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특수교사의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여가 활용 교과서에 대한 만족도 조사

        원성연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5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8 No.2

        This study is aimed at evaluating the merits and demerits of 2011 special education leisure use textbooks and analyzing the satisfaction of special teachers.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satisfaction on the organizing system of leisure use textbook? Second, What is the satisfaction on the organizing contents of leisure use textbook?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atisfaction on the composition system of special education leisure use textbook, the overall satisfaction was analyzed to be high in the external system and internal system.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atisfaction on the composition contents of special education leisure use textbook, the overall satisfaction was analyzed to be high in the area of contents selection, connectivity, sequence, learning level, learner participation inducement. The satisfaction of teachers working in special school was higher than one of teachers working in the special class mutually in both study problems, and the satisfaction of teachers with the education career under 5 years appeared to be higher than one of teachers with the education career over 5 years, and the satisfaction when drawing up the leisure activity-related budget was analyzed to be higher than when not doing so. cordingly, the current leisure use textbook is being used more usefully by teachers in special school with the education career under 5 years who have the leisure activity-related budget. 본 연구는 2011년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선택교과 여가 활용 교과서의 장단점을 평가하고, 이를 보완하는 지원방향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선택교과에서 여가 활용 교과를 선택하여 교육과정을 운영 중인 전국의 특수학교(급) 중등 과정의 특수교사 140명을 대상으로 직접 방문과 한국교원대학교 KSDC DB를 통해 의도적으로 선정하여 조사지를 배포 및 회수하였다. 그 결과 특수교육 교사들은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의 여가활용 교과서 구성체제와 구성내용에 대해 특수학교 교사들이 특수학급 교사들보다, 그리고 여가활동 예산 지원을 받는 교사들이 그렇지 않은 교사들보다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교육경력이 짧은 교사들이 교육경력이 많은 교사들보다 구성내용에 대해 더욱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가 활용 교과서의 만족도 제고를 위해서는 여가 활용 교과 운영을 위한 기반 조성이 필요하며, 교육경력이 많은 교사들의 경우 새로운 여가 활용의 내용에 대한 현직 연수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초등학교 특수교육 교사와 일반교육 교사의 교과 특성 인식 및 수업행동 특징 비교

        정동영(Chung Dong-young),김상민(Kim Sang-min)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8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특수교육 교사와 일반교육 교사의 교과 특성 인식과 수업행동의 특 징을 분석하고, 그들의 교과 특성 인식과 수업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 구는 전국의 초등학교 특수교육 교사 97명과 일반교육 교사 83명을 연구 대상으로 조사 연구를 실 시하여 이들의 교과 특성에 대한 인식과 수업행동을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특수교육 교 사와 일반교육 교사는 교과의 정적 특성을 정의된 특성과 계열적 특성보다 더욱 중요하게 인식하 지만, 특수교육 교사는 일반교육 교사보다 교과의 정적 특성을 더욱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리고 특수교육 교사와 일반교육 교사는 수업행동에서도 상호작용 활발성을 가장 중요시하고, 그 다 음으로 수업절차 개별화를 중요시하지만, 특수교육 교사는 수업절차의 개별화를 일반교육 교사보다 더욱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육 교사의 수업행동과 그 구성요소는 모두 교과의 정적 특성과 체계적 특성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더 많이 받는 반면, 일반교육 교사의 수업행동은 교과의 정의적 특성과 계열적 특성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더 많이 받으나, 그 구성요소는 각각 다 른 특징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특수교육 교사는 일반교육 교사와 교과 특성에 대한 인식 과 수업행동에서 공통점을 지니고 있지만, 일반교육 교사보다 교과의 정적 특성을 더욱 중요하게 인식하고, 수업행동에서 개별화를 더욱 중요시하는 특징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교과 특성의 인식에 따라 이들의 수업행동도 달라진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subject matter characteristics of the element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to investigate relations between the perceptions of subject matter characteristics and teaching behaviors of them. This study selected 97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83 general education teachers elementary schools in Korea and analyzed the perception of subject matter characteristics and teaching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 the static characteristics of subject matter as more important than the defined and sequential characteristics. However, special education teachers place more emphasis on the static characteristics of subject matter than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put a bigger emphasis on the interaction activity in the teaching behaviors and then the individualization of the teaching process. However, special education teachers place more emphasis on the individualization of the teaching process than general education teachers. Second, the teaching behavior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re more influenced by the perception of the static characteristics of subject matter and the perception of the sequential knowledge characteristics of subject matter. However, the teaching behaviors of general education teachers are more influenced by the perception of defined characteristics of subject matter and the perception of the sequential knowledge characteristics of subject matter.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ve commonality in perception of subject matter characteristics and teaching behaviors of general education teachers. However, special education teachers are more aware of the static characteristics that are essential contents in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 matter than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show the importance of individualization in the teaching behaviors. The teaching behavior is changed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 matter of these teachers.

