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의료적 지원에 대한 관리자, 특수교사, 의료진 및 보호자의 인식 분석

        김라경,송승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2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5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medical support in schools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perceptions of administrators, special education teachers, medical staff, and guardians about medical support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SMD). Method: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3 principals, 9 special education teachers, 4 medical staff members(i.e., doctor, nurse), and 3 guardians who provide medical support for students with SMD. Text-mining analysis and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were conducted for the analysis. Results: All participants positively perceived the placement of school nurses for students with SMD who need special health care. In order to systematize medical support for students with SMD, active role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balancing nurse supply and demand, developing an appropriate emergency situation manual, and building a cooperative system with medical institutions in a local community are required. Conclusion: A sustainable concrete in-school medical support plan for students with SMD and the need for legal stipul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장애아동 통합교육에 대한 교장의 지원과 초등교사의 소진 인식과의 관계

        김라경 한국통합교육학회 2014 통합교육연구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erceptions of their principals’ support toward inclusion and the level of burnout for two groups of teachers: special education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Participants included 108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108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inclusive classroom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First, bo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inclusive classrooms perceived that they received an ordinary/average level of support from their principals,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is regard. Second, there was also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overall burnout levels. However, on average, gener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d slightly higher levels of burnout compared to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ird, a positive attitude from the principals toward inclusive education (i.e. informational support, suppor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upport for teach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decreasing teachers’ burnout levels. This indicates that, relative to special education teachers, general education teachers are more likely to be influenced by principals' levels of support.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가 지각하는 초등학교 학교장의 통합교육에 대한 지원 수준과 그에 따른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소진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특수학급교사 108명과 통합학급교사 108명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장의 통합교육에 대한 지원정도에 대한 인식은 특수학급교사와 통합학급교사 모두 보통 수준이라고 인식하였으며, 두 집단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는 없었다. 둘째, 특수학급교사와 통합학급교사의 소진감에 대한 인식은 보통 수준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집단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평균적으로 통합학급교사가 특수학급교사에 비해 약간 높은 수준의 소진감을 경험하고 있었다. 셋째, 특수학급교사와 통합학급교사의 소진과 교장의 통합교육에 대한 지원 간의 관계에서는 관련정보지원, 장애학생지원, 교사지원의 요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즉, 교장이 통합교육에 대한 관련정보지원을 많이 할수록, 장애학생과 교사지원이 높을수록 통합학급교사와 특수학급교사 모두의 소진 정도가 낮아졌다. 양 집단 간의 비교에서는 통합학급교사가 특수학급교사에 비해 학교장의 지원에 따라 소진감이 더 많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협력교수가 일반학생과 학습장애학생의 사회과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김라경,박승희 한국초등교육학회 2002 초등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교수(co-teaching)가 초등학교 일반학생과 학습장애학생의 사회과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5학년 4개 학급 153명(133명의 일반학생과 20명의 학습장애학생)이 선정되었고, 2명의 특수교사와 2명의 일반교사가 협력교수에 참여하였다. 연구대상은 협력교수를 실시한 2개 학급의 실험집단과 2개의 통제집단으로 구성되었다. 사회과 학업성취는 5학년 2학기 사회과 학업성취도 사전, 사후 검사로 측정되었다. 실험집단의 일상학생과 학습장애학생 모두 사회과 학업성취도에 있어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협력교수가 일반학급에 에 통합된 학습장애학생들 뿐 아니라 모두의 학업 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나타낸다. 통합교육의 질 향상이 강조되는 현 시점에서 본 연구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교수 적용의 근거를 강화하는 한 가지 경험적 자료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통합교육 실시로 일반학생에게 학업적 피해가 있을 수 있다는 막연한 우려가 근거가 없는 것일 수 있다는 것과 통합교육은 적절한 지원이 제공되면 장애학생 뿐만 아니라 일반학생에게도 학업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됨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teaching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on the achievement of social studies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without disabilities. Four classes composed of 133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nd 20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were drawn from the fifth grade classes of one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While two classes made the experimental group, two classes made the control group. Two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wo gener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in co-teaching of social studies for two experimental classes. Each of these tow class consisted of 34 without disabilities and 5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both experimental and a control groups, one general education and one special education teacher participated in teaching; however, co-teaching was implemented in only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one general education teacher and one special education teacher implemented co-teaching of social studies to the experimental group four times a week over four weeks, the control group students were taught by one general education teacher who was assisted by one special education teacher. The dependent variable, the achievement score of fifth grade social studies of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were measured at a pre-test and compared with the two scores of the control group students by t-test using SPSS/WIN. For both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without disabiliti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the achievement scores of social studies, showing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ere co-teaching was implemented by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research indicated that co-teaching was an effective teaching approach which could be aimed to improve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scores of students with diverse abilities in inclusive education classrooms. Finally, this study could provide an empirical data showing the positive effects of co-teaching between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on the scores of academic achievement of all students included in general education classes. Finally, som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 KCI등재

