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불안장애 진단에 대한 K-CBCL 6-18의 임상적 유용성: 복지시설 아동ㆍ청소년을 대상으로

        김향지 ( Kim Hyang-ji ),하은혜 ( Ha Eun-hye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8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1 No.3

        본 연구에서는 복지시설 심리장애 아동ㆍ청소년의 불안장애 진단에서 K-CBCL 6-18 불안관련 지표의 임상적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은 “2014 아동복지시설 아동 치료ㆍ재활 지원 시범 사업”에 참여하였고 아동복지시설에 거주하는 요보호아동 421명이며, 연구도구는 RCMAS와 K-CBCL 6-18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CBCL 6-18 불안관련 지표인 불안/우울, 위축/우울, 내재화 총점, 문제행동 총점, 강박증상, 외상후 스트레스 문제, DSM 불안문제 소척도와 RCMAS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척도에서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K-CBCL 6-18 불안관련 지표의 불안집단과 비불안집단 간 차이와 예측력을 분석한 결과 위축/우울을 제외한 6가지 소척도가 불안집단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하게 변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의 판별적중률을 산출한 결과, K-CBCL 6-18 불안관련 지표의 판별적중률은 60-70%의 백분율을 나타냈다. 셋째, 불안장애 진단에서 K-CBCL 6-18 불안관련 지표 중 위축/우울을 제외한 6개 소척도의 ROC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각 민감도, 특이도와 최적의 절단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복지시설에 입소한 아동ㆍ청소년과 같이 다양한 심리검사를 통한 정확한 진단이 어려운 상황에서 불안장애를 진단할 때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K-CBCL 6-18 불안관련 지표의 임상적 유용성을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clinical utility of K-CBCL 6-18 in diagnosing anxiety disorder for children with psychological disorders in child foster care. The participants comprised 421 children(254 boys, 167 girls) living in child foster care throughout the nation. They were assessed by means of the 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6-18(K-CBCL 6-18) and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RCMA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CMAS and Anxiety related scales of the K-CBCL 6-18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Second, as a result of a t-test and analyzing the predictive value of the anxiety related scales of the K-CBCL 6-18 on the Anxiety and Non-Anxiety groups, six anxiety related scales of the K-CBCL 6-18 were discriminated significantly. The hit rate of the six anxiety related scales of the K-CBCL 6-18 was between 60-70%. Third, ROC curve analysis of anxiety related scales of the K-CBCL 6-18 were performed on the Anxiety and Non-Anxiety groups. As a result, sensitivity, specificity and optimal cut-off were verified.

      • KCI등재
      • KCI등재

        다문화교육 정책의 국제비교를 통한 한국 다문화가정 장애아동 교육지원 방안

        김향지 ( Hyang Ji Kim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1 유라시아연구 Vol.8 No.3

