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지필 평가와 과정중심평가에 의한 학업성취도 비교

        정원준,김용진 한국생물교육학회 2022 생물교육 Vol.50 No.2

        This study compared the achievement of students after conducting paper-assessment and process- focused assessment for the same unit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 In order to compare the achievement of paper- assessment and process-focused assessmen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core of paper-assessment and those process- focused assessment was calculated. By comparing the grades of all students, correlation was obtained, and correlation was also obtained for male and female students. The correlation between paper-assessment and process-focused assessment scores for all students is .903, boys .858, girls .924. It showed quite high relevance. In addition, the change in achievement grade was also analyzed for each individual. 88% of students had the same achievement grade for paper- assessment and process-focused assessment, and 11% had higher achievement grade for process-focused assessment than paper-assessment and 1% had the opposite. It was confirmed that the achievement grade of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was improved compared to the paper-assessment in female students compared to male students. Finally, interview analysis was conducted on students who showed a difference between paper-assessment and process-focused assessment.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effective to conduct a process-focused assessment by replacing the current paper-assessment.

      • KCI등재

        디자인교육에서 평가방법이 창의적 인지과정에 미치는 영향

        이희명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4

        (Background and Purpose) In design education, as creativity is not clearly measured, assessment has not been the subject of considerable research. Moreover, design education adopts assessment methods from other education fields such as science, engineering, and even literature. Design practice is quite different as well and involves both creativity and crafting skills. As in other studio classes, final outcomes are used as the main measure of learning in current assessment. These are guided by teachers’ feedback for learners to reach outcomes. The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of whether the current method of assessment would help creativity. The research question considered which assessment method is appropriate for basic design education. The purpose was to compare the summative assessments representing the current method to the revised formative assessments focused on cognitive creative skills. The revised formative assessment involves giving feedback with grading on the four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creativity and other design processes. In other words, it compares the former, in which the final outcomes receive grades, and the latter, with grading of each design process, including creative cognition. (Method) A case study was conducted with 200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design school at a single university.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received the summative assessment and the other the revised formative assessment with grading. Both groups received verbal feedback on the four creative cognitive processes. The data included 200 students’ surveys and 11 students’ in-depth interviews. The survey comprised 17 questions on a four-point rating scale and three open-ended questions. The in-depth interview focused on two questions: 1) the effect of the revised formative assessment on concept generation and 2) the effect of the revised formative assessment on final outcomes. (Results) The independent t-test compared the means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the influence of assessment on creativity. Moreove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hree creative cognitive processes, “Digging Deeper into Ideas,” “Openness and Courage to Explore Ideas,” and “Listening to One’s Inner Voice.” In the interview, the revised formative assessment with grading helped to communicate and manage resources efficiently but created ideation pressure. (Conclusions)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different assessment methods are needed for each creative cognitive process; 2) the feedback assessment must be supplemented to communicate it clearly; and 3) assessment in design education must be more sophisticated and systematic. (연구배경 및 목적) 디자인교육에서 평가는 창의성과 예술성이라는 정량화하기 어려운 요소들 덕분에 연구가 활발하지 못하다. 그러나 이런 요소뿐만 아니라, 수업진행 과정도 타 분야와 다르기에 일반적 평가와 차이가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평가방법이 창의성에 도움을 주는가라는 의문에서 시작되었고, 구체적으로 기초디자인 교육에 적합한 평가방법이 무엇이냐는 연구문제에 도달했다. 그동안 결과에 중점을 두었던 평가에서 벗어나 과정 평가가 창의적 인지과정에 도움이 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사례조사이다. 현재의 평가방법은 수업 과정 중 피드백을 주며 최종 디자인 결과물을 보고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아트웍의 평가는 최종 결과물로 진행해왔다. 본 연구는 단계별 평가가 디자인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창의적 인지 과정에서 단계별 평가가 영향을 미치는지에 집중했다. (연구방법) 기초디자인을 학습하는 학부생 200명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은 기존의 평가방법인 최종 결과물을 보고 등급평가를 하였고, 다른 한 그룹은 수업과정 단계마다 등급평가를 진행하고 이를 학생에게 알려주었다. 단계별 평가는 창의적 인지 과정인 4가지 단계에서의 평가와 디자인 시각화 작업과정 3단계마다 평가를 진행했다. 즉, 단계마다 피드백과 점수화된 평가를 같이 진행하였다. 최종 수업을 마치고 두 그룹의 평가가 창의적 인지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설문조사 하여 두 그룹의 응답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통계적 분석에 이어 인터뷰를 통해 정성적인 내용을 들여다보았다. 설문에 참여한 학생 중 11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수행했다. (결과) 평가방법이 두 집단에서 창의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창의적 인지과정 4단계 중 3단계인“깊이생각하기”, “아이디어 확산”, “내면의집중”과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단계별 평가가 창의적 사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뷰를 통해서 단계별 평가가 컨셉트 도출에 미치는 역할은 명확한 의사전달, 효율적 자원관리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심리적 부담이다. (결론) 본 연구가 주는 시사점은 1)창의적 인지과정의 특징에 따라 다른 방식의 평가를 적용하면 학습자의 창의성 발휘에 도움이 되며, 2)구두 피드백을 위한 명확한 의사전달 방법이 필요하며, 3)잘 짜여진 구조와 평가 시스템이 교육에 효율성을 향상하게 시킬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Assessment for Learning to Integrate Multimodality with Academic Presentations in a Multilingual MBA Classroom

