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과 핀란드의 지식서비스산업 비교 분석

        임응순,유승훈,정군오 한국산업경제학회 2008 산업경제연구 Vol.21 No.3

        전 세계적으로 산업구조는 제조업 중심에서 서비스업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서비스업의 무게중심도 지식서비스업으로 변모되어 가고 있다. 핀란드는 유럽에 속해있는 국가로서 소위 경제소국이지만 정보통신분야와 지식서비스산업분야에서는 경제대국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한국에서도 지식서비스산업에 대한 관심이 커져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통하여 한국과 핀란드 지식서비스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먼저 수요유도형 모형을 이용하여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를 살펴 볼 것이며, 공급유도형 모형 및 레온티에프 가격모형을 적용하여 지식서비스산업의 공급지장효과와 물가파급효과에 대하여 한국과 핀란드를 비교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은 지식서비스산업을 내생부문이 아닌 외생부문으로 다룸으로써 지식서비스산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분석결과 지식서비스산업에서의 1원 생산이 타 산업에 유발하는 생산유발효과는 한국 0.2731원, 핀란드 0.3493원이었으며, 타 산업에 유발하는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한국 0.1410원, 핀란드 0.2086원이었다. 수요유도형 모형을 이용한 결과는 핀란드가 한국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지식서비스산업의 공급지장효과는 한국 0.6713원, 핀란드 0.7228원이었으며, 지식서비스산업의 10% 가격인상으로 인한 물가파급효과는 한국 0.1190%, 핀란드 0.2302%로 핀란드가 높게 나타났다. The industrial structure changed into service industry from manufacturing industry and has been changing into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based on knowledge world widely. Finland is an economically minor country but core country in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Moreover the interest in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is now growing. This study attempts to compare the economic impacts of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between Finland and Korea using an inter-industry analysis. Specifically, the study analyzes and compares between Finland and Korea about production-inducing effect and value added inducing effect of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based on demand-driven model. Moreover, the study deals with supply shortage effect and sectoral price effect by using supply-driven model and Leontief price model, respectively. These analyses have made by dealing the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as exogenous not endogenous. The results show that,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induces production-inducing effect of 0.2731 won in other industries in Korea and 0.3493 won in other industries in Finland, value-added-inducing effects of 0.1410 won in other industries in Korea and 0.2086 won in other industries in Finland. results from using demand-driven model are higher in Finland than Korea.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induces supply shortage effects 0.6713 won in other industries in Korea and 0.72628 won in other industries in Finland, and sectoral price effects are 0.1190% in Korea and 0.2302% in Finland due to the price increase of 10% of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 KCI등재
      • KCI등재

        일본 초고령사회의 산업구조 변화과정 분석을 통한 한국 산업구조 예측

        안세환(Se-Hwan Ahn),윤덕균(Deok-Kyun Yun),김성도(Sung-Do Kim),박우균(Woo-Gyun Park) 한국산업경제학회 2012 산업경제연구 Vol.25 No.3

        일본을 비롯한 많은 선진국들이 고령사회에 진입하였고, 산업측면에서 많은 변화와 준비가 있었다. 그 중에서도 일본은 세계에서 가장 먼저 초고령 사회에 진입하였으며, 역사적으로 고령인구의 증가속도와 산업의 발전과정, 정부 정책 등을 볼 때, 한국과 가장 유사하게 변화하여 왔다. 따라서 일본은 한국 산업의 미래를 전망함에 있어서 가장 좋은 예측모델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국과 일본의 산업구조간의 상관관계를 바탕으로 고령사회 및 초고령 사회에 닥쳐올 한국 산업의 구조를 예측 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한국의 과거데이터를 이용한 기존방식의 미래예측이 아닌 일본과 한국의 산업 유사성에 근거하여 일본의 데이터를 가지고 한국의 산업구조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령화 비율이라는 독립변수를 사용하고 한국과 일본의 산업 간 유사성과 고령화 정도를 바탕으로 한국 산업구조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일본의 초고령 사회로 인한 산업의 변화를 토대로 한국의 산업구조를 예측함으로써 향후 겪게 될 한국의 고령 및 초고령 사회에 대비한 중요한 시사점을 도출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e lots of advanced countries, including the Japan entered into aged society and there were industrially lots of preparations and alterations. Japan was the first to enter into the super-aged society among these countries. According to pace of aging population growth, a process of development of industry and government policy, it has been changed most similar to Korea. Therefore, Japan is the best forecasting model to predict the future of Korean industry. In this study, we predict structure of Korean industry which is ba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Korean and Japanese industrial structure at the aged society and super-aged society. To achieve this, we predict structure of Korean industry not by using Korean historical data but by using similarity of industry between Korea and Japan. We use independent variable named aging index(aged 65 and over) to predict structure of Korean industry based on not only similarity of industry between Korea and Japan also aging degre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draw important implications for aged society and super-aged society of Korea by predicting structure of Korean industry as the foundation of alteration of industry caused by super-aged society of Japan.

