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변경의 정치경제학: 중국 동북지역 개발과 환동해권 국제협력 구상

        원동욱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5 아태연구 Vol.22 No.2

        This paper aims to suggest new role and tasks of Busan as a logistics hub in the East Sea Rim region and the Northeast Asia, focusing not only on China’s Chang-Ji-Tu Project and its cross-border cooperation which is ongoing in the Tumen region as a border of Northeast Asia, but also on the progress and perspective for international logistics cooperation in the East Sea Rim. The eastern coast area of South and North Korea is still underdeveloped except some areas. Although China’s Northeastern provinces, the Russian Far East and Japan’s western coast area have each new development plan, they also represent a ‘border’ which is underdeveloped in each country. However, according as China has driven forward the Northeast Development Strategy since the early 2000s, the Tumen region visualized the appearance of open border and cross-border economic zone through various policy coordinations among its surrounding nations. The cooperation related logistic infrastructure and network construction is a core element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the East Sea Rim region and has made breakthrough. In spite of positive perspectives on the development of the East Sea Rim, this region is exposed to a question of H/W and S/W in logistic side, apart from many problems such as escalating tensions between the two Koreas, mutual competition and control between China and Russia, Japan’s negative attitude on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so on. Busan of a competitive city in Korea can give possibilities to international logistic cooperation as a logistic hub in the East Sea Rim. Therefore, Busan needs to develop international industrial complex for creating the quantity of goods transported, to expand logistic infrastructure and network, and to coordinate the regional local government conferences and establish the cooperative network among various actors such as local government, business interest, social groups in the East Sea Rim region. 본 논문은 환동해권 핵심 거점지역의 하나이자 동북아의 ‘변경’인 두만강유역에서 추진되고 있는 중국의 ‘창지투 개발계획’과 초국경협력, 그리고 이에 따른 환동해권 국제물류환경의 변화와 향후 전망에 대한 논의에 초점을 두면서도, 아울러 환동해권 나아가 동북아지역의 물류허브로서 부산의 새로운 역할 및 과제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환동해권에 속하는 남북한의 동해안지역은 일부지역을 제외하고는 아직까지도 상대적으로 미발달지역이며, 중국의 동북3성, 러시아의 극동연해주, 일본의 서해안지역은 각기 새로운 발전 구상에 따라 개발프로젝트가 가동되고 있으나, 여전히 모두 자국에서 상대적으로 발달이 지연되거나 일종의 ‘변경’으로서 저개발지역에 해당된다. 하지만 2000년대 초반 이후 ‘동북진흥전략’이라는 중국의 국가 차원의 새로운 전략구도의 실행에 따라 주변국관계의 조율과 협력의 과정을 통해 두만강유역은 점차 개방적 변경이자 새로운 성장의 거점지역으로 통합된 초국경 경제지대의 출현을 가시화하고 있다. 그 가운데 물류인프라 및 네트워크 구축과 관련한 협력은 환동해권 국제협력의 핵심적 영역으로서 두만강유역을 중심으로 상당한 발전을 이루어 왔다. 환동해권에 대한 긍정적 전망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은 남북한 간 긴장고조와 대치, 중국과 러시아의 상호 간 경쟁과 견제, 국제적 협력에 대한 일본의 상대적 소극성이라는 국가전략적 변수를 제외하고라도, 물류적 측면의 여러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 문제를 노정하고 있다. 또한 환동해권 지역 내 경쟁력을 갖춘 도시의 참여가 부재한 상황에서 중심과 변경의 상호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부산은 두만강유역의 초국경협력의 진전을 적극 활용하여 지경학적 우위에 입각한 국제물류협력을 통해 남북 물류, 환동해권 물류의 허브로서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나갈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가능성을 현실화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부산은 물동량의 창출이 가능한 산업단지의 조성, 물류 인프라와 네트워크의 정비 및 확충, 다자간 협력 틀로서의 환동해권 지방정부회의의 조율 및 하부협력 네트워크 구축 등의 역할과 과제가 요구된다.