        ( Yiboon Chang )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019 멀티미디어 언어교육 Vol.22 No.1

        This study investigated 34 multilingual MBA students’ attitudes and engagement in teacher and peer-group assessment for learning on academic presentations in an intact classroom. In this teacher research, the assessment rubric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by integrating multimodality into academic presentations. Language, visual, auditory, gestural, and spatial design elements were introduced to the students as a means of meaning representation, followed by in-class practices of peer-group assessment on sample multimodal presentations. The students found both teacher and peer-group assessment strongly helpful to improve their presentation skills. They had strong belief in teacher expertise in response to the teacher assessment, and highly valued the opportunity of evaluating peer-group performance to reflect and improve their own presentation skills. Despite some concerns about inconsistent assessment results from peer groups and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he new concept of multimodality, the students appreciated various audience perspectives and opportunities of learning multimodal literacy practices through the assessment practice. The teacher and peer-group assessment moderately correlated, showing the strongest correlation in the assessment of multimodality. This study suggests potentials of utilizing assessment for learning to enhance student awareness of designing multimodal texts, and meaningful pedagogical implications to develop and implement multimodal assessment.

      • KCI등재

        참 평가로서의 도덕과 평가

        최신일 ( Shin Il Choi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3 초등도덕교육 Vol.0 No.41

        현대의 철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평가방식의 관점에서 보면, 전통적 객관식 선다형 평가는 한계가 있다. 객관주의인식론에 이론적 근거를 두고 있는 평가의 한계를 극복한 것이 대안적 평가로서의 참 평가이다. 참 평가와 수행평가의 의미를 파악하고 양자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참 평가의 의미를 찾아본다. 참 평가의 의미를 충족시키는 조건은, 평가는 학습과 연관이 있고 학생들의 발달에 도움이 되고, 평가는 학습과정 중에 학습과정을 평가해야하며, 학습과정과 관련된 사람들에 의해서 평가되어야 한다. 이 세가지 조건에 덧붙여 도덕과 평가와의 연관성을 살펴보자면 도덕성의 통합적 평가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참 평가와 도덕과 평가의 연관성을 통해 참 평가로서의 도덕과 평가를 찾아내고, 그 활용 방안을 모색해 본다. In order for moral educational assessment to be properly evaluated, it has to be done by the authentic assessment. The followings are required to meet for Authentic Assessment. First, Authentic Assessment is to be intended for learning. Authentic Assessment is very closely related to learnings. Therefore, Moral Educational Assessments are also closely related to them. Development of students` morality and character should be evaluated by Assessment of Moral Education Second, Authentic Assessment is to be intended for learning process. Authentic Assessment is supposed to happen during learning process, it also should evaluate the process. Also, Assessment of Moral Education is supposed to happen during Ethics classes. Therefore, the evaluations are not temporary, rather, it should be a constant, and repeated process. Also, Assessment of Moral Education should evaluated Ethics classes because this will help observe students` ethical development. Lastly, Authentic Assessment is to be evaluated by the peoplewho are involved with the learning or class. Assessment of Moral Education is also to be evaluated by the teacher, students, and others who are involved in order to closely observe development of students. When the three requirements from the above are met, Assessment of Moral Education as Authentic Assessment will be evaluated with integrative in order to be complete. In other words, the moral ``knowing`` side and moral ``feeling`` side, as well as moral ``action`` should be harmoniously assessed.

