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글로벌교육 연구전통의 이해와 변환

        김용신(Kim, Yong Sin)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09 글로벌교육연구 Vol.1 No.1

        글로벌 다문화 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교육적 시도를 총칭한 것이 글로벌교육이다. 기존의 글로벌교육 연구전통으로 여러 장르가 존재하지만 국제이해교육과 다문화교육이라는 두 가지 패러다임으로 환원되어 담론이 형성되고 있다. 글로벌 다문화화는 섬세한 과정이다. 현상의 본질이 개인으로부터 국제기구에 이르기까지의 다 주체성, 종족문화로부터 글로벌 문화까지의 다차원성, 여러 수준에서 겹쳐 나타나는 부정으로부터 긍정까지의 다면성 등으로 짜여 있기 때문이다. 가장 중요한 연구전통 성립요건으로 연구대상현상이 지닌 본질을 보건대 국제이해교육이나 다문화교육은 한국 사회의 글로벌 다문화 현상을 제대로 조망하고 분석하며 해석하기에는 난망한 것이 사실이다. 이 글은 한국 사회의 글로벌 다문화화에 따른 현재의 문제점들과 예상되는 여러 가지 국면의 본질을 파악하여 협진 패러다임에 토대를 둔 형평주의를 기본 논리로 하는 글로벌교육을 이론체계로 도입하고, 연구전통의 변환 차원에서 교육적 대안을 제시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다. Global education can be defined as a sum of perspectives and strategies for understanding on global multicultural phenomena. Korean global education has been composed of many research traditions. Among these paradigms,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nd multicultural education is regarded main discourses. Global multiculturalization is made from sensitive and complex processes because its constructs include multi-agents that have individuals to international organizations, multi-dimensions have ethnic to global cultures, and multi-spheres have negative to positive effects. It is pivotal to examine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nd multicultural education in view of initial conditions of research tradition. These two traditions are not sufficient and necessary to reflect, analyze, and structuralize contemporary global multicultural phenomena.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and understand global education for new theory system and transformative research tradition bases on co-evolution paradigm related with global justice and egalitarianism.

      • KCI등재

        자기 연구(self study)를 통한 초등 세계사 교육 실현 방안 탐색

        조의호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22 글로벌교육연구 Vol.14 No.1

        This study started with the awareness of the need for world history education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in response to the needs of the global society. However the former studies has been limited to a theoretical research on elementary world history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iscuss field-based implications through teacher’s self-study to explore ways to realize world history education in the actual elementary school field. The results of the researcher's implementation and reflection of world history education for 5th graders with critical colleagues for about a year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er efficiently selected and organized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curriculum, textbooks, students' level and interest, and teacher's PCK. Second, the researcher used an educational method optimized for the situation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history classes while conducting teacher-centered explanatory and student-centered inquiry classes at the same time. Third, the researcher became a learning teacher to overcome realistic barriers such as lack of knowledge of world history content, lack of curriculum restructuring ability, and limited time, and tried to fill the gap between ideal and reality in a modest attitude.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related to the realization plan of elementary world history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field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history centering on the theme. Second, integrated lessons in the field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centered on global problems are needed.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educational materials that can be used in elementary world history education and support teacher training. 이 연구는 글로벌 사회의 요구에 대응하여 초등 사회과 교육에서도 세계사 교육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그동안 초등 세계사교육에 관한 선험적인 이론적 연구만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보고, 실제 초등학교현장에서 세계사 교육의 실현 방안을 탐색하고자, 교사의 자기 연구를 통한 현장기반 함의를 논의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자가 약 1년간 비판적 동료들과 함께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세계사 교육을 실행하고 성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는 초중등 교육과정과 교과서, 학생의 수준과 흥미, 교사의 교수내용지식을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교육 내용을 선정하고 구성하였다. 둘째, 연구자는 교사 중심 설명식과 학생 중심 탐구식 수업을 병행하면서 초등 역사 수업의특성을 고려하며 상황에 최적화된 교육 방법을 활용하였다. 셋째, 연구자는 세계사 내용 지식과 교육과정 재구성력 부족, 한정된 시간 등과 같은 현실적 장벽을극복하기 위해 학습하는 교사가 되어 겸손한 자세로 이상과 현실의 간극을 메우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를 토대로 초등 세계사 교육을 실현 방안과 관련된 시사점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사회과 역사 영역을 주제 중심으로 편성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지구촌 문제를 중심으로 한 초등 사회과 영역 통합형 수업이 필요하다. 셋째, 초등 세계사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 자료를 개발하고, 교원 연수를 지원해야 한다.

