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의 對ASEAN 에너지 외교 전략: 동아시아 에너지 다자협력과의 연계를 중심으로

        이재승,공승현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1 신안보연구 Vol.- No.167

        This paper examines the objectives and value of Korea’s energy diplomacy toward ASEAN and East Asia, with an emphasis on the linkage between East Asian multilateral energy cooperation. As ASEAN‘s energy production showed a limitation and its internal demand has grown rapidly, ASEAN should be seen beyond the supplier of resources. Energy diplomacy toward ASEAN should focus not only on the bilateral cooperation for energy supply but on the multilateral regional cooperation for broader energy agenda which would increase the visibility of Korea in future energy projects in this region. Considering energy discussion has been activated in ASEAN-related regional cooperation, Korea’s multilateral energy diplomacy toward East Asia should be strengthened based on political and economic considerations. It will also be an important test bed to outreach Korea’s green growth strategy. 본 논문은 ASEAN 지역의 에너지 수급 및 다자간 협력 현황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한국의 동아시아 에너지 외교와의 연계 차원에서 對ASEAN 에너지 외교 전략의 목표 및 의의를 고찰한다. ASEAN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에너지 외교는 수급 위주의 양자에너지 협력 뿐만 아니라 지역협력체를 중심으로 한 다자간 에너지 협력을 통해 이 분야에 있어 한국의 위상을 가시화 시키고 이를 향후 자원개발 및 에너지산업진출의 기반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ASEAN 내의 자원 매장량이 한계를 보이고 있으며, 내부적인 수요 증가가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향후 단순한 자원 공급원로서의 ASEAN의 의미는 제한적일 수 있다. 현재 ASEAN을 포함하는 여러지역협력체에서 다양한 에너지 관련 논의가 활성화되고 있음을 고려할 때, 한국의 對ASEAN 에너지외교는 동아시아 지역협력 차원의 정치, 경제적 고려 위에서 중장기적인 다자간 에너지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동아시아 에너지 다자외교는 신재생에너지, 효율성, 기후변화 대응 등 녹색성장 관련 에너지 의제가 광범위하게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더욱 중요성을 갖는다.

      • KCI등재

        중력모형을 활용한 ASEAN-EU 무역의 실증분석

        박숙진,김태헌 한국산업경제학회 2010 산업경제연구 Vol.23 No.3

        ASEAN-EU간 FTA 논의가 2010년 초 EU-싱가포르 FTA 협상을 신호로 재가동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본고에서는 EU-ASEAN간의 무역에 미친 요인과 그 영향력을 고찰해 보고 있다. 즉, 환율변동성을 변수에 포함시켜 유로화 출범과 실물유로화 통용, 그리고 EU경제통합의 확대가 ASEAN-EU무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중력모형을 사용하여 실증 분석하고 있다. 분석결과, 유로화의 출범과 실물유로화의 통용은 ASEAN-EU15국 무역을 확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국간의 환율변동성보다 대미달러 환율변동성이 ASEAN-EU15국 무역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ASEAN-EU25국 무역의 경우 분석결과의 유의도가 낮게 추정되어 유로화가 무역에 미치는 영향을 명료하게 결론짓지 못하였다. 향후 ASEAN-EU간 혹은 양지역 쌍무간 FTA의 체결은 ASEAN-EU간의 무역을 크게 확대시킬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가운데, ASEAN으로서는 동유럽시장 공략과 무역거래시 유로화에 대한 의존율을 높임으로써 환리스크를 최소화하는 환율정책을 추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exchange rate volatility between ASEAN and EU's countries including the 10 new member countries, which joined EU in 2004 and to analyse the effects of the European economic and monetary integration on the trade between ASEAN and EU. For empirical analysis is used a gravity model concerning the exchange rate volatility on the bilateral trade. By the empirical tests, using annual data for the period from 1990 to 2006, it is detected that the exchange rate volatility made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he ASEAN-EU trade. The departure of EURO and the circulation of the actual EURO have positive impacts on the trade between ASEAN and 15 states of EU, but not so positive on the trade between ASEAN and 25 EU-members. The exchange rate volatility of ASEAN's countries is influenced more negatively on the trade between ASEAN and 25 EU's states than the exchange rate volatility of 25 EU's states. Therefore, the ASEAN should use strategically a management policy to control the exchange rate volatility in the short term for improvement of a export environment and a exchange policy to minimize the exchange risks through using the EURO as a payment instrument for international trade.

