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중심 교육의 대화 원리

        전숙경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7 미래교육학연구 Vol.20 No.1

        이 연구는 아동중심적 교육 내용을 담고 있는 자전적 소설인 '내 영혼이 따뜻했던 날들'에 나타난 교육적 의사소통을 분석함으로써 아동중심적 교육을 실현시켜주는 대화의 원리를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소크라테스로부터 코메니우스, 루소, 페스탈로치, 프뢰벨, 듀이로 이어진 아동중심 교육은 아동의 자연성과 선성에 대한 신뢰에 바탕을 두고 아동의 성장 가능성과 능동성올 억압하지 않으면서 발달 단계에 맞는 교육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동중심 교육은 아동의 욕구와 흥미를 무조건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아동의 자연스러운 성장을 고려한 교사의 세심하고 적절한 도움을 필요로 한다. 교육 대화의 원리를 밝히기 위해 주인공과 조부모 사이에서 생겨나는 의사소통 중 아동중심적인 교육이 잘 드러나는 부분을 발췌하여 오스틴의 화행이론에 기준을 두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설명하되 아동의 체험을 앞질러 설명하지 않고, 자신의 판단을 유보하고 아동의 말에 진지하게 귀 기울이며, 아동과 관련된 과거 이야기를 들려주는 대화의 특징이 확인되었다. 또한 명확한 언어나 확실한 결론으로 드러나지 않게 해야 될 부분이 있으며 놀라는 반응을 하지 않는 것도 아동의 정서를 억압하지 않고 자연의 발달단계를 잘 지켜나가게 하는 대화의 원리로 드러났다. The end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rinciples of dialogue in child-centered education through analyzing 'The Education of Little Tree' that describes the narrative of child-centered education in contents. In child-centered education that was continued from Socrates to Dewey, teacher and parents trust in good nature and potential of child and not put down the interest or want of child and fit methods and contents of education to development of childhood. Child-centered education is not to comply with child's request or interest blindly but to help child with deep concern to grow naturally. To trace the principles of dialogue in child-centered education, I collected educational dialogues that was reciprocated between Little-Tree and his grandparents and analyzed that dialogues by Austin' Speech Act-theory. The result of analysis implies that we should reserve judgement for listening to child and tell the story related with that child. We shouldn't explain before child's experience and be surprised too seriously at child's saying. In addition, we need to speak ambiguously so that child can think himself creativel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누리과정’을 통해 본 교육정책과 소통의 문제 : 일간지 보도를 중심으로

        전숙경 한국교육정치학회 2014 敎育政治學硏究 Vol.21 No.2

        Integration of infant child car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a concern for many years at the national level. In this paper, I've summarized the process that child car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are integrated to Nuri course in the article of the daily newspapers and have examined how the education policy communicated within our society. This controversy was not be social concern over a long period of time, but a great deal of interest was beginning due to the expansion of Nuri course and free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we've been able to discover the lack of communication about the issue, unilateral decisions by political interests, the free educational problem to become personalized and materialized. Through this study, we can know that the need of sufficient time, the social consensus decision and conversation about essential issues is required to establish education policy. 유아교육과 영·유아보육의 통합 문제는 유아교육, 보육계의 오랜 관심거리였다. 이 글에서는 유·보 통합이 누리과정으로 나타나는 과정을 일간지 보도를 통해 시기별로 구분해봄으로써 우리 교육정책이 사회적으로 소통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학계와 정부, 기관의 관심과는 달리 유·보 통합 문제는 오랜 기간 동안 사회적 쟁점으로 부상되지 못하다가, 5세 누리과정이 3-4세로 확대되고 무상교육이 확대되기 시작하면서 사회적 담론으로 떠오르게 되었다. 유·보 통합과 누리과정은 쟁점화 되는 과정에서의 대화와 질문의 부족, 정치적 이해관계에 의한 일방적 결정, 개인적이고 물질적인 문제가 되어버린 무상교육 문제까지 사회적 소통을 막은 여러 문제들이 뒤섞여 나타나고 있었다. 이를 통해 교육정책 수립에 충분한 시간 확보, 정책결정의 사회적 합의, 본질적인 쟁점에 대한 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대학 수업에서 전자미디어 활용과 소통의 질: 교직 과목 수강 학생을 중심으로

        전숙경 한국교육학회 2013 敎育學硏究 Vol.51 No.3

        Recently instructors have utilized electronic media such as the Microsoft Power Point and cyber campus in their classes at University. Using electronic media is worth when they help educational communication. This paper is focusing on what university students have really experienc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sing electronic media with teachers or other students. For this research I have made out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 for 125 students of four-year colleges in Seoul. I have investigated for the answers of the students and tried to analyze the frequency of the vocabularies which have been used for the survey answers and interpretate them. The results have shown that the students belong in the electronic generation, so they fast paced and generally support the use of the media in classes. But at the same time they have recognized the dysfunction of the media. It also have shown that professors have often utilized electronic media to convey a lot of knowledge, sometimes it has promoted students more passive. Students want temperate using of media. Electronic media has two sides, so it help concentration and convenience but it may boosts positiveness. so teacher should search moderate spot and reduce these dysfunctions. they need ability of oral statement and sincerity to meet students deeply. Instructional media is not a convey but ecological surroundings connecting with students' life. In this understanding, we should be aware of the limit of the electronic media and reduce the dysfunctions. 전자미디어 활용은 교육에서의 소통에 도움이 될 때에만 그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파워포인트와 사이버캠퍼스 등 전자미디어를 활용한 수업이 대학생들에게 어떤 소통의 경험으로 작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시내 4년제 대학 학생 약 125명에게 반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답변을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자미디어 활용이 학생의 이해와 집중을 돕는 편리한 도구이지만, 소통의 양상이 지식의 전달에 치우쳐 있고 학생들의 수동성을 조장하는 측면들도 드러나고 있었다. 소통은 촉진되지만 직접적 대면관계의 필요성도 드러나고 있었다. 학생들은 단순한 미디어의 활용 여부나 흥미 진작보다는 절제된 사용을 바라고 있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논의해 볼 때, 전자미디어 활용의 집중력 제고와 편리함 등의 장점은 수동성을 초래하는 단점으로 양면적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그 역기능을 줄이고 적절한 상태를 찾아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소통의 질 차원에서 전달과 낮은 이해의 수준에 머물고 있는 소통의 경험을 인격적 만남의 차원으로 상승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구술적 바탕과 교사의 성실함이 요구되었다. 수업미디어는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학생들의 삶과 연결된 생태적 환경이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전자미디어의 한계를 인식하고 역기능을 줄여가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