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학교문화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행복감과의 관계

        최상미,박재국,김은라,김일수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2019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Vol.1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evel of awareness about school culture and happines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o examine their relationship. Method: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01 teachers of special schools in ‘U’ and ‘B’ city area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he data collected in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and statistical processing of the data was conducted with t-verification and one-way ANOVA and Pearson balance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level of awarenes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chool culture was high, and that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age of teachers, the period of their teaching experience, the period of service at their school, and the homeroom teacher status, marriage status. Second, the level of happines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high, and depending on the background varia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identified among groups depending on their teaching experience.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f school culture and happiness was a static correlation, indicating that the more positive the level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f school culture was, the happier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was.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finding healthy school cultures pursu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ways to improve the happines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I want to provide the implications for creating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pursues happiness in the field of school.

      • KCI등재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의 중요도-실행도에 대한 중등특수교사의 인식 분석

        박철현,이수정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9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of secondary special teacher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5-year plan for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by using IPA and to give policy implications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 this regard,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how much importance and performance secondary special teachers recognize about each of the five-year plans for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ortance and the performance of each of the five-year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plans recognized by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IPA quadrant? To this end, a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by focusing on the 4th and 5th development plans of the 5-year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Plan, the mid- to long-term education policy of special education.Through paired T-test and IPA, we identified secondary special teachers' perception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 each area of ​​Five-year plan for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Teacher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improving such facilities as special school and classes, teacher training for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and special education training for general education teachers. The teachers’ perception of performance was the securement of legal rate of recruitment, the Human Rights Support Tea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training of teachers for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All questions but three question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at the significance level p <.05. More on-site policies that reflect the needs of teachers should be created. Teachers should actively try to identify and monitor policy changes and continue to develop themselves. 이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에 대한 중등특수교사들의 인식을 IPA기법을 활용하여 중요도-실행도를 알아보고 중요도와 실행도 간의 관계를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주고자 한다. 이와 관련하여 연구 문제는 첫째,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 각 정책들에 대해 중등특수교사들은 어느 정도 중요하며 어느 정도 실행되고 있다고 평가하는가 둘째, 중등특수교사가 인식하는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 각 정책들의 중요도-실행도의 관계는 IPA 사분면의 어디에 해당하는가이다. 이를 위하여, 특수교육의 중장기 교육정책에 해당하는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중 제4차 발전 계획과 제5차 발전 계획을 중심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여 중등특수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대응표본 T-test를 통하여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의 각 영역별로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중등특수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았고, IPA를 통해 사분면의 위치에 따른 분석을 실시하여 중등특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중요도 인식은 장애유형 및 특성에 적합한 특수학교(급) 시설ㆍ설비 등 기준 개선, 인권보호를 위한 교원 연수 실시, 일반교육교원의 특수교육 관련 연수 실시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의 실행도 인식은 특수교사의 법적 충원율 확보, 장애학생인권지원단의 내실 있는 운영, 인권보호를 위한 교원 연수 실시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요도와 실행도 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개별화교육계획 작성 시 NEIS의 사용, 인성교육 강화 및 체육ㆍ문화예술 활동 운영, 취업률 확대를 위한 특수학교 학교기업의 운영 필요성 문항을 제외한 모든 문항이 유의수준 p<.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내릴 수 있는 결론은 교육정책의 효과적인 실천을 위해서는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에서 특수교사의 요구를 반영한 현장 적용성이 높은 정책이 보다 더 많이 생겨야하며, 특수교사는 적극적으로 정책의 변화를 파악하고 점검하며 꾸준히 스스로를 발전시키려는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특수교육 교사의 과학교육 신념과 과학의 본성 인식 특성

