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DHD 아동의 학교기반 중재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구성의 예비연구

        이정은(Lee, JeongEun),김춘경(Kim, choonKyo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09 열린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ADHD 아동을 위한 학교기반 중재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해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ADHD에 대한 인식과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설문지를 실시하여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그 결과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대구, 구미의 3개 초등학교 교사 80명이다. 설문지는 교사의 ADHD에 대한 인식과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내용과 진행에 대한 요구, 그리고 ADHD 지식척도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ADHD의 증상/진단에 대한 지식이 가장 높았고, 중재에 대한 지식이 가장 낮았다. 교사들은 학급에서 ADHD 아동을 정확하게 선별하였으나, ADHD 아동의 교육에 자신감은 부족하였다. ADHD 아동의 교육에 자신감을 보인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보다 ADHD 지식이 유의하게 높아, 교사의 ADHD 지식이 ADHD 아동의 교육에 대한 자신감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으로는 산만한 행동 다루기, 원만한 또래관계 형성하기, 싸움과 다툼 다루기, 우울 · 분노 등 정서문제 다루기, 지시에 따르지 않는 행동 다루기를 원하였다. 교사교육 프로그램은 2주에 1회, 1시간 씩, 총 5회의 직접적인 역할 훈련으로 구성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ADHD children through teacher education program questionair. And the other purpose was compose to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ADHD. The subjects were 80 elementary school teacher in Seoul, Daegu, and Gumi. Questionair comprised of teacher's perception of ADHD, ADHD Knowledge scale, and needs of program's contents and program's progres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Teachers who have a strong sense of ADHD children education received higher ADHD knowledge scale score than those who did not. So teacher's ADHD Knowledge have an affect on confidence of ADHD children education. What teachers wanted for education's contents were dealing with inattention behavior, making peer relationship, dealing with struggle and quarrel, dealing with emotional problems such as depression·anger, and dealing with act of disobedience. Teacher education program composed 1 session every other week, 1 hour, 5 sessions, and role-training.

