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기 부정적 정서성이 학령기 아동의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연구 : 집행기능 곤란의 매개효과

        김호정,윤하영,박주희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21 초등상담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유아기의 부정적 정서성 기질과 학령기 아동의 공격행동 간의 관계에서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밝히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4차(2011년), 8차(2015년), 10차(2017년) 조사에 참여한 아동 1,299명(남아 658명, 여아 641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SPSS 26.0과 PROCESS Macro의 매개모형 Model 4를 이용하여 집행기능 곤란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유아기의 부정적 정서성이 학령기 아동의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아동의 집행기능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유아기 부정적 정서성이 학령기 아동의 공격행동에 미치 는 직접적인 영향 뿐 아니라 집행기능을 통해서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 구결과는 학령기 아동의 공격행동을 감소하고 예방하기 위해서는 유아기 부정적 정서성 뿐 아니라 아동기 집행기능 곤란을 완화시킬 수 있는 개입 또한 필요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negative emotionality on aggressive behavior and investigated whether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emotionality and aggressive behavior with longitudinal data. The participants were 1,299 Korean children(658 boys and 641 girls)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4th(2011), 8th(2015), and 10th(2017) data by using PROCESS macro program (Model 4). Our analysis indicated that negative emotion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ater child’s aggressive behavior,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emotionality and aggressive behavior longitudinally. Based on this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t is necessary to prevent a child’s aggressive behavior by prevention or intervention programs improving the child’s negative emotionality and executive functioning difficulty.

      • KCI등재

        자녀의 영상미디어 이용에 대한 어머니의 교육적, 의례적 목적이 유아의 영상미디어 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 영상미디어 시청시간의 매개효과

        김호정,이동미,김빛나,서승희,박주희 대한가정학회 2023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61 No.2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creen media time of young childre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reasons for allowing young children to use screen media and their children’s ability to regulate screen media.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614 children aged 5-6 (312 boys and 302 girls), and all the survey questions were answered by their mothers.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bootstrapping analysis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using SPSS 25.0 and Mplus 8.6.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educational and ritualized reasons for allowing young children to use screen media and children’s screen media time directly affected young children’s ability to regulate screen media. Second, children’s screen media tim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educational and ritualized reasons for allowing their children to use screen media and children’s ability to regulate screen media. When mothers permitted their children to use screen media for educational purposes, their children were likely to spend less time on screen media usage which, in turn, increased their ability to regulate screen media. Conversely, the more mothers allowed their children to use screen media for ceremonial purposes, the more time their children spent on screen media and the less ability they had to regulate screen media usage. These outcomes suggest that, to improve children’s screen media regulation ability, mothers must not routinely allow their children to use screen media and should manage their children’s screen media time.

