제시하였다. 유아교육에서 유아중심교육이라는 표기방식을 사용하기 방안으로는 유아교육의 공동체가 논의의 장을 통해서 유아중심교육이라는 표기방식을 사용하는 문법체계를 마련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o replace child- centered education, which has currently been us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ith preschooler-centered education. The concept of child-centered education was analyzed, and how much this term was actually in use was analyzed. As a result, the fact that concentration on children only might result in making errors was found to have been overlooked in child-centered education, and this term was in conventional use. In this study, it’s suggested that child-centered education be replaced with preschooler-centered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though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cluding Froebel’s thought and Dewey’s and on the basis of initial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1910s. As for the concept of preschooler-centered education, it’s suggested that preschoolers a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 who teach them should share knowledge and seek after an integrated/emergent curriculum, and that the early childhood teacher should be authoritative and prepare the kind of play environments that could foster rationality. In order to introduce the term preschooler-centered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should have a discussion to build a system in which this term is used.

      • KCI등재

        장애아동 전담보육기관의 현황과 교직원들의 현재 정체성 인식 및 미래 지향 방향

        백운찬 ( Woon Chan Baek ),김관주 ( Kwan Joo Kim ),조윤경 ( Youn Kyung Cho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3 No.4

        본 연구에서는 장애아동 관련 법제 제정에 따라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명시된 장애유아 의무교육 간주기관으로서, 「장애아동 복지지원법」에 명시된 장애아동 보육지원 서비스 제공기관으로서 새로운 법률적 요건을 충족할 수 있는 장애아보육기관의 현황에 의거한 현재의 정체성과 앞으로의 지향 방향은 어떠해야 하는지를 정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장애아전담보육기관의 현황을 알아보고, 장애아전담보육기관 교직원들의 장애아동보육에 대한 현재의 정체성 인식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 미래는 어떠해야 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전국에 있는 장애아전담보육기관 169개 기관의 원장, 특수교사 및 보육교사, 치료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첫째, 장애아동전담보육기관의 현황은 약 70% 이상이 이미 법률적인 의무교육 인정 기관 요건을 갖추고 있으며「장애아동 복지지원법」상에서 규정하는 장애아동 보육지원 제공기관으로의 역할에 비교적 양호한 요건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아전담보육기관의 정체성 인식에서 교직원들은 자신들이 소속된 기관의 정체성을 ``장애아동 특수교육기관``, ``장애아전담보육기관`` 또는 ``장애아동 교육, 치료, 보육기관``, ``통합보육기관`` 등으로 가장 많이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미래의 장애아동 보육기관은 장애아동을 중심으로 하는 보다 전문화된 특수교육기관으로서 교직원 배치와 기타 장애유아 의무교육 및 장애아동 보육관련 법적 요건을 충분히 만족시키는 전문 장애아동보육기관과 통합된 일반보육기관으로의 전환이 서로 개방되어 있는 보육체계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를 구체화할 수 있는 실행 방안들이 논의되었다. For the compulsory education for 3-5 year old children with special needs should be implemented by「Special Education Act for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2007)」and the child care and education service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its delivery system was newly specified in「Welfare Support Act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2011)」, the specialized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 was situated at turning point for the change to fit into these laws. This study is intended to know the present conditions of specialized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 to investigate the present identity of 4 personnel groups(directors,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rapists,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on center and the future direction of the center. The 4 personnel groups in 169 specialized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were particip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70 percentage of specialized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were turned out to be suitable to the compulsory education, and the child care and education service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Second, the 4 personnel groups were recognized their center as the special education center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or specialized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 education-therapy-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 Third, they wanted the future directions of the center should be equipped with the more specialized personnels and flexible criteria between the segregated and the inclusive system.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further discuss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