      • KCI등재

        ADHD영재아동과 ADHD아동의 인지·정서행동·양육특성 차이에 관한 혼합연구

        김경은(Kyoung Eun Kim),이신동(Shin Dong Lee) 한국영재교육학회 2016 영재와 영재교육 Vol.15 No.3

        본 연구는 혼합연구방법을 사용하여 ADHD영재아동과 ADHD아동의 인지, 정서행동, 양육특성을 비교 분석하고 ADHD영재아동 특성을 파악하여, ADHD영재 판별 및 프로그램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양적분석 결과를 도출한 후 이를 보완하기 위해 심층면담의 질적조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ADHD영재아동은 모양 맞추기 소검사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ADHD영재아동은 창의성 하위영역 중 독창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ADHD영재아동은 ADHD하위유형 중 주의력결핍이 우세하였다. 넷째, ADHD영재아동은 ADHD아동에 비해 불안, 우울, 비행 척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ADHD영재아동 어머니와 ADHD아동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대한 양적조사 결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질적조사를 통해 분석한 결과 ADHD영재아동 어머니는 아동의 이중특수성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면서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게 되고, 이러한 아동을 양육하는 부모 역할에 대한 기술과 지식이 부족하다고 지각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ADHD영재아동 어머니와 ADHD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양적조사 결과 ADHD영재아동 어머니들은 자녀와의 스트레스, 자녀의 기질과 관련된 스트레스, 학습기대와 관련된 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질적조사 결과에서도 ADHD영재아동 어머니들이 다양한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일곱째, ADHD영재아동 어머니와 ADHD아동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대한 양적조사 결과 ADHD영재아동 어머니들은 공격성, 적대감, 강압적 양육태도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질적조사를 통해 분석한 결과 ADHD영재아동 어머니들은 적절한 대처행동과 스트레스를 이겨내려는 노력을 하기 때문에 긍정적 양육태도를 보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research aims to provide implications to distinguish and to develop programs for gifted children with ADHD by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and doing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ognition, emotional behaviour, and parenting characteristics for gifted children with ADHD and ordinary children with ADHD using the mixed research method. The research subjects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were 56 gifted children with ADHD, those with an IQ of 125 or higher amongst children who were diagnosed with ADHD and the 56 mothers of these children. In order to supplement the results of quant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was hel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ight of the mothers of the gifted children with ADHD. First, the factor analysis shows that gifted children with ADH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erformance in verbal comprehension, perceptual organization, freedom from distractibility, processing speed indexes amongst the K-WISC-Ⅲ. However, they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shape pairing tests. This suggests that gifted children with ADHD lacks alacrity, spontaneity, cognitive flexibility, and show consistent effort in ambiguous contexts. Second, in the subdivision of creativity, gifted children with ADH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erformance in fluency, elaboration, abstractness of title, and resistance to premature closure. However, they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originality. The intellectual capacity of gifted children with ADHD were rather discouraged connection to new methods. Furthermore, the criterion of counting the number of responses within a given time period has affected the originality of the gifted children with ADHD who tend to show in-depth attention to their interest. Third, gifted children with ADHD showed dominant attention deficit. Furthermore, this suggests a possibility of this problem not being recognized by parents or teachers in comparison to those ordinary children with ADHD who externalize this problem. Fourth, in comparison to ordinary children with ADHD, gifted children with ADH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nxiety, depression, and delinquency. This means gifted children with ADHD experience difficulty in conducting emotional behaviour. Fift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sult of quantitative research in parenting efficacy between mothers of ordinary children with ADHD and mothers of gifted children with ADHD, and it was also confirmed that mothers of gifted children with ADHD feel difficulties in parenting as well. The reasoning was analyzed by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mothers of gifted children accept and admit the child’s twice exceptionality, then experience misbehavior which leads to the perception that they lack parenting skills and knowledge required to nurture such child. Sixth, quantitative research was carried out on parenting stress i n mothers of gifted children with ADHD and mothers of ordinary children with ADHD.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significantly higher stress in mothers of gifted children with ADHD related to their child, child’s temperament, and expectation in academics. Qualitative research results also support that mothers of gifted children with ADHD suffers with various types of stress. Seventh,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research on the attitude in parenting of mothers of gifted children with ADHD and mothers of ordinary children with ADHD show that mothers of gifted children with ADHD have significantly low aggression, hostility, and coercive parenting attitude. Qualitative research showed thi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is derived from the mothers’ effort to appropriately react and fight the stress by understanding and accommodating the child’s twice exceptionality.

      • KCI등재

        ADHD 성향을 보이는 학령기 아동의 집행기능 및 언어특성

        민운정 ( Min Woon-jung ),김화수 ( Kim Wha-soo ),이근용 ( Rhee Kun-yong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5 No.4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이하ADHD)는 학령기 아동 장애 중 흔히 나타나며 주의력 결핍, 충동성, 과잉행동을 특성으로 하는 장애이다. ADHD로 의심되는 아동들은 대체로 주의집중 기간이 짧고, 가정이나 학교에서 과제에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며, 다른 활동으로 쉽게 바뀌는 경향이 있다. 이에 따라 학령기에 ADHD 성향을 보이는 아동들에 관하여 많은 관심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ADHD 성향을 가진 아동의 언어능력과 집행기능을 평가하여 이것이 ADHD 아동 및 일반아동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언어능력 부분에서 세 집단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집행기능 부분에서는 계획능력 및 일부 억제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의학적으로 ADHD의 진단 기준을 모두 충족시키지 못하지만 ADHD 성향을 나타내는 아동들도 언어능력 및 집행기능에 어려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DHD") is disorder characterized by attention deficit, impulsivity, and hyperactivity, which are common in school-age childhood disorders. Suspected children as ADHD have short attention period generally, and easily changing tendencies to other activities while not paying attention to assignments at home and school. According to this phenomenon, many interests have been displayed on the children who show ADHD symptoms and tendencies at school-aged peri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language ability and executive functions so as to grasp characters of children who had school-aged ADHD tendencies. Resultantly, when doing comparisons between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come out in linguistic abilities all together, and the differences were displayed exempting one item of planning abilities and inhibitory ones. This result is showing a fact that characteristics shown by ADHD are mutually committing to relations between executive functions and linguistic abilities. Also, differences were shown from results of subtests that did not display significant differences either. This result is showing a fact that characteristics shown by ADHD are mutually committing to relations between executive functions and linguistic abilities. Therefore, it is regarded as affecting mutual abilities, and this fact implies a fact that medicating approaches to children having ADHD tendencies shall be made from various aspects.