      • KCI등재

        온라인 총괄평가 시스템 개발 방향 탐색을 위한 기초연구

        신은진,김수철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2021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7 No.11

        A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s activated at all school levels, schools are applying continuous assessment and use of various assessment methods to aid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However, summative assessment does not stand out due to the perception that it is a result-oriented assessment. Therefore, with a focus on the role of summative assessment in the assessment paradigm for learning, in this study, assessment using an online summative assessment system was proposed. Recently,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preparing a plan to introduce and implement the computer-based assessment of academic achievement (eNAEA), the representative overall assessment of Korea. In this context, summative evaluation by school unit was also explored as basic data for online developmen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an online summative assessment system that can increase the effectiveness based on the role of summative assessment in the changing assessment paradigm was explored. To this end, based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online and domestic online assessment systems and the theoretical and methodical exploration for establishing the online summative assessment system, the researchers discussed the assessment of the online summative assessment system and development plans in theoretical, technical and functional aspects.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모든 학교급에 활성화됨에 따라 학교에서는 학습에 도움을 주고자 교수-학습 중 지속적인 평가시행 및 다양한 평가 방법 활용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총괄평가는 결과 중심적인 평가라는 인식으로 인해 두각을 받지 못하는 상황이다. 이에 학습을 위한 평가 패러다임에서의 총괄평가 역할에 초점을 두고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총괄평가 시스템을 활용한 평가 시행을 제안하였다. 최근 교육부에서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총괄평가인 학업성취도 평가를 컴퓨터 기반 학업성취도 평가(eNAEA)로 도입 및 시행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학교 단위별 총괄평가 또한 온라인으로 개발하는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로 탐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변화하는 평가 패러다임에서의 총괄평가의 역할을 기초로 효과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온라인 총괄평가 시스템 개발을 위한 방향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온라인 평가 시스템 현황과 온라인 총괄평가 시스템 구축을 위한 이론적, 방법적 탐색을 토대로 온라인 총괄평가 시스템의 평가 및 이론적, 기술 및 기능적 측면에서의 발전 방안에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객관적 지표를 활용한 서울대학교병원 영양평가도구의 개발

        배혜정,김경애,김아정,박미정,한현주,손인자,이혜숙 한국병원약사회 2010 병원약사회지 Vol.27 No.1

        Nutritional assessment is essential to set up proper nutritional support plans in TPN(total parenteral nutrition) consultation servic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the SNUH(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ssessment tool that evaluates nutritional status by assessing and scoring the severity of three objective parameters - visceral proteins(albumin or prealbumin), body mass index and weight change - and to prove the validity of the SNUH assessment tool by comparing with the PG-SGA(Patient-Generated Subjective Global Assess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31 adult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SNUH from June to October 2009 and asked for TPN consultation. Nutritional assessment was performed by using both the SNUH nutritional assessment tool and the PG-SGA. 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evaluate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result of nutritional assessment by the SNUH nutritional assessment tool shows that one patient is well nourished, nine are mildly malnourished,ten are moderately malnourished, and eleven are severely malnourished; two patients are in stage A(well-nourished), fifteen are in stage B(moderately malnourished or suspected malnutrition), and fourteen are in stage C(severely malnourished) according to the PG-SGA. The Spearman’s rho correlation coefficient is 0.852, therefore there is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wo assessment tools(p<0.01). Proper nutritional assessment is available by using the SNUH nutritional assessment tool which is simple and convenient to use. Also, the results are not different among assessors, since it uses objective parameters unlike the PG-SGA. It is expected to shorten working hours and standardize TPN consultation service through coherent nutritional assessment.