      • KCI등재
      • KCI등재

        NPO 최종소비지출의 지역・산업간 경제적 유발효과 : 지역산업연관표의 내생화를 중심으로

        변장섭,나주몽 한국산업경제학회 2019 산업경제연구 Vol.32 No.5

        Based on the final consumption expenditure of the national economy, the economic size of the NPO stood at 3,927 billion won in 2016, representing 3.7% of total final consumption expenditure. This means that the activities of NPOs in Korea are active due to their significantly high proportion compared to other OECD countries. However, there is a lack of discussion about the economic effects of the activities because the data on NPOs are limited. This study estimated the economic spillover effect of the activities of NPOs in Korea between regions and industries using the regional input-output table. In particular, the final economic spillover effect of consumption expenditure and corresponding income increases was estimated by using the consumption endogenous specification model that was not considered in the preceding studie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conomic effect of NPO final consumption expenditure is basically determined by its scale, but it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depending on the size of income outflow on the region. The change is especially significant in the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income circulation within the region by consumption expenditure has a great influence on employment inducement. Second, the economic spillover effect of NPO final consumption expenditure by industry was high mainly in social services, such as education, health care, social welfare and culture, which are major activities of NPO. In particular, not only local employment, but also production and value added increase are seen in large numbers in each industry. Third, the economic spillover effect among regions and industries shows that the economic spillover effect of industries such as education, health care, social welfare and culture is higher than that of the capital region, despite the low final consumption expenditure.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activities of the NPO contribute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in the provinces. In short, NPOs have a high economic impact mainly on the social services sector such as education, health care, social welfare and culture, and can greatly contribute to increasing employment of local residents, especially in regions outside of the capital region. 국민경제의 최종소비지출을 기준으로 우리나라 NPO의 경제규모는 2016년 3조 9,279억 원으로 총 최종소비지출 중 3.7%에 해당한다. 이것은 다른 OECD국가들과 비교하여 높은 비중으로 우리나라 NPO의 활동이 활발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NPO에 대한 자료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그 활동에 의한 경제적 효과에 대한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NPO의 활동이 지역과 산업 간에 미치는 경제적 유발효과를 추정하였다. 특히 선행연구에서 고려하지 못한 소비내생화모형을 이용하여 소비지출과 그에 대응한 소득 증가 등에 의한 최종적인 경제적 유발효과를 추정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NPO 최종소비지출의 지역별 경제적 유발효과는 기본적으로 그 지출규모에 의해 결정되지만, 지역에 따라 역외 소득유출 규모에 의해서 증감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취업유발효과에서 그 변화가 크게 나타난다. 따라서 소비지출에 의한 지역내 소득순환이 취업유발에 영향을 크게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NPO 최종소비지출의 산업별 경제적 유발효과는 NPO의 주요 활동영역인 교육, 보건, 사회복지, 문화 등 주로 사회서비스에서 높게 나타났다. 특히 지역의 취업뿐만 아니라 생산과 부가가치 증대에도 각 산업에 따라 크게 나타나고 있다. 셋째, 지역・산업 간의 경제적 유발효과를 보면, 수도권 이외 지역이 최종소비지출의 규모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교육, 보건, 사회복지, 문화 등의 산업의 경제적 유발효과가 수도권보다 오히려 높게 나타났다. 즉 NPO의 활동이 지방에서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요컨대 NPO는 교육, 보건, 사회복지, 문화 등 주로 사회서비스부문에서 경제적 유발효과가 높으며, 특히 수도권 이외 지역에서 지역주민의 취업을 증대시키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 KCI등재

        광고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추이 분석

        곽소윤,유승훈 한국산업경제학회 2010 산업경제연구 Vol.23 No.6

        문화가 경제적, 군사적 자산보다 더 강력한 국가경쟁력으로 여겨지는 오늘날, 광고산업은 기업 및 국가 브랜드 제고를 통해 시장경제를 활성화시키고 문화를 반영하여 선도함으로써 국가 경제에 지대한 영향력을 미치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통해서 광고산업의 국민경제적 역할의 계량화, 즉 광고산업의 국민경제적 역할 및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이러한 분석을 시행하는 데 있어서 수요유도형 모형뿐만 아니라 공급유도형 모형, 레온티에프 가격모형을 적용하였고 외생화 과정을 거쳤으며 1990, 1995, 2000, 2003, 2005, 2007년의 산업연관표를 사용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산업구조 및 생산기술구조 등의 변화를 실질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자면, 타 산업에의 생산유발효과는 1990년에서 2007년 사이에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였고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1995년에 감소한 이래로 증가 추세를 유지하고 있었다. 타 산업 취업유발효과는 감소하였으나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소폭은 줄어들었다. 공급지장효과와 물가파급 효과는 약간 줄어들거나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The total revenue earned from media as well as advertising in Korea attained the 7,634 billion won mark in the year 2006. A slight pickup in growth of advertising industry concerning new media such as cable TV, Internet and DMB offset the overall trends and the market conditions pertaining to the advertising industry that are slightly decreasing. The total revenue of advertising industry is expected to increase due to the introduction of new media and competition in the field of broadcast advertising. At this point of time, we need to consider the role of advertising industry in the Korean national economy using input-output(I-O) analysis. The I-O model is a linear, inter-sectoral model which shows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roductive sectors of a given economic system. This study used four sets of 1990, 1995, 2000, 2003, 2005 and 2007 I-O domestic tables to investigate the economic impacts of the advertising industry. The production-inducing effect of 1990-2007 repeated up and down and the value-added effect continued to increase since 1995. The employment-inducing effect of all sectors in the period 1990-2007 decreased from 44.1 to 12.24 people. The supply-shortage effect was slightly increased from the past level in 2007 and the price-ripple effect was remained 0.06% level in 2007.