        최근 한국사회는 여러 형태의 다인종·다문화 가정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들 가정을 지원하기 위한 다문화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다문화가정 장애이동의 경우 그 가족은 물론 아동이 겪는 어려움이 심각한 문제로 제기되고 있고, 이들에 대한 교육 지원은 이제 한국사회의 주요 관심사가 되고 있다. 머지않은 장래에 한국은 분명히 다문화 사회가 도래하게 될 것이고 이를 위한 준비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증가하고 있는 다문화가정의 장애아동을 지원하기 위한 관심과 배려는 거의 찾아보기 어려운 현실이다. 다문화가정 장애아동에 대한 지원 역시 일반 다문화가정 아동의 지원 맥락에서 교육지원 방안의 흐름을 찾을 수 있다고 본다. 본 연구는 미국, 호주, 독일, 일본을 중심으로 다문화교육 정책이 시행되어온 역사적, 사회적 관점의 특징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주요 국가의 다문화교육 정책과 장애아동 교육지원 정책을 통해 우리나라 다문화가정의 장애아동 교육지원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해 다문화 관련 선행연구, 통계자료, 정책 보고서 등 문헌 조사를 주로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론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장애자녀의 조기발견을 통한 조기중재가 필요하다. 각국의 다문화교육 정책과 장애아동 교육지원은 아동의 조기적응을 위한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역의 다문화센터를 중심으로 책임 있는 공공기관의 담당자를 사례 관리자로 두고 발달지체 위험 아동이 조기발견과 중재가 될 수 있도록 다문화가정의 부모에게 적극적인 정보제공과 상담, 관련 교육기관을 홍보하고 연계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다문화가정의 안정이 장애자녀의 교육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히 크다. 각국의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정책에서 볼 수 있듯이 장애아동에 대한 교육효과를 위해서는 장애아동가족에 대한 지원이 필수적이다. 다문화 가정의 경제적 안정과 장애아동 교육을 위한 비용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다문화가정 장애아동 지원을 위한 체계적이고 단일화 된 종합지원 시스템이 필요하다. 다문화가정의 장애자녀에 대한 상담, 의료, 복지, 교육을 효과적으로 지원 받을 수 있도록 한다. 각 지역의 특수교육지원센터가 그 중심적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각 국은 이민자의 사회통합을 위해 다양한 다문화이해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다문화가정 장애아동의 교육 지원을 위해 특수교사와 부모와의 상담, 통합학급교사와 특수교사 간의 협력을 위해서는 이들에 대한 다문화 이해교육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본다. crease. Thus, active multi education is implemented in order to support these families. However, when there is disability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difficulties that not only the family but the children go through are raised as a serious problem, and educational support for this problem has been emerged as a main interest of the korean society. Before long, multi-cultural society will come undoubtedly in S. Korea and preparations for this are now proceeding. However, it is true that it`s hard to find proper interest and considerations to support grow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f multicultural families. It can be said that for the support for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trends of the measures of educational support can be found in the context of supporting general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current study made a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and social views with which multicultural policies have been conducted focused on cases of America, Australia, Germany and Japan. And it aims to propose programs of educational support for multicultural families` disabled children of our country through a study on multicultural educational policy and educational support policy in relation to children with disabilities of the leading countries. For the present study, we mainly made use of literature review including precedent studies related to multiculture, statistical data, policy reports etc. Suggestions resulted from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arly intervention is required through the early detec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with disabilities. Each country`s multi-cultural policy and educational support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have prepared strategies to support for their early adaptation. For this, persons in charge of the responsible public institution focused on the local multi-cultural center should be assigned as case managers, and information and counseling services should be provided actively to multicultural families` parents so that their children with a possibility of developmental delay can be identified and intervened at an early stage, and relevant educational institutions has a considerable effect on education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s seen in each country`s educational policies of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it is essential to support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s families for an educational effect on them. It is necessary to support funds for the purpose of economic stability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education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ird, systematic and integrated general support systems are required to support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with disabilities. It is essential to ensure that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with disabilities can be supported effectively in the aspects of counseling, medical care, welfare, and education. 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will be able to play a key role. Fourth, each nation is conducting a variety of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for migrants` social integration. It can be seen that for counseling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and cooperation between integrated class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order to educationally support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with disabilities,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for them should be conducted essentially.

      • KCI등재

        다문화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연구

        김향지 ( Hyang Ji K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3 지적장애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다문화교육의 필요성과 실행 의지를 살펴봄으로써 교육현장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내적 충실성을 도모하기 위한 접근방법을 찾는데 있다. 연구의 참여자는 목적표집을 통해 특수교사 12명을 선정하였으며, 이들에게 반구조화 된 면담을 3차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특수교사는 다문화에 대한 개념·지식은 극히 제한적이라고 자평하고 있으며, 다문화교육의 개념을 차이에 대한이해, 다양성 이해, 배려와 포용 교육, 반편견 교육 세계화 교육으로 인식하고 있다. 둘째, 특수교사는 장애아동을 포함하는 모든 아동의 개별적 요구에 따른 적절한 지원으로 교육적 성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셋째. 특수교사는 다문화가정 장애다동의 이해와 지원을 돕고 다문화교육의 필요성과 전문성 강화를 위한 사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다문화교육을 전담하여 실행하고자 하는 의지를 나타내었다. 넷째, 특수교사가 다문화교육을 전담하게 되면 다문화와 장애를 동일시하게 되어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불필요한 오명을 씌울 수 있고 전문성 부재에 대한 우려가 있다. 따라서 특수교사가 다문화교육을 전담하여 실행 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needs and willingness of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special teachers specializing in the education for multicultural children in order to have the approach to have better education method. For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he issues for research are designated as follows. First, how do the special teachers recognize the concept and knowledge of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how do the special teachers feel on the need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ird, how about the special teacher′s willingness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ourth , what do the special teachers think are the problems i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ways for improvement? 12 special teachers for specializing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selected for the study as subjects and 3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pecial teachers get the multiculture education contents from mass media rather than actively finding out from various sources and they recognize that their concept and knowledge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re limited. Second, the special teachers recognize that the education for the understanding the multicultural family is need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education and the education shall be supported by the proper support according to the individual needs of each child including the disabled shildren. Third, the special teacher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the special teachers in understanding and supporting the disable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show their willingness to contribute to the education. Fourth, of the special teachers conduc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only, people may confuse that the multicultural children are the same as the disabled one. So, it is necessary to have the system in which the special teacher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ocuses on the related education only.

