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CTL의 지속 프로그램과 중단 프로그램 분석 및 성공적인 운영전략 연구

        박은숙,이은실,유정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2 평생학습사회 Vol.8 No.3

        본 연구는 한국 대학 CTL(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에서 오래도록 성공적으로 운영되는 지속 프로그램과 중단된 프로그램들을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성공과 실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35개 대학의 73개 프로그램을 분석하였고, 심층 조사를 위하여 전국의 7개 대학의 11개 프로그램을 선정하여 운영자들에게 설문 및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지속 프로그램의 성공요인은 학교의 정책적인 지원, 참여자의 요구에 맞는 프로그램의 제공, 프로그램에 대한 홍보 및 지원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터뷰 과정에서 나타난 잠재된 성공요인은 프로그램 운영자와 참여자간의 신뢰와 협력적 분위기 형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각 대학의 교육이념이나 비전을 포함한 특성화된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해오지 않고 그동안 각 대학의 CTL이 보편화된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운영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던 것이 프로그램 중단의 주요인으로 해석되었다. 이에 추후에는 각 대학의 교육이념과 비전을 반영한 특성화 프로그램의 개발의 필요성과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전략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CTL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in Korean Universities in order to examine the factors that effect for the long run and short run programs in each University and suggest the successful strategies for CTL programs. For this, this researches analyzes the 73 programs in 35 universities, and select the 11 programs in 7 universities for implementing the survey and interview with CTL operators. As the result of the research, it is found that the factors of long run programs are the political support, providing fitting programs for the participants’ need, and the marketing and supporting of the programs. The result of the research shows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the specialized programs which include the educational philosophy and vision of each university in the analyzed programs, but the similar programs fitting to the circumstances of each university are being operated because each university focuses on inducing and running the popular programs. So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development of the unique programs that reflect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should be explored in the further research and suggests some successful management strategies.

      • KCI등재

        대학 교수자 이러닝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방안 연구

        김은희 ( Eun Hee Kim ),변호승 ( Ho Seung Byu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5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요구분석을 통하여 대학에서 필요한 교수자들의 이러닝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전국 대학 교수학습지원센터에서 운영되고 있는 교수자 중심의 이러닝 지원 프로그램 및 문헌 분석을 통하여 4가지 영역을 도출하였다. 4가지 영역은 교수자의 이러닝 교수-학습 방법, ICT 및 테크놀로지 인식, 교수 철학, 교수 능력이다. 도출된 4가지 영역을 중심으로 요구분석 설문문항을 개발하였으며, 요구분석을 통하여 대학 이러닝 역량강화프로그램 개발 시 고려되어야 할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미흡했던 교수자의 요구를 반영한 이러닝 역량강화프로그램 개발 방안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프로그램에 대한 개선요구도 도출을 위해 보리치(Borich) 공식을 활용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교수자를 위한 실질적인 이러닝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이러닝 콘텐츠 개발과 LMS 구축을 위해서 ‘이러닝 교수-학습 방법’이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둘째, 교수매체 제작과 교수-학습 인프라 구축을 위해서는 교수자의 ‘ICT 및 테크놀로지 인식’을 기반으로 한 요구분석이 선행되어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e-티칭포트폴리오와 강의공개 지원을 위해서는 교수자의 ‘교수 철학’을 배경으로 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넷째, 이러닝 교수법 개발과 교수 워크숍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 교수자들이 향상되기를 원하는 ‘교수 능력’이 반영되어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guidelines to develop training programs to increase university faculty’s e-learning competencies through needs assessment. To achieve the goal, e-learning programs in 14 Teaching and Learning Centers (CTLs) as well as literature were analyzed. Four areas were identified; e-learning teaching & learning, ICT & technology perception, teaching philosophy, and teaching ability. Needs assessment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the four areas, thus guidelines to develop training program was suggested. Borich formula was used in extracting improvement needs for the e-learning competencies program. Suggestions for successful management of training program was proposed as following: First, training programs that effectively apply e-learn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ology should be developed. Second, needs assessment based on instructors’ ‘ICT & technology perception’ should be conducted to help instructional media development and construct teaching & learning infrastructure. Third, program development should be based on instructors’ ‘teaching philosophy’ to support e-teaching portfolio and open lecture, Fourth, e-learning instructional methods and instructional workshops should be developed after reflecting instructors’ ‘teaching ability’.