      • KCI등재

        일본 글로벌교육정책의 논리와 실천 동향

        차보은(Cha Bo Eun)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6 글로벌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일본의 글로벌교육정책을 살펴보고 글로벌시민교육과의 연관 관계를 찾아 일본에서의 글로벌시민교육의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일본의 정부 정책 중 교육 정책 및 문부과학성의 구체적인 교육 시책들에 관한 문헌을 고찰하고 학교 현장에서 글로벌시민교육 실현과 상관관계가 높은 정책들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1974년 유네스코 권고에 따라 일본문부과학성은 국제이해교육 및 지속가능교육에 꾸준히 관심 및 지원을 해왔으며 1998년에는 교육과정 속에 국제이해교육이 선택적 종학학습으로 신설되었다. 또한 ESD(지속가능교육)을 중심으로 지난 10년간 NGO, 대학기관, 연구 기관들과 연계를 통하여 교육의 심화를 위한 정부지원이 이루어져 왔다. 최근에는 ‘수퍼 글로벌’이라는 이름으로 정부주도하에 다양한 글로벌교육정책들을 밀도 있게 전개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부 시책들이 학교 현장에서 기존의 국제이해교육, 지속가능교육 등과 다면적 관계를 맺으며 확산되어가고 있다. 그 중 학교 현장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수퍼 글로벌 하이스쿨, 수퍼 글로벌 유니버시티, IB 학교 확대, 영어 교육들은 일본 정부의 글로벌교육의 방향을 목표하고 있으면서도 학교장의 경영관, 교사의 역량, 학교와 지역사회와의 관계 등 다양한 요인으로 글로벌시민교육 요소를 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trend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Japan by examine the global educational policy in Japan. Analyze the specific educational initiatives in the education policie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Japanese government's policies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policies and school practice. According to the 1974 UNESCO Recommendation, Ministry of Education was been a steady concern and support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nd sustainable education. In 1998,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EIU) was into regular school curriculum as an optional learning subject. In addition, government has completely supported fo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links with ESD NGOs and academic institutions over the last decade. In recent years, variety of government-led global education policies are reinforced under the name of ‘Super Global’, establishing relationship with existing global educations, such as EIU and ESD. Even Super Global High School, Super Global University, IB schools, and expanding English education are closely related with neo-liberal policies of government, we could see the implici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re. Since, how teachers practic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nnection with community, etc are significant element for implementation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 KCI등재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글로벌교육의 전개

        박성인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23 글로벌교육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글로벌 교육의 전개를 살펴보았다. 해방 이후 도입된 사회과 교육과정부터 2022 개정 교육과정까지 각 시기별로 반영된 글로벌교육의 내용과 특징을 분석하여 국가 교육과정에 반영된 글로벌교육의 변화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국제이해를 위한 글로벌교육의 도입 단계, 한국적 세계화를 위한 글로벌교육의 성립 단계, 글로벌 시민교육으로의 도약 단계, 글로벌 교육 의제와 글로벌 역량 개념이 반영된 최신의 교육과정까지 그 목표와 내용을 상세히 분석하여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글로벌교육의 관점이 어떻게 반영되고 유지, 변형, 발전해왔는지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학교 글로벌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 of global education in South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It analyzed the curriculum changes from the post-liberation era to 2022, focusing on each period to understand the transformations in global education reflect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The research investigated the stages of introducing global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its establishment for nationalistic globalization, the leap towards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the inclusion of global education in the latest curriculum reflecting the concept of global competence. Through this analysis, I aimed to review how the perspective of global education has been reflected, maintained, transformed, and developed in South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Based on the findings, I suggested the direction of global education in schools in the future.

