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방공무원의 직무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방안 - 서울ㆍ경기지역 소방공무원을 중심으로 -

        이주호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5 Crisisonomy Vol.11 No.10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직무역량영역에 있어 가장 시급하게 집중투자가 필요한 정책과제가 무엇인지 분석하기 위하여 IPA분석을 실시하는 한편, 이들 영역의 우선순위를 파악하기 위하여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한 우선순위 분석을 함께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연구의 방법론적 측면에서 IPA매트릭스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은 X축과 Y축을 구성하는 지표에 차이를 토대로 요구되는 투자 및 교육 우선순위를 선별하는데 있어 각각 유용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Borich 요구도의 결과값의 활용은 우선순위의 서열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각각의 연구방법이 향후 소방공무원 등 현장대응 역량을 강조하는 조직의 인적자원개발 분야에 있어 그 직무의 특수성을 고려할 때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performed IPA analysis in order to find policy issues that require intensive investment urgently in connection to fire officers’ job competency areas and, at the same time, performed priority analysis using Borich’s formula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in order to set priority among the areas. In the dimension of research methodology, the IPA Matrix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showed that there were useful differences in setting the priority of required investment and education based on differences in indexes forming axes X and Y, and in particular, the use of the outcome of Borich’s formula made it easy to set priority. In this sense, these methodologies are believed to be highly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in organizations emphasizing field response competency as required of fire officers due to the peculiarity of their job.

      • KCI등재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성 증진을 위한 교육요구분석

        이지희,이상민,김희대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1

        As there is a doubt about expertise of Korean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it requires them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 ability of counseling. Even though Korean school counselors need to be reeducated, few studies are there on systematic analysis to identify educational need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school counselors. Thu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uty of educational needs. First, to establish the list of duties, current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were asked to answer what are their current works. In addition, the special panel of school counseling reviewed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The result was that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duties were made up of 24 duties. Second, by using Borich's formula and Herschkowits' critical functional formula, the areas of educational needs were identified. As a result, school counselors desired to be reeducated for small group counseling, large group guidance, and education of parents and teachers. Especially, career and academic areas were needed to improve school counselors' expertis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ould be utilized to promote th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expertise in South Korea.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성 증진을 위한 교육요구분석으로, 전문상담교사들이 현재 하고 있는 업무를 파악하고, 그 업무를 기준으로 하여 어떠한 부분에서 교육이 필요한 것인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요구분석의 내용이 되는 전문상담교사의 업무 목록 구성을 위하여 전국 16개 시도에서 현재 근무 중인 전문상담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요구도는 보리치의 요구도 공식과 허쉬코비츠의 임계 함수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7개 영역의 24개 현행 전문상담교사의 업무들 중에서 집단상담과 집단교육의 교육요구순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한 교육청과 학교 소속 전문상담교사 모두 학부모와 교직원의 집단교육 및 연수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상담내용에 있어서는 진로와 학업 영역의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요구분석이 미비한 실정에서 실제로 활동을 하고 있는 전문상담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함으로써 그들의 전문성 증진을 위해서 필요한 교육요구 업무가 무엇인지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NCS학습모듈을 활용한 직업상담서비스 교육요구도 분석

        성수현(SuHyun Sung),박상우(SangWoo Park),염인숙(In-Sook Yeom),민현주(Hyunjoo Min) 한국직업교육학회 2021 職業 敎育 硏究 Vol.40 No.5