      • KCI등재

        수학교육의 교수-학습 참평가 모형 및 예시 도구 개발 - 프로젝트법을 중심으로 -

        손정화,강옥기 대한수학교육학회 2012 학교수학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uthentic assessment model and example tools of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By reviewing literature researches, we set up the definition of authentic assessment in mathematics education, checked the criterian of authentic assessment tasks and mathematical activities. We searched various assessment models of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roject assessment proceeding model, and criterian of project assessment, and checked various project tasks of the authentic assessment. And we developed authentic assessment model and example tools of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The model is applied project tasks in the form of being integrated with class to high school students, with high school mathematics especially. Furthermore, we carried the test of content validity for a validity of developed tasks for experts in studies of mathematics education. The result is that authentic assessment model and example tools of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has an significance in mathematics education and can be used to judge whether students are doing ‘real’ mathematics or not, keeping the applicability in the form of being integrated with class.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 상황에서 수업과 통합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수학교육의 교수-학습 참평가 모형과 예시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하여 수학교육에서의 참평가를 정의하고, 참평가 과제 준거와 진정한 수학적 활동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참평가 수업설계 모형으로는 상황인지 수업설계 모형, 수학과 교수-학습 평가 모형, 프로젝트 평가 절차 모형을 살펴보았다. 프로젝트법을 적용한 수학과 참평가 과제 개발은 수학과 프로젝트의 유형인 실생활 문제해결형, 타교과 연계형, 수학사 활용형, 신문활용 교육형, 수학적 모델링형, 주제탐구형을 택하여, 수학과 참평가 과제 준거에 맞는 내용으로 선정하였다. 개발한 과제는 수학교육전문가에게 내용타당도를 의뢰하였고, 평가기준의 적절성을 검증받았다. 개발한 수학교육의 교수-학습 참평가 모형과 예시도구는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적용해 봄으로써 학생 반응 결과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개발한 수학교육의 교수-학습 참평가 모형과 예시 도구는 수학교육에서 참평가를 실시하는데 의미있게 사용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들의 수학교과에서의 평가에 대한 인식

        고은성,이은정,박민선 대한수학교육학회 2016 학교수학 Vol.18 No.1

        There has been a continual need for change of teachers' assessment practices as shifting a paradigm in education. Teachers' appropriate perception of assessment influences quality of assessment and leads to change of teachers' assessment practices.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e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on assessment in mathematics. To this end, we conducted a survey with the questionnaire which was developed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assessment.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41 questions about purposes and roles of assessment, materials of assessment, reliability of assessment, methods and strategies of assessment. 95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s a result, we found that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had appropriate perception on roles of assessment, materials of assessment and strategies of assessment, whereas they showed somewhat narrow perception on reliability of assessment, purposes and methods of assessment. Based on the results, we presented possible explanations about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lack of perception on assessment and discussed implications for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교육의 패러다임이 전환되면서 평가관행에서의 변화 또한 꾸준히 요구되어 오고 있다. 평가에 대한 교사의 올바른 인식은 평가의 질에 영향을 미치며 결과적으로 평가관행에서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의 수학교과에서의 평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평가의 목적과 역할, 평가 자료와 평가의 신뢰도 그리고 평가 방법과 전략에 대한 문항들을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95명의 초등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초등 예비교사들이 평가의 역할, 평가 자료, 평가 전략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잘 인식하고 있었으나, 평가의 목적과 평가의 신뢰도, 평가 방법에 대해서는 다소 제한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예비교사들의 평가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측면들에 대한 가능한 해석과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물환경 서비스와 물 인프라의 지속가능성 평가(2)

        강형식,이병국,김호정,구윤모,김지은,이선,김윤정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5 사업보고서 Vol.2015 No.-