      • KCI등재

        초등학생의 ADHD증상에 따른 오프라인, 온라인 학교폭력 피해수준

        최진오 ( Jin Oh Choi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2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ADHD증상이 대상학생들의 오프라인, 온라인 학교폭력 피해수준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서울, 경기, 인천지역 5개 초등학교 4-6학년 학생 1,003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분석된 결과에 의하면 초등학생들의 ADHD증상은 대상학생들의 오프라인, 온라인 학교폭력 피해수준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ADHD증상 중 주의력결핍 증상이 과잉행동/충동성 증상보다 오프라인, 온라인 학교폭력 피해수준과 더 높은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DHD증상과 개별학생들의 개별변인들(성별, 학년, 학업성취도)과의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대상학생들의 성별, 학년이 ADHD증상과 상호작용하여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 학교폭력 피해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성별에서는 ADHD증상을 가지고 있는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온라인 학교폭력의 피해를 더 많이 경험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학년에 있어서는 ADHD증상을 가지고 있는 4학년생이 5-6학년과 같은 고학년생들보다 오프라인, 온라인에서 학교폭력 피해를 더 많이 입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ADHD symptoms and off- and on-line bullying victimiz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003 4-6th sixth grade students of 5 school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educational regions. Results indicated that the ADHD symptoms of the students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their off- and on-line bullying victimization. Particularly, students with inattention symptoms were more likely to be victimized by off- and on-line bullying than those with hyperactivity/ impulsiveness symptoms. Also, the analysis of interaction effects of ADHD symptoms and demographic variables on off- and on-line bullying victimization showed that male students with ADHD symptoms were more likely to be victimized by on-line school bullying than female students with ADHD symptoms, and fourth grades students with ADHD symptoms could experience off- and on-line bullying more than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with ADHD symptoms.

      • KCI등재후보

        TTCT 검사를 활용한 ADHD 성향아동과 일반아동의 창의성 질적 연구

        조나리(Jo, Nari),하주현(Hah, Juhyu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2 창의력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조나리, 하주현(2010)의 ADHD 성향아동과 일반아동의 ‘창의적 특성비교 연구에 대한 후속연구이다. ADHD 성향아동과 일반아동의 창의적 사고검사(TTCT, 그림형)에 대한 반응을 질적으로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은 충남지역 초등학교 5~6학년 학생들로, TTCT 검사를 실시한 후 담임교사에게 ADHD 선별 평정척도(Conner’s 평정척도)를 의뢰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ADHD 성향아동 40명, 일반아동 45명을 선발하였다. 대상 아동의 TTCT 검사 반응을 질적 분석한 결과 ADHD성향아동이 일반아동보다 창의적 강점(운동, 환상영역)반응을 더 많이 보였고 특히 환상영역의 주제비교에서는 두드러진 차이를 보였다. 이는 ADHD 성향 아동들이 더 창조적이며 새로운 표상을 잘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TTCT 검사의 3번째 활동에서 ADHD 성향아동은 일반아동보다 더 많은 독창성 보너스 점수를 획득하였다. 이는 ADHD 성향아동들이 기존의 사고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방식으로 문제를 지각하고 유연한 사고를 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그동안 숨겨져 있던 ADHD 성향 아동의 강점, 즉 창의성에 주목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하며, 앞으로 ADHD 아동의 강점 영역을 찾아서 부각시킬 수 있는 적절한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하는 바이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on the response about the creativity thinking test of student with and without ADHD tendency. The target students were the 5th and 6th graders in elementary. After the creativity thinking tests, there was a request on ADHD Corners Rating Scale to the teacher and as result, there were selected the ADHD students of 40 and the general students of 45. The test results are the followings. Following analysis of response of originality bonus point at third activity of TTCT, the children with ADHD tendency gain the more bonus point of originality than children without ADHD tendency and children with ADHD tendency have the more strong point about movement. Also there is not difference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ADHD tendency at fantasy field. But children with ADHD tendency have the more strong point about mystery, imagination than children without ADHD tendency. Throughout the result of study, it is not that teachers and parents consider the behavior of student with ADHD as the problem, able, object of proofreading, but they serve as a momentum to pay attention of creativity, strong point hidden. In addition, when offering a valid education which enhance the strong point of student with ADHD, they occur the change of children's behavior which we expect. Further it contributes to develop the self-concept and serve as a momentum to children.