        본 연구는 NCS학습모듈을 활용한 직업상담서비스 교육요구도를 파악하여 교육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권 209명의 직업상담자들을 대상으로 Borich와 The Locus for Focus 분석을 통해 교육요구도 우선순위를 도출하였고, 직업상담자들의 군집분석 및 유형 세분화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최우선으로 고려되어야 할 학습모듈은 ‘구인・구직 발굴’과 ‘사후관리’로 나타났다. 이는 현장에서 요구되는 직무능력과 현재 수준과의 불일치 우선순위로 직업상담자의 이중적인 고충을 반영하고 있다. 차 순위로는 ‘전직지원’, ‘창업’, ‘재활상담’, ‘다문화상담’, ‘심층상담’, ‘매칭’, ‘경력목표설정’, ‘재취업상담’, ‘창업컨설팅’, ‘프로그램운영’으로 나타나 직업선택과 진로전환의 과정에서 일어나는 포괄적인 상담의 영역을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직업상담자들의 교육설계를 위해 5개의 군집유형을 도출하였고, ‘역량부족형’, ‘단기전략형’, ‘현장중시형’, ‘전략부재형’, ‘취업중시형’으로 명명하였다. 이들의 군집별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역량(현재수준)은 차 순위인 ‘전직지원’, ‘재활상담’, ‘다문화상담’, ‘경력목표설정’, ‘재취업상담’, ‘창업’, ‘프로그램운영’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의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NCS학습모듈을 기반으로 한 교육설계의 기초자료를 마련해야 한다. 둘째, 직업상담자들의 군집 간 세분화를 통해 실무적 교육에 적용되기를 기대한다. 셋째, 상담대상별 직업상담자들의 교육요구도와 효과성을 입증하는 후속연구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education design by identifying the education requirements for vocational counseling services using the NCS learning module. To this end, education needs were prioritized through Borich and The Locus for Focus analysis of 209 job counselo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cluster analysis and type segmentation of job counselor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learning modules that should be considered as the top priority were ‘recruitment/job search’ and ‘post-management’. This reflects the double grievances of vocational counselors as a prioritization of discrepancy between the job competency required in the field and the current level In the next order, ‘job change support’, ‘startup’, ‘rehabilitation counseling’, ‘multicultural counseling’, ‘in-depth counseling’, ‘matching’, ‘career goal setting’, ‘re-employment counseling’, ‘startup consulting’, ‘program operation’ ‘, and it was found to reflect the field of comprehensive counseling that occurs in the processes of career selection and career change. For the education design of these vocational counselors, five cluster types were derived, and they were named ‘capacity deficit type’, ‘short-term strategy type’, ‘site-oriented type’, ‘strategic absence type’, and ‘employment-oriented type’. Competencies (current level) that show distinct differences by cluster of these people are ‘replacement support’, ‘rehabilitation counseling’, ‘multicultural counseling’, ‘career goal setting’, ‘reemployment counseling’, ‘startup’, ‘program operation’ appeared as. Sugges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asic data for educational design based on the NCS learning module should be prepared. Second, it is expected to be applied to practical education through segmentation between groups of job counselors. Third, follow-up studies are expected to prove the educational needs and effectiveness of vocational counselors by counseling target.

      • KCI등재

        중등교사의 정서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일반교과교사를 중심으로

        임유하,김진선,신주연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4 상담심리교육복지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교사가 인식하는 정서역량에 대한 중요도 수준과 실제수행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고 교사의 정서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의 우선순위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중등교사 250명을 대상으로 중등교사 정서역량 척도를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t검정, Borich 요구도 분석, 허쉬코비츠 임계함수 분석을 실시하여 종합분석을 통해 교육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교사의 정서역량은 모두 현재수행 수준이 중요도 수준보다 낮았고,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Borich 요구도 값 상위 에 속하며 허쉬코비츠 임계함수 LH분면에 모두 속한 ‘교육 최우선순위 역량’은 정서조절 3문항, 정 서이해 및 평가 3문항, 의사소통 2문항, 긍정성 1문항으로 주로 개인정서역량들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등교사 대상의 정서역량 증진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교사들이 자기감정을 적절히 조 절하고 관리하며 정확하게 이해하는 정서역량들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gap between the importance level and their current performance level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emotional competencies and to identify the priority of education to improve emotional competencies. Using the emotional competency scale for secondary school teacher, a survey was conducted involving 250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examined using a t-test, Borich's need analysis and Hershkowitz criticality function to determine the priorities of the educational needs regarding emotional competenc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formance level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were lower than the importance levels in all of competencie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areas. Second, the highest priority educational competencies include emotional regulation, emotional understanding and appraisal, communication, and positivity, primarily focusing on individual emotional competenc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n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s for secondary school teachers, it is important to prioritize the emotional competencies that enable teachers to regulate, manage, and accurately understand their own emotions.

      • KCI등재

        군 정신전력교육 수업 주제에 대한 요구분석

        전해님,박인우,현승범,정태윤,유기웅 국방정신전력원 2022 정신전력연구 Vol.- No.69

        This study attempted to select topics to be considered first in future classes by analyzing the importance, understanding, and priority of class topics recognized by major groups related to TI&E class. To this end, we derive 63 potential class topics and survey company commanders, and TI&E officers, and the soldier groups. As a result of conducting a t-test and Borich's need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nalysis on a total of 347 questionnaires, various demands appeared for each group. By summarizing this, we selected 23 topics with priorities in two or more groups as core topics, and 21 topics with priorities in one group as essential topics. In the case of 19 topics that did not show priorities, they were included as selected topics because content experts verified them in the selection process and showed the importance of more than 4 points in the survey. In future weekly TI&E education, it suggests that the core topic should include at least once a year in basic task education, and essential topics should include in basic tasks or current affairs security education. And we could consider selected topics as sub-topics of core or essential topic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discussed methods of motivation, unification education,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content added in the 2019 textbook, and group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values.