        발달장애학생 전환역량 검사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김라경,박희찬,송승민,최민식,한세진 국립특수교육원 2021 특수교육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발달장애학생 전환역량 검사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타당화를 수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자립영역(자기관리, 가정생활, 건강, 돈 관리, 지역사회생활, 여가생활), 직업영역(직업준비, 직업기능, 직업생활), 계속교육영역(기초교육, 평생교육, 대학교육), 공통영역(의사소통, 대인관계, 자기결정)의 4개 영역, 15개 하위영역, 114개의 문항의 전환역량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183명의 발달장애학생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타당화 절차로 문항의 정규성 검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 검증을 위한 신뢰도 계수(Cronbach’s α 값)를 산출하였고, 타당도 검증을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차이 검증(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측정 문항들이 정규분포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기술통계분석 결과 자립 영역에서 장애학생들의 독립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계속교육 영역에서 지원의 정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문항의 정규성이 확인되었다. 둘째, 내적 일치도는 전체(.987)와 영역별(.951~.969) 모두 적절한 수준의 신뢰도를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확인적 요인 분석결과 NFI, IFI, CFI 값이 .904~.920으로 모형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변별타당도를 위한 차이 검증 결과 학교유형과 장애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수요자 중심의 개별적 지원요구를 반영한 발달장애학생의 전환역량을 측정하는데 유용한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검사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였다는데 주요한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통합 고용환경에서 필요한 기초 직업기술에 대한 고용주와 특수교사의 인식 : 기초연구(pilot study)

        김라경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1 특수교육 Vol.10 No.3

        본 연구는 통합 혹은 지원 고용환경에서 중도장애인을 고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직업기술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통합 혹은 지원고용을 위해 어떠한 직업기술이 중도장애인에게 필요하고, 둘째 고등학교에서 가르치는 기초 직업기술과 실제 고용주들이 요구하는 기술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 셋째 지적장애인을 고용(혹은 교육)한 경험 유무에 따라 지원고용 혹은 통합고용 요구되는 기초 직업기술에 대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미국 일리노이주 중소도시에 사는 특수교사 11명과 고용주 14명이 설문에 참여하였으며, 빈도 분석 및 독립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총 35개의 기초 직업기술 중 20개의 기술이 교사와 고용주 모두에게 필요한 기술로 인식되었다. 고용주는 전반적으로 모든 기술에 있어 높은 평균 점수를 주었으며, 특히 3개의 직업기술(동료나 상사가 하는 일을 보고 새 업무를 배우기, 정확하게 현금 다루기, 글을 읽고 주제를 이해하기 기술)은 특수교사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중요하다고 여겼다. 또한, 지적장애인을 고용했거나 가르쳐 본적이 있는 응답자는 3개의 직업기술(정확하게 현금 다루기, 끝내야 할 일에 우선순위 정하기, 기초 뺄셈 기술)을 그렇지 않은 응답자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중요하다고 여겼다. Past research has identified critical job skills for sheltered employmen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ntry level job skills necessary for successful employment in supported or competitive workplaces. Questionnaires were sent to 11 local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14 local employers who worked with employees with disabilities in central Illinois. Out of 35 skills (e.g., displays high level of attendance and punctuality, demonstrates integrity and honest, initiate contact with supervisor when cannot do job, etc), 20 skills were deemed important by both employers and high school teachers for entry level jobs. The employers rated three job entry skills (i.e., correctly handles cash money, reads to find main idea, and learn new job tasks by watching co-workers/supervisor perform them) significantly higher than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spondents who worked or taught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rated three job entry skills (i.e., demonstrate basic arithmetic skills to subtract, correctly handles cash money and prioritizes work that needs to be complet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who did not work or each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장애대학생의 특성에 따른 대학지원만족, 자기결정성과 대학생활적응 연구