      • KCI등재후보

        ADHD 아동을 위한 문학치료 사례 연구

        윤미연 ( Yun Mi-yeo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08 문학치료연구 Vol.9 No.-

        이 논문에는 ADHD(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아동에 대한 문학치료 사례를 담고 있다. 10회기 동안 실시한 ADHD 아동-`현수`의 문학치료 보고서이다. 문학치료학에서 `자녀서사`는 상대적으로 약자인 아동들이 부모나 사회, 어른들의 질서에 `순응`하며 배우는 단계의 이야기이다. 불의나 폭력에까지 굴종하라는 의미가 아니다. 자연과 사회 질서를 우선 이해하고 배워야 자신의 내면을 전달·소통할 수 있고, 그 다음 단계로 나아갈 수 있다는 뜻이다. 현수와 같이 ADHD증세를 가진 아동들은 자신의 의지로 주의를 집중하거나 행동을 절제할 수 없으니 `배움`이나 `순응`의 출발부터가 어렵다. 이 때 제일 중요한 것이 어른들의 이해와 인자한 가르침이다. 그것이 실패할 경우 ADHD아동의 40%가 적대적 반항장애(oppositional defiant disorder)를 겸하게 된다. ADHD로 인해 어머니, 선생님들과 갈등을 겪고 있는 현수가 만든 이야기 속에는 <꾀쟁이 하인의 간계>와 유사한 서사가 들어 있었다. 이 서사들은 자녀서사 내의 `밀치기` 영역에 속한다. 비록 적대적 반항장애까지 겸한 현수였지만 그래도 `되찾기`와 `감싸기` 영역의 자녀서사를 배우고 느끼면서 현수는 어머니와 함께 긍정적인 변화를 해나갔다. 이 논문 속에는 ADHD 아동에게 좋은 영향을 준 한국의 설화 작품들이 들어있다. This thesis will show how literature can be used as a remedy for children with ADHD(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This is the report on "Hyunsoo", who is suffering from ADHD and who has had 10 courses of literary therapy. In literary therapy, `The Son and Daughter Epic" helps children try to adapt to the order of parents, society and adults. It does not mean children have to obey unfair or violent commands. You need to learn and understand the rules of nature and society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them and proceed to the next level. The child like Hyunsoo who has ADHD cannot focus on what he is doing or control his actions with his own will. Therefore, he is not able to learn anything or listen to other people. In this case,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demonstrate understanding and patience when you teach him. If you fail at teaching him, 40% of children will also have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as well as ADHD. The story written by Hyunsoo, who is having trouble with his mother and teachers due to his ADHD is similar to "A trick of a willy servant" This belongs to the scale of "Pushing" in "The Son and Daughter Epic". Although Hyunsoo has serious problems, he is undergoing positive changes through learning the scales of "Recovering and Protecting" in "The Son and Daughter Epic". This paper includes Korean folk tales which have had positive a influence on children with ADHD.

      • KCI등재

        Nutritional Status of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 Bo Young Jang ),( So Young Bu ) 한국임상영양학회 2017 Clinical Nutrition Research Vol.6 No.2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has been associated with an elevated risk for obesity but this seems to be paradoxical to the fact that many youths with ADHD have symptoms of hyperactivity. People diagnosed with ADHD tend to have a high risk of developing undesirable diet habits and consequently have health related problems. However, less attention has been paid to obesity in ADHD while many efforts have been devoted to the prevention of childhood obesity in mentally normal people.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nutritional status and life habit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DHD (n = 76) based on degree of obesity by utilizing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data from 2005-2013. As results the levels of blood pressure, total triglycerides and the fat intake relative to total energy intake in overweight ADHD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in normal weight group. Interestingly, overweight ADHD subjects consumed significantly less amount of iron compared to normal weight ADHD subjects and the level of serum ferritin was lower in the overweight ADHD group (59.0 ng/mL) than in the normal weight ADHD group (47.9 ng/mL). After adjusting total energy intake, total vegetable consumption was 14.3% lower in overweight group compared to the consumption in normal weight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a plausible relationship of iron status and obesity in ADHD subjects but this relationship may not be specific to ADHD. A future study with case-control design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obesity, nutrient intake, and cognitive/mental status of ADHD.