        상수도, 하수도, 농업수리시설, 하천과 같은 시설물로 구성된 물인프라는 국민이 삶을 영위하는데 필수적인 생활용수, 농업용수, 홍수방제 등의 다양한 물환경서비스를 제공한다. 국내 물인프라는 급격한 인구 증가, 경제 발전과 맞물려 1980년대에 비해 괄목할만한시설보급률을 꾀해 왔으며, 물환경서비스의 질적인 성장을 이룩한 바 있다. 그러나 1950년대부터 물인프라가 단계적으로 구축되면서 조직ㆍ법ㆍ제도의 분화가 심화되고, 시설노후화 및 품질의 지역 간 격차 등에 대한 논란이 가중되는 실정에서 국내 물환경서비스와 물인프라를 평가할 수 있는 체계의 구축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국가의 물환경서비스와 물인프라의 지속가능성을 경제, 사회, 환경 부문으로 평가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 지속가능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국가정책과 예산집행 효율화를 꾀하는 보고서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금호강 시범권역에서의 물환경서비스와 물인프라 지속가능성평가체계가 구축되었으며, 해당 권역을 대상으로 평가를 수행하였다. 더불어 향후 낙동강대권역 단위의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국내에서 활용 가능한 자료와 관련 기관의 관리실태를 분석하였다. 먼저 물환경서비스와 물인프라의 지속가능성 평가체계 설계를 위해 기존 지속가능성개념의 발전동향과 수자원 부문의 지속가능성 평가사례를 검토하였다. 지속가능성의 정의 및 평가체계는 각 경제, 사회, 환경 세 부문이 어떠한 세부구성요소로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며 발전되어왔다. 이 중 수자원 부문을 대상으로 한 평가사례는 자료의 한계 등의 문제로 일부 시설에만 국한하여 평가를 진행한 경우가 많았으며,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각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사례는 드물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다양한 형태의 물인프라와 이로 인해 제공되는 물환경서비스를 각각 자원과 편익으로 규명하고 이용 및 관리주체의 경제, 사회, 환경적 영향을 고려하여 평가체계를 설계하였다. 평가체계는 지표기반으로 설계되었으며 지표의 특성에 따라 흐름 및 상태지표가 구축되었다. 더불어 지속가능성에 각 지표가 복합적으로 연계하여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지표 간,지표-정책 간 연결도를 구축하여 평가에 반영하였다. 결과적으로 평가체계 내 부문별지속가능성 달성목표는 다음과 같이 규명되었다. ○ 경제: 충분한 재원의 확보가 가능한가? ○ 사회: 사회적으로 공평한 수준의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가? ○ 환경: 높은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수생태건강성을 유지 및 증진할 수 있는가? 부문별 목표 달성수준을 판단할 수 있는 세부 평가지표가 평가체계 내에 제시되었으며, 평가지표는 상수도, 하수도, 농업수리시설, 하천 물인프라를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경제부문 지속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재원조달구조 및 재정건전성과 지속적인 편익 제공을 위한 자산관리 실태가 중점적으로 고려되었다. 사회부문은 환경형평성, 사회적 자본 이론에 근거하여 물인프라와 물환경서비스의 물리적, 질적 형평성과 사회구성원의 합의 및 참여 수준에 의해 평가될 수 있으며, 특히 사회부문 지속가능성은 정부, 공기업 등 관리주체와 지역주민 등 이용주체와 밀접하게 연관된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부문 지속가능성의 평가지표로 사회적 공평성, 서비스 품질의 지역 간 형평성, 사회적 수용성을 제시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고려한 세부지표를 제안하였다. 한편 환경부문은 인간을 위한 이수, 치수등 물환경서비스를 건전하게 제공하면서 높은 수생태건강성을 유지할 때 도모된다. 그러므로 자원이용실태를 점검하기 위해 환경부하관리, 환경생태를 위한 물배분을 평가하기 위한 세부지표를 제안하였다. 더불어 수생태연결성과 수생물다양성은 모든 물공급의 원천이되는 자연하천 및 지하수의 유지와 긴밀하게 연계되기 때문에 상기 내용을 평가할 수있는 지표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평가지표에 대해 평가지자체별로 경제-사회-환경 지표 간 연결도를 제안하였다. 연결도는 지표 간 인과관계에 의해 제시되었으며, 연결도에 지자체별 취약부문을 표기하여 개선이 필요한 부문의 가시화를 꾀하였다. 본 보고서에서 지속가능성 평가는 중권역 단위의 금호강 유역을 대상으로 시범평가가 실시되었다. 금호강 유역은 낙동강 중류부로 합류되는 낙동강 대권역의 1지류 하천으로 대구광역시, 경산시, 영천시, 칠곡군, 포항시의 행정구역으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는 타중권역과의 편입면적비율을 고려하여 대구광역시, 경산시, 영천시를 공간적 평가범위로 설정하였다. 금호강 중권역 내 대구광역시, 경산시, 영천시를 대상으로 지속가능성 평가를 수행한결과, 지자체 간 급수인구, 수익규모, 관리주체의 관리실태, 이용주체의 관심도 등에 따라 상이한 평가결과가 산출되었다. 물인프라 보급 규모가 상대적으로 큰 대구광역시는 안정적인 재원조달구조를 보여 경제부문 지속가능성에서 상대적 우위를 나타냈다. 그러나 재정건전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산시 및 영천시는 자체 취수역량을 강화하여 외부 원정수구입비규모를 축소하고 생산원가의 절감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더불어 경영효율화에 따른 사업성 확보를 통해 자기자본비율 증진, 국고보조비율 및 부채비율 감소를 이룩하고 재정건전성을 증진할 필요가 있다. 한편 물이용요금의 적정분담은 경영효율화, 유지관리비재투자에 따른 생산원가 절감, 지역구성원의 합의하 평균단가 인상을 통해 촉진될 수 있다. 평가 행정구역 중 영천시는 적정수준의 서비스 비용분담률 확보를 위해 시설효율 증진과 경영효율화가 요구되었다. 물인프라의 지역 간 양적 분배의 공평성은 금호강 유역간 큰격차를 보이진 않았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보급률이 90%이상을 차지했던 상수도와 달리하수도, 농업수리시설은 지속적인 공급률 개선이 필요하다고 분석되었다. 더불어 모든 평가지자체에서 노후시설비율이 모두 높게 산정된 것을 고려하면 자산관리 체계를 마련함과 동시에 재투자를 위한 미래 소요재정계획 마련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한편 금호강유역의 유지유량은 기준치보다 최대 258일, 187일의 부족일수를 가져 생태유량 확보를 위한 국가 및 지자체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더불어 대구광역시는 타지자체에 비해 수생태건강성, 환경친화적인 토지이용계획 등이 상대적으로 저조하여 기후변화 대응, 생물다양성 증진, 수자원 보호를 위한 조처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본 연구는 향후 대권역 단위의 지속가능성 평가체계 수립을 위해 평가범위를 확장함에 따라 발생되는 지표별 평가가능성 및 평가체계의 한계점을 분석하고 낙동강 유역 내 물인프라, 물환경서비스 구축 현황과 유지관리 실태를 조사하였다. 현재 구축된 경제부문 평가지표 중 세부 유지관리비용, 재정적 추정 소요비용 세부지표는 관리기관별로 필요자료가 정립되지 않아 세부시설물의 관리재원 적절성 평가가 어려울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사회부문 지속가능성 평가지표 중 서비스 품질의 형평성을 평가하고자 분석된 노후화시설비율 역시 각 관리기관별로 자료의 수준이 상이하고 일부 시설은 노후화 현황에 대한 자료가 전무하여 평가가 어려울 것으로 예측되었다. 