      • KCI등재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정책 추진 과정과 쟁점 분석

        이재욱,정윤우,송지아,유성균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7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licy process and Issues of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basic studies,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general draft development,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temized draft development,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general and itemized draft forum,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Notice, review of field suitability, elated academic societies and organizations, and media repo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t the stage of policy promotion, revision of General School Curriculum was promoted and a dedicated workforce was deployed. In the policy promotion process, the basic research on general education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was carried out,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general and itemized draft was developed, and the revision draft was confirmed through the curriculum council. In the calculation stage,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was announced. At the stage of feedback and demand, analysis of field demand, forum and public hearings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general and itemized draft , related academic societies and organizations, and media reports were included. The issues in the 2015 Revision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promotion process are as follows. The issue at the input stage is revision due to changes in general education and placement of special education personnel. The issue of policy promotion process was lack of specificity and participation in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and lack of time for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The issues of feedback and demand are lack of opinion convergence, curriculum research and discussion. 본 연구는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정책 추진 과정과 쟁점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 기초 연구 수행’,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 시안 개발’, ‘특수교육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을 토대로 마련한 ‘시안 공개 토론회’(총론: ’15.8.7, 교과교육과정: ‘15.7.31~8.8)와 ’총론, 교과교육과정 공청회’(’15.10.12) 그리고 최종 확정된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고시문’(’15.12.1), 현장 적합성 검토, 관련 학회, 단체, 언론 보도 등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정책 추진 투입단계에서는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개정이 추진되었고, 전담 인력 배치되었다. 정책 추진 과정에서는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 기초 연구 수행되고,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 교과교육과정 시안 개발되었으며, 교육과정 심의회를 거쳐 개정시안이 확정되었다. 산출에서는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이 고시되었다. 환류 및 요구로는 현장요구분석, 총론, 교과교육과정 시안 공개 토론회, 공청회, 관련 학회 및 단체, 언론 보도 등이 있었다.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정책 추진 과정 중 투입 단계 쟁점은 일반교육 변화에 의한 개정, 특수교육 전담 인력 배치이고, 정책 추진 과정 단계 쟁점은 특수성 부족, 개발과정에서 당사자 참여 부족, 개발과정의 시간 부족이였다. 또한 환류 및 요구의 쟁점은 의견수렴의 부족, 교육과정 연구 및 논의 부족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게재 논문들의 주요 핵심어와 그들 간의 관계성 탐색-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한-