      • KCI등재

        영토교육 연구에서의 동향 분석

        조인성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23 글로벌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1996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에서 행해진 영토교육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영토교육 연구의 방향과 과제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등재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중 ‘영토교육’을 핵심 주제로 다룬 선행 연구들을 검색하고, 최종 137편의 논문이 분석할 연구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집한 연구물을 국토교육, 글로벌 영토교육, 글로컬 영토교육, 독도교육 등 네 가지의 연구 유형별로 범주화하고, 이에 따른 영토교육 연구의 동향을 탐색하였다. 끝으로, 향후 영토교육 연구를 위한 학술적 방향과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하였다. 첫째, 영토교육에 대한 연구의 초점을 독도교육에서 다른 연구 유형인 국토교육, 글로벌 영토교육, 글로컬 영토교육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둘째, 영토교육에서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대상으로 분석하거나 다른 나라와 비교하는 수준에 머물러 학습자를 소외시키기보다는 교육현장이나 수업의 주요 주체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하는 연구가 시도될 필요가 있다. 셋째, 영토교육 관련 연구의 결과 및 제언을 반영하고 점검하는 후속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넷째, 글로컬 영토교육에 대한 연구의 비중이 낮기 때문에 이러한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rends in territory education conducted in South Korea from 1996 to 2022. In this study, the collected research works were categorized into the four research types of national land education, global territory education, glocal territory education and Dokdo Island education, and then trends in studies on territory education were explored. Finally, this study proposes academic directions and tasks for future studies on territory education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switch the focus of studies on territory education from Dokdo Island education to the other research types of national land education, global territory education, and glocal territory education. Second, in territory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attempt studies revolving around 'learners,' major subjects in education field or classes, rather than remaining at the level of the analysis of curricula and textbooks or comparison with other countries and thus alienating learners. Third, it is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studies that reflect and inspect the results and suggestions of studies related to territory education. Fourth, given the low percentage of studies on global territory education, it is judged that these studies will have to be vitalized.

      • KCI등재

        일본 글로벌교육의 전개과정에 나타난 기본내용

        박성인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0 글로벌교육연구 Vol.2 No.2

        글로벌 상호작용의 범위와 심도, 속도가 증가하고 지구적 연결이 강화되면서 개별 국가로서 해결할 수 없는 각종 글로벌이슈들이 충돌하며 글로벌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글로벌교육은 지구 사회 전체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인식하여 인류의 문화와 인간생존을 위협하는 글로벌이슈를 상호관련성 속에서 이해하고 해결할 수 있는 지구 시민을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일본은 유네스코의 이념을 수용하여 일찍부터 국제이해교육을 발전시켜왔다. 또한 자국 중심 국제이해교육의 한계를 뛰어넘어 글로벌관점을 보완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본 연구는 일본의 글로벌교육 전개과정의 특징을 살펴보고 일본 글로벌교육의 기본 내용을 추출하여 시사점을 얻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글로벌교육을 1970년대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성립기, 전환기, 발전기의 세 단계로 구분하여 각 시가의 전개과정에서 나타나는 글로벌교육의 특징적인 내용을 추출하였다. 일본의 글로벌교육을 위한 노력은 제도적 측면에서부터 사회 구성원 개개인의 내적인 인식의 전환에 이르기까지 다방면으로 지속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졌다. 이제는 경제성장 및 국력신장에 역점을 둔 교육국제화가 아니라 평화의 문화가 내포되어 있는 함께 더불어 사는 세상을 만들기 위한 글로벌교육으로 한걸음씩 다가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정부 차원, 학교 차원, 교사 차원의 글로벌교육에 대한 연구와 실천 노력이 계속되어 학습자에게 글로벌시민 의식과 자질이 깊이 뿌리내리게 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As today's world becomes more surrounded by magnifying scope, intensity, and speed of a global interaction and by intensified global networking, each individual nation is confronting with plenty of global issues that cannot be handled by a single nation. Recognizing a whole global society as a single system, global education is for preparing global citizen that understands and resolves, based of mutual interactivity, those global issues and problems associated with threats to our cultures and survival. Having upheld the international relations and accepted the UNESCO's philosophy, Japan has been developing an internat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Moreover many researches on the global education has been conducted in order to make up for the weak points in nation-oriented internat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how Japan had carried out its global education and derive the detailed contents of the global education in Japan. The global education system in Japan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initial - turnaround - development, from 1970's up to date so as to review each stage's growth and derive common contents, stressed in every stage, of the global education in Japan. Three challenges for the global education in Japan are as follows. First, there should be global educational programs to be initiated by public education themselves. Each school should make its most efforts to develop and execute the objectives, contents and programs of the global education so as to practice the intrinsic features of the global education on the school. Second, Japan should explore and educational policy to improve multi-dimensional thinking rather than one-dimensional knowledge. With that being said, there should more researches on educational methodologies th enhance the multi-dimensional thinking that could solve out a global-level problem. Third, there should be continuous efforts to integrate self-oriented and global perspectives.

