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각장애자를 위한 유도사인 정보체계 조사연구 -부산지하철역을 중심으로-

        정원준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1 조형미디어학 Vol.14 No.3

        This study aims to enable the visually impaired to move to their destination safely by unaided ambulation through transportation centering on a subway system, and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how to offer important information through signs in the lives of the visually impaired. As the primary study for attaining the above goal, the study conducted an investigative analysis focusing on convenient facilities, specifically, for a subway the directional information facility for the disabl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visually impaired. First, the study looked into the current general directional signs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second, proposed solutions and problems through the direct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directional signs of Busan subway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The directional signs implied in this study mean a voice directional sign and a tactual directional sign. Also, it means all relevant facilities such as Braille blocks and Braille buttons as well as a means of delivery using a voice by an electric sound facility including a speaker, which leads the visually impaired to move from a subway space to their destination. In detail, the study used the method of carrying out an investigative analysis of Busan subway stations (Seomyeon and Suyeong) in Korea, concerning the ambulatory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ly impaired, criteria for facilities, and the current facilities. Regarding the research contents, the study aimed at sound, barriers, flooring facilities, Braille blocks, signals, tactual map, light, and smell, which may be factors related to the movement of the visually impaired. First, as a result of the primary investigation of the signs exclusively for the disabled in Busan subway stations (Seomyeon and Suyeong), it was pointed out that facilities and informa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move by subway were not satisfactory. Also, it was discovered that the sign expression of tactual information and voice information, which may be the focal point of visual informa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were not systematic unlike those for the non-disabled, and the system of information recognition was not in detail. 본 연구는 시각장애자가 단독보행 하는데 있어서 지하철을 중심으로 한 교통수단을 안전하게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시각장애자의 생활에 중요한 사인정보제공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1차 연구로서, 지하철유도 안내시설을 시각장애자의 관점에서 장애인 편의시설을 중점으로 조사 및 분석을 하였다. 첫째, 일반적인 시각장애인 유도사인에 의한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둘째, 현황을 바탕으로 한 부산 지하철 유도사인 직접조사 및 분석함으로써 개선점과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의미하는 유도사인이란 음성유도사인과 촉지유도사인을 의미하며 시각장애인이 지하철공간에서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스피커 등의 전기적인 음향설비에 의한 음성을 이용하여 전달되는 수단과 점자블록, 점자버턴 등의 제반시설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시각장애인의 보행특성, 시설기준, 시설현황 등을 국내 부산지하철(서면, 수영)을 조사 및 분석하는 방법으로 하였다. 조사내용으로는 시각장애인의 이동과 관련된 요소라고 할 수 있는 음향, 장해물, 바닥시설, 점자블록, 신호, 촉지도, 빛, 후각 등을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부산지하철(서면, 수영)의 장애인 전용 사인에 대한 1차 조사에 대한 결과, 시각장애자가 지하철을 이용하여 이동하기위한 시설과 정보가 충분하지 않다는 것이 지적되었다. 그리고 시각장애자의 시각정보의 변환점이라고 할 수 있는 촉지정보와 음성정보의 사인표현이 정상인처럼 체계적으로 시스템화 되어있지 않고 있으며, 정보인지 체계가 구체화 되어 있지 않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구조적 상전이를 갖는 VO2 와 결합된 Co/Pt 박막에서 온도에 따른 자기이방성 변화