      • KCI등재

        비장애 또래교육을 연계한 협력적 보드게임놀이가 발달지체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양정민(Jeang-Min Yang),김향지(Hyang-Ji Kim) 한국발달장애학회 2021 발달장애연구 Vol.2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비장애 또래교육을 연계한 협력적 보드게임이 발달지체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문제는 중재를 통해 발달지체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중 도움주기, 접근 시도하기, 주도적 배려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결과가 유지되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P시 소재 장애아전문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발달지체유아 1명이며 행동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보드게임놀이 상황에서 비장애 또래가 놀이참여자이자 또래도우미로 사전에 의미교육과 도우미교육 2가지의 또래교육을 받았으며 11가지의 보드게임을 활용하였다. 의미교육은 중재 2일 전 도우미의 역할과 참여보상 방법에 대한 안내이며, 도우미교육은 중재가 실시되는 당일 보드게임놀이 30분 전 발달지체유아의 목표행동을 유도할 수 있는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 방법에 대한 내용으로 그림카드를 통해 간단한 역할시연 교육이다. 연구의 결과 첫째, 중재 이후 친사회적 행동 중 도움주기, 접근 시도하기, 주도적 배려 행동 발생률이 증가하였고, 둘째, 중재가 종료된 이후에도 증가 된 친사회적 행동이 유지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how cooperative board game associated with nondisabled peer teaching affects prosocial behavior of Infant with developmental delays. More specifically, it tries to analyze how cooperative board game in association with nondisabled peer teaching influences helping, approach trial, and initiative consideration among prosocial behavior factors of Infant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to look into whether their influenced behavior remains unchanged.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one Infant with developmental delays going to the M child care center specializing in disabilities in P city. Multiple baseline across behaviors was applied in the steps of baseline, intervention and follow-up. In order for a nondisabled peer to paly a role as a game participant and peer helper in board game, peer teaching is conducted in two types: Meaning teaching and helper teaching. And, 11 kinds of board game were used. Meaning teaching done two days before intervention is the guidance of the reward for peer helper’s role and board game participation, and helper teaching done 30 minutes before board game on the day of intervention is the simple role demonstration using picture cards which shows how to communicate and interact in order to induce the target behavior of the Infant with developmental delay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ly, after intervention, the occurrence rates of helping, approach trial, and initiative consideration among prosocial behavior factors increased. Secondly, after the end of intervention, the increased prosocial behavior remained unchanged.

      • KCI등재

        동화와 연계한 가베 활동이 지적장애 유아의 수학적 개념에 미치는 영향

        최윤정 ( Choi Yun-jeong ),김향지 ( Kim Hyang-ji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7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동화와 연계한 가베 활동이 지적장애 유아의 수학적 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의 구체적인 문제는 첫째, 동화와 연계한 가베 활동이 지적장애유아의 수학적 개념(수세기 개념, 위치공간 개념, 분류 개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둘째, 동화와 연계한 가베 활동이 중재 종료 후 수학적 개념의 일반화 및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다. 연구 대상 유아는 경상북도 P시의 장애전담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지적장애 유아 1명을 대상으로 행동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중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동화와 연계한 가베 활동을 적용한 수학적 개념 중재는 지적장애 유아의 수학적 개념(수세기 개념, 위치공간 개념, 분류 개념)의 수행률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중재를 통해 지적장애유아의 수학적 개념 수행률 증가는 중재가 종료 된 후에도 일반화 및 유지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동화와 연계한 가베 활동이 지적장애 유아의 수학적 개념을 향상시키는 유용한 방법임을 시사한다. 동화와 가베를 연계하여 지적장애유아의 다양한 인지수준을 고려한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 effect of Gabe activities connected to fairy tales on mathematical concepts of infa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is study is the following subjects for inquiry were set. First, how do Gabe activities connected to fairy tales have an effect on mathematical(counting concepts, location and space concepts, classification concepts) of infa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econd, how do this intervention have an effect on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of mathematical concepts after the termination of mediation? For the infant of the subject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behaviors was used targeting an infa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who attends the day care center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P city, Gyeongsangbuk-do. And through mediation, the following constructions were drawn as follows : The above results imply that Gabe activities connected fairy tales are the useful method which improves mathematical concepts of infa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 study suggested that next studies which considered various cognitive levels of infa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re required.