      • KCI등재

        신흥 강대국 중국의 국제질서 인식과 실천

        유희복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7 아태연구 Vol.24 No.3

        Since the opening-up and reform in 1978, China has emerged as a rising power based on its steady economic growth. As a result, Western developed countries, mainly the United States, that designed and established the existing international order, have raised concerns that China, as a rising power, will seek to change the existing international order. China argues that it has grown within the existing international order and therefore has no reason to revise it. As a result, the attention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been focused on China’s state orientation, whether it is a status quo power or a revisionist power, and many related research results have been produced. However, there is no consensus on China’s state orientation, and it seems that there are more views on China, though discontent with the established order, as a status quo power, than as a revisionist power. Besides, there are claims that, rather than concentrating on defining China’s state orientation, there needs to be more comprehensive and future-oriented researches related to the emergence of China, including the desirable international order,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international order and the status and role of China in it, China’s vision of international order, etc. This paper focuses on the fact that China has consistently raised complaints and required reforms to the existing international institutions and rules, despite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and China’s own claim that China is a status quo power. Accordingly, this paper examines the content of the complaints and reforms that China has raised as a rising power and its related actions based on its multiple identities such as socialist country and Asian country, and argues that such actions are intended to supplement and reform rather than to make a full-scale revision, being pursued as part of China’s great power strategy. 1978년 개혁개방 이후 중국은 꾸준한 경제성장을 기초로 신흥 강대국으로 부상했다. 이에 따라 기존 국제질서의 설계자이자 수립자인 미국 등 서구 선진국들은 신흥 강대국으로 부상한 중국이 기존의 국제질서에 대해 변화를 추구할 것이라는 우려를 제기해 왔다. 중국은 이에 대해 자신은 기존의 국제질서 내에서 성장했으며 따라서 이를 수정할 이유가 없다고 주장한다. 이에 따라 중국이 현상유지세력인가 수정세력인가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간의 연구는 중국을 불만은 있지만 현상유지세력에 가깝다고 보는 시각이 다수인 것으로 보이나, 중국의 국가성향에 대한 의견은 일치하지 않는다. 한편, 중국의 부상과 그에 따른 국제질서의 변화와 관련하여, 중국의 국가성향을 규정하는 데 집중하기 보다는 향후의 바람직한 국제질서, 기존 국제질서의 문제점과 중국의 지위와 역할, 중국이 주장하는 국제질서 등 보다 포괄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이러한 차원에서 본 논문은 중국이 기존의 국제제도와 규칙에 대해 꾸준히 불만과 수정의 요구를 제기해 왔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중국의 국가성향을 규정하기보다 중국이 구상하는 국제질서의 모습이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비중을 둔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신흥 강대국으로 부상한 중국이 증강된 국력과 자신의 정체성을 바탕으로 기존의 국제제도와 규칙에 대해 제기해 온 불만과 개혁의 내용 및 관련 행위를 검토한 후, 중국은 국제경제신질서의 구축과 신안보관을 통해 향후 국제질서에 대한 보완과 개혁을 추진하려 하며, 이것이 중국의 강대국화 전략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한국 지방자치단체의 지역 고유성과 지역 대표자의 의정활동

        박영환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9 아태연구 Vol.26 No.3

        This article explores local characteristics of municipality that can have an influence on legislative behaviors of members of the Provincial Assembly in Korea. Studies conducted in the United States have suggested that size, scope and bias of municipalities, despite the impact of national politics, ar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outcome of local elections in lower-level democracy. Based on the result, the paper hypothesizes that legislative behaviors of local representatives are likely to be constrained by the local characteristics in Korea. Using a survey of all members of the 10th Provincial Assembly in Gyeongsangbuk-Do, the paper examines this hypothesis. The empirical findings show that size, scope and bias of municipalities in Gyeongsangbuk-Do have a close association with legislative behaviors of members of the Assembly. In particular, low levels of population size, autonomous power and bias enable local representatives to represent residents and increase legislative productivity. As a result, the paper rethinks the way we evaluate that the local politics has been under the control of national politics in that local representatives respond to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municipalities in Korea. 이 논문은 한국의 지방자치단체의 지역 고유성이 지방의원의 의정활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미국의 연구는 중앙정치의 영향력하에서도 지방자치단체의 규모, 권력범위, 지역적 편향이 지방선거의 결과에 유의미한 변수로 작용을 한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본 논문은 한국의 지방정치에서 선출된 지역 대표자들의 의정활동이 이런 지역적 고유성에 제약을 받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운다. 제10대 경상북도의회 의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조사를 활용하여 이 가설을 검증한다. 분석결과, 경상북도 지방자치단체의 규모, 권력범위, 지역별 편향은 지역을 대표하는 의원들의 의정활동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구규모가 작고, 자치권의 정도가 낮고, 편향이 적은 지역에서 지방의원은 주민을 대표하고, 높은 입법생산성을 보였다. 이는 대의민주주의의 하부적 수준에서 지역적 고유성에 반응하여 대의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의 지방정치가 중앙정치에 예속화되어 있다는 기존의 평가를 다시 생각해 보게 한다.