      • KCI등재

        지구 온난화 완화를 위한 초⋅중등 학생의 행동실천 우선순위 비교 -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 활용 -

        여상인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24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14 No.1

        This study aim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priority of education on specific pro-environmental behaviors in the education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o reduce global warming. For this study, a total of 86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107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urveyed on their performance and needs with regard to behaviors to reduce global warming. The Borich priority determination formula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ere used in order to determine the priority of needs using survey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or 16 pro-environmental behaviors related to global warming, there were no difference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ir behavioral importance (what should be), but behavioral performance was higher in elementary students than in middle school students (what is), and bo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formance compared to importance for most of the pro-environmental behaviors. The Borich priority determination formula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ere used to determine the priori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r reducing global warming, and it was demonstrated in the results that the pro-environmental behaviors with the highest priority for education were “use smaller cars,” “use of public transportation,” “use of renewable energy,” and “international environmental agreement. 본 연구에서는 지구온난화 완화를 위한 초⋅중등 학생의 행동실천교육에서 특정행동에 대한 교육의 우선순위 를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초등학생 86명과 중학생 107명을 대상으로 지구온난화를 완화하기 위한 행동에 대하여 수행도와 요구도를 조사하였고, 교육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하여 Borich 요구도를 산출하였으며,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우선순위를 시각화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구온난화를 위한 16개 특정행동에서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행동 요구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실천 수행도에서는 초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높았고, 초등학생과 중학생 모두 대부분의 특정행동에서 요구도에 비해 수행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낮았다. 이를 토대로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종합한 결과, 지구온난화 완화를 위한 환경교육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특정행동이 ‘소형차 사용’, ‘대중교통 이용’, ‘신재생에너지 활용’, ‘환경 국제협약 체결’임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IPA와 Borich 요구도 분석을 활용한 학교자치에 관한 정책 방향성 탐색

        이지혜 충북대학교 국제개발연구소 2022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12 No.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level of implementation of school autonomy as perceived by students and par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tudents and parents. The results of the IPA and Borich analyses of the data of 12,417 students and 34,500 parents were as follows: first , with regard to the elements that require urgent improvement in the priority improvement areas, the level of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ithin the educational community needs to be elevated in order to take self-autonomy forward; second, long-term improvement in effective legislation and policy reforms are needed to reactivate parental autonomy through the Parents' Association; third, the elements that need to be maintained as they are in the first quadrant, and the elements that entail wider efforts across different fields in the fourth quadrant, are all related to the educational curriculum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과 학부모가 인식하는 학교자치의 현 실행 수준을 파악함과 동시에 앞으로 학교자치 발전을 위해 어떤 항목이 중요한지를 파악하여 개선이 시급한 정책 영역을 도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의 연구 대상은 학생과 학부모이며, 학생 12,417명, 학부모 34,500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IPA와 Borich 요구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사분면(우선 개선 필요)에 위치한 항목들을 고려할 때, 학교자치가 한걸음 더 나아가기 위해서는 가장 우선적으로 현재 보다 더 높은 수준의 교육공동체소통과 협력이 필요하다. 둘째, 3사분면(장기적으로 개선 필요)에 배치된 항목을 고려할 때, 학부모회를 통한 학부모자치 활성화를 위해서는 실효성 있는 법령이나 정책 정비 등 장기적인 관점에서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1사분면(현재처럼 유지)과 4사분면(노력 분산 필요)에 공통적으로 배치된 항목들은 교육과정과 관련한 내용들로, 현재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 협의 결과가 교육과정 운영계획 수립에 가장 잘 반영되고 있으며, 논의와 협의에 의한 교육과정 다양화 또한 잘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결혼의향이 높은 미혼남녀의 예비부부교육 요구도 우선순위 분석: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 활용

        이가은(Gaeun Lee),김서영(Suh Young Kim) 한국가족정책학회 2022 가족정책연구 Vol.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의향이 높은 서울시 미혼남녀의 예비부부교육 프로그램 운영방식 선호도를 분석하고,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는 5단계 요구우선순위 결정방안을 토대로 예비부부교육 주제에 대한 요구 및 우선순위를 밝히는 것이다. 현재의 교제 상대와 결혼의향이 높은 서울시 미혼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운영방식 선호도는 기술통계를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주제에 대한 요구 및 우선순위는 필요수준과 현재수준 간 평균 차이를 검정하는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한 후, Borich 요구도 분석방법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상위 우선순위에 해당하는 교육주제를 도출하였다. 프로그램 운영방식은 단회기, 회기 당 1시간, 주말 오후 및 오전 시간, 비대면, 쌍방향 실시간형을 가장 선호하였다. 예비부부교육 주제는 ‘부모됨’과 ‘재무관리’가 중복적으로 상위 우선순위로 도출되어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할 주제였다. 본 연구는 결혼의향이 높은 미혼남녀의 예비부부교육 요구도를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예비부부교육의 개발 및 보완을 위한 유용한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implementation method preferences for premarital education programs and to identify the needs and priorities among education content utilizing the 5-step procedure of systematic needs analysis. The data came from 500 unmarried individuals living in Seoul, who have high intentions to marry their current partner. To analyze the needs and priorities of seven premarital themes, we used paired sample t-tests, Borich priority formula,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participants preferred when premarital education is a single session, lasts for an hour, holds on weekend afternoons or mornings, and uses virtual synchronous platforms. Among seven themes, parenting and financial management were the top priorities. This study provides useful data for premarital education programming by systematically analyzing the needs and priorities of individuals with high marital intentions.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스피치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