      • KCI등재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매너리즘에 미치는 영향

        장은진 ( Jang¸ Eun Jin ),김향지 ( Kim¸ Hyang Ji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1 지적장애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 심리적 소진, 매너리즘의 구성 개념 간의 영향 관계를 탐색하고, 직무스트레스와 매너리즘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와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전국의 특수학급,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 초·중·고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396부를 분석에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Process Macro for SPSS(Ver 3.5) 프로그램으로 처리하였다. 변인 간의 영향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하였고, 스트레스 대처와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통한 직접효과 분석, 단순 매개효과 분석, 이중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심리적 소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심리적 소진은 매너리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서 중심적 대처가 직무스트레스와 매너리즘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가 정서 중심적 대처와 심리적 소진을 매개로 매너리즘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와 매너리즘의 관계에서 심리적 소진은 완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수교사의 매너리즘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인으로 심리적 소진에 대한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매너리즘에 대한 논의를 본격화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고,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analyze the level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job stress, stress coping, psychological burnout, and mannerism, and to see whether these variable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eachers’ demographic variables. In addition, the examination to identify how the constructs relates to each other, and particularly to investigate the mediated effect of stress coping and psychological burnout between job stress and mannerism has been also performe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in special classes and special schools nationwide, and the final 396 sample were used for analysi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4.0 and PROCESS Macro for SPSS(Ver 3.5).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To analyze the mediated effects of stress coping and psychological burnout, direct effect analysis, simple mediated effect analysis, and multiple mediated effect analysis via bootstrapping were conducted. The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Job stress is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burnout, and psychological burnout has a positive effect on mannerism. Emotion-focused coping has been shown to play a partial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mannerism, and job stress indirectly affects mannerism through emotion-focused coping and psychological burnout. In addition, psychological burnout has been shown to serve as a complete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mannerism, and it has been proven that management of psychological burnout is very important as a mediating variable that affects the mannerism of special teachers. This work validates the relationship of variables by recognizing the mannerisms of special teachers differently from psychological burnout, and by exploring variables that affect them. Therefore, it is highly suggestive in that it is the first full-fledged study to prevent and manage the mannerism of special teachers, and to discuss the mannerism of special teachers.

      • KCI등재

        메타기억전략이 지적장애아동의 단기기억과제에 미치는 영향

        박미정 ( Mee Jung Park ),김향지 ( Hyang Ji K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5 지적장애연구 Vol.17 No.1

        이 연구는 메타기억전략이 지적장애아동의 단기기억과제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 대상자는 지능지수가 55-70 범위에 있고, 정신연령(MA)은 7세5개월-8세9개월의 범위에 있는 지적장애아동 26명을 선정하여 정신연령(MA)을 통제한 짝짓기에 의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무작위 배치하였으며, 교육과제와 전이과제의 재생수, 유지수, 학습시간을 구하여 집단별로 비교 검토하였다. 결과분석은 SPSS WIN 18.0이 사용되었으며, 두 집단의 기억과제를 독립변인으로 하고 재생수, 유지수 그리고 학습시간을 종속변인으로 한 t-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에서는 자유재생과제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재생수 및 유지수가 증가하였으며, 학습시간도 길어졌다. 또한 쌍제시과제에 있어서도 재생수 및 유지수가 증가하였으며, 학습시간도 길어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metamemory strategy instruction for enhancing short-term memory of the intellectual disabilities children. The study involved twenty-six intellectual disabilities children within intelligence quotient (IQ) range between 55 and 70 and about the mental age (MA) of 8.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the groups were cross-checked on the reproductive number and recognition number of the training tasks. The list of metamemory tasks was chosen by the researcher based on the results of preceding researches. The experimental group was taught the metamemory strategy while the control group was not.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free recall task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as an overall increase in both reproductive number and recognition number. In the paired recall task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also was an overall increase in both reproductive number and recognition number. The learning time in each of the tasks were lengthe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