        시청각 미디어를 활용한 유아·놀이중심 안전교육 컨설팅에 나타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변화:《피노키오》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최윤정(Choi, Yun Jung),채영숙(Chae, Yeong Suk),이주원(Lee, Ju Won) 한국육아지원학회 2021 육아지원연구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부합하여 유아 ‧ 놀이중심 안전교육 실천을 위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개선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A시의 안전유치원 교사 9명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피노키오》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유아 ‧ 놀이중심 안전교육 컨설팅 과정에서 수집된 교사 면담 전사본, 자유 질문지, 컨설팅 자료, 회의 동영상 녹화 및 녹음 전사본, 현장 노트, 일일교육실행서, 교사 저널, 회의록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는 피노키오 영상 장면에서 다양한 유아 안전교육 내용을 분석하고 안전교육 내용 이해를 위해 도전하였다. 둘째, 교사는 유아 놀이 환경 지원 및 관찰, 피노키오 이야기와 유아놀이의 연결 지원, 유아 놀이에서 안전교육 분석과 같은 다양한 유아 ‧ 놀이중심 안전교육 교수 ‧ 학습 방법을 반복 실천하였다. 셋째, 교사는 피노키오 이야기를 다른 반 유아 및 교사들과 공유하고 실천하면서 일상에서의 유아 ‧ 놀이중심 안전교육의 의미를 만들어나갔다. 본 연구의 결과는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부합하는 유아 ‧ 놀이중심 안전교육 실천을 위한 교사의 인식 개선 및 컨설팅 지원 방법에 관한 기초연구가 될 것이며, 유아 ‧ 놀이중심 안전교육 실천을 위해서는 교사의 인식 변화와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was to improve perceptions of kindergarten teachers for implementing child and play centered safety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o this end, 9 teachers in Anjun Kindergarten were selected as the participants, and interview transcripts, open-ended questionnaires, consulting materials, transcripts of recorded video conferences, field notes, daily educational practices, teacher journals, and meeting minutes collected from consulting on child and play centered safety education using the “Pinocchio” animation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first, the teachers analyzed various child safety education contents from the scenes in the Pinocchio video and challenged themselves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safety education. Second, the teachers repeatedly practiced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child and play centered safety education, such as supporting and observing children’s play environments, supporting to make connections between the story of Pinocchio and children’s play, and analyzing safety education reflected in children’s play. Third, the teachers created the meaning of child and play centered safety education in daily life as they shared and practiced the story of Pinocchio with children and teachers in other classes. This study can serve as exploratory research on the improvement of teachers’ perceptions for implementing child and play centered safety education and ways to support consulting in accordance with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implies the needs for changes in teachers’ perceptions and efforts to implement child and play centered safety education.

      • KCI등재후보

        장애아동 부모가 지각하는 장애아 보육서비스 이용 현황 및 요구

        송정,조윤경 육아정책연구소 2012 육아정책연구 Vol.6 No.2

        The studies of child care and education, which provided children and families of disabilities with the comprehensive services, had been mainly conducted on the side of service providers, directors and teachers. To set up the appropriate policy on the child care and education based on service receiver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sent service states, satisfaction, and support needs of parents in specialized and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695 parents in the specialized and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were responded to the survey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st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experienced the discrimination(refusal to admittance, enforcement of quitting etc.) in spite of 「Non-discrimination Act」. To ban the discrimination, more concrete and rigid guidelines are needed. Second, above 80%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ceived the rehabilitation education and therapy at the other institutes. For parents wanted the expansion of the rehabilitation therapy service, the increases of service by community networks should be considered. Third,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needed more communicative relationship with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and more qualitative family support services. So family support connected with related centers need to be provided. Fourth, parents agreed with the positive effects of inclusion, but said the readiness of inclusion was at a low level.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 to lift up the program level are demanded. Fifth,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th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and they stressed the quantitative increases of the specialized and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in the neighborhood. The augmentation of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for the disabilities must be promoted to level up the service quality. 장애아와 그 가족에게 보육과 관련서비스 등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애아보육은 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를 대상으로 연구되어 왔다. 본 연구는 장애아 보육정책의 적절한 수립을 위해서 장애아 보육서비스의 수혜자인 장애 전담과 통합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장애아동 부모 695명을 대상으로 장애아 보육서비스 이용 현황과 만족도, 지원 요구사항 등을 설문조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련 법률에도 불구하고 입소거부 혹은 퇴소요구 등의 차별을 경험한 부모가 상당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어린이집 이용 시 장애아동 차별을 금지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과 규정마련이 요구된다. 둘째, 부모의 80% 이상이 타 기관에서 교육 및 치료서비스를 받고 있으며, 어린이집에서의 치료서 비스 확대를 시급히 보완할 사항으로 지적해,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등 보다 다양한 방식의 치료서비스 지원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부모들은 어린이집과 활발하게 의사소통을 맺고 보다 양질의 가족지원 서비스를 제공받기를 희망했다. 유관기관과의 연계구축 등을 통해 가족지원 서비스 실행을 지원해줄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많은 부모들이 통합보육의 긍정적 효과에 동의하였으나 통합보육의 준비와 질적 측면에서는 우려를 나타내, 이를 개선해 줄 행 재정적 지원과 노력이 요구된다. 다섯째, 어린이집 이용에 높은 만족을 보였으나, 장애아동을 돌봐줄 어린이집 수가 부족해 양육에 어려움이 많다고 응답했다. 장애아 보육발전을 위해 장애아 어린이집 양적확충을 위한 지자체의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장애아동 이용 보육시설 통계 현황을 통한 특수교육 유치원 의무교육 간주 가능성과 한계성 탐색

        김성애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1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1 No.1