      • KCI등재

        러시아 극동지역 수출 주도적 발전 전략에 대한 SWOT 분석

        이리나 코르군,김민수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3 아태연구 Vol.20 No.1

        This paper highlights the situation with Far East development which rose to the most important issue on the Russian government agenda. The paper is structured according to the logic of SWOT analysis. Russian Far East represents a very big territory where economic activity is unevenly dispersed and cannot be balanced in principal. Regions vary in type of resources they have, climatic conditions and geographical positions. Unfortunately, transport infrastructure does not facilitate trade not to mention development. It is needless to say that state of industry in the Far East has deteriorated during transition years. Despite all the revenues from export of resources all the regions rely heavily on state subsidies for their everyday life. Lack of funds, on one hand, restricts freedom of regional governments to undertake development programs and on the other hand induces unproductive competition between the regions for state financing. There are numerous threat for development in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 as well. Asian region where Russian Far East is located is highly competitive. It is true both for manufacturers as well as for resource producers. Although Russia does possess a lot of resources, not everybody is ready to buy them. Those export relations that they have are heavily concentrated on neighboring China and Korea, to a lesser degree on Japan. In order to overcome existing obstacl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such a program that would allow some flexibility and divergence from the national development model; some room for domestic consumption. Also integration into Asia region should proceed not only in the economic sphere but also in culture, science. As an alternative, government should adjust plans for lesser number of population concentrating on industries with higher value-added. It is also important that these policies would not be abandoned after some time as it was the case many times before. 본 논문에서는 러시아 국가 아젠다 가운데 가장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극동지역 발전과 관련된 상황을 SWOT 분석 방법을 통해 살펴본다. 러시아 극동지역 발전을 위한 모든 프로그램들은 대개 수출 주도적 발전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수출이 제조업 발전을 촉진시키고 경제 성장에 도움이 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지만, 적어도 현재와 같은 방법으로 추진되는 러시아 극동지역 발전 시나리오는 최적의 것이 아니라고 본다. 현재와 같은 상황이 지속되면 극동지역은 보다 더 자원 의존적인 지역이 되어 에너지 자원 수출에 편중된 지역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러시아 극동지역은 면적이 대단히 넓은데, 역내 지방들의 경제 활동이 고르게 발전되어 있지 않아 지역 전체적으로 균형적인 발전을 이루기가 어렵다. 극동지역 내 지방들은 보유 자원의 유형, 기후 조건 그리고 지리적 위치 면에서 서로 커다란 차이가 있다. 일부 지방들은 해외 수출에 좋은 지리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지만, 다른 일부 지방들은 그렇지 못하다. 또한 교통인프라도 무역을 활성화시켜 지역경제를 발전시키기에는 불충분한 상황이다. 게다가 포스트소비에트 시기 정부의 제조업 지원 중단으로 극동지역의 제조업은 많이 쇠퇴한 상태이다. 그리고 자원 수출에 따른 수익에도 불구하고 극동지역의 모든 지방들이 연방정부 재정 지원 의존도가 극히 높은 상황이다. 극동지역 지방 정부들은 재정이 부족하여 한편으로는 독자적인 발전 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는데 커다란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연방정부의 재정지원을 더 많이 받기 위해 서로 비생산적인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런 내부적인 제약 요인 이외에 국제 환경에서도 극동지역 발전에 제약이 되는 요인들이 있다. 러시아 극동지역이 위치하고 있는 아시아 지역은 국가 간 경쟁이 치열한 곳이다. 제조업 분야뿐 아니라 자원 수출 분야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러시아가 자원을 많이 보유하고 있지만, 아시아의 모든 국가들이 러시아로부터 자원을 구매하려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게다가 극동지역의 수출은 이웃한 중국, 한국 그리고 일본에 심하게 편중되어 있다. 현존하는 여러 가지 장애를 극복하고 수출 주도적인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현행 발전 모델보다 좀 더 유연하고 다양화된 프로그램, 내수를 고려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그리고 극동지역의 아시아 지역으로의 통합은 경제 분야에서 뿐 아니라 문화와 과학 분야에서도 추진되어야 한다. 또한 극동지역의 감소되는 인구 상황을 고려하여 고부가가치 산업 발전에 집중하는 것과 서비스 산업을 발전시키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다. 또한 수립한 정책을 과거에 그랬던 것처럼 중도에 폐기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