        김라경,장세영 한국특수아동학회 2020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2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대학생의 대학지원만족, 자기결정성, 대학생활적응의 수준을 알아보고 장애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장애유형, 장애정도, 경제수준)과 장애대학생의 대학 내 활동(교내근로, 동아리활동, 봉사활동)이 이들의 대학지원만족, 자기결정성,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장애학생지원센터가 설치된 대학의 담당자를 통해 장애대학생에게 설문을 의뢰하였다. 온라인 설문 링크를 통하여 장애대학생에게 설문지가 전달되었으며 총 236명의 응답자 중 완성된 194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대학생의 대학지원만족, 자기결정성, 대학생활적응 모두 보통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서 여학생의 대인관계가 남학생보다 더 낮게 나타났으며, 장애가 심한 장애인이 장애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보다 대인관계에서 더 큰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으며, 경제수준이 낮은 집단이 자기결정성 전체와 유능성, 대학생활적응 전체와 대인관계, 사회체험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활 활동참여에서 교내근로 유무에 따라 정보제공과 대학생활적응이, 교내동아리활동 유무에 따라 자기결정성과 대학생활적응이, 봉사활동의 유무에 따라 자기결정성과 대학생활적응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와 비교하고 장애대학생의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atisfaction on university support, level of self-determination, and adjustment to universit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university activities such as, campus work, campus club activities, and volunteer activities. Method: After receiving consent from staff of Disability Support Center, the questionnaire was delivered to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rough an online link. A total of 236 was received and 194 survey were analyzed. Results: First, overall satisfaction on university support, level of self-determination, and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all higher than average score. Second, the femal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had greater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an male and those with less severe disabilities. The groups with low economic level were lower in self-determination and competence, in overall adjustment level of university lif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ocial experiences than groups with high economic levels. Third, participation in university activities such as campus club activities, volunteer work, and campus work significantly influenced level of adjustment to university and self-determination. Conclusion: The above results were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and the implications for successful university life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발달장애청소년 진로성숙도검사의 측정학적 적합성 연구