      • KCI등재

        ASEAN에서 한국 수출경쟁력 분석:

        강상구(Sang Goo Kang)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17 전자무역연구 Vol.15 No.2

        연구목적: 아세안 경제공동체출범을 계기로 ASEAN에서 한국, 중국, 일본의 수출경쟁력의 분석, 특히 중국과의 수출경쟁력을 고찰함으로써 ASEAN에 대한 기업진출 전략 및 무역정책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논문구성/논리: 제1장에서 서론을 진술하고, 제2장에서 ASEAN 내의 교역 동향과 한국의 수출경쟁력에 관한 기존 연구를 고찰하도록 한다. 제 3장에서는 수출경쟁력 분석방법과 연구에 사용된 자료에 대해 면밀히 검토한다. 제4장에서는 ASEAN에서 한중일의 수출경쟁력을 다양한 방법을 통해 분석하고, 그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한다. 제5장에서 결론을 제시한다. 결과: 철강 및 비철금속, 일반기계, 전기기기 등은 한국의 무역특화지수에서 수출특화상품이며 동시에 2000년에 비해 수출경쟁력이 높아졌다. 시장비교우위지수는 2014년 기준으로 한국 5개, 중국 8개, 일본 7개 관련 산업에서 비교우위를 가지고 있다. 한국의 산업내 무역지수는 중간재 수출에서 ASEAN에 일방적으로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SER-ESDR은 중국에 대한 한국의 전반적인 수출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는 것을 보인다. 반면에 일본에 대해서는 한국의 수출경쟁력이 우위에 있거나 강화되는 것으로 보인다. 향후 한국의 수출경쟁력 제고를 위해 ① 다양한 지역 생산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② 각 국가별 특성을 활용하여 비교우위에 입각한 가치사슬을 최적화하여야 하고 ③ 소비재시장의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 ④ ASEAN FTA를 적극 이용하여야 한다. 독창성/가치: 한중일 삼각무역관계의 변화로 인하여, 한중일의 생산거점과 소비재시장으로서 ASEAN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본 논문은 무역자료를 이용하여 한중일의 수출경쟁력을 산업별 뿐만 아니라 생산단계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가진다. Purpose: This paper seeks to recommend business strategy and trade policy forASEAN by analyzing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 Korea, China, and Japan in the ASEAN region. Composition/Logic: The introductory is outlines in Chapter 1. Chapter 2 examines existing trade studies on trade trends and Korea s export competitiveness in ASEAN. Chapter 3 examines the data obtained by the research and explains the method of analysis. Chapter 4 analyzes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 Korea, China, and Japan in ASEAN using different methods and points out the implications for policymaking. Chapter 5 presents conclusion. Findings: Korea’s iron & steel, general machinery, and electrical machinery are special export products in the trade specialization index, and their export competitiveness is higher than it was in 2000. As of 2014, the market comparative advantage index indicates a comparative advantage for 5 Korean, 8 Chinese and 7 Japanese industries. Korea s intra-industry trade index shows that the exports of intermediary goods to ASEAN increased unilaterally. MSER-ESDR shows that Korea s overall export competitiveness, with respect to China, is weakening. On the other hand, its export competitiveness compared to Japan seems to be either at the highest level or is continuing to strengthen. To enhance Korea s export competitiveness, we recommend the following: (1) establish various regional production networks; (2) optimize the value chain based on the comparative advantage gained by exploit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3) establish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consumer goods market ; and (4) utilize ASEAN FTA proactively. Originality/Value: Due to the change in the triangular trade relations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the role of ASEAN as the production base and consumer goods market of Korea, China, and Japan is becoming important. This paper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s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 Korea, China, and Japan using trade data, not just at the level of industry but also at the stage of production.