결과적으로 물환경서비스와 물인프라의 관리재원 투입내역과 시설 노후화, 결함 등 시설현황에 대한 이력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물환경서비스 이용으로 인한 환경적 영향을 대권역 단위로 확장하여 평가하기 위해 유지유량, 보호종 및 외래종 출현현황 등과 같은 기초환경자료의 광대한 수집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중권역 단위 평가체계를 기반으로 3차년도에 대권역 단위 평가를 수행하기위해 금호강 중권역을 대상으로 평가를 시행하여 중점 정책과제를 선별하고 대권역 단위의평가를 위한 필요사안을 분석하였다. 그러나 자료수급의 어려움으로 인한 문제를 보완하기위해 관련 부처와의 협의, 관계 공무원과의 인터뷰, 플랫폼 활용 등의 해결책 모색이 요구된다. 더불어 3차년도 이후에 전체 물인프라를 대상으로 전국 단위의 평가가 이루어질 것이므로 평가 틀의 적절성에 대한 논의를 지속적으로 전개하고 국가의 물환경서비스와 물인프라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체계의 구축이 요구된다. Sustainabiliy of water infrastructure and its services requires coordinated integration of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support.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water in human life, assessment of such sustainability has become a critical issue to cope with. With the quantitative growth of water infrastructure in Korea, however, related maintenance and operating costs will continue to grow without adequate financial and social measures. Low water rate, excessive water intake rate, and inequal distribution of infrastructures have also emerged as major issues. Under the circumstances, although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and its assessment indicators have been developed by several researchers, sustainability assessment framework for water has not been widely suggest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attempt to develop sustainability assessment framework to evaluate water infrastructure and its services by employing a triple bottom line approach. Specifically,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sustainability system of water resources, and develop a set of assessment indicators in the nation’s mid-watershed. Moreover, available data and distribution of water infrastructure are presented to adopt a developed assessment framework in Nakdong-river. Final sustainability indicators of water infrastructure and its services are consisted of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sectors. Economic variables mainly focus on the financial health and status of asset management. On the other hand, social variables evaluate the social equity to water services. In the environmental sector, degree of ecological health, which covers concepts such as biodiversity, ecological connectivity, and environmental load, were measured. By evaluating such variables, we conducted interviews with relevant experts, and also used assessment programs including ArcGIS 10.0 and Vensim softwar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ces were described with a causal loop diagram by adopting the theory of system dynam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pose the importance of integral efforts between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sectors. For Geumho mid-watershed, adequate allotment of water rate and enhancement of financial health were suggested as the main solution for improving the equity of water services. Moreover, improvements in instream management achieved by lowering the environmental load within appropriate flow were significant. In the meantime, low data availability in Nakdonggang River caused difficulties in conducting a detailed assessment. Additional database on maintenance cost should be organized in the future. Moreover, establishment of an asset management system is strongly recommended in order to manage water infrastructure as an asset.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water resource sustainability assessment in three ways. First, we defined the components of water sustainability system and risks related to various water infrastructures and their services. Second, the paper suggested comprehensive assessment indicators constituted of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sectors by considering their inter-relationship. Lastly, we presented political strategies for enhancing water sustainability in the nation’s mid-watershed, and also proposed additional requirements for a more detailed assessment in the future. We believe the paper may offer useful assessment strategy and data for sustainable and qualitative water services.