      • KCI등재

        일본의 지역경제 성장구조 변화: 미시적 관점에서 본 지역인구 고령화 문제

        김용민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3 아태연구 Vol.20 No.1

        Japan has been struggled with many problems such as interaction between globalization and regionalism, aging population combined with the decreasing number of children, increasing income inequality among regions and financial crisis. Especially, low birthrate and longevity are the factors which cause social security funding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o the lower level. Based on the recognition above this study shows effects which aging has on economic structure. Although aging has been rapidly proceeding in Japan, each province shows different speed of ag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changes in regional economic growth in those circumstances.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shown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growth rate and productivity of regional population growth rate is positive(+). It shows that aging have an impact on the regional economic growth structure. Second, even though regions in Japan show different levels of the problem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the serious problems are sprung from the regions where the aging is faster. Third, while the manufacturing industry which contributed to the economic growth has been disappearing, the service industry has been growing. In short, industrial structure will be reorganized around the metropolis on account of the population aging, and the structure of the regional economic growth factor has been converted to regional factors from industry structure factor. 일본은 대외적으로 세계화와 지역주의 대응, 대내적으로 저출산 · 고령화, 소득격차 확대에 의한 사회양극화, 재정 위기 등 다양한 문제를 안고 있다. 특히 고령화는 사회보장의 재원문제와 노동력 감소로 인한 국제경쟁력 약화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을 토대로 본 연구는 인구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지만, 지역별 고령화의 속도에 차이가 있다는 것에 주목하여 지역별 경제성장의 구조변화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첫째, 지역인구 증가율과 생산성장률이 정(正)의 관계로 나타나, 인구고령화가 지역경제 성장구조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경제 성장이 노동 및 자본투입, 기술진보 등의 생산요인에 의해 결정되지만, 저출산·고령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면서 도시로의 인구유출과 지역인구 고령화의 영향으로 생산량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지역별로 차이가 있지만,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지역일수록 수급불균형 현상이 심화되어 산업구조에 구조적 문제를 노출시키고 있다. 이는 지역경제 성장을 유지하게 했던 중심산업이 정체되면서 산업구조가 도시중심으로 재편되는 유인을 제공하고 있다. 셋째, 지역경제 성장의 중심이었던 제조업이 약화되고 있고, 서비스업이 약진하고 있다. 제조업은 산업특성상 노동집약적인 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고령화로 인한 노동력 감소는 제조업의 공동화 현상을 초래하여 지역산업구조를 소프트화 시키고 있다. 한편, 제조업의 성장하락을 서비스업의 상승으로 보완하고 있지만, 대도시에 비해 소도시의 경우에는 지역서비스업의 기반이 약하기 때문에 지역경제 성장을 위한 서비스업의 민간자본 형성을 어떻게 축적할 것인가가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일본의 지역정책이 수도권 중심의 성장지상주의에 몰입되어 균형발전을 위한 제도적 장치의 마련보다는 기존제도의 수정을 반복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제도적 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 KCI등재