        권충훈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9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key words of Articles published i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for Curriculum and Instruction', a representative journal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subject education in Korea, and to explore and present network relationships among them.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was used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ology’, and the target of analysis was the title of a total of 194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for Curriculum and Instruction'(2008~2018). The main analysis tools are Korean text analysis KrKwics program, Ucinet 6(ver.6.683) for language network analysis, and NetDraw(ver. 2.161) for visualization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op occurrence frequency (up to 40th) extracted from the language text analyzed was ‘intellectual disability’, ‘student’, ‘influence’, ‘analysis’, ‘special education’, ‘teacher’, ‘child’, ‘perception’, ‘special teacher’,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cond, the overall language network values were identified for the language network analysis of keywords, and the two types of centrality(degree centrality, betweenness centrality) were extracted and presented on the network-ma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Korean special education experts and field teachers in setting up research topics and directions when conducting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nd instruction related studies.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특수교육 교과교육 분야의 대표적인 학술지인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전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들의 주요 핵심어(키워드)를 확인하고 그들 간의 네트워크 관계성을 탐색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언어네트워크 분석 방법론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분석대상은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2008년~2018년: 총11년 간) 학술지에 게재된 총 194편의 연구물의 제목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방법론은 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론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주요 분석 프로그램(도구)은 한국어 텍스트 분석을 위한 KrKwics 프로그램,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Ucinet 6(ver. 6.683), 네트워크 시각화 제시를 위한 NetDraw(ver. 2.161) 등 이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첫째, 분석 대상 언어 텍스트에서 추출한 상위출현빈도(40위까지) 핵심어에는 지적장애, 학생, 영향, 분석, 특수교육, 교사, 아동, 인식, 특수교사, 장애학생 등 이었다. 둘째, 주요 핵심어들의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위해 전체 언어네트워크 값을 확인하고, 2종의 중심성(연결정도 중심성, 매개중심성) 값을 추출하고 시각화하여 네트워크 지도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우리나라 특수교육 전문가, 현장 교사들에게 향후 특수교육 교과교육 관련 연구 진행할 때, 연구주제 및 방향성 설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교과서 활용에 대한 특수교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김두영,정해동,백정기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7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0 No.1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cognition and deman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the use of textbooks for th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and to explore the active utilization of the textbook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based on this analysis. For this, the results of the survey answered by 191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textbooks for the special education from 2015 to 2017' were analyzed and the in-depth interviews with 6 experts regarding its results was conducted. The key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t is found that in general, the degree of the used textbooks for the basic curriculum by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s been critically low and the commonest reason for that is that the textbooks for the basic curriculum are not adapted to the students. Secondly, mo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are found to use the learning materials other than the textbooks for the basic curriculum and found to usually use the learning materials and workbooks of their own making. Thirdly, there are the conflicting opinions on the student responsiveness in the class using the current textbooks for the basic curriculum; 52.8% of all teachers answer that the current textbooks have drawn the active response of the students to the class but 41.9 answer that they have not. It is found that the high school teachers have recognized much higher level of the students' response to the class using the textbooks compared to the middle school teachers and the special class teachers have done the same compared to the special school teachers. The active utilization of the textbooks for the basic curriculum has been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이 연구는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교과서의 활용 실태에 대한 특수교육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개발될 교과서의 적극적인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15~17년 특수교육 국정 교과용도서 편찬’에 참여하고 있는 교사 191명이 응답한 설문 조사 결과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에 대하여 6명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2차 서면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수업시간 중 특수교육교사들의 기본 교육과정 교과서 활용 정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교과서를 많이 활용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기본 교육과정 교과서가 학생들의 수준에 맞지 않아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둘째, 대부분의 특수교육교사들은 기본 교육과정 교과서 이외의 다른 학습교재를 사용하고 있으며, 주로 자체 제작한 학습자료 및 학습지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행 기본 교육과정 교과서를 활용하여 수업을 할 때, 학생들의 수업 호응도가 높다는 의견은 전체의 58.2%, 낮다는 의견은 전체의 41.9%로 상반된 의견을 보이고 있다. 초등학교 교사에 비해 중·고등학교 교사가, 특수학교 교사에 비해 특수학급 교사가 교과서 활용 수업에서 학생들의 호응도를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기본 교육과정 교과서의 적극적인 활용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유아기 의무교육 권리 강화를 위한 특수교육대상학생 보호자의 지원 요구

        박소영(Park, Soyoung),백종남(Baek, Jongnam),홍사훈(Hong, Saahoon),이정윤(Lee, Jungyoon),백상수(Baek, Sangsu)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0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3 No.3

