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공동체에 대한 특수교사의 메타포 의미 분석

        김은라,박재국,정계숙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6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taphors on educational communit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categorize the metaphors according to the ground of metaphors, and to explor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sociodemgraphic variabl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these ends, 107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asked to describe the metaphoric meaning on the educational community and the ground using open-ended ques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etaphors were categorized by four subjects such as ‘shared vision’, ‘acceptance of each other’s differences and consideration for harmony’, ‘necessary condition’, and ‘permanent repeated sources of troubles’.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recognition on subjects according to gender and scholarship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particular, male thought of educational community as ‘shared vision’ while female thought of it as ‘acceptance of each other’s differences and consideration for harmony’. As well, teacher who graduated from university regarded educational community as ‘acceptance of each other’s differences and consideration for harmony’, while teacher who finished graduate school regarded it as ‘shared vision’.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approaches to form ideal educational community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교육공동체에 대한 특수교사의 메타포(metaphor)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이상적인 특수교육 공동체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부산과 경남 소재 특수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교사 107명을 대상으로 교육공동체에 대한 메타포를 조사하였다. 이에 따른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공동체에 대한 특수교사의 메타포 의미를 범주화하여 공유된 비전, 융합을 위한 서로 다름에 대한 인정과 배려, 필요조건, 끝없이 반복되는 고민거리 등 총 4개 주제가 도출되었다. 둘째, 4개 주제에 대한 특수교사 변인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과 학력에 따라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즉 남성은 교육공동체를 ‘공유된 비전’으로 인식하는 반면 여성은 ‘융합을 위한 서로 다름에 대한 인정과 배려’로 여기고 있었다. 또한 대학을 졸업한 집단은 교육공동체를 ‘융합을 위한 서로 다름에 대한 인정과 배려’로 보는 반면 대학원을 졸업한 집단은 ‘공유된 비전’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학생의 행복한 성인기 생활 영위라는 특수교육의 궁극적 목표 달성을 위한 교육공동체 구축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학생 담당 특수교사의 소진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탐색

        김은라,박재국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4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7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도중복장애학생을 담당하는 특수교사의 소진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의매개효과를 탐색함으로써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중도중복장애학생을 담당한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185명을 대상으로 소진, 교사효능감, 그릿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도중복장애학생을 담당하는 특수교사의 소진, 교사효능감, 그릿의 수준은 긍정적인 것으로나타났다. 둘째, 중도중복장애학생을 담당하는 특수교사의 소진은 그릿과 교사효능감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소진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은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가지는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중도중복장애학생을 담당하는 특수교사의 소진이 교사효능감에 미칠 수 있는 영향력을 상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전략으로 그릿의 활용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Purpose: This study sought to find ways to improve teacher efficacy by exploring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on the effect of burnout on teacher effica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teaching students with multiple and severe disabilities.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on burnout, teacher efficacy, and grit among 185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 experience in teaching students with multiple and severe disabilities. A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collected data. Results: First, the levels of burnout, teacher efficacy, and gri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teaching students with multiple and severe disabilities were found to be positive.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burnou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charge of students with multiple and severe disabilitie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grit and teacher efficacy. Additionally, grit was confirmed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burnout on teacher efficacy. Conclus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use of grit was discussed as an effective strategy that can offset the impact that the burnou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charge of students with multiple and severe disabilities can have on teacher efficacy.

      • KCI등재

        메타포(Metaphor)를 통한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자기결정력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김은라 한국특수아동학회 2023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5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자기결정력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하여 메타포 기법을 활용하여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중도중복장애학생 자기결정력 교수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185명의 자료를 최종 수집하였다. 이 후 수집된 자료의 코딩, 메타포의 분류, 범주화, 주제명 부여 등의 절차를 거쳤다. 마지막으로 양적 분석을 통하여 집단 간 메타포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자기결정력에 대한 특수교사의 메타포의 의미 범주는 ‘당연한 권리’, ‘삶의 이정표’, ‘모양이 다른 그릇’, ‘손에 잡히지 않는 구름’ 등 4개의 주제로 도출되었다. 둘째, 특수교사 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중도중복장애학생 담당 경력과 보조인력 수에 따라 유의미한 집단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도중복장애학생 자기결정력 신장을 위한 다각적인 교사지원 방안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obtain preliminary data for teaching self-determination to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by analyzing the meanings of using a metaphor technique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special teachers on the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Method: For this purpose, the data from 185 teachers in special schools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coded, metaphors were classified categorized, and assigned subject names. Finally,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the difference in metaphor recognition between groups was examined. Results: First, the meaning categories of special teachers' metaphors for the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ere derived from four themes: 'due rights', 'life milestone', 'bowl of different shapes', and 'cloud out of reach'.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pecial teacher variables, the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showed a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assistants and the years of professional experience of the teachers in charge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were made for multifaceted teacher support measures to foster the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 KCI등재