        김라경,이미지,김은삼,안예지,이정은,이현주 한국발달장애학회 2023 발달장애연구 Vol.2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ing the technical adequacy(the distribution normality, validity and reliability) of Career Maturity Measurement Tool for youth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after analyzing measurement tools and previous literature, focus group interviews, two Delphi surveys, and preliminary survey. Using a stratified multi-stage sampling (regions, school type, types of disability, gender), a total of 1,083 special educators, teachers, rehabilitation counselors, students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798 informant-report types of survey were analyzed for conformity verification. The coefficient of internal consistency was very high at .97, indicating that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of the final assessment tool was highly secured. A retest was conducted on 27 participants among the research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the main survey, and sinc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 -1.509, p = 0.143), the test-retest reliability was obtained.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NFI .976, RFI .957, and CFI .982 all showed an .95 or higher, and RMSEA .062 confirmed that it was a suitable structur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the existing career maturity assessment tool(old vers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very high between .651 and .894 in each scales, securing the criterion validity of Career Maturity Measurement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As a result, Career Maturity Measurement Tool for youth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consisted of 3 areas (career attitude, career ability, and career behavior), 10 sub-areas, and a total of 67 questions, and it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very suitable for measuring the career maturity of this popul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청소년을 위해 개발된 진로성숙도검사의 측정학적 적합성(신뢰도와 타당도)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선행검사도구와 문헌을 분석하고, 포커스그룹 인터뷰, 2차의 델파이 조사와 예비조사를 거쳐 문항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층화표집방법을 사용해서 전국을 지역(광역시, 비광역시), 배치 유형(특수학교, 특수학급), 장애 유형(지적장애, 자폐성장애), 성별(남, 여)을 고려하여 총 1,083명의 교사, 재활상담사, 장애학생을 표집하였으며, 이 중 타인보고형 설문 798개를 적합성 검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내적 일관성 계수는 .97로 매우 높게 나타나 최종 검사 도구 문항의 신뢰도를 확보였다. 본조사에 참여한 연구참여자 가운데 27명을 대상으로 재검사를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t=-1.509, p=0.143),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NFI .976, RFI .957, CFI .982로 모두 .95 이상으로 우수한 모형을 나타냈고, RMSEA .062로 적합한 구조임을 확인하였다. 기존 장애청소년 진로성숙도검사(구 버전)와의 상관계수는 대영역별로 살펴보았을 때 .651∼.894 사이로 매우 높게 나타나 본 연구에서 개발한 검사 도구의 준거타당도를 확보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발달장애학생 진로성숙도검사 도구는 3개 영역(진로태도, 진로능력, 진로행동), 10개의 하위영역, 총 67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발달장애청소년 진로성숙도를 측정하는데 통계적으로 매우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초등영재학생의 사교육 실태 및 사교육이 학업스트레스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김라경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영재학생들의 사교육 실태를 조사하고, 3가지 변인(사교육 과목의 수, 하루 평균 공부시간, 사교육을 선택한 주체)에 따른 학교 학업스트레스를 비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G교대에서 운영하고 있는 영재교육원에 재학중인 초등학생 12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영재학생의 96.9%가 사교육에 참여하고 있었다. 사교육의 형태는 대다수가 ‘학원 수강’을 한다고 하였으며, 학습지도 과반수 가량 되었다. 현재 받고있는 사교육 과목은 국어, 수학 등의 주지과목이 가장 많았으며, 사교육 종류로는 주 2가지 종류를 받는다는 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4개 이상의 사교육을 받는다는 학생도 24%가 넘었다. 사교육 과목의 수와 하루 평균 공부시간은 학업 스트레스와 학습동기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교육을 받기로 한 주체가 학생 스스로일 경우, 학업 스트레스가 부모님이나 다른 사람에 의해 사교육을 받은 경우에 비하여 유의미한 수준으로 낮았으며, 학습동기는 유의미한 수준으로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dition of private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and to compare their academic stress in relation to four variables: 1) how many types of private education, 2) what subject areas were studies in private education, 3) average study time outside of school, and 4) whether the student or others choose private education. For this purpose, 128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ending the Gifted Education Center operated by G university were surveyed. The survey revealed that 96.9% of gifted students participated in private education. In this study, private education included attending a private institute, private tutoring, purchased worksheets, or on-line lessons provided by a private institution. The most common type of private education was attending a private institutes, and more than half of students periodically purchased worksheet. Many students received two or more types of private education per week. and 24% of students received four or more types of private education per week. Among all variables, student academic stress level and academic motivation wwere most impacted by who choose private education, students themselves or others. In the case of the students themselves who decided to receive private education, the overall level of academic stress was lower and academic motivation was higher than those receiving private education chosen by parents or others.

      • KCI등재

        특수학급 봉사학습에 참여한 예비특수교사의 통합교육 경험과 인식 및 지원 요구

        김라경,최민식 한국통합교육학회 2023 통합교육연구 Vol.18 No.2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integration experiences, perceptions, and support needs of prospectiv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volunteer learning activities in special education classes through university-affiliated programs. A total of 12 prospectiv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expressed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were selected for two focus groups, each comprising 6 participants.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volunteer learning activities in special education classes through university-affiliated programs provided prospectiv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 an experience connecting the theory and practice of inclusive education. It facilitated an understanding of the role and competenci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inclusive environments, prompting a profound reflection on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inclusive education. Notably, the participants enhanced their teacher efficacy in various dimensions, including life guidance, instructional activiti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study also revealed weaknesses in communication and commitment among key stakeholders in inclusive education. The results contribute to the identification of effective strategies to support volunteer service learning in special classroo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