      • KCI등재

        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효능감 분석: A대학을 중심으로

        신종호 ( Jong-ho Shin ),박수영 ( Su-yeong Park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7 No.2

        COVID-19로 인한 전면적인 비대면 수업의 전환으로 향후 대학 수업에서의 온라인 수업의 적용 증가가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온라인 수업이 교수자에 의해 적극적으로 채택이 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대학 교수자의 수업과정과 학습자의 학습성취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수업효능감에 대한 분석과 개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 교수의 온라인 수업효능감을 분석하여 수업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A대학교 교수를 대상으로 온라인 수업효능감 측정도구인 MNESEOT를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COVID-19로 인하여 대부분의 교수들이 온라인수업을 진행하였음에도 온라인 수업효능감은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하여 낮은 수준이었다. 수업효능감의 하위영역인 학생참여, 수업관리, 교수전략, 컴퓨터 이용 중에서 교수전략이 가장 높고 학생참여가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교수의 개인특성에 따른 온라인 수업효능감을 분석한 결과 남성이 여성보다 높았으나, 직급, 연령, 교육경력, 전공계열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수업지원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온라인 수업효능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면대면 수업지원프로그램 참여경험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온라인 수업지원프로그램 참여횟수와 온라인 수업효능감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지원 방법에 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mplications for ways to increase the online teaching efficacy by analyzing the online teaching efficacy of university faculty, which has a very important influence on the adoption of online classes and teaching and learning.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professors of A University using MNESEOT, which is an online measuring tool for online teaching efficac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even though most of the professors took online teaching due to COVID-19, the level of online teaching efficacy was low compared to the result of previous studies. There was a high positive correlation amomg student engagement, class management, instructional strategy, and use of computer, which are sub-areas of online teaching efficacy, and among the four sub-areas, instructional strategy was the highest and student engagement was the lowest.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similar to those of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online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professors, males were higher than females, and there were differenced in instructional strategy, class management, use of computer. However the differences between position, age, educational experience, and major field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face-to-face teaching support program.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more participation in the online teaching support program, the higher the online teaching efficacy.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the support approaches that can enhance the online teaching efficacy were proposed.

      • KCI등재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teaching competency) 개선 요구도 및 강의 저해 요인 분석

        송연옥 ( Yeon Ok Song ),노혜란 ( Hye Lan Roh ) 한국교육공학회 2016 교육공학연구 Vol.3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 개선 요구도 및 강의 저해 요인을 양적ㆍ질적방법으로 분석하여 대학 교원에게 우선적으로 필요한 교수역량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교수지원 프로그램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1차적으로, S대학교 교원 59명을 대상으로 교수역량 개선 요구도 조사를 위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2차적으로, 교원 23명을 대상으로 행위사건면접조사(Behavior Event Interviews: BEI)를 실시하였다. 1차 자료는 보리치(Borich) 공식을 이용하여 요구도를 산출하였으며, 2차 자료 분석은 해석적 판독 방식인, 문장단위로 사례 절편화하기, 개념화하기, 범주화하기의 단계로 진행되었다. 1차 자료 분석결과, 교수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역량과 실행도가 가장높다고 생각하는 역량은 ‘학생과의 의사소통’으로 동일했으며, 개선 요구도가 가장 높은 교수역량은 ‘교수학습 자료 개발’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2차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강의준비 영역(방향이 서지 않는 수업목표 설정, 학생에 대한 이해 부족), 강의진행 영역(소통되지 않는 수업, 수업에 몰입하지 못하는 학생들, 학습내용 소화에 대한 의문, 열심히 가르쳐야 한다는 강박), 강의정리 영역(평가 및 피드백에 맞서는 학생들, 강의에 대한 매너리즘) 등 총 3개 영역에서 8개의 강의 저해 요인이 도출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교원에게 유용한 교수지원 프로그램 마련에 대한 방안들을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improvement needs and lecture inhibiting factors by identifying the teaching competency of university faculty members through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 and to derive implications to improve the direction of the university CTL support program. To this end, primar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teaching competency survey given to 59 faculty members of “S University,” and secondar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Behavior Event Interviews (BEI) with 23 faculty members. The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was used on the primary data to analyze needs, while the secondary data were analyzed through interpretive reading methods consisting of the fragmentation, conceptualization, and categorization of examples by sentence units. The results of the primary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 faculty evaluated “communication with students” as both the most important teaching competency and the competency that is presently being practiced best. The analysis also showed that the most needed improvement was the “development of faculty teaching material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econdary data, the following eight lecture inhibiting factors were deduced in three areas: lecture preparation (lack of direction in lecture objectives,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lecture progression (lack of communication during lectures, students’ lack of concentration, questionable internalization of learning, compulsive need to teach zealously), and lecture conclusion (students disagreeing with evaluation and feedback, attitudes towards the lecture). Based on these results, detailed plans for support programs that would be useful to faculty are proposed.