        특수교사 발달단계에 따른 직무역량과 사회적 지지

        김은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8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1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support for each teacher life cycle by examining the perception difference of job competence and social support according to the stage of teacher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Method: 363 teachers of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s were surveyed about the stage of development, job competence and social support.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evelopment stag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proportion of the groups in the ability building stage was high. And the perception of job competence and social support was generally positive.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 group in the immersion-growth stage and the beginning-acceptance stage. In the sub-domain, there wer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he school management. In the case of social suppor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amily support. Conclusion: Based on this, the appropriate capacity development and support strategy for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ccording to the teachers’ development stage were discussed.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교사발달단계에 따라 직무역량과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교사생애 주기별 지원 방향을 설정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전국 특수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교사 363명을 대상으로 교사발달단계, 직무역량, 사회적 지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교사의 발달단계 양상을 살펴본 결과 능력구축 단계에 해당되는 집단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직무역량과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사 발달단계에 따른 직무역량 차이를 살펴본 결과, 열중성장 단계의 교사집단과 입문수용 단계의 교사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하위 영역에서는 전문성 개발과 학교경영에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경우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하위영역 중 가족 지지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특수교사의 교사 단계에 따른 적절한 역량 개발 및 지원 전략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특수교사의 교직몰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풍토의 매개효과

        김은라,박재국,백지혜 한국특수아동학회 2020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2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eaching commitment on job satisfac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the same time, the mediating effects of school climate was explored. Method: 208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on teaching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school climate.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EM and bootstrapping. Results: First, the level of perception of special teachers on teaching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school climate was positive overall.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se three variables. Second, the teaching commitment of special teach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school climate, school climate had also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As well, it was found that the school climate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teaching commitment on job satisfac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e ways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of special teachers were suggested.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교직몰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풍토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향후 특수교사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 마련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특수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교사 208명을 대상으로 교직몰입, 직무만족, 조직풍토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EM 검증 및 부트스트래핑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교사의 교직몰입, 직무만족, 조직풍토에 대한 인식 수준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 세 변인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특수교사의 교직몰입은 직무만족과 조직풍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조직풍토 역시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특수교사의 교직몰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풍토는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사의 교직몰입이라는 개인내적 요인과 조직풍토라는 개인외적 요인을 동시에 높임으로써 결과적으로 특수교사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미래지향적 특수교사 역량 척도 개발 기초 연구

        김은라 한국특수아동학회 2022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4 No.3

        Purpos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preliminary data for teacher competency enhancement for special education execution to the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by exploring the competency that teachers should have in future-oriented special education. Metho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two-round of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20 special education expert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using the SPSS 26.0 program, and content validity, agreement, convergence, and a coefficient of variation were calculated. Results: The final five domains, 23 elements, and 139 items were extracted as the competency of future-orient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detail, domain 1 was competency in understanding educatio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3 elements), domain 2 was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 competency (6 elements), domain 3 was student guidance competency (4 elements), domain 4 was competency to adapt to the teaching profession (6 elements), and domain 5 was derived as future education competency (4 element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ays to improve the competen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future by confirming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changing future society were discussed.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미래지향적 특수교육에서 교사가 갖추어야 할 역량을 탐색함으로써 변화하는 교육환경에 적절한 특수교육 실행을 위한 교사 역량 신장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특수교육 전문가 및 특수교사 20명을 대상으로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내용타당도, 합의도, 수렴도, 변동계수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미래지향적 특수교사의 역량으로 최종 5개 하위영역, 23개 하위요소, 139개의 문항이 추출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1영역은 교육 및 교육환경 이해 역량(3개 하위요소), 2영역은 특수교육 전문성 역량(6개 하위요소), 3영역은 학생지도 역량(4개 하위요소), 4영역은 교직 적응 역량(6개 하위요소), 5영역은 미래교육역량(4개 하위요소)으로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변화하는 미래사회에 특수교사에게 필요한 역량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특수교사의 역량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지체장애학생의 우울감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가족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은라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3 교육혁신연구 Vol.33 No.4