        이 연구는 자녀의 영·유아기 보육 및 교육기관 경험을 가지고 있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유아기 의무교육에 관한 지원 요구를 파악하여 특수교육대상유아 의무교육 권리 강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전국 17개 시·도 특수교육대상학생의 보호자 757명이다. 연구 방법은 조사연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빈도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유아기 교육 및 보육 경험에서 교육기관 중 국·공립 유치원 이용경험이 높았고, 그 이유는 통합교육을 경험하기 위해서였다. 보육기관 중 민간어린이집 이용경험이 높았고, 이유는 집 근처 통합유치원이 없어서였다. 둘째, 장애유아 의무교육에 대한 인식에서 의무교육 실행요건으로 교사 자격은 유아특수교사(교육부 자격), 기관장 자격은 국․공․사립 유치원 원장(교육부자격), 배치 기관은 국공립유치원이 가장 높았다. 의무교육 실행개선을 위해 특수학급 설치유치원에 특수교사 배치, 특수교육을 전공한 방과 후 전담인력 배치, 특수교육지원센터를 통한 다양한 치료지원 인력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에 따라 특수교육대상유아를 위한 의무교육 지원과 관련된 법률의 개정 및 정책 수립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sures to strengthen the right of the compulsory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by identifying parents’ demands for supports. Seven hundreds and fifty seven parents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were recruited from 17 provinces in Korea. The survey were conducted to collect data and the frequency data analysis were us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parents perception on the care settings and the education settings, the parents preferred to be enrolled their child into public educational settings rather than care settings to provide inclusive education to their child. Second, parents were aware of operation requisite for compulsory education that teachers should have teaching certification issu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at the chief of the organization should have education director certification issu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at their children should be enrolled in public preschool. To improve compulsory educational practices, special teachers should be placed at preschool where special class were setup, after school care-givers who majored special education should be placed, and therapy support service providers should be hired at Supporting Center for Special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vision of the law and the direction of policy establishment related to the compulsory education support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were discussed and suggested.

      • KCI등재

        충남지역 특수학교 교사의 원격수업 운영 경험과 그 의미

        윤태성(Yoon Tae-sung),류수연(Ryu Su-yeon),임경원(Lim Kyoung-won)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0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3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에 대한 대응으로 갑작스럽게 원격수업을 운영하게 된 특수교사의 경험을 들어봄으로써 향후 특수교육 분야에 도움이 될 만한 교육적 시사점을 탐색해 보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충남지역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특수교사 8명과 면담을 하였으며, 면담에서 얻어진 자료는 포괄적 분석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원격수업에 직면한 특수학교 교사의 경험은 ‘좌충우돌 원격수업의 준비’, ‘원격수업의 시작: 길을 만들어가다’, ‘개별화교육: 산 넘어 산’, ‘특수학교 원격수업의 의미: 비온 뒤 땅 굳듯이’의 4개 상위 범주와 19개의 하위 범주로 도출되었다. 먼저, ‘원격수업의 준비’는 스마트폰과 밴드를 중심 매체로 삼아 수업자료를 확보하고 가정방문을 통해 학생의 원격수업 준비를 점검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졌으며, 이 과정에서 디지털 리터리시가 중요한 요인으로 부각되었다. ‘원격수업의 시작’은 콘텐츠 제공 중심 수업으로 진행되었으며, 수업 내용, 수업 형태, 학생과 상호작용, 원격 수업의 효과성 등이 고려되었다. 이 부분에서는 학부모의 역할이 중요하게 부각되었다. ‘개별화교육’에서는 원격수업 상황에서 개별화에 대한 새로운 접근, 큰 틀에서의 개별화교육, 작은 틀에서의 개별화교육에 관한 고려사항이 드러났다. ‘특수학교 원격수업의 의미’에서는 기본적으로 대면 수업의 대안적 성격을 지닌 수업이었으며, 원격수업의 초기에 많은 부정적 측면이 있었으나 점차 안정화되어 가면서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현장실습, 사후지도, 생활지도 등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또한 교육부에서 개인 차원에 이르기까지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비상 상황에 대비해서 지속적인 준비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특수학교에서 원격수업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사 간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디지털 원격환경에 알맞은 교육 방법과 개별화교육을 실행해야 하며, 원격수업을 핵심으로 한 교육과정 운영 및 지원을 위한 학교 재구조화를 모색하고 준비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 on distance education in special school. The participants of study were 8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Chung-nam province, South Korea. The data collection for the research was based on semi-structured Interviewing and analyzed with comprehensive analysis steps based on principle of practical compromise. The result of qualitative data analysis were listed as follows: Titles such as (1) Preparation of distance class (2) practice of distance class (3)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4) Meaning of distance class in special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reparations for distance classes were made through smartphone and Naver Band to secure class contents and check students preparation for distance classes through home visits. In this part, digital literacy was very important to practice it. Second, the practice of the distance class was conducted mainly by content provision, and the form of the class, interaction with students, and effectiveness of the distance were considered. In This part, parents served as support for classes, school work cooperation, and student life guidance. Third, in individualization education, new considerations for individualization have emerged in the context of distance classes. The distance class of special schools were basically an alternative to face-to-face classes, and they revealed many negative aspects, but they also discovered new possibilities in field practice. In case of a possible recurrence of distance classes in the future, special schools need to seek and prepare for the restructuring of schools for the operation and support of curricula centered on distance classes.