      • KCI등재후보

        NCS 기반 교육과정이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교강사역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희성 교육종합연구원 2021 교육종합연구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the effect of NCS-based curriculum on self-efficacy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faculty’s competency.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of A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based on NCS. Major findings as follows: First, NCS-based curriculum has an effect on enhancing the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recognition of NCS and the more faithful the content of NCS, the higher the self-efficacy of students. Next, the self-efficacy was found to be associated with NCS-based curriculum by moderating effect of faculty’s competency. The study’s results show that universities should focus on developing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that based on NCS. The NCS faculty must make efforts to show their excellent competency for NCS-based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 KCI등재후보

        강의평가 하위 교수자를 위한 교수지원 프로그램 개발 연구

        조미나,윤나라,김정현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1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4 No.2

        In this research study, a Delphi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total of three surveys that were conducted on professionals in fields such as teaching competence strengthening and teaching consulting in order to organize a support program for instructors with low lecture evaluation ratings at universities. The content of the program item that was compos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Delphi study results was verified through the consultation of five experts in pedagogy.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first, support for teaching method workshops for strengthening educational philosophy, teaching awareness, teaching attitude, and teaching role is needed in terms of faculty, and second, a program that provides consulting on course syllabus before each semester is needed in terms of courses. Third, a program that supports quality interactions through teaching consulting, including course filming, is necessary in terms of learners, and fourth, direct compensation for professors’ efforts to make changes was depicted as an important factor in terms of the environment.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for establishing a support system for university faculty with low lecture evaluation ratings by empirically verifying the influencing factors needed to support faculty with low lecture evaluation.

      • KCI등재

        교수자 자가역량 진단도구 개발을 위한 사례 연구

        서금택,조용개,장상필,성명국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3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professor’s competency self-diagnostic tool that is individually designed and used in the center of teaching and learning. We would utilize the developed professor’s competency self-diagnostic tool to evaluate the self-competence of the instructor. Also we have linked the faculty support program and faculty competency of the CT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ing basic competences were composed of 5 divisions and 7 questions ; the teaching preparation competences were composed of 7 divisions and 8 questions ; the teaching action competences were composed of 5 divisions and 8 questions ; the teaching evaluation competences were composed 4 divisions and 7 questions. Second, the common areas of the professor’s self--competency diagnostic tool and the teaching assessment checklist comprised the teaching basic competences, the teaching preparation competences, the teaching evaluation competences. Third, the faculty support programs of the CTL, which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areas of the professor’s self -competency diagnosis, turned out to have 7 common faculty support programs that positively affect all four areas of the professor’s competency. 본 연구는 기존의 교수학습센터에서 개별적으로 고안하여 사용하고 있는 교수역량 진단도구 활용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표준화된 교수자 자가역량 진단도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을 하는 데 있다. 이렇게 개발된 교수자 자가역량 진단도구는 교수자의 역량을 평가하는 데 활용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강의평가 문항 영역과 일치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교수학습센터의 교수지원 프로그램과 교수자 역량의 영역을 연계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강의기본역량은 5개의 중분류 역량(7문항)으로, 강의준비역량은 7개의 중분류 역량(8문항)으로, 강의실행역량은 5개의 중분류 역량(8문항)으로, 강의평가역량은 4개의 중분류 역량(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교수역량 진단도구와 강의평가 문항의 공통 영역은 기본역량, 강의준비역량, 강의실행역량, 강의평가역량으로 구성되었다. 셋째, 교수역량 4가지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교수학습센터의 교수지원 프로그램은 7개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4년제 대학을 비롯하여 전문대학에서도 모두 활용 가능한 표준화된 교수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는 데 있으며, 특히 강의평가 문항 및 교수학습센터의 교수지원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교수 개인별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 KCI등재

        대학 교수자의 자가역량 분석

        이선미,최원주,김영임 한국구강보건과학회 2022 한국구강보건과학회지 Vol.10 No.2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allow instructors to reflect on their teaching activities and seek efficiency measures for continuous evaluation and utilization through a diagnosis of teaching competency. Methods: The study period was from 261 professors at some universities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3.0. Results: Basic competency was 4.45 points and lecture competency was 4.36 points, slightly higher, basic competency was 4.60 points for professionalism and beliefs as a professor, and motivation was the highest for lecture competency with 4.52 points. However, in terms of lecture competency, those in their 60s or older (4.49 poi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ir 30s (4.21 points) (p<.05). The correlation of teaching competency for each area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all areas. Conclusions: University professors will need to clearly recognize what their insufficient teaching competencies are, and continuous efforts will be needed to strengthen them, and teaching support organizations will need various program support to develop and supplement their insufficient competenci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