      • KCI등재

        연구논문 : 한국의 대ASEAN 외교

        서정인 ( Jeong In Suh ) 한국동남아학회 2012 동남아시아연구 Vol.22 No.1

        This article is aimed examining the relations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ROK) and 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ASEAN) over the past two decades since the establishment of ROK and ASEAN dialogue relations in 1989. With regard to the ROK`s perspective, ASEAN is not only a significant friend in ensuring peace and security on the Korean peninsula, but a major economic partner actively engaged in trade, investment, and construction. The ROK and ASEAN have frequently exchanged human resources, recording 4 million mutual visits per year. In particular, Korea`s enhanced brand image, due to the Hallyu (Korean Wave) within the ASEAN region, has enabled ASEAN`s preference for Korean mobile phones, electronic products, and durable goods to stand eminent. Over the past two decades, ASEAN-ROK relations have developed since the early establishment period and negotiations for a permanent consultative mechanism, followed by cooperation expansion and deepening stages. More importantly, in commemoration of the 20th anniversary of ASEAN-ROK dialogue relations, at the ASEAN-ROK Commemorative Summit in Jeju Island in June 2010, the ROK government initiated plans for development cooperation, low-carbon green growth, and cultural and human resources exchanges, which are the three main policies of the ROK government`s diplomacy toward ASEAN. In addition, at Hanoi ASEAN-ROK Summit in October 2010, it is noteworthy that the existing ASEAN-ROK comprehensive relations had been elevated to a strategic partnership. At present, ASEAN-ROK relations have been institutionalized, through 24 cooperation mechanism meetings on issues ranging from politics/security, econom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to transportation, the singing of the ASEAN-ROK FTA,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ASEAN-ROK Center. A representative mission to ASEAN in Jakarta is also planned for 2012. Following the Asian financial crisis in 1997, both the ROK and ASEAN have endeavored to expand cooperation at the East Asia level. Furthermore, the establishment of the ASEAN+3 has served as the most institutionalized mechanism in East Asia. The expansion of the East Asia Summit (EAS) by the accessionof the US and Russia has ushered in a new era in the history of the East Asia regional cooperation. At such time, a new vision would be necessary to guide the future of East Asia. In this regard, the ROK government will take the lead in submitting the EAVGII report to the ASEAN+3 Summit in 2012, successive to the 2001 EAVG report.

      • KCI등재

        ASEAN과 중국의 관계변화에 관한 연구

        안득기(Deug Kee Ahn)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08 동서연구 Vol.20 No.2

        SEAN은 뚜렷한 규범과 과정을 근거로 동아시아 지역 공동체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ASEAN 시도는 동북아에 있는 강력한 이웃국가들의 영향력으로 인해 제도화 구축과 발전이 아니라 오히려 자국의 이익에 따라 각국의 파편화를 촉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ASEAN 설립 이후부터 학자들과 정치가들이 만든 이론과 주장을 규명이 이러한 허상을 극복하기 위한 첫 단계로 보고, 냉전 이후 동남아 지역에서 미국 세력의 상대적 약화와 대안 세력으로 중국의 부상, 동아시아의 금융위기 과정에서 ASEAN 의 대응과 중국의 전폭적 지원, 중국과 양자무역을 통한 경제협력의 심화, 안보적인 측면에서 이 지역의 분쟁의 약한 고리였던 스프래틀리 (Spratly Islands)의 주권에 대 한 중국 요구에 ASEAN 대응의 정치적 역량을 사례연구를 통해서 제시하였다. ASEAN 은 정부 간 관행 때문에 역내 국가들끼리 초국가적 관행을 구축하기 보다는 양자간 혹은 3자간 협정을 추구하고 있다. ASEAN이 중국과 ACFTA를 체결한 후주장하고 있는 동남아 경제공동체 혹은 동아시아 경제공동체 건설은 각국이 추구하고 있는 양자 간 무역거래의 실제적 관행과 지역 시장의 분열을 은폐하기 위한 이론적인 면이 강하며, 약소국이 ASEAN방식이라는 규범을 토대로 동아시아 공동체까지 확대, 발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hange of relations of ASEAN and China. Since the Asian financial crisis of 1998, ASEAN(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represents an evolving economic and security community. ASEAN process not only has transformed Southeast Asian’s international relations, but has started to build a shared East Asian regional identity. An uncertain economic revival of ASEAN since 2002 has not been any significant deepening of intra-ASEAN economic cooperation or the growth of a transparent regional market foreign investment, but rather the economic rise of China and the ambivalent role it has come to play in ASEAN and the wider region’s political economy. China’s rapid growth since 1997 is the economic font of ASEAN’s bout of post-financial crisis pan-Asian enthusiasm. By 2003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calculated for $52billion. Its demand for resources, automobiles, industrial parks, and apartments, as well as its emergence as the globe’s low-cost manufacturing base for everything from baseball caps and footwear to computers and televisions, revived growth across Northeast Asia after 2002. This growth, however, has been a mixed blessing, especially for the ASEAN economies. While China’s economic appetite has revived the high-technology economies of Japan, South Korea, and Taiwan, it has simultaneously sucked investment out of the largely technologyless economies of Southeast Asia. The rise of China after 1998, and its attraction for foreign investor, actually affected growth negatively in Southeast Asia, whose low-technology manufacturing industries also depend upon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zero-sum terms, ASEAN’S deteriorating foreign direct investment attractiveness reflects the rapid growth of the Chinese titan.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ASEAN to deepen economic interdependence with China. This is the survival issues for ASEAN.