        정동영(Chung Dong-young),이철우(Lee Cheol-woo)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0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eliefs of science education and the perception of science nature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achieve these purpose, 133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selected and the belief in science education and the nature of science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beliefs about science education are that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Classroom are stronger than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school ,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stronger than Secondary teachers. Seco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for Nature of Science are that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Classroom and elementary school are higher than special education school and Secondary school. This is because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Classroom and elementary school have easy access to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Third, The ratio of Traditional recognition and Mixed recognition is that special education school is more than Special education Classroom, and Secondary school is more than elementary school. Therefore,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beliefs about science education and perception for Nature of Science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where teachers work. 본 연구는 특수교육 교사의 과학교육 신념과 과학의 본성 인식의 특징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전국에서 특수교육 교사를 선정하여 ‘과학교육 신념 및 과학 본성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 특수교육 교사의 과학교육 신념은 특수학급 교사들이 특수학교보다 더 강하고, 초등학교 교사들이 중․고등학교 교사보다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수교육 교사의 과학의 본성 인식도 일반교육 교육과정 접근이 용이한 특수학급과 초등학교의 교사들이 특수학교와 중·고등학교 교사들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특수교육 교사들은 특수학급보다 특수학교의 교사들이, 초등학교보다 중·고등학교의 교사들이 전통적 인식과 혼합된 인식을 가진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특수교육 교사의 과학교육 신념 및 과학의 본성 인식은 교사들이 근무하는 학교 특성에 따라 다르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교사교육프로그램의 통합교육에 필요한 교사 자질 형성 기능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권현수 한국특수교육학회 2011 특수교육학연구 Vol.4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into the standard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identify what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quality teachers in inclusive classrooms as well as how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s should reform their curriculum to support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become the successful teachers in inclusion. For that purpose, the author investigated the several organizations' teacher standards such as CEC, INTASC, NBPTS, and NCATE and developed the survey questions based on CEC and INTASC standards. One hundred and sixty on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asked about their perceptions about their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learned above average level of content knowledge and skills that were required for quality special education teachers. However, they revealed that they had lack of knowledge about collaboration as well as foundations about special education and assessment. There wasn't any statistical differences among variables such as educational level, teaching experience, route for license, and in-service education experiences. However,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graduated from special education bachelor's programs, had masters' degrees, and got in-service trainings about inclusion showed more positive perceptions about their learning experiences. From that result, the researcher suggested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 education programs would emphasize the collaboration in their curriculum and encourag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participate more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본 연구는 일반학교에서 통합교육을 받는 특수교육 대상자의 수가 증가하는 최근의 추세를 감안하여 통합교육 현장에서 특수교사에게 요구되는 자질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교사교육(양성과 재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이러한 자질을 습득하는데 도움을 주려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먼저 미국의 여러 단체들에서 제안하고 있는 통합교육 상황에서 특수교사가 갖춰야 할 자질에 대한 기준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161명의 서울과 수도권의 특수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국내 특수교사들은 양성과 재교육을 통해 특수교사 자질로 요구되는 능력을 갖추는데 보통 이상의 도움을 받았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학력, 경력, 특수교사 자격 취득경로, 연수경험 등의 변인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인식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학력이 높고 학부에서 특수교육을 전공하거나 통합교육 관련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들이 그렇지 않은 교사들에 비해 교사교육 과정에서 통합교육에 필요한 특수교사의 자질을 갖추는데 도움을 받았다고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반영하여 특수교사 양성과 재교육 등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교육 내용과 방법에 대한 개선책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통합교육을 지원하는 특수교사의 지원 역할에 대한 중요도 및 실행 수준 인식

        이태형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4 지적장애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통합교육을 지원하는 특수교사의 지원 역할에 대한 중요도 및 실행 수준의 인식을 알아보고 운영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전국의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통합교육을 지원하는 특수교사 8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및 원격으로 설문을 수집하였다.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통합교육을 지원하는 특수교사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관한 인식 수준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통합교육 지원 역할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구체적인 지원 역할에 대한 지침을 마련하여 지원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저경력 교사와 고경력 교사를 대상 통합교육 지원 프로그램을 다양화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고, 유치원 및 초등학교 통합학급교사대상 통합교육 교육(연수)의 실시로 통합교육 전반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셋째, 특수교사의 지원 역할에 대한 실행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 특수교사들이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근무할 수 있는 기간 연장을 통해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 간 긴밀한 협력이 잘 이루어 질수 있는 지원 역할을 통하여 특수교사의 역할에 대한 실행 수준을 더 높일 수 있게 해야 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통합교육을 지원하는 특수교사의 지원 역할에 대한 중요도 및 실행 수준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of the support role of special teacher who support inclusived education at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nd to suggest operational plans. Surveys were collected online and remotely from 84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support inclusive education at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cross the country. Differences in the level of awareness regard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pecial teacher who support inclusive education at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were analyzed. Research results: First, there is a ne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support role of special teacher and prepare and support guidelines for specific support roles. Second, there is a need to diversify and present inclusived education support programs for low- and highly-experienced teachers, an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nclusive education as a whole by implementing inclusive education education (training) for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eds to be. Third, in order to increase the level of performance of the support role of special teacher, it is necessary to create conditions in which special teachers can demonstrate their expertise by extending the period during which they can work at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In addition, the level of performance of the role of the special teacher should be further improved through a support role that enables close cooperation between the special teacher and the inclusive classroom teacher.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of the support role of special teacher was discussed.