        Purpose: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the effect of depression on self-esteem in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Metho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ponses of 107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ere extracted and analyzed from the panel survey data on life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conducted by KODDI. Results: First, the levels of depression, self-esteem, an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ere found to be positive. Second, depression in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elf-esteem and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s. At this time, it was confirmed that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effect of depression on self-esteem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Conclus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effective strategies to improve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suggested to reduce depression and improve self-esteem in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 KCI등재

        특수교사가 지각하는 장애학생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 전략

        김은라,박재국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2 교육혁신연구 Vol.32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blended learning strateg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perceiv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implement effective blended learning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Metho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blended learning strategies with 15 teachers working in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s. After that, using the collected data, a conceptual map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cluster analysis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erception dimens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the blended learning strateg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first dimension (X-axis) was a 'constructing human and physical environment’ including 'management of learner information and preparing' and 'check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upporting learning technology'. The second dimension (Y-axis) was derived as the dimension of 'cooperative teaching execution', including 'community awareness creation and system operation strategies' and 'identifying disability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ized teaching-learning strategie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nceptual map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f the blended learning strateg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 total of five clusters were derived such as 'collaborative program operation and improvement of intuition', 'increasing self-directed learning and reflection on learning outcomes', 'improving media flexibility and identifying characteristics of disabilities', 'continuous management and guidance provision', and 'enhancement of learning flexibility'. And the lo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each cluster were examined through the multidimensional scaling.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various teaching-learning strategies to implement blended learning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future special education field were presented.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사가 지각하는 장애학생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 전략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향후 특수교육 현장에서의 효과적인 블렌디드 러닝을 실행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특수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교사 15명을 대상으로 블렌디드 러닝 전략에 대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이 후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군집분석 및 다차원 척도법을 사용하여 개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학생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 전략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차원을 살펴본 결과, 1차원(X축)은 ‘학습자 정보관리 및 준비시키기’와 ‘교육환경 점검 및 학습기술 지원’을 포함하는 ‘인적‧물적 환경구성’의 차원으로 도출되었다. 2차원(Y축)은 ‘공동체 의식 조성 및 시스템 운영 전략’과 ‘장애특성 파악 및 개별화된 교수-학습 전략’을 포함하는 ‘협력적 교수 실행’의 차원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장애학생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 전략에 대한 특수교사 인식의 개념도를 살펴본 결과, ‘협동적 프로그램 운영 및 직관성 향상’, ‘자기 주도적 학습 신장 및 학습 성과 성찰’, ‘매체 융통성 높이기 및 장애특성 파악’, ‘지속적 관리 및 안내 제공’, ‘학습 융통성 높이기’ 등 총 5개의 군집이 도출되었으며, 다차원 척도법을 통해 각각의 군집의 위치와 특성을 살펴보았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특수교육 현장에서 장애학생 특성에 적합한 블렌디드 러닝을 실시하기 위한 교수-학습 전략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또래애착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은라,박재국,최영민,전혜영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8 교육혁신연구 Vol.28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또래애착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7차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KCYPS) 자료 중 중학교 1학년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패널조사 자료에서 정서행동문제, 삶의 질, 또래애착, 자아탄력성의 모든 문항에 응답한 1881명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 삶의 질, 또래애착, 자아탄력성에 대한 인식 수준은 모두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는 삶의 질, 또래애착, 자아탄력성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때 또래애착과 자아탄력성은 정서행동문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효율적인 교육적 수단으로 정서행동문제를 감소시키고 또래애착과 자아탄력성은 신장시키는 실천적전략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olescents’ emotional behavior problems on quality of life.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peer attachment and resilience were explored. Method: Date of 1881 middle school students who responded to the behavior problem, quality of life, peer attachment, and resilience of 7th Korean Child Youth Panel Survey(KCYPS) were extracted. Results: First, the levels of emotional behavior, quality of life, peer attachment, and resilience were positive.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f emotional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quality of life, peer attachment, and resilience. At the same time, the mediating effect of peer attachment and resilience were identified.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practical strategies to reduce behavior problems and foster quality of life, peer attachment, and resilience as means of facilitating quality of life of adolescents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