        양소정,이주헌 한국교양교육학회 2013 교양교육연구 Vol.7 No.4

        In this study, based on the recognition of which the speech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is considered as one of the primary qualification, the educational needs of speech to improve the speech competence of Korean students is examined. As its results, it is proved that the current state of speech competence which the students think by themselves is ‘moderate(3.18 points)’ and the necessary state which they think is ‘necessary(4 points)’. Also, by considering comprehensively the critical functions of the Borich formula and Hershcowitz formula, it is verified that the preferential contents of speech education are ‘interaction with audience’, ‘hosting with drawing the audience's participation', ‘appropriate asking and effective answering’, ‘vivid voice’, ‘precision of pronunciation’, ‘mind control of anxiety for questions’, and 'creativity'. Finally, it is resulted that the educational needs for speech are par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grades. Based on those results, to improve the speech competence of the college students, the most important core educational contents which should be considered most preferentially in speech curriculum are positively verified.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스피치 능력이 현대 사회에서 주요한 자질로서 평가되고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스피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스피치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들 스스로가 인지하는 본인의 현재 스피치 능력은 ‘보통(3.18점)’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피치 교육이 본인에게 ‘필요(4점)’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보리치(Borich) 공식과 허쉬코비츠(Hershkowitz)의 임계함수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 대학생들은 ‘청중과의 상호작용’, ‘청중 참여를 유도하는 진행’, ‘적절한 질문과 효과적인 답변’, ‘생동감 있는 어조’, ‘발음의 정확성’, ‘질문에 대한 불안감 관리’, ‘창의성’ 항목에 대한 스피치 교육을 가장 우선적으로 필요로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학년별 스피치 교육요구도 순위는 부분적으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스피치 능력 향상을 지원하기 위해 관련 교육과정에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핵심 교육내용이 무엇인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스마트교육 구현을 위한 학교 관리자 역량 요구 분석

        윤소희,권순형,강성주,김인희,김현진,정순원,계보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3 敎員敎育 Vol.2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discuss the school administrator's competency for SMART education in a new paradigm of educational change. To do this, 49 competency element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he school administrator's in-depth interview were divided by Knowledge and understanding competency group, Management and support competency group, Values ​​and attitudes competency group, Other competency group. In order to confirm the competency ranking, We developed the tool as a research, surveyed for the SMART school's administrator and conformed the final competency elements for using Borich priority formula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nalysis. In conclusion, Knowledge and understanding competency group consists of SMART learning conceptual understanding, understanding of cooperative learning, knowledge of SMART learning methods of operation, SMART education and creativity education relationships. Management and support competency group consists of communication and administrative & financial support will. Values ​​and attitudes competency group consists of changes in the school culture to understand, adaptable to new changes and democratic mindset. Finally, Other competency group consists of SMART education and student guidance, expanding Higher Thinking, utilization of SMART devices. 본 연구는 교육변화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스마트교육 구현에 요구되는 학교 관리자의 역량을 탐색하고 논의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교육 시범학교 관리자의 심층면담 분석결과와 선행연구의 논의를 토대로 스마트교육 구현을 위한 학교 관리자 역량군으로 ‘지식·이해’ 역량군, ‘가치·태도’역량군, ‘관리·지원’ 역량군, ‘기타’역량군 4개군 49개 역량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역량 요소는 조사도구로 구안하였고 스마트교육 연구학교에 재직 중인 학교 관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각 역량군 요소에 대한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활용하여 우선순위 및 필수 역량 요소를 추출하였다. 분석결과 ‘지식·이해’ 역량군에서는 4개(스마트교육 개념적 이해, 협동학습의 이해, 스마트교육 운영 방법 지식, 스마트교육과 창의성 교육 관계), ‘관리·지원’ 역량군에서는 2개(의사소통, 행·재정적 지원), ‘가치·태도’ 역량군에서는 3개(학교문화의 변화 이해, 새로운 변화에 대한 적응력, 민주적 마인드), ‘기타’ 역량군에서는 3개(스마트교육과 학생 생활지도, 고등사고력 신장, 스마트기기 활용 능력)이 도출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