      • KCI등재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진단을 받은 아동의 약물치료에 따른 어머니의 ‘마음갉기’경험

        정정숙,조원일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2022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Vol.8 No.1

        This study had aimed to promote a new ADHD view and social welfare suggestions by in-depth exploration of the opportunity for a mother, the main caregiver of child diagnosed with ADHD, to obtain critical knowledge of the existing and current pathological treatment of ADHD. This study analyzed data obtained through interview with five mothers who experienced drug treatment of children diagnosed with ADHD based on Mad Studies analysis framework, and finally derived 43 semantic units, 17 subcategories, 8 categories, and 3 categori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In practical implications, social support and parent education for emotional distress of parents are neede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s urgently needed to prevent stigma effect in the diagnosis and prescription of mental health medicine. Social implications include rigorous consideration and critical reflection on the substance of drug therapy in children diagnosed with ADHD, and above all, the view of finding positive aspects of children diagnosed with ADHD is indispensable.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ADHD as one of the aspects of diversity and respect for human beings.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make a creative diagnosis of experts in the diagnosis method of ADHD. The mother's mind-reading experience revealed in this study is exactly in line with the disability perspective in the area of mental disorder, while the realization of the change in perception of ADHD suggested a shift to a disability paradigm expressed in Mad Studies perspective. 이 연구는 ADHD로 진단을 받은 아동의 주 양육자인 어머니에게 있어 자신의 아이가 ADHD로 진단을 받은 시점에서부터 아이에게 약물치료를 선택하게 된 계기와 그 과정에서의 ‘마음갉기’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로 Mad Studuies의 분석 틀을 기반으로 하여 연구에 참여한 ADHD 진단을 받은 아동의 약물치료를 경험한 어머니 5명에 대한 인터뷰를 통해 얻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종적으로 43개 의미단위, 17개의 하위범주, 8개의 범주, 3개의 구분으로 도출되었다. 분석 결과를 근거로 아래와 같은 제언을 하였다. 실천적 함의로 부모의 정서적 고통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부모교육이 필요하다. 정신건강의학과 진단 및 처방에 있어 낙인효과를 방지할 수 있도록 개인 정보의 보호가 절실하다. 사회적 함의는 ADHD 진단을 받은 아동의 약물치료의 실체에 관한 엄밀한 고찰과 비판적 성찰, 그리고 무엇보다도 ADHD 진단 아동에 대한 긍정적인 면을 찾는 시각이 불가결하다. 더불어 다양성의 일면으로 ADHD의 존중과 인간의 다양한 측면의 하나로 인정해야 함도 중요하다. 또한, ADHD의 진단방식에 있어 전문가의 창의적인 진단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 밝힌 어머니의 마음갉기 경험은 정신장애 영역에서의 장애학적 시각과 정확히 맥을 같이 한다. 이것이 본 연구와 관련되는 지점은 ADHD에 대한 인식변화의 깨달음은 Mad Studies적 시각으로 표현되는 장애학적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시사하는 것이다