      • KCI등재

        특수교사가 지각하는 기간제 특수교사 이미지 연구

        김한샘,김라경 한국통합교육학회 2016 통합교육연구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ypes of images of contract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o analyze each type’s characteristic. Around 300 Q-samples were extracted by conducting semi-structured interview of 12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analyzing previous research about contracted teaches. 40 Q-classifications were selected after testing validities of questions and contents from the Q-samples. Selected Q-classifications were carried out on the image of contract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30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were objects of this study. The results shows that images of contract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classified as 4 types. The first type was “Student-centered practitioners with responsibility”, second “Assistant with unclear work limitations”, third “Theorists with difficulty in relationships”, and fourth “Good but passive and immature newcomer.” Type 1 contract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re considered as they care their students the most, and do their best at work. Type 2 teachers are considered unclear in their limits of work due to unfair divisions of work, and also show the perceptions of their social status is lower than special education teachers’. Type 3 teachers are less likely show their emotions, believed as having hard time in building relationship, but generally have plenty of theoretical knowledge. Type 4 teachers are considered as less likely express their own opinion, and lack of the skills needed as a teacher, but they are kind. Therefore, it suggests that practical proposals. such as policy ideas and school life adjustment program for contracted special teachers, are needed. 본 연구는 Q방법론을 통하여 특수교사가 지각하는 기간제 특수교사에 대한 이미지를 유형화하고 각 인식유형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특수교사 12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기간제 교사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일차적으로 약 300개의 Q-모집단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Q모집단은 적절성과 내용 타당도를 확인하여 최종적으로 40개의 Q-표본으로 추출한 후 P표본으로 선정된 30명의 특수교사에 주관적 동의정도를 7점 척도로 분류하고 통계 프로그램(PQMethod)을 통해 요인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특수교사가 지각하는 기간제 특수교사의 이미지에 대한 유형을 분석한 결과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제 1유형은 ‘학생중심의 책임감 있는 실천가’, 제 2유형은 ‘관계형성에 어려움을 겪는 이론가’, 제 3유형은 ‘업무의 한계가 불명확한 도우미’, 제 4유형은 ‘소극적이고 미숙하지만 착한 신참내기’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기간제 교사의 이미지 제고 및 교사양성 프로그램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공하는데 기초적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다문화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연구

        김향지 ( Hyang Ji K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3 지적장애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다문화교육의 필요성과 실행 의지를 살펴봄으로써 교육현장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내적 충실성을 도모하기 위한 접근방법을 찾는데 있다. 연구의 참여자는 목적표집을 통해 특수교사 12명을 선정하였으며, 이들에게 반구조화 된 면담을 3차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특수교사는 다문화에 대한 개념·지식은 극히 제한적이라고 자평하고 있으며, 다문화교육의 개념을 차이에 대한이해, 다양성 이해, 배려와 포용 교육, 반편견 교육 세계화 교육으로 인식하고 있다. 둘째, 특수교사는 장애아동을 포함하는 모든 아동의 개별적 요구에 따른 적절한 지원으로 교육적 성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셋째. 특수교사는 다문화가정 장애다동의 이해와 지원을 돕고 다문화교육의 필요성과 전문성 강화를 위한 사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다문화교육을 전담하여 실행하고자 하는 의지를 나타내었다. 넷째, 특수교사가 다문화교육을 전담하게 되면 다문화와 장애를 동일시하게 되어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불필요한 오명을 씌울 수 있고 전문성 부재에 대한 우려가 있다. 따라서 특수교사가 다문화교육을 전담하여 실행 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needs and willingness of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special teachers specializing in the education for multicultural children in order to have the approach to have better education method. For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he issues for research are designated as follows. First, how do the special teachers recognize the concept and knowledge of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how do the special teachers feel on the need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ird, how about the special teacher′s willingness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ourth , what do the special teachers think are the problems i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ways for improvement? 12 special teachers for specializing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selected for the study as subjects and 3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pecial teachers get the multiculture education contents from mass media rather than actively finding out from various sources and they recognize that their concept and knowledge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re limited. Second, the special teachers recognize that the education for the understanding the multicultural family is need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education and the education shall be supported by the proper support according to the individual needs of each child including the disabled shildren. Third, the special teacher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the special teachers in understanding and supporting the disable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show their willingness to contribute to the education. Fourth, of the special teachers conduc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only, people may confuse that the multicultural children are the same as the disabled one. So, it is necessary to have the system in which the special teacher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ocuses on the related education only.