      • KCI등재

        공간적 사고를 플랫폼으로 한 융합교육 방안에 대한 실행 연구:

        한희경(Han, Hee Kyong)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7 글로벌교육연구 Vol.9 No.1

        국내외적으로 융합적 소양과 역량이 21세기가 요청하는 핵심 역량의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영어권에서는 STEM 분야가, 우리나라에서는 STEAM 분야가 교육학계의 새로운 영역으로 개척되고 있고, 우리나라의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창의・융합적 인재를 중요한 교육적 인간상으로 내세우고 있다. 이와 같이 융합교육을향한 학문적, 사회적 관심이 최근 크게 확산되고 있는 것에 반해, 교육현장에서 관련개념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 정도는 미흡한 편이고 융합교육에 대한 학술적 연구는 대체로 담론적 차원에 머물고 있으며 구체적 실천 방안에 대한 탐색은 소수에 불과한 형편이다. 특히 융합교육의 현장실천을 위해 시급하면서도 아직 본격적인 논의가 이루어지지않은 연구 주제가 있는데, 바로 융합적 역량을 조장하고 지원하기 위한 기반 환경, 즉 융합 플랫폼의 구축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공간적 사고를 플랫폼으로 한 융합 교육을 구상하고 이를 교육현장에 적용하였다. 선행 연구들에 근거하여 공간적 사고가 지식의 영역에 제한받지 않는 인간의 보편적 사고 유형의 하나라는 점에서 융합 플랫폼으로서 타당하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공간적 사고의 3대 요소와 관련 개념을고찰하였고, 공간적 사고를 플랫폼으로 한 수업을 설계 및 적용하였으며, 실행연구의방법으로 현장실천에 대한 관찰평가를 토대로 융합교육의 실제와 향후 과제를 제안하였다. Literacy and competence for Convergence are becoming one of the core competencies required by the 21st century. Reflecting this situation, the STEM field in the English-speaking countries and the STEAM field in Korea have been pioneered as a new field of educational division, and the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 was presented in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of Korea. In contrast to the recent proliferation of academic and social interest in convergence education, teachers understanding of related concepts is insufficient, academic researches on convergence education are largely discursive, and there is only a small number of searches for concrete action plans. In particular, there is an urgent but unexplored research topic for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that is the establishment of a convergence platform to support the convergence competencies. This study proposes a way of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spatial thinking and applies in practice.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it is judged to be valid as a convergence platform in that spatial thinking is one of human universal thinking types which is not limited to any domain of knowledges. This study examines three major elements of spatial thinking and related concepts, lays out the lesson plan based on spatial thinking as a platform, and applies in practice. On the base of observation and evaluation of practice in viewpoint of an action research, the author proposes actual and future tasks of convergence education.

      • KCI등재

        해외 교육봉사 프로그램 참여 예비교사의 다문화교육 경험과 인식

        박인심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9 글로벌교육연구 Vol.1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of pre-servi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an overseas education service program.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program participants in S Women's University, and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using an repeated comparative analysis method by collecting activity plans, reflection journals, and evaluation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the motivation of becoming educators, experiencing the classroom, challenging for growth, and living a worthy life, experiencing real lessons,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double training, and confidence as a teacher. Through the activities, they recognized the role of teachers, differences and the meanings of Korean teachers and classes, and perceived the overall program as various experiences, reflection opportunities, special experiences in the development of global skills, and turning points for change. This result concluded that there are possibilities of overseas education service program as a multicultural education plan, and suggested implications for organizing and operating this program in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um. 이 연구는 해외 교육봉사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교사의 다문화교육 경험과 그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여 다문화교육 방안으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S여대 교직과정의 해외 교육봉사 프로그램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활동계획서, 성찰일지, 평가자료 등을 면담 자료와 함께 반복적 비교분석방법으로 분석하는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교육자 자격 갖추기, 수업 경험하기, 성장을 위해 도전하기, 가치로운 삶 살기 등의 동기에서 참여하고, 진짜 수업해보기, 협력적 문제해결, 두 배로 훈련하기, 교사로서의 자신감을 경험했으며, 활동을 통해 교사역할, 차이와 한국인 선생님, 거대한 도전의 프로젝트로서 수업을 인식하고, 본 프로그램을 다양한 경험과 성찰 기회, 글로벌 역량 함양의 특별경험, 변화의 터닝포인트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다문화교육 방안으로서 해외 교육봉사 프로그램의 가능성을 가진다고 결론 내리고, 다문화교육 교육과정에 이 프로그램을 편성·운영하는 것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국내 지속가능발전교육(ESD) 연구동향