      • KCI등재

        복잡계 디지털 경제와 문화산업 클러스터 정책

        윤영득 한국산업경제학회 2012 산업경제연구 Vol.25 No.1

        문화산업은 수도권과 같은 중심지역이나 혹은 어느 특정한 지역에만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고 광범위하게 분포된 많은 지역에서 특별한 관심과 육성을 해나가야 하는 21세기의 전략 산업이다. 그러나 문화산업의 혁신 잠재력은 여전히 대부분 수도권에 그리고 일부가 대도시권에 집중되어 있다. 따라서 국가 차원에서 문화산업을 육성시키려면 서울과 수도권 만 아니라 지역의 대도시권 및 다양한 지역권 간에 연계 구조를 갖게 하며 수평적 네트워크 그리고 상호교류와 협력의 시스템을 갖게 하여야 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문화산업 클러스터를 복잡계 디지털 경제생태계로 이해하여 문화산업의 구조적 원리와 경쟁력 구조를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문화산업의 전략적 발전을 위한 문화산업 클러스터 정책을 지역적 차원과 더불어 전국적 차원에서 제시한다. Cultual industry plays important role not just in central area like capital area or some specific region, but in many local areas broadly-spread, They induce strategic development of the cultural industry with special interest. But the innovation potentialities of the cultural industry are concentrated mostly in capital area and some big city areas. Therefore, to develop cultural industry in national dimension, connecting structure should be set up not just inside capital area but also among regional big city area and various areas, the system of horizontal network, mutual interaction and cooperation. Recently, the advance of complex digital economic ecosystem, along with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is changing national innovation system into modular industry innovation system, especially in cultural industry. Therefore, understanding the cultural industry cluster as complex digital economic ecosystem, coevolution inside clusters and among them in national dimension should be induced. Policy like this should be basic framework in the regional cultural industry policy in national dimension.

      • KCI등재

        시장구조가 산업표준화 활동에 미치는 영향 : 한국산업규격(KS)을 중심으로

        성태경(Tae-Kyung Sung) 한국산업경제학회 2014 산업경제연구 Vol.27 No.5

        본 연구는 산업차원에서 시장구조가 산업표준화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계량적으로 검증한다. 우리나라 한국산업규격(Korean Industrial Standards: KS) 제정건수를 표준화 활동의 대리변수로 삼았고, 그 결정요인으로 시장집중도 이외에도 기술적 기회, 자본집약도, 수출비율, 산업특성(네트워크산업 여부) 등을 고려하였다. 분석대상은 식료, 섬유, 화학, 비금속광물, 금속, 전기전자, 기계, 자동차, 조선 등 9개 업종이며, 2006-2009년 기간 동안 혼용자료(pooling data)를 사용하였다. 추정방법으로는 통상최소자승법(OLS)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 시장집중도가 높은 산업일수록 KS제정활동은 활발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시 말해서 시장집중도가 작은 산업, 즉 많은 소규모기업들로 구성된 경쟁적 산업에서 KS제정활동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몇 개의 기업들로 구성된 독과점적 산업에서는 KS라는 공적 표준(de jure standards)보다는 시장에서 경쟁을 통해 결정되는 ‘사실상의 표준(de facto standards)’에 전념한다는 해석도 가능하게 한다. 정책적 측면에서는 정부가 중소기업의 표준화 활동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함을 말해준다. 이는 표준화 과정에서 규모의 경제가 크게 작용하며, 중소기업들은 전략적인 자원을 충분히 가지지 못하므로 소극적 혹은 추종자적인 입장을 견지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The paper investigates empirically the effects of market structure on standardization activity at the industry level. The number of the Korean Industrial Standards(KS) is used as the proxy variable for standardization activity. The independent variables, in addition to market structure, are technological opportunity, factor intensity, export ratio, and networks. We estimated the OLS (Ordinary Least Square) regression model, using the pooling data for 9 Korean industries, including foods, textiles, chemicals, nonmetallic minerals, metals, electronics and electrics, machinery, automobiles, and shipbuilding, over 2006-2009. The empirical finding shows that market structure is related negatively with the enacting number of the Korean Industrial Standards(KS). In other words, the industries with less market concentration ratio are more active than oligopolistic industries in enacting the Korean Industrial Standards. This might also infer that oligopolistic firms devote themselves to de facto standards determined by market rather than de jure standards such as the Korean Industrial Standards. In terms of the government policy, since economies of scale do work in standardization process and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do not have strategic resources, policy makers should support the standardization activity of S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