        정원준,산토스 기미르,도중회 한국물리학회 2020 새물리 Vol.70 No.4

        Fifty-nanometer thick (100) and (101) VO2 films were synthesized on C-plane and R-plane Al2O3 substrates using pulsed laser deposition. X-ray diffraction measurements suggested that the VO2 films with a root-mean-square roughness of 0.58 – 1.08 nm had good crystalline properties.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the resistance for the VO2 films displayed a metal-insulator transition behavior at TMI= 325 – 350 K. Co/Pt multilayers with perpendicular magnetic anisotropy were deposited on (100) and (101) VO2 film by using DC sputtering, and their magnetic properties were monitored by using magneto-optic Kerr effect measurements. Although the VO2 has a structural transition from monoclinic to tetragonal at the TMI, the (100) VO2 plane seems to have opposite changes in the two in-plane lattice constants, so no net strain is induced in the neighboring Co/Pt film. On the other hand, the (101) VO2 with net changes in both in-plane lattice constants at the TMI presumably provides interfacial stress to the neighboring Co/Pt film thus, it induces a net magnetoelastic effect, which results in an increases in the coercive fields of 5 Oe along the easy axis and 200 Oe along the hard axis. 50 nm 두께를 갖는 (100) VO2 와 (101) VO2 박막을 각각 C-plane 과 R-plane 사파이어 기판 위에펄스레이저 증착법으로 제작하였다. X-선 회절실험으로 VO2 박막은 결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고표면형상 측정으로 표면 거칠기가 0.58 nm – 1.08 nm 정도임을 확인하였다. VO2 박막은 약 325 – 350 K 사이에서 금속-부도체 상전이를 보였다. 그리고 스퍼터링 (DC sputtering) 방법을 이용하여 VO2 박막 위에 수직 자기이방성을 갖는 Co/Pt 다층박막을 제작하고 자기-광 커 효과 측정을 통하여 Co/Pt 박막은 뚜렷한 수직 자기이방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구조적 상전이를 함에도 불구하고 (100) VO2 는평면 내에서 두 격자상수의 변형 효과가 상쇄되는 경향을 갖기 때문에 (100) VO2 와 결합된 Co/Pt 박막의보자력은 VO2 와 결합되지 않은 Co/Pt 박막과 비슷한 형태의 온도 의존성을 보였다. 반면, (101) VO2 는 이웃한 Co/Pt 박막에 알짜 경계면 변형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자기탄성효과에 의해 보자력이 증가된 것으로 생각된다. 보자력은 자화용이축 방향으로 구조적 상전이 온도 근처에서 최대 약 5 Oe, 자화어려움축방향으로 약 200 Oe 정도 증가되는 것으로 보였다.

      • KCI등재

        A Content Analysis of Gender Roles on Korean Financial Services Organizations’ Websites: Are They Targeted to Women?

        정원준,이태준 한국광고홍보학회 2014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6 No.3

        The number of women as financial decision makers has been growing in Korea. Thisstudy looked at how Korean financial services organizations communicate withcurrent and potential women customers through their websites. This study revealedthat generally, men and women were depicted differently on the sites in terms ofnumbers shown within a variety of age ranges, working roles, and functional ranking. And, the way men and women were depicted was different among different types offinancial services organizations. Women were depicted in traditional stereotypicalposes disproportionately more often on certain financial services organizations’ sitessuch as insurance and investment companies while emphasizing man-dominatedvisual messages and reinforcing the status quo of women. On the other hand, others,like credit card companies and banks, used more women than men due to the natureof their business.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위험정보 프로세싱(Processing) 다양화에 의한 코로나 예방 실천 행동 연구 : 문제해결상황이론을 확장하여

        정원준 한국광고홍보학회 2022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4 No.3

        Based on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situational theory of problem solving(STOPS),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s of problem recognition, constraint recognition, the level of involvement and referent criterion on the protection behaviors against the COVID-19 risk, mediated by problem solving motives and three informative communication actions. In addtion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four groups divided by the different levels(low vs. high) of the risk perception and the levels of risk information satisfaction toward the risk issue in terms of the informative and COVID-19 protection behavioral processing. Using 1,924 online survey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re were several different aspects of the four groups throughout the processing. Finall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in terms of strategic customized risk management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코로나 백신 예방과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 등 정부의 방역 정책 효과에 대한 국민의 의구심과 부정적 인식이 점차 증가해가고 있는 상황에서, 위험 커뮤니케이션 관점의 코로나 위험 인식 정도와 코로나 연관 정보 만족도 정도 그리고 연관 정보 프로세싱 과정의 최종 결과물인 코로나‘ 예방 행동 실천’ 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세부적으로, 문제해결 상황이론(STOPS)을 확장하여 ‘ 독립변인(문제인식, 한계인식, 관여도, 준거기준) ’ 이‘ 문제해결 동기’ 와‘ 정보적 행동(정보취득, 정보선택 그리고 정보전달) ’ 을 통하여 종속변인인 코로나‘ 예방 행동 실천’ 에 주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코로나 위험 인식이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 그리고 코로나 연관 정보 만족도가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으로 분류한 총 네 집단 간 정보 프로세싱 구조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네 집단 간 다중집단 경로분석을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에서 층화적 샘플링으로 모집된 총 1,92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전반적으로 코로나 위험에 대한 공중의 문제인식 정도와 관여도 그리고 준거기준은 코로나 문제해결 동기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한계인식은 부적(-) 영향을 주었다. 또한, 공중의 문제해결 동기는 정보적 행동 변인 모두에게 정적(+) 영향을 주었고, ‘정보 전달’을 제외한 모든 정보 행동은 예방 행동에 정적(+) 영향을 주었다. 한편, 이러한 코로나 예방행동 실천 과정은 본 연구가 분류한 네 집단 사이에 다소 상이한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고 후속 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시각장애자를 위한 지하철 유도사인 정보체계 기초조사(2) -의견 청취조사를 중심으로-