        중앙은행 디지털화폐의 국제적 이용과 동아시아 통화협력

        채희율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21 아태연구 Vol.28 No.1

        Central bank interest in CBDC is increasing. It is unclear whether central banks in the future will compete with each other over the introduction of CBDC or will take a mutually cooperative stance. However, international cooperation is inevitable if CBDC is to be us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international payments and settlements. Currently, international payments made in various ways have significant costs and technical problems. This article attempts to analyze these costs and problems and whether CBDC can attenuate these problems. In addition, it will examine whether East Asian countries can achieve meaningful results through cooperation in the issuance and circulation of the CBDC. In East Asia,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based on the experience of financial cooperation accumulated over the past 20 years, the institutional framework for international use of CBDC in the region can be conceiv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regional payments and settlements, and to enhance monetary sovereignty of countries in the region. Of course, East Asian cooperation surrounding the CBDC has complex political and economic implications because it has the potential to lead to a change in the international monetary order centered on the US dollar. In addition, higher exchange rate volatility due to international capital movements, and in some countries, currency dependency problems may arise with a generalized international use of CBDC. However, in spite of these costs associated with the introduction of CBDC in many East Asian countries, the benefits that the CBDC can open are likely to be greater. It will be necessary to set cooperation on the new agenda in the ASEAN+3 Finance Ministers and Central Bank Governors Meeting or RCEP. CBDC에 대한 각국 중앙은행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향후 각국 중앙은행들이 CBDC의 도입을 둘러싸고 상호 경쟁할지 아니면 상호 협력하는 태도를 취할지는 불투명하다. 그러나 국제지급결제의 효율성 제고 목적으로 CBDC를 활용하려 한다면 국제적 협력은 불가피하다. 현재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국제지급결제는 상당한 비용과 기술적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비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CBDC를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CBDC의 발행 및 통용에서 동아시아국가들이 협력함으로써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인지 검토한다. 동아시아지역에서는 지난 20여 년 동안 축적해온 금융협력의 경험을 바탕으로 CBDC의 국제적 사용을 위한 제도적 틀을 만들어 역내 국제지급결제의 효율성을 높이고, 역내 국가들의 통화주권을 제고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물론 CBDC를 둘러싼 동아시아 협력은 미국달러 중심의 국제통화질서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는 잠재적인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복잡한 정치경제학적 함의를 지니고 있다. 게다가 협력 과정에서 국제적 자금 이동이 촉진되어 환율불안정성이 더 높아지고 일부 국가에서는 통화 종속 문제가 나타날 수도 있다. 하지만 CBDC 도입이 수반하는 이러한 비용에도 불구하고 다수 동아시아 국가에서는 CBDC가 열어줄 수 있는 이익이 더 클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ASEAN+3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나 역내포괄적동반자협정(RCEP)에서 CBDC에 관한 협력을 새로운 의제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라틴아메리카 지역통합의 새로운 흐름: 태평양 동맹 사례를 중심으로

        윤성욱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9 아태연구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se whether the Pacific Alliance can lead a new trend of regional integration in Latin America on the basis of discussion on its sustainability. The previous research on regional communities in Latin America has mostly focused on Mercosur, and the establishment of UNASUR and ALBA was merely perceived as a new model. However, the Pacific Alliance was initiated for the purpose of regional integration with the principle of market-driven open regionalism. Having considered the fact that various regional communities in this region have neither been maintained nor played their roles properly, this research explores how the Pacific Alliance could resolve these problems and maintain its sustainability. This research argues that the Pacific Alliance seems to increase its possibility of sustainability by various policy measures such as reflection of private sector’s policy suggestions, implementing policies with rapid and practical outcomes by early-harvest approach, and also for increasing regional cohesion. In this sense, the Pacific Alliance has attracted interests from many countries, and it is time for Korea to set up more detailed policies to strengthen the tie with the Pacific Alliance. 본 연구의 목적은 태평양 동맹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논의를 통해 태평양 동맹이 라틴아메리카에서 새로운 지역통합의 흐름을 주도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기존의 중남미 지역의 지역공동체에 대한 연구가 Mercosur에 집중되어 왔고 UNASUR와 ALBA 등의 등장은 새로운 지역공동체의 모델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태평양 동맹은 자유교역, 시장 주도의 개방형 지역주의를 원칙으로 지역통합을 목표로 표방하고 있다. 라틴아메리카 지역에서 설립된 다양한 지역공동체들이 오래 지속되지 못하거나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태평양 동맹은 어떻게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지를 고찰한다. 기존 문헌의 연구와 정책결정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인터뷰를 통해 본 연구는 태평양 동맹이 민간 부분의 의견을 수렴하는 정책 수립, 조기 수확 방식에 의한 실질적인 성과 도출이 빠른 정책 시행, 지역 결속력을 강화하는 정책 등으로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태평양 동맹에 대한 전 세계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한국도 또한 보다 구체적인 관계 강화 방안을 마련할 시점이다.