        조의호(Jo, Eui Ho)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2 글로벌교육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ESD 연구 동향을 추적할 수 있는 기준을 소개하고, 최근 10여 년간 국내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연구 논문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ESD 연구를 되돌아보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ESD 연구 동향을 추적할 수 있는 분석 기준은 UNESCO에서 제시한 연구 주제 범위와 연구 대상으로서 학교급별 분포이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ESD 관련 연구는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교육과정, 교수학습방법을 주제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그러나 ESD의 정립과 확산을 위해서는 ESD의 개념 및 비판적 담론 형성과 평생교육적 차원에서 직업교육과 시민교육으로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to introduce a standard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in ESD. Analyzing the trends of ESD researches in Korea for about 10 years, this study is focused on reviewing the track of ESD researches and getting a certain direction for other ESD researches in the future. The standard to analyze ESD researches is a range of themes suggested by UNESCO and grades of school as a research object. The result is as follows. Researches about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eaching & learning methods are the most frequent subjects in ESD researches. But researches about theoretical underpinnings and critical discourse of ESD and vocational & civil education as lifelong education are needed to be more active to establish the position of ESD and to spread ESD movement.

      • KCI등재

        문제해결 활동에 기초한 지속가능발전교육 역량 신장

        현지영(Hyun, Ji Young)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7 글로벌교육연구 Vol.9 No.3

        지속가능발전은 환경 보호와 사회의 안정, 경제 성장의 조화가 이뤄져야 한다. 하지만 현재 초등학교 5학년 1학기 교과서에서의 지속가능발전의 필요성과 사례는 환경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사회 문제에 초점을 두는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젠트리피케이션과 투어리스티피케이션 현상을 소재로 한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실행연구법이며, 지속가능발전교육 핵심 역량 평가지를 초등용으로 수정하여 초등학교 5학년 21명의 학생들에게 설문을 실시하여 총 9명의 최종 연구 대상을 선정하였다. 연구프로그램은 총 3차 실행으로 계획하였고 창의적 문제해결모형과 현장 학습이 함께 적용되는 수업 흐름으로 구성하였다. 매 실행에서의 수업 과정과 학생들의 반응, 상호작용들은 녹화되어 실행 연구 및 결과 분석에 사용되었다. 프로그램 적용 결과 본 프로그램은 연구 대상의 지속가능발전교육 핵심 역량 신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학생들의 소감문과 인터뷰 내용을 통해선 학생들이 직접 문제점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비판적사고력과 문제해결력, 정보처리 능력, 자아 성찰적 태도, 타자 지향적 태도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젠트리피케이션 및 투어리스티피케이션 관련 사회 문제 해결형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 역량을 신장시킨 사례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Sustainable development should be harmonized with environmental protection, social stability and economic growth. However, the needs and examples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troduced to students are focused on environmental issues. Therefore, this researcher was interested in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focusing on social problems, and developed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phenomenon of gentrification and touristification that are emerging as global issues. The research program was planned as a total three run, and consisted of a class flow in which creative problem solving model and field learning were applied together. The teaching process and students reactions in each action were recorded and used for performance studies and results analysis. As a result of applying the program over three action research, the program was proved to be effective in increasing the core capacity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As a result of the post-test on the evaluation sites such as the pre-test, the scores of the core competency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were increased in all 9 students. The students writings and interviews showed that students were able to improve critical thinking skills, problem-solving ability,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y, self-reflective attitude, and others-care attitudes in the process of exploring problem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a case of developing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program by solving social problems related to gentrification and touristif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