      • KCI등재

        특수학교 교사의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 및 능력에 대한 인식

        김일명 ( Il Myong Kim ),조홍중 ( Hong Joong Cho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6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교 교사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과 능력 및 능력형성의 저해요인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특수학교 교사 122명을 대상으로 하여 특수학교 교사가 생각하고 있는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과 능력 및 능력형성의 저해요인을 빈도분석 및 chi-square분석(χ2검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에 대한 특수학교교사 인식은「생활지도 보조」가 44.2%로 가장 중요한 역할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중요한 역할은「수업보조」로 28.6%, 그리고 「사무처리 보조」가 24.5%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육보조원의 능력에 대한 특수학교교사의 인식은「특수교육에 대한 지식」이40.1%로 가장 중요한 능력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두 번째로 중요한 능력은 「일반교육에 대한 지식」으로 38.5%, 그리고 「치료교육에 대한 지식」은 23.1%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육보조원의 능력형성의 저해요인에 대한 특수학교교사의 인식은「학생요인」이 36.8%로 가장 중요한 능력형성의 저해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두 번째로 중요한 능력형성의 저해요인은「제도요인」으로 36.0%, 세 번째로 중요한 능력형성의 저해요인을「전문지식에 대한 요인」으로 32.7%, 그리고 「교사요인」이 26.2%로 나타나 능력형성의 저해요인으로 교사요인이 가장 낮은 비중인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s, competencies, and factors disturbing competencies of teacher-aide in special education perceived as important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122 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Perceived roles, competencies, and factors disturbing competencies of teacher-aide in special education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 analysis.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First, for perceived roles of teacher-aide in special education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id to life guidance」(44.2%) was perceived as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aid to class」(28.6%), while 「aid to office management」(24.5%) was perceived as the least important. Second, for perceived competencies of teacher-aide in special education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understanding of special education」(40.1%) was perceived as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understanding of general education」(38.5%), and while 「understanding of treatment education」(23.1%) was perceived as the least important.Finally, for perceived factors obstructing competencies of teacher-aide in special education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student factor」(36.8%) was perceived as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institutional factor」(32.7%), while 「teacher factor」(26.2%) was perceived as the least important.

      • KCI등재

        예비특수교사의 회복탄력성 분석에 대한 연구

        최진성 ( Choi Jin-seo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6 지적장애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예비특수교사가 보이는 회복탄력성의 전반적인 특징을 살펴보고, 인구사회학적인 변인에 따라 회복탄력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경상남도에 재학 중인 예비특수교사 32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도구로는 Reivich와 Shatte(2003)의 회복탄력성 지수검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첫째, 예비특수교사의 회복탄력성은 회복탄력성 전체와 하위요인 모두에서 보통이상으로 나타났다. 공감능력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다음으로 정서조절력, 낙관성, 충동통제력, 자기효능감, 적극적도전성, 원인분석력 순이었다. 둘째, 예비특수교사의 인구사회학적인 변인-성별, 학교유형, 종교유무, 연령, 학년, 성적평점, 전공만족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남성이 여성에 비해 적극적도전성이 높게 나타났다. 국·공립 대학교에 재학중인 예비특수교사가 사립 대학교에 재학중인 예비특수교사에 비해 낙관성과 공감능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적극적도전성에서는 반대로 나타났다. 종교를 가지고 있는 예비특수교사가 회복탄력성 전체와 충동통제력, 원인분석력에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23세 이상 예비특수교사가 회복탄력성 전체와 원인분석력, 충동통제력, 자기효능감, 적극적도전성에서 다른 연령의 예비특수교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4학년 예비특수교사가 2학년 예비특수교사에 비해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성적이 높을수록 회복탄력성이 높게 나타났다. 전공만족도가 만족하는 예비특수교사가 다른 예비특수교사에 비해 회복탄력성이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overall aspects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silience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the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silience according to their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 subject s of this study were 326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tending universities in Gyeongnam regional. The research tool utilized was RQT(Resilience Quotient Test) developed by Reivich and Shatte(2003).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eans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 resilience scores (total and subordinate factors) was above average. In terms of the subordinate factors, the highest score was empathy, followed by emotion regulation, optimism, impulse control, self-efficacy, reaching out, casual analysis. Second,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sex, school type, religion, age, grade, grade point average of, major satisfaction-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silience total and each of the subordinate factors. The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man teachers` showed higher reaching out than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woman teachers`. Attending nation/public universities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ppeared to higher optimism, empathy. Attending private universities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ppeared to higher reaching out. Religion have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ppeared to higher total resilience score, impulse control, casual analysis. Over 23 years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wed higher total resilience score, casual analysis, impulse control, self-efficacy, reaching out than other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nior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wed higher self-efficacy than sophomore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higher score, the higher resilience scores.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content with major showed higher resilience scores than other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 KCI등재