      • KCI등재

        환동해 지역 생태협력의 실제와 생태공동체 형성 방안

        이선이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1 아태연구 Vol.18 No.1

        This paper has an ultimate purpose of searching the possibility of making the East-Sea Rim Region as an Ecological Community for the regionalization of the East-Sea Rim area. Given the purpose of this paper, I focused on looking into the following three issues. At first, I critically consider the contemporary ecological cooperation and practical activities for collaborating in the East Sea Rim region. Secondly, I examine the existing theories of ecological discourses, and find that there are some problems in applying these ecological discourses to the East Sea Rim regional studies. Finally, I try to find how to internalize ecological solidarity in this region and to suggest some practical plans for the solidarity. In conclusion, I emphasize on internaliz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East-Sea Rim area and on, in practice, containing the universal tenets of ecological community into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e East-Sea Rim Region to a regional ecological community. In order to practice these conceptual findings in actual reality, I suggest to internalizing solidarity of the region with bioregional narratives and to conduct solidarity in actual reality by promoting workers' collaborating consciousness in terms of transnational consumers. 본고는 환동해 지역의 지역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생태공동체 형성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다음 세 가지 사항을 살펴보았다. 첫째, 현재 환동해 지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생태협력의 의의와 한계를 살펴보았다. 둘째, 기존의 생태담론을 검토하고 이들 담론을 환동해 지역에 적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환동해 지역의 생태공동체 형성을 위한 연대의 내면화와 실천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이 논의를 통해 환동해 지역의 생태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국가, 민족, 자본의 분할선을 넘어설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점을 전제로, 여기에서는 지역의 생태적 고유성을 내면화하면서 동시에 초국가적 연대 방식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구체적인 생태공동체 형성 방안으로는 생물지역적 서사를 통한 연대의 내면화와 소비자로서의 노동자 의식을 통한 초국가적 연대의 실천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러시아 북서-유럽연합 간의 지역통합 프로세스 -발트 해 지역의 한자동맹 사례를 중심으로-

        김영술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0 아태연구 Vol.17 No.2

        Russia and European Union are required the effective regional cooperation in the Baltic Sea region because of geographical changes and the relationship in Europe, the possibility of the bipolar system in Europe, and the conditions of the integration in the northwest region of Russia or the choice of modernization's changes. This article examines the possibility of regional integration through regional cooperation between Northwest Russia and European Union. This article analyzes the integration process and regional cooperation through the Hanseatic League in the Baltic Sea Region from globalization and regional integration perspective. At the level of regional integration, it is not possible that a Russia's European Union will become membership, and Russia has not the possibility of the FTA Agreement between Europe and Russia, formation of the customs union or a single market. There is no possibility at all the Economic Union and full economic integration between Europe and Russia. In addition, realization of a common European economic space remains as the object of theoretical discussions. This is a dilemma to Russia in the orientation of economic integration and protection of sovereignty. In this situation, the experience of the Hanseatic League has many implications. The Hanseatic League was the main direction of globalization based on the trade economic through the process the region of integration. The Hanseatic League was the key of localization, it is composed of cities, not countries. The Hanseatic League is based on free merchants network, border cooperation and free trade economic system. It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the Hanseatic economic community. Therefore, the New Hanseatic League is the most optimal format for the new regional integration in Europe and Russia. It is local resources. Moreover, the Hanseatic League is the unique and powerful tool which will give new opportunities to expand influence in the Baltic Sea to Russia. 유럽의 지형과 관계의 변화, 유럽에서 양극 모델의 가능성, 그리고 러시아의 북서 지역에서 통합의 필요조건과 현대적인 변화로의 선택의 기로에 선 러시아에게 발트 해 지역에서 효율적인 지역협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러시아의 입장에서 러시아 북서-유럽 연합 간의 지역협력에 나타난 상호작용을 통해 지역통합의 가능성 여부에 대해 고찰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한자동맹을 통해 발트 해 지역의 글로벌화 관점에서 지역의 통합 프로세스와 지역통합이라는 관점에서 발트 해 지역의 현재의 지역화와 지역협력을 분석한다. 현재 지역통합 차원에서 러시아가 유럽연합의 회원이 되거나 유럽과 러시아 사이에 FTA 체결 가능성, 관세동맹 또는 단일시장 형성 가능성은 없어 보이며, 그리고 러시아가 유럽연합과 경제 연합이나 더 이상의 완전한 경제통합은 전혀 가능성이 없다. 또한 진행되고 있는 공동 유럽 경제 공간의 현실화 문제마저도 이론적 논의의 대상으로 남아 있다. 이것은 한편으로 경제 통합에 대한 지향성과 다른 편으로는 주권에 대한 보호 지향성으로 러시아의 유럽연합에 대한 딜레마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한자동맹의 경험은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서 볼 때, 무역경제에 기초한 한자동맹은 지역통합의 프로세스를 통한 글로벌화의 주요 방향이었으며, 한자동맹의 네트워크는 그 구성 주체가 국가가 아니라 한자도시들로서 지역화의 핵심이었다. 중요한 것으로 한자동맹의 경제공동체를 이룬 기초에는 경계를 넘나드는 자유로운 한자도시연합 상인들의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국경협력, 그리고 자유무역 경제 시스템 등이 그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지역통합의 모델로 새로운 한자동맹의 모색은 유럽과 러시아 사이의 상호 작용의 효과적인 조직을 위한 가장 최적의 형식뿐만 아니라, 지역 자원의 독특하며 강력한 수단이며, 그리고 러시아가 발트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는데 새로운 기회를 주게 될 것이다.