      • KCI등재

        사증발급거부처분에 있어서의 외국인의 원고적격

        김호정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외법논집 Vol.42 No.4

        There has been no standard in the lower courts of Korea to judge whether a foreigner who takes legal action is standing to sue on the visa issue denial measures. The Korean Supreme Court recently has denied or disapprove the foreigner’s right to sue on the issue based on the reason that the visa issue work is under the original and sole right of the government with the national sovereignty, meanwhile leaving an exception where foreigners with the protectable legal interests with deep and practical relations to Korea can protest that ruling. This decision of the Supreme Court is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the court established certain exceptional boundary within the standard of the suing by a foreigner against the visa issue denial measures. However, even if visa issue denial measures are perceived in power of a national authority or sovereignty, it cannot be a valid argument for denying or disapproving of a foreigner’s standing to sue on the issue. It is possible to interpret that the Korean immigration control law and its subordinate rules are in attempt to protect the foreigner’s right because the immigration right is the extension of the freedom of movement which portrays a part of human rights. In addition, it is also questionable that this exception is only limited to ‘the foreigner who legally entered into and stayed in Korea’. The foreigner who married with Korean like the case has the family union right which is protected under the Korean Constitutional Law, therefore, he has the protectable legal interests with the deep and practical relations to Korea. Although the courts in lower level have been expanded the boundary of the standing to sue on the visa issue denial measures not only to a foreigner but also to his invitatory, the decision of the Supreme Court pushed the button of the brake. However, the possibility of a change in the precedence change can be carefully predicted considering that the trend of theories and cases are expanding the boundary of the legal interest, or in other words, the standing to sue on this legal issue. 사증발급거부처분을 다투는 외국인에게 취소소송의 원고적격을 인정할 것인가에 관하여 하급심 법 원은 그동안 명확한 기준이 없이 서로 엇갈린 판결을 하여 혼란이 초래되었다. 그런데 최근 대법원은 사증발급이 주권적 고권행위임을 이유로 사증발급 거부처분에 대한 외국인의 원고적격을 원칙적으로 부인하고, 다만 대한민국과의 실질적 관련성 내지 대한민국에서 법적으로 보호 가치 있는 이해관계를 형성한 경우에 한하여 처분의 취소를 구할 법률상 이익을 인정하는 판결을 하였 다. 위 판결은 외국인에게 예외적으로 원고적격이 인정하는 기준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사증발급이 주권적 고권행위로서의 성격을 갖는다고 하여 이것이 곧 외국인의 원고적격을 부인하는 근거가 될 수는 없을 것이다. 나아가 출입국에 관한 권리는 거주이전의 자유의 연장으로서 인간의 권리라는 성격을 갖는다는 점에서 우리의 출입국관리법과 그 하위법령이 외국인의 법률상 이 익을 보호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불가능하지 않다. 또한 예외적으로 외국인에게 원고적격이 인정된다고 하면서도 이를 ‘대한민국에 적법하게 입국하여 상당하게 체류한 외국인’으로 제한하는 것 은 그 타당성에 의문이 있다. 이 사건에서와 같이 대한민국과 국민과 혼인한 외국인의 경우 헌법에 의 해 가족결합권이 보호되고 있다는 점에서 대한민국에서 법적으로 보호가치 있는 이해관계를 형성한 것으로 충분히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하급심 법원은 외국인은 물론 그 초청인에게까지 취소를 구할 법률상 이익을 인정하는 방향 으로 원고적격을 확대하여 왔으나 이번 대법원 판결로 제동이 걸리게 되었다. 그러나 법률상의 이익, 즉 원고적격의 인정 범위를 확장하는 것이 학설⋅판례의 추세임을 감안할 때 판례의 변경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예상해 본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국내외 제도 비교를 통한 폐의약품 관리 개선 방안

        김호정,최예지,이인향 한국임상약학회 2019 한국임상약학회지 Vol.29 No.4

        Background: At the end of the‘Waste Drug Disposal Project’, collection and disposal of waste drugs remain a social issue.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provide suggestions to improve the drug waste management system in Korea by comparing domestic and overseas relevant programs. Methods: This is a comparative study between South Korea, Australia, Canada, France, and the US. These overseas countries were selected because they have been operating waste drug management programs continuously to date. Comparison was conducted by a pre-determined analysis frame including legal regulation, enforcement program and its performance. Results: All selected countries except Australia had legal regulations on drug wastes. The US had the largest variety of drug waste disposal methods. Canada had recommended that pharmacies actively participate in drug waste withdrawal programs. France had the largest variety of methods to promote relevant programs, including window sticker, SNS, and app, as well as the highest level of awareness and participation. Australia had the lowest level of awareness and participation in pharmaceutical waste management programs. Pharmaceutical companies took responsibility of paying for these programs in the selected overseas countries. Conclusion: Further efforts should be made to establish a clear guideline including the role of pharmaceutical companies, and to develop various methods for the public to be aware of appropriate ways of disposing drug wastes in Korea.