      • KCI등재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따른 중등학교 특수학급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김승연(Kim Seung-yeon),김정연(Kim Jeong-youn),허유성(Heo Yu-sung)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0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3 No.3

        이 연구는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따른 중등학교 특수학급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를 파악하여 적절한 지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A광역시와 B도의 특수학급 교사 137명을 대상으로 자체 개발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주요 개정 내용에 대한 교사의 이해도와 운영 실태,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의 전반적인 이해도는 3.8 이상의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변인에 따라서는 20대의 교사, 5년 미만의 경력 교사의 이해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사의 약 80%는 학교 교육과정 위원회에 참여하지 않으며, 타 학년군의 교과내용을 대체하여 운영하는 것에 대해 대부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진로·직업교육 및 현장실습 영역은 특수학급 교사가 학생의 취업정보 제공과 취업처 발굴, 사후관리까지 책임지고 있었다. 창의적 체험활동은 통합학급에서 운영하는 활동에 참여한다는 응답이 50%이상이었다. 자유학기와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은 대부분이 완전 통합으로 운영하며, 학생의 흥미도와 참여도는 대체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과정의 주요 개정 내용별 운영 지원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가 매우 크게 나타났다. 주요 개정 내용별 지원 요구는 모든 항목에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학급 교육과정 운영의 지원 방안과 발전적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appropriate supporting measures for special education class in secondary school with regard to the 2015 revision of national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137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A metropolitan city, B Cities and Provinces answered questionnaires about their understanding of the revision, operating condition, and support demands. The results revealed that, first, the level of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revision was high with more than 3.8 point, and the teachers in their twenties, with less than 5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showed the highest comprehension level. Second, about 80%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not participated in school curriculum committee, showing positive stance in accepting curriculum of other grade. In the sphere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field practice educati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ssumed responsibilities of providing job information, discovering job opportunity. as well as post management. More than half of the teachers responded to operate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through participating in the inclusive class. Most of the exam-free semester and school sports clubs activities were operated through full inclusion, showing high level of interest and participation rate of students. Third, the difference in importance and performance was very high in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f operational support from the revision. The demand for support in each major point of the 2015 revision was high. Based on these results, supportive measures and future direction for special education class were discussed.