        온라인 커뮤니티에 참여한 특수교사들의 학부모에 대한 인식과 경험

        홍정숙 ( Hong Jeongsuk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1 No.1

        [목적] 이 연구에서는 온라인 커뮤니티에 참여한 특수교사들의 학부모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밝히고, 그 의미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온라인 커뮤니티에 2019년 12월 31일까지 7년 여간 게재된 글 가운데 학부모 관련 글을 수집하였고, 이 자료를 연속적 비교분석법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결과, 28개의 하위 주제, 11개의 주제와 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결과] 2개의 범주는 ‘특수교사가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겪는 어려움’과 ‘학부모와의 관계 가운데 느끼는 특수교사로서의 보람과 성찰’이었다. 11개 주제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학부모라는 존재 자체의 불편함, (2) 학부모 역할에 대한 기대와 현실 간의 간극, (3) 동반자관계 형성의 장벽: 신뢰와 존중의 결여, (4) 왜곡된 권리의식의 표출: 무리한 요구와 교권침해, (5) 힘겨운 소통, (6) 부정적 경험이 낳은 심리적 위축과 소진, (7) 학생의 학습권에 악영향을 미치는 학부모와의 부정적 관계, (8)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느끼는 보람, (9) 학부모와의 연대와 배움의 필요성, (10) 학부모 마음 알아주기, (11) 특수교사의 교직 정체성과 교권 지키기. [결론] 특수교사들은 온라인 커뮤니티에 학부모와 겪은 부정적 경험 위주의 글을 올린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학부모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경험에 대한 분석은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더라도 특수교사들은 학부모와의 관계 속에서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는 대표적인 시사점 세 가지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에 의한 교권침해는 특수교사의 인권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교육권 침해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시급한 대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기간제 특수교사는 그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었다. 학교장의리더십 발휘를 통한 기간제 특수교사의 안정적인 교육 여건 조성이 필요하며, 근본적으로는 정규교사의 비율을 높이고 기간제 특수교사는 불가피한 경우에 부분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적극 검토되어야 한다. 셋째, 예비특수교사와 특수교사들이 특수교사 양성 및 연수 과정에서 교육 체계 안과 밖의 가족 지원 제도를 배울 수 있도록 하고, 부모상담 역량 또한 키울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 밖에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사들의 학부모에 대한 인식과 경험의 의미와 시사점을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a leading online community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parents and their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Method] Of the posts uploaded by December 31, 2019, those relating to parents were colla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comparative sequential method. From the data analysis, 28 subthemes, 11 themes, and 2 categories were identified. [Results] The two categories were “special education teachers’difficulties in their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a sense of reward and self-reflection experienced as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ir relationship with parents.” The main contents of the 11 themes were as follows: (1) inherent discomfort with parents, (2) a gap between expectations for the role of parents and reality, (3) barriers to the formation of partnerships―lack of trust and respect, (4) an expression of a distorted sense of entitlement―unreasonable demands and the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5) difficult communication, (6) psychological withdrawal and exhaustion caused by negative experiences, (7) negative relationships with parents that adversely affect students’ right to learn, (8) a sense of reward felt in relationships with parents, (9) the need for solidarity with parents and learning, (10) the need to empathize with parents, and (11) the need to protect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and rights. [Conclusi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tended to make posts centered around their negative experiences with parents in the online community. Therefore, the analysis of their positiv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about parents was quite limited in this study. On further consideration of this point,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found to face various difficulties in their relationship with parents. Based on the study’s results, the following three broad implications are presented: First, the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by parents leads to the violation of not only special education teachers’ human rights but also students’ right to education. In this sense, it seems urgent to provide proper measures. Second, nontenur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ported experiencing growing difficulties in their relationship with parents. This requires the creation of stable education conditions for nontenur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rough the leadership of school principals. Fundamentally, the government should actively examine the measure of raising the ratio of tenured teachers and partially employing nontenur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f necessary. Third, learning family support systems both inside and outside the education system should be considered a priority in the course of training prospectiv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in skill improvement for incumbent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addition, their capability to counsel parents should be enhanced. In addition,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f and experience with parents are discussed and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