        정원준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2 조형미디어학 Vol.15 No.4

        The reason why the hearing impaired people feel difficulties in using guidance signs is because there is no certain information system (dot information, line information and face information) designed for the hearing impaired. In case of normal persons, they can easily find their locations with visual information. This study aims to analyze subway related public facilities focusing on the transportation method used by pedestrians including the visually impaired in urban area, then find a standardization method as various guidance functions to provide the visually impaired with pleasant urban environment. For detail, the study aims to provide the direction of guidance sign through filed accompaniment research after hearing the various features in information recognition by the visual impaired while walking. In the result, various opinions on guidance facilities were derived by the subjects, the visual impaired, and through the potentiality of guidance method per recognition pattern and basic information system, the study could verify the way to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for the visual impaired when walking 시각장애자가 유도사인이 이용하기 어렵다고 하는 이유는, 일반인의 정보체계(점적정보, 선적정보, 면적정보)가 시각장애자에게는 확립되어있지 않기 때문이다. 일반인의 경우, 자신의 위치를 시각정보로서 확인하여 현재위치가 어디에 있는가를 쉽게 파악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시각장애자를 포함한 보행자가 도시환경 속에서 목적지를 이동하는데 교통기관을 중심으로 한 지하철관련 공공시설물을 조사 및 분석하여 다양한 유도기능으로서 표준화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여 시각장애인에게 쾌적한 도시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시각장애자의 보행 시에 나타난 다양한 정보인지 특성을 직접 듣고 현지동반조사를 통해 유도사인에 있어서 최소한의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결과, 객관성 있는 시각장애인 피험자에 의해 유도시설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도출하였으며, 인지패턴에 대응한 유도방법의 가능성과 기본적인 정보체계를 통해 시각장애자가 행동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제공방법을 검증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개인정보 동의제도의 실질화 방안 연구

        정원준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23 고려법학 Vol.- No.108

        정보주체를 대상으로 한 동의(consent)는 자기 정보에 대한 통제권과 선택권을 최대한 보장하고 발현시키는 데 있어서 중요한 매개적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동의 제도의 본질에 부합되도록 정보주체의 실질적인 권리를 보장하고, 나아가 유연한 절차적 체계를 갖추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동의는 여러 측면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가장 본질적인 문제로는 동의의 제도 모형이 엄격한 사전동의(opt-in) 원칙 하에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또한 개인정보처리자 입장에서 한 번의 동의로 최대한 많은 항목을 확보하려다 보니, 동의서를 방대하고 복잡하게 만들어 동의 사항을 명확하게 인지하지 못한 채 무심히 습관적으로 동의하게 만드는 형해화(形骸化) 문제를 야기한다. 게다가 현행법의 포괄 동의 금지, 구분동의, 필수·선택동의 요구는 이러한 현상을 부추긴다. 이에 본 고에서는 각 국에서 시도되고 있는 해외 입법례 및 제도 사례를 참고하여 우리법상 동의 제도를 실질화하기 위한 여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EU GDPR 제5조에서 규정하는 투명성의 원칙을 우리 법에도 내재화하는 방안, 동의의 유연성 확보를 위해 옵트아웃 방식을 도입하는 방안과 철회권 보장 및 투명성 확보 차원에서의 대시보드를 의무화하는 방안, 동의 없이 정보처리를 할 수 있는 예외 사유의 확대 방안, 차별적 선택을 보장하기 위한 이른바 ‘동의 항목별 등급제’를 도입하는 방안, 그 밖에 고지 등 정보제공 방법을 실질화하기 위한 방안을 핵심적으로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논의를 기반으로 새로운 제도적 방안의 고안을 통해 동의제도의 유연성과 정보주체의 실질적인 권리를 보장함으로써 동의가 새로운 디지털 환경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수단으로서 거듭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 KCI등재

        보건의료데이터를 둘러싼 오너십론 : 환자데이터는 재산인가? 누가 소유하는가?