        The Study purposes on searching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implementing “care-center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r this, the research method in the study has been introduced statistic analyzing(on related government ministries) with certain analysis frame. The results are as followed:First, child care-center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clude, so called, general- & special child care-center. General child care-centers classify national & public centers, non-profit organization centers, and private centers. Special child care- centers classify center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integrated child care- center. Seco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have been utilizing many different types of child care-centers, which are mentioned before. For more concrete mention, child care-center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have 41% of whole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are severed from various types of child care-centers, 35.8% in general child care-centers, and 23% in integrated child care-centers. Third, there are far fewer staffs, such as ‘child-carer teacher’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as well. On the based of the results, most child care-centers face to limites of implementing “compulsory education considering”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herefore, the government has to prepare countermeasures for “compulsory education considering” in all types of child care-centers “right now”. Still, the government should implement “compulsory education” on the dimension of public education as the first step. 본 연구는 장애아동이 이용하는 보육시설의 통계 실태를 통해 특수교육 유치원 의무교육 간주 가능성과 한계성을 탐색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 목적을 위해, 이 연구는 보건복지부, 전국장애아동보육시설협의회 및 교육과학기술부의 최근 통계를 법적 내용 중 특수교육 유치원과정 의무교육 기준과 관련하여 기관 수, 아동 및 전문 인력 분포 등의 분석되었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동이 이용하는 보육시설은 일반보육시설과 특수보육시설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아동은 시설유형 및 설립주체별로 매우 다양한 보육시설을 이용하고 있다. 시설에 분포된 아동의 비율을 보면, 장애전담보육시설에는 보육시설 이용 전체 장애아동의 약 41%가 있다. 그리고 일반보육시설에 약 35.8%, 통합보육시설에 약 23%의 장애아동이 있다. 셋째, 장애아동 수에 비해 보육교사가 충분하지 않다. 더구나 유아특수교사의 수는 시설에서 확보해야 하는 기준치에 크게 부족한 상황이다. 아울러 현재 의무교육 가능 간주 시설로 지정되지 않은 많은 보육시설에도 장애아동 이용 비율이 높다. 이상에서 볼 때, 보육시설은 의무교육 간주를 이행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많은 과제를 가지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유특교사 확보가 가장 시급하게 해결될 부분이라고 하겠다. 이울러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보육시설에서의 의무교육 간주가 아니라, 공교육 차원에서의 의무교육이 우선적으로 이행될 수 있도록 필요한 모든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 KCI등재

        아동중심 교육의 대화 원리

        전숙경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7 미래교육학연구 Vol.20 No.1

        이 연구는 아동중심적 교육 내용을 담고 있는 자전적 소설인 '내 영혼이 따뜻했던 날들'에 나타난 교육적 의사소통을 분석함으로써 아동중심적 교육을 실현시켜주는 대화의 원리를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소크라테스로부터 코메니우스, 루소, 페스탈로치, 프뢰벨, 듀이로 이어진 아동중심 교육은 아동의 자연성과 선성에 대한 신뢰에 바탕을 두고 아동의 성장 가능성과 능동성올 억압하지 않으면서 발달 단계에 맞는 교육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동중심 교육은 아동의 욕구와 흥미를 무조건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아동의 자연스러운 성장을 고려한 교사의 세심하고 적절한 도움을 필요로 한다. 교육 대화의 원리를 밝히기 위해 주인공과 조부모 사이에서 생겨나는 의사소통 중 아동중심적인 교육이 잘 드러나는 부분을 발췌하여 오스틴의 화행이론에 기준을 두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설명하되 아동의 체험을 앞질러 설명하지 않고, 자신의 판단을 유보하고 아동의 말에 진지하게 귀 기울이며, 아동과 관련된 과거 이야기를 들려주는 대화의 특징이 확인되었다. 또한 명확한 언어나 확실한 결론으로 드러나지 않게 해야 될 부분이 있으며 놀라는 반응을 하지 않는 것도 아동의 정서를 억압하지 않고 자연의 발달단계를 잘 지켜나가게 하는 대화의 원리로 드러났다. The end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rinciples of dialogue in child-centered education through analyzing 'The Education of Little Tree' that describes the narrative of child-centered education in contents. In child-centered education that was continued from Socrates to Dewey, teacher and parents trust in good nature and potential of child and not put down the interest or want of child and fit methods and contents of education to development of childhood. Child-centered education is not to comply with child's request or interest blindly but to help child with deep concern to grow naturally. To trace the principles of dialogue in child-centered education, I collected educational dialogues that was reciprocated between Little-Tree and his grandparents and analyzed that dialogues by Austin' Speech Act-theory. The result of analysis implies that we should reserve judgement for listening to child and tell the story related with that child. We shouldn't explain before child's experience and be surprised too seriously at child's saying. In addition, we need to speak ambiguously so that child can think himself crea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