      • KCI등재

        ASEAN+3 국가 간 고등교육 협력 발전 동향 분석: 다자간 학생 이동 프로그램과 질 보장 이슈를 중심으로

        변기용,이희영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8 글로벌교육연구 Vol.10 No.3

        This study aims to draw policy implic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government, on promoting higher education cooperation among ASEAN+3 countries based on the analysis of recent trend and related issues in this area. To fulfill this goal, this study basically analyzed reports and official documents which the authors had produced and obtained through attending and monitoring 34 international and domestic meetings from 2013 to 2018. The analysis of these documents revealed that higher education cooperation among ASEAN+3 countries has been overall strengthened since the 2010s; for instance, government-initiated ‘multilateral student mobility program’ such as AIMS programme and CAMPUS Asia have been implemented, and ASEAN+3 Higher Education Working Group(WG),’ as an official communication mechanism on quality assurance and student mobility among ASEAN+3 countries, has been established and operated in this region for the first time. As a future policy direction to strengthen the role of Korean government in this area, the study suggested that: (1) to develop more sustainable implementation plan for government-initiated multilateral student mobility program such as CAMPUS Asia, AIMS programme, (2) to strategically restructure the ASEAN+3 Higher Education Cooperation project of the Korean government during the process of setting up the 2nd phase(2018∼2025) of the ASEAN+3 Education development plan, (3) to reshuffle an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to more effectively coordinate fragmented functions of different government divisions and other related agencies regarding higher education cooperation within ASEAN+3 region. 본 연구는 나날이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ASEAN+3 국가 간의 고등교육 협력 동향에 대한 기본적 현황과 문제점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한국 정부와 개별 고등교육기관이 ASEAN+3 역내 국가와의 교류·협력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 필요한 정책적 과제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총 34건의 국제회의 및 국내 회의에 직접 참석하여 모니터링한 경험을 바탕으로 이 과정에서 산출·수집한 공식/비공식 보고서 및 관련 문서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최근 ASEAN+3 국가 간 고등교육 협력이 전반적으로 강화되고 있으며, AIMS 프로그램, CAMPUS Asia 사업과 같은 정부 주도의 ‘다자간 학생교류 프로그램’과 질 보장 및 학점 인정에 대한 공식적 논의 구조인 ‘고등교육 WG 설치·운영’은 최근 이 지역 내 고등교육 협력 활성화 움직임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정책과제로서는 (1) CAMPUS Asia, AIMS 프로그램 등 한국 정부가 참여하는 다자간 학생 교류 프로그램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방안 마련; (2) 2단계 ASEAN+3 교육 분야 실행계획(2018∼2025) 수립을 계기로 한국의 ASEAN+3 고등교육 협력 프로젝트의 전략적 재구조화 추진; (3) ASEAN+3 국가와의 고등교육 국제 교류·협력 추진을 위한 정부내외의 효과적 추진체제 마련 등이 제안되었다.