      • 2012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운영 실제와 과제

        정해시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3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6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operational practices and tasks of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2012. In order to study, investigator made questionnaires and distributed them to 93 head teachers at special schools and 16 school inspectors at the educational office of large cities and provinces. Among them 78 head teachers and 7 school inspectors answered questionnaires. In this study investigator used 3 criterions ? the kinds of curriculum guidelines, the characters of curriculum guidelines and the directions of curriculum revision - to analyze curriculum guideline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59.6 percent of the curriculum guidelines were applied in special schools. Second, it seems like no difference according to the kinds of curriculum guidelines. Third, in the characters of curriculum guidelines, it was revealed that the applicable ratio of indicative guidelines(66.7%) were higher than the applicable ratio of autonomous guidelines(52.8%). Forth, in the directions of curriculum revision, the applicable ratio of personality education was the highest and the applicable ratio of approach to general education was the lowest. Fifth, the educational office of large cities and provinces conducted 61.6 percent of curriculum guidelines. 본 연구의 목적은 2012 특수교육교육과정의 운영 실제와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 해 93명의 특수학교 연구부장과 16명의 시도교육청의 특수교육 담당 장학사에게 설문지를 배포하 여 78명의 교사와 7명의 장학사로부터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가지의 분석 기준을 사용하였다. 지침의 종류를 기본 교육과정과 교육과정 공통의 것으로, 지침의 성격을 당위적인 것 과 자율적인 것으로,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을 일반교육 접근 강화, 교과교육의 본질 강화, 개별 학 생의 지원 확대, 학교의 자율화 지원 확대, 인성 교육 강화로 분류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각 급 특수학교는 2012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지침을 59.6% 적용하고 있다. 둘째, 지침의 종류별 분석에서 각 급 특수학교는 2012 특수교육 교육과정 중 기본 교육과정 의 지침(적용률 60.1%)과 교육과정 공통 지침(적용률 58.2%)을 비슷한 정도로 적용하고 있다. 셋 째, 지침의 성격별 분석에서 각 급 학교들은 2012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지침 중 당위적 성격의 지 침(적용률 66.7%)을 자율적 성격의 지침(적용률 52.8%) 보다 높게 적용하고 있다. 넷째, 2012 특 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에 따른 분석에서 인성교육 강화(적용률 89.8%), 교과교육의 본 질 강화(적용률 74.8%), 개별 학생 지원 강화(적용률 52.3%), 학교 자율화 강화(적용률 46.7%) 그 리고 일반 교육 접근 강화(적용률 39%)의 순으로 높게 지침을 적용하고 있었다. 다섯째, 2012 특 수교육 교육과정에서 시?도교육청의 지원 지침의 시행률은 61.6%이다.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과제를 도출하였다. 첫째, 교육과정의 성과를 조사 및 평가하기 위한 일관된 준거와 방법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각 급 학교, 시도교육청 및 국가 수준의 교육과 정을 평가하기 위한 준거와 방법의 마련이 각각 필요하다. 둘째, 교육과정 운영의 실제에 대한 국 가차원의 전수 조사가 필요하다. 조사의 내용에는 교육과정의 총론뿐만 아니라 각론을 포함한다. 셋째, 적용률이 낮은 항목에 대해서는 그 원인을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현장 적용성에 관한 특수교사의 인식 연구

        이필상(Lee Pil-sang)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0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3 No.4

        이 연구는 특수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특수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대한 인식과 교과 내용에 대한 인식 및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특수교사의인식이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들은 D 광역시의 A 특수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특수교육 경력 3년 10개월에서 26년 10개월의 특수교사 5명이다.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한 면담을 통해 수집된 결과를 분석한 결과 3개의 주요한 주제와 8개의 부주제, 16개의 코드명이 도출되었다. 3개의 주요 주제는 첫째, 성취기준에 대한 인식, 둘째, 교과 내용에 대한 인식, 셋째,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인식이다. 연구 결과, 첫째, 특수교사들은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인식하고 있지만, 학생 수준별로 성취기준을 분석하는 방법에 대한 이해가 낮다고 하였다. 둘째, 특수교사들은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교과 내용의 양과 수준이 적절하지 못하여 학생의 장애 정도와 특성에 따른 적용상의 문제가 있으니 이에 대한 조정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셋째, 특수교사들은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필요성은 인식하지만, 실행 방법에 대한 이해도가 낮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을 요구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actical perception of application to th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reversed in 2015. The participants of study were 5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D metropolitan city, South Korea. The data collection for the research was based on Seidman’s In-depth Interviewing and analyzed with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he result of qualitative data analysis were listed as follows: Titles such as (1) Percep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2) Perception of the subject’s content (3) Perception of curriculum restructuring.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said they were aware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but they said they had low understanding of how to analyze achievement standards by student level. Seco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aid that the amount and level of curriculum content in the 2015 revised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was not appropriate, and there was a problem in application depending on the degree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disabilities. Thir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restructuring the curriculum of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but their understanding of how to implement it was low, so they requested countermeas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