      • KCI등재

        ADHD 초등학생의 부주의 및 또래관계 개선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 연구

        김인자,원희랑 한국미술치료학회 2010 美術治療硏究 Vol.17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rt therapy in improving ADHD elementary students' inattention and peer relationship. The subject for this study is 3rd grade elementary student with a history of medical treatment, diagnosed with ADHD at the age of 7, and have above-average intellectual abilities. The subject exhibit above average level of inattention and difficulties in maintaining sound peer relationship. Art therapy was carried out once or twice a week, each session with a duration of 50 minutes. The therapy ran from May 2009 to August 2009 resulting in a total of 15 sessions. The Korea ADHD Test and KSD were administered. Test results were compared accordingly and subsequent behavior c9 tges for each session were analyz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fter the art therapy session the inattention indexnutcreased from 105 points c63%) to 85 points c16%). Whe e the total ADHD indexnurraped to 84 points from 93 points. Second, KSD exhibited a c9 tge in their in-sherol behaviors from competitive, over active, highly tense and incommunicative to a more friendl wicommunicative and calmnutmeanory resconclusion, art therapy prov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inattention and peer relationship in ADHD elementary student. This study which focused on individual short term art therapy proved to be a useful tool in improving ADHD elementary student behavior. However, as the study centered on the individual case, the results cannot be generalized. 본 연구는 미술치료가 ADHD 초등학생의 부주의 및 또래관계 개선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7세 때 ADHD 판정을 받고 약물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는 초등학교 3학년 남자 아동으로 평균이상의 지능을 갖고 있다. 한국ADHD검사 결과 부주의에서 ADHD 초등학생 중에서 평균 이상의 심도를 나타냈으며, 또래관계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미술치료는 2009년 5월부터 8월까지 주1~2회 총15회기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회기별 시간은 50분이었다. 미술치료가 부주의와 또래관계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ADHD검사와 학교생활화(KSD)를 사전, 사후에 실시하여 비교하고, 행동변화와 회기별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부주의에서는 사전 지수점수 105점(백분위 63%)에서 사후 지수점수 85점(백분위 16%)로 감소하여 ADHD 아동들 중 평균 이하로 낮아졌으며, 총 ADHD지수도 93점에서 84점으로 감소하였다. 둘째, 학교생활화에서는 경쟁적이고 과활동적이며 긴장되고 소통이 없는 관계에서 친밀하고 언어로 소통하며 차분한 그림으로 변화되었다. 결론적으로 미술치료가 ADHD 초등학생의 부주의 및 또래관계를 개선하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ADHD 초등학생에 대한 단기적 개인미술치료가 부주의와 또래관계를 개선하는데 유용함을 보여준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개인사례이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렵다.

      • KCI등재

        ADHD 증상 평정도구에 따른 집단 선별 일치도

        이영은 ( Young Eun Lee ),배승민 ( Seung Min Bae ),홍선주 ( Sun Joo Hong ),이명진 ( Myung Jin Lee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4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0 No.4

        본 연구는 아동의 ADHD 증상에 대한 부모와 교사 평정, 구조화된 면접 결과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각 평정도구로 실제 ADHD 아동을 얼마나 잘 선별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인천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생, 총 26명을 대상으로, 부모 및 교사 K-ARS, K-CRS를 실시하였고, 부모에게는 구조화된 면접인 DISC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ADHD 증상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평정 간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각 평정도구에 따라서 아동 증상에 대한 부모의 보고는 다소 상이하게 나타났다. 반면, 교사는 보다 일관성 있게 아동의 증상을 평정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DISC와도 높은 상관을 보였다. 또한 각 평정도구로 아동을 선별하여 실제ADHD 아동과 얼마나 일치하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DISC가 ADHD 아동을 가장 잘 선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은 교사 평정, 부모 평정 순으로 나타났다. ADHD 증상에 대한 조기 선별과 개입은 매우 중요하다. 부모 및 교사가 아동의 문제를 일차적으로 확인하여 전문기관에 의뢰하는 주체라는 사실을 고려할 때, 아동증상 평정에 대한 정확성을 높여 적절하게 초기 선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특히 부모에게는 ADHD와 함께 감별해야 하는 증상들과 세세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여 아동의 증상 평정에 대한 정확성을 높여야 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and teacher`s ratings and the result of structural interview about the symptom of the children with ADHD(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to find out how well each rating tool screens ADHD children with the rating scal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6 children who live in Incheon. The parent-teacher`s K-ARS, K-DISC and the structural interview of the parents was examined. As a result, The rating of the parent and teacher about the symptom of the children with ADHD has no significant correlations and the agreement between the parent`s rating and DISC was low. On the other hand, the rating of the teacher was consistent and shows high corelation with DISC. Furthermore, the children who were selected by each rating scale were compared to ADHD children to check out the level of coincidence. As a consequence, the best instrument to screen ADHD children was DISC and the rating of the parents was the worst. Early screening and intervention to ADHD symptom are highly important. The method to raise accuracy of ADHD screening has to be sought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parents and teachers are the first agent to refer to the symptom of ADHD to medical center. Especially, to raise the accuracy of the ADHD symptom rating, the detailed guidelines with ADHD symptom should be offered to the par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