      • KCI등재

        중국-ASEAN 간 경제통합: FTA 이후의 변화를 중심으로

        나희량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09 국제지역연구 Vol.18 No.1

        This paper uses international real interest parity conditions to analyze the extent of economic integration between China and ASEAN, especially after China-ASEAN Free Trade Agreement in July 2005. The two-way flows between China and ASEAN have been on a rapid increase after the China's joining of WTO in 2000 and especially after China-ASEAN FTA in 2005. The economic integration between China and ASEAN is expected to advance more rapidly and comprehensively. Uncovered interest parity condition and purchasing power parity condition based on real interest parity condition is examined to figure out whether the integration of capital market and, goods market is real in terms of econometric terms. The methodology has an advantage over using the volume of international trade and investment as a measure of economic integration. In particular, parity conditions have a foundation in macroeconomic theory and provide a benchmark of what could be expected if barriers to trade and investment between countries were low. The results of our analysis indicate that China and ASEAN were already highly integrated with respect to goods and services markets before FTA. In contrast, barriers to financial integration remained significant even before FTA. Also, they indicate that both goods and services markets appear more integrated after FTA in some countries. The integration of financial markets seems to have more room for future advancements. The impact of future liberalization mandated through WTO and the China-ASEAN FTA is expected to be pronounced in both markets. 본 논문은 실질이자율 평가설(Real Interest Rate Parity Theorem, RIRP)을 토대로 한 계량분석을 통해 중국과 ASEAN의 경제통합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중국과 ASEAN 간 경제적 교역과 교류는 중국이 WTO에 가입한 2000년 이후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이고 특히 2005년 7월 중국-ASEAN 간 FTA 발효 이후 경제통합 현상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경제통합의 실증적 분석을 위해 실질이자율 평가설에 근거한 유위험이자율 평가식(Uncovered Interest Parity, UIP)과 구매력 평가식(Purchasing Power Parity, PPP)에 대한 계량적 검정 및 두 지역 간 상품 및 자본시장 통합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다. 검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대체로 자본 및 상품시장에서 모두 중국-ASEAN 간 경제통합이 FTA 이후 가속화되고 있고 특히 자본시장에 비해 상품시장의 통합이 상대적으로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A Study of Korea-ASEAN Cosmetics Market

        배홍균(Hongkyun Bae),강신원(Shinwon Kang)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2022 아태연구 Vol.29 No.1

        한‧ASEAN 화장품시장은 수출확대가 높은 잠재력 높은 성장사업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중화권 수출비중이 높은 현 상황하에서 시장다변화 측면에서 매우 유망한 지역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에, ASEAN시장의 성장과 함께 한국 화장품시장과 아세안 각국의 화장품시장의 현황을 살펴보고, 한‧ASEAN 화장품의 품목별, 국가별 분석을 하고자 한다. 즉, 한‧ASEAN 화장품시장에 있어 상호 경쟁력을 살펴보고, 주요 화장품 상품별 무역결합도를 분석해 향후 한‧ASEAN 화장품산업의 현실을 직시한 경쟁력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한국은 ASEAN 화장품산업에 있어 ASEAN의 장점을 인식하고 한국이 ASEAN 화장품시장방안 대책을 통한 미래지향적인 한‧ASEAN 화장품산업으로 발전하고자 한다. 또한, 이 논문은 한-아세안 화장품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우리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과제와 상대적 수출집중도와 지속적인 화장품 시장 성장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Korea-ASEAN cosmetics market is shown the growing business with high potential of export expansion and a very promising area in terms of market diversification under the situation of high proportion of exports to China. Hence, this research will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cosmetics market in Korea, ASEAN countries along with the its market growth and analyze Korea-ASEAN cosmetics by item and by nation. In other words, it will suggest competitive alternative reflecting the future reality of the cosmetics industry by analyzing main cosmetic products’ trade intensity and the competitiveness of Korea-ASEAN cosmetics market. Korea recognizes ASEAN’s merits in the cosmetics industry and is trying to improve into future-oriented Korea·ASEAN cosmetics industry through ASEAN cosmetics market measures. This paper understands the importance of Korea-ASEAN cosmetics and presents policy implications about relative trade intensity and continuous growth in the cosmetics market along with the tasks we need to do.