      • KCI등재

        영국 미술공예운동의 미국적 수용이 미술 산업에 미친 영향 연구

        김호정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과학연구논총 Vol.39 No.4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of the English arts & crafts movement embraced by the Americans. William Morris, the leader of the English arts & crafts movement, suggested handicraft and the ‘ideal factory’ as an alternative to the problems by the Industrial Revolution. Americans accepted Morris's ideal and produced artworks for the beautification of home, but they accepted parts only for the industrial production. This was due to that they embraced the arts and crafts movement following the needs of consumers and markets, including corporate capitalism, democratic design and home hygiene after the second industrial revolution. Consequently, Gustav Stickley's ‘New Furniture’ approaching the realization of Morris' ideal. Furthermore, Irene Sargent and the Roycroft changed Morris's ideal for the joy of labor as a means of personal healing. 본 연구의 목표는 영국의 미술공예운동이 미국에 수용되면서 일으킨 변화들과 그 의미를 고찰하는 것이다. 영국 미술공예운동의 지도자 윌리엄 모리스는산업혁명이 일으킨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수공예와 미술가와 장인이 협력하는‘이상적인 공장’을 제안하였다. 미국인들은 1876년 센테니얼 박람회 이후 모리스의 이상을 수용하여 미술기업들을 설립하였으나, 산업적 생산에 도움이 되는부분만을 선택적으로 수용하는 차이를 보였다. 이는 2차 산업혁명으로 대두한기업 자본주의와 민주적 디자인, 그리고 가정위생 등 소비자와 시장의 요구를따른 결과였다. 이에 구스타브 스티클리의 ‘뉴 퍼니처’처럼 미국에서는 1900년이후 기계를 수용해 중산층 대중을 위한 가정용품을 생산하고 전국적으로 유통함으로써 모리스의 ‘대중을 위한 미술’의 실현에 다가섰다. 아이린 사전트의 디자인 테라피 개념과 로이크로프트에서의 치유 산업 등장 이후, 모리스가 강조한 수공예와 노동의 기쁨이 개인적 치유의 수단으로 변화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문법 지식 측정을 위한 문법성 판단 테스트 개발의 쟁점과 과제

        김호정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8 국어교육연구 Vol.4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ssues and tasks of developing grammaticality judgment tests that are designed to measure the Korean grammar knowledge of learners. To do this, Korean grammaticality test cases were analyzed through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issue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theory and practice of test development. Grammaticality judgment test is a test tool developed to measure the learner's implicitly internalized grammar ability, and is one of the widely used research methods in the second language acquisition research. In Korean language grammar education research, grammaticality judgment test has been developed and utilized as a part of basic tool for exploring learners' grammatical knowledge and preparing effective grammar teaching and learning plan. However, the grammaticality judgment test causes various problems related to the purpose of the test, reliability and validity. Particularly, several disagreements have been proposed as to how the various factors such as time constraints, task stimulus, modality, and item type affect test reliability and validity. Therefor, this study proposed research tasks in terms of three aspects: ⑴the theoretical inquiry about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grammaticality judgment test, (2) the pursuit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test development procedure and method, and (3) the development of various types of test.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문법 지식 측정을 위해 고안·사용되고 있는 문법성 판단 테스트(GJT) 개발의 쟁점과 과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旣) 개발된 한국어 문법성 판단 테스트 사례를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해 분석하고, 테스트 개발의 이론과 실제에 관련된 쟁점을 논의하였다. 문법성 판단 테스트는 학습자의 내재화된 문법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테스트 도구로서 제2언어 습득 연구에서도 널리 사용하는 연구 방법의 하나이다. 한국어문법교육 연구에서도 학습자의 문법 지식을 탐구하고 이를 토대로 효과적인 문법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작업의 일환으로 문법성 판단 테스트를 개발하고 활용해 왔다. 그러나 문법성 판단 테스트는 테스트의 목적 부합성과 신뢰도 및 타당도와 관련하여 다양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시간 제약, 과제 자극 유형, 테스트 양식, 문항 유형 등의 다양한 요인이 테스트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해 여러 가지 이견이 제시되고 있었다. 이는, 문법성, 문법성 판단, 문법 능력의 개념화, 학습자의 인지적 요소로서의 ‘지식’의 문제, 지식 측정 도구로서의 테스트 이론과 방법론에 대한 논쟁과 관련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⑴문법성 판단 테스트의 개발과 활용에 관한 이론적 탐구, ⑵테스트 개발 절차 및 방법의 신뢰성 및 타당성 추구, (3)다양한 목적/유형의 테스트 개발을 위해 필요한 과제들을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