      • KCI등재

        A Study on Performance Assessment Methods Using Fuzzy Logic

        Chae, Gyoo-Yong,Jang, Gil-Sang,Joo, Jae-Hun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2004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9 No.1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의 수준별 교육을 위한 평가 방법으로서, 수행평가는 문제해결 능력과 높은 사고 능력평가에 대한 한계점을 극복하고 수업의 질과 학교 정상화를 위한 계획으로 선호되고 있다. 그러나 수행평가는 평가 오류, 채점 공정성 문제, 신뢰도 및 객관성 등의 확보에 어려움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고 수행평가 만족을 높이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회계원리 과목을 대상으로 수행평가에 대한 각 영역에서 영향을 주는 인자를 분석하여 퍼지 소속 함수를 설계하고, 이를 적용한 객관적이고 신뢰성 높은 수행평가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Performance assessment was introduced to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and method of assessment for differenced learning when the seventh educational curriculum was enforced. Written examinations often fail to properly assess students higher thinking abilities ad problem solving abilities. Performance assessment addresses this drawback and also allows normalization of class and school quality. However, performance assessment also has drawbacks that could lead to faulty assessment due to lack of fairnes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grading, ambiguity of grading standard etc. This study proposes a fuzzy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 to address the drawbacks of the conventional performance assessment. This paper presents in objective and reliable performance assesment method through fuzzy reasoning, design of fuzzy membership function. We define a fuzzy rule analyzing factor that influences in each sacred ground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accounts for the principle subject The proposed performance assessment method divides into three categories, namely, formation estimation subject estimation and design of membership function. Performance assessment result that is worked through fuzzy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 can reduce the burden of appraisal's fault and provide. We fair and reliable assessment results through grading that have correct standard mid consistency to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