      • KCI등재

        일본의 대 ASEAN 전략의 변화

        이지영 21세기정치학회 2018 21세기 정치학회보 Vol.28 No.4

        This article analyzes the changes in Japan’s strategy toward ASEAN, focusing on the Fukuda Doctrine and the Abe Doctrine. Japan, which has established bilateral relations with the ASEAN countries since the beginning of the post-war period, has developed ASEAN-level strategies with the foundation of the ASEAN in 1967. In the international order of the Cold War, Japan has diversified cooperation fields and subjects by strengthening economic cooperation with ASEAN as part of 'Comprehensive Security Assurance' through Fukuda Doctrine. The Japanese government continued to increase the supply of large-scale ASEAN ODA, helped Japanese companies enter the ASEAN region, and Japanese companies built the ASEAN regional division of labor and production network centering on the manufacturing and automotive sectors. Japan's comprehensive security strategy with ODA as a policy tool has led to Japan's high economic growth and ASEAN economic development, and strengthened Japan's influence in East Asia. In the 1990s, despite the Asian financial crisis and the Japanese economic crisis, Japan did not shrink the ASEAN ODA grant, and Japanese companies have been reorganizing the division of labor and production networks with ASEAN, constantly dispersing the risks and pioneering new investment. This Japan's ASEAN strategy begins to change externally in the face of the need for a new growth engine to escape from the ‘lost 20 year’ after the collapse of the bubble economy internally. In 2013, Prime Minister Abe announced the switch to the new ASEAN strategy by announcing the replacement of the Fukuda Doctrine with the Abe Doctrine. Since the Asian financial crisis, ASEAN has achieved economic integration through the abolition of tariffs in 2015, beyond regional economic cooperation. Now, ASEAN is turning its attention to the integration of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sectors as well as economic sectors, shifting the focus of policy from tariff elimination to strengthening linkages and correcting gaps in ASEAN. In response to these external and internal changes, Japan is pursuing the Abe Doctrine with the aim of realizing national interests and revitalizing the economy. Abe Doctrine emphasizes the free and open ocean as a 'public good', while focusing on expanding the economic linkage network with ASEAN by linking the deepening of ASEAN integration with the economic. Japan's change in the strategy of the ASEAN is a change from the Fukuda Doctrine to the Abe doctrine, followed by 'active peace diplomacy' in the 'peace diplomacy', the bilateral development cooperation from the unilateral donation of ODA, It is a shift from building and reorganization to enhancing ASEAN linkages on both hard and soft sides.

      • KCI등재

        ASEAN 시장의 강원도 수출경쟁력 분석

        박건영 한국관세학회 2020 관세학회지 Vol.21 No.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SEAN export status and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 Gangwon-do based on the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Index(RCA Index), and to present the policy tasks for entering the ASEAN market and expanding exports. Gangwon-do's exports to ASEAN grew at a faster rate than exports to countries other than ASEAN or Korea's exports to ASEAN. As result, the share of ASEAN market in total exports of Gangwon-do continues to increase. It is found to be competitive in food and beverage, medical equipment, cosmetics, automobile parts, and mineral products, which are the core industries of Gangwon-do. However, although Gangwon-do's export to ASEAN is faster than Korea's export to ASEAN, the export share of ASEAN is lower than that of Korea and the dependence on certain items is very high.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policies to increase exports and competitiveness of Gangwon-do in the ASEAN market; Establishing customized export expansion strategies by market considering the diversity of ASEAN member countries, expanding Vietnam and Singapore market, preoccupying Cambodia, Myanmar, Laos market, expanding competitive advantage items by enhancing industrial competitiveness in Gangwon-do region, training experts of ASEAN region, Signing an MOU for mutual cooperation between Gangwon-do and ASEAN, and expanding or establishing a support organization. 본 연구는 강원도의 전반적인 對ASEAN 수출 현황과 현시비교우위지수(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Index)를 이용한 수출경쟁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ASEAN 시장 진출 및 수출확대를 위한 정책적 과제 제시를 주요 목적으로 하였다. ASEAN에 대한 강원도의 수출은 ASEAN 이외의 다른 국가에 대한 수출이나 한국 전체의 수출보다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증가하여 강원도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강원도의 주력 산업이라 할 수 있는 식음료, 의료기기, 화장품, 자동차 부품, 광물제품 등에서 경쟁력을 갖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강원도의 對ASEAN 수출이 한국의 對ASEAN 수출에 비하여 증가 속도는빠르지만 여전히 ASEAN에 대한 수출 비중이 한국 전체의 비중보다 낮고 특정 품목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의 ASEAN 시장 수출 확대와 경쟁력 향상을 위해서ASEAN 회원국의 다양성을 감안한 시장별 맞춤 수출확대 전략의 수립, 베트남과 싱가포르 시장 확대와캄보디아, 미얀마, 라오스 시장 선점, 강원도 지역 사업 경쟁력 향상을 통한 경쟁우위 품목 확대, ASEAN 지역 전문가 양성, 강원도와 ASEAN의 상호협력을 위한 MOU 체결, ASEAN 수출 지원 조직의 확대 또는 신설 등을 주요 정책 과제로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