      • KCI등재

        미국적 국제정치의 편향성과 학문적 자유의 억압:국제정치 연구프로그램의 확장과 금기주제에대한 논의의 필요성

        양준희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0 아태연구 Vol.17 No.2

        A revisionist historian Howard Zinn once said that “you can’t be neutral on a moving train.” If you remain silent on a moving train that means you are already agreeing with the speed and the destination of the train. There isn’t anybody who is not aware that the study of international relations has been an American social science; and yet, nothing serious has been done to change the pattern. If IR scholars remain silent doing exactly what the mainstream IR community requires them to do, that would be like pretending to be neutral on a moving train.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positivist and realist paradigms, which have dominated the field of international relations for the past forty years, might have been working as the most effective tools to serve the rich and powerful by ‘legitimately’ silencing the dissenting voices of the existing world. This article maintains that IR scholars should study not only topics like democratic peace, hegemonic stability theory, clash of civilizations etc. but also taboo subjects like the military-industrial complex, the Bilderberg Group, the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Jewish lobby, the wall street, the Rothschild, 9/11, and even UFO. Given our academic freedom, we might be able to discover some amazing hidden power structures of the world. 역사학자인 하워드 진(Howard Zinne)은 달리는 기차에서 중립은 없다는 말을 하였다. 달리는 기차에서 아무 말 없이 가만히 있으면 그것은 중립이 아니라 특정 목적지와 속도에 이미 동의한 것이란 뜻이다. 국제정치란 학문이 미국적 편향성을 띠고 있다는 것을 모르거나 부인하는 국제정치학자는 거의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무 말 없이 묵묵히 주류의 국제정치학계가 원하는 주제를 연구하고 흐름을 따른다면 그것은 국제정치학계의 미국적 편향성에 궁극적으로 동의하는 것이 될 것이다. 본 논문은 40년이 넘도록 국제정치학계의 지배적 담론으로 자리 잡아 왔던 실증주의와 현실주의 패러다임이 학자들의 자유로운 학문적 토론을 억압하는 역할을 하여왔을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한다. 또한 국제정치학자들은 주류의 국제정치학계에서 주로 논의되었던 민주평화, 패권안정, 문명충돌 등의 주제에만 관심을 가질 것이 아니라 이제까지 금기시되었던 논의조차 학문적으로 진지하게 다루어야 된다는 것을 지적한다. 특히 유대로비, 로스차일드 가문, 빌더버그, 국제 금융재벌, 군산복합체, 9.11사태, UFO, 연방준비은행 등의 주제는 음모론으로 치부되어 무시되기에는 너무나 중대하고 긴급한 문제라는 것이 본 논문의 관점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