        정원준 한국법정책학회 2023 법과 정책연구 Vol.23 No.1

        In this paper, the existing general discussion on the data ownership problem specially raised in the health care field was reviewed, and a solution to the two research questions was sought on the basis. One is whether "the patient's information is property?" and the other is a question of "Who owns the information?" However, judging ownership of health care data is a fairly difficult and uncertain problem. Accordingly, there is a common misunderstanding in the question of who owns health care data. First of all, data ownership does not aim to be wholly attributed to someone. Except in some special circumstances, attributing data to a specific person is possible only by mobilizing finely established theoretical principles and arguments, and as shown in other discussions, it is difficult for such arguments to bear fruit easily. Furthermore, it is inconsistent with the original purpose of the data ownership discussion aimed at expanding efficiency through appropriate profit distribution by sharing and utilizing medical data resources as widely as possible. The other is that unlike discourse discussions in the general data, the specificity of the medical field should be reflected as much as possible. For example, ownership issues for personal information provided by patients, subjective information according to diseases and symptoms, objective information confirmed by doctors (examination figures, etc.), medical certificates and doctor's expertise and value judgments should be reviewed at different levels. In other words, discussing data ownership in a mixed state without distinguishing information derived from the patient's personal sign from the medical professional judgment makes the subject of attribution unclear and disconnects the practical benefit of the discussion. In this study, although the complete legal and theoretical arguments were not identified, the aforementioned conclusions were drawn. The system should be designed to secure access and control around patients, but it must be recognized that the data authority of doctors and patients can exist overlappingly. By forming a bundle of rights based on this premise, it is possible to provide incentives for data utilization to each subject.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an appropriate direction to lay the legislative foundation to enhance the use of medical data by establishing a clear concept on rights relations in the medical field. However, careful review of the specific practical benefits and practical utility of such legislation is necessary. 본 고에서는 보건의료 영역에서 특수하게 제기되는 데이터 오너십 문제에 대하여 기존의 일반론적 논의를 검토하고, 그 바탕 위에 두 가지 연구 질문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였다. 하나는 “환자의 정보는 재산(property)인가?”의 여부이고, 다른 하나는 “그 정보는 누가 소유하는가?”의 문제이다. 그러나 보건의료데이터에 대한 소유권 판단은 제법 까다롭고 불확실한 문제이다. 이에 따라 보건의료데이터를 누가 소유하는가의 문제에 있어서 흔히 범하는 오해가 있다. 우선 데이터 소유권은 당해 권리가 누군가에게 전적으로 귀속되는 것을 목표로 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특수한 몇몇 상황을 제외하면 물리적 지배가 불가능한 데이터의 특성상 데이터를 특정인에게 귀속시키는 것은 정교하게 확립된 이론적 법리와 논거를 동원하여야만 가능하고, 다른 논의에서 보듯이 그러한 주장이 쉽사리 결실을 맺기도 어렵다. 더군다나 의료데이터 자원을 가급적 널리 공유하고 활용함으로써 적절한 이익 분배를 통한 효율성 확대를 목적으로 하는 데이터 오너십 논의의 본래 취지와도 맞지 않는다. 다른 하나는 데이터 일반에서의 담론적 논의와 달리 의료 분야가 가진 특수성을 최대한 반영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가령 환자가 제공한 신상정보와 질병 및 증상에 따른 주관적 정보, 의사가 진료를 통해 확인한 객관적 정보(검사 수치 등), 의사의 전문적 지식 및 가치판단이 포함된 진단서와 소견서 등에 대한 오너십 문제는 각각 다른 층위에서 검토될 필요가 있다. 즉, 환자의 인격적 표지로부터 유래한 정보와 의료인의 전문적 판단으로 생성된 정보 등을 구분하지 않고 혼재한 상태로 데이터 오너십을 논하는 것은 귀속의 주체를 불분명하게 하여 논의의 실익을 단절시킨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록 완전한 법이론적 논거를 규명하지는 못하였으나, 소기의 결론은 도출하였다. 환자를 중심으로 접근·통제권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제도를 설계해 나가되, 의사와 환자의 데이터 권한이 중첩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은 반드시 인정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를 전제로 한 ‘권리의 다발(a bundle of rights)’을 형성함으로써 각 주체에게 데이터 활용의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의료 영역에서의 권리관계에 대하여 명확한 개념 정립을 통해 의료데이터의 활용을 제고시킬 수 있는 입법적 토대를 마련함이 적절한 방향으로 생각된다. 단, 이러한 입법이 갖는 구체적인 실익과 실제적인 효용에 대하여는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