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의융합 교과목 개발을 위한 대학생의 창의융합역량 차이 비교 및 분석

        김정연 ( Kim Chung-yun ),태진미 ( Tae Jin-mi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7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1 No.4

        최근 대학생 창의융합역량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창의융합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선행연구들은 창의역량에 융합을 포함시키거나 융합역량에 창의역량을 통합해 창의융합역량을 개념화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견해들은 창의성과 융합을 별개의 구인으로 접근하기 때문에, 창의융합역량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바탕으로 창의융합을 실현하기 위한 능력과 태도, 사고방식 등을 촉진시키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김정연(2016)이 개발하고 타당화한 창의융합역량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대학생의 창의융합역량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대학생의 성, 학년, 전공 및 소속대학의 소재 지역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여, 대학생을 위한 창의융합 교과목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첫째, 남학생의 평균점수가 여학생보다 높았으며, 창의적 능력, 융합적 가치 창출 및 창의융합역량에서만 성별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라 창의융합역량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3학년과 4학년이 1학년과 2학년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전공에 따라 창의융합역량의 차이가 있었으며, 공학 및 예체능계열의 대학생들이 인문, 사회, 상경, 자연계열의 학생들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역별로 창의융합역량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성, 학년 및 전공의 차이를 고려하여 차별화된 창의융합 교과목이 구안될 필요성을 시사한다. Recently, studies are increasing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and strengthen it. On the other hand, previous researches have conceptualized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by incorporating convergence into creativity competency or integrating creativity competency into convergence competency. However, since these perspectives regard creativity and convergence as each separate construct, there is a limit to promoting the ability, attitude, and a way of thinking to realize creativity convergence based on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using a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test developed and validated by Kim, Chung-Yun(201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by students' gender, grade, major, and area of a university,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creativity convergence instructions for university students.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an average grade of male students was statistically meaningfully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in creative ability, convergent value creation and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rade and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of the third and fourth graders was statistically meaningfully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and second graders.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major and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who specialized in engineering and ar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tudents whose major was humanities, society, business, and natural science. Fourth, the difference of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by reg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is an implication that differentiated creativity convergence instructions should be developed, considering gender, grade, and major based on this result.

      • KCI등재

        유아교사의 수업전문성 함양을 위한창의융합 교수-학습 지표 개발

        김해리,이경화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2 창의력교육연구 Vol.22 No.4

        This study developed a teaching-learning indicator for creativity confluence as a guidelin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perform creative confluence classes with instructional expertise. This study came about in three stages. In the first stage, creative confluence class and FGI were conducted on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analysis; and the concept and component of teaching-learning of creative confluence for early childhood. In the second stage of indicator development, the first and second Delphi surveys confirmed the content validity (CVI) and consensus of the survey items and developed the provisional indicator. In the third stage of the indicator completion, there was confirmation of content validity (CVI) and agreement on the components and indicators of teaching-learning of creative confluence for early childhood were confirmed through the expert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as results of this study was confirmed that a creative confluence teaching-learning indicator for cultivating instructional expertis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components required for performance in professional creative confluence classes were 'teacher's creative confluence class ability, creative confluence class design, creative confluence class execution, creative confluence class evaluation, creative confluence class environmen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가 수업전문성을 가지고 창의융합수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창의융합 교수-학습 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문적 유아 창의융합 수업 수행에 필수적인 교수-학습의 구성요인과 하위요인을 도출하고 타당화하여 지표를 완성하였다. 연구절차에서 첫째로 국내·외 문헌 분석과 FGI를 통해 유아 창의융합 교수-학습의 개념과 구성요인(5개 구성요인, 11개 하위요인)을 도출하였다. 둘째로 내용타당도 및 합의도 확인을 위하여 델파이 조사를 하였는데, 1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유아 창의융합 교수-학습의 개념과 구성요인에 대한 타당성을 확인하였고, 2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1차 델파이 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제작한 유아 창의융합 교수-학습 지표 잠정안에 대한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셋째로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유아 창의융합 교수-학습 지표를 확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 창의융합 교수-학습 지표가 교사의 창의융합수업 역량, 창의융합수업 설계, 창의융합수업 실행, 창의융합수업 평가, 창의융합수업 환경의 5개 구성요인과 12개의 하위요인, 그리고 59개 문항으로 신뢰롭고 타당하게 개발되었다.

      • KCI등재

        창의적 융합인재에 관한 개념 틀 정립

        김왕동(Wangdong Kim) 한국영재교육학회 2012 영재와 영재교육 Vol.11 No.1

        정부는 현재 창의적 융합인재 양성과 활용을 위해 적극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추진되고 있는 창의적 융합인재 양성 정책들은 준비기간의 부족으로 이론적 토대가 미흡한 상황이다. 그 결과 창의적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정책 대안들이 다수 제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왜 그 대안이 효과적이고 창의성 발현 관점에서 어떤 의미가 있는지 등의 이론적 뒷받침이 부족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 이론 관점에서 창의적 융합인재의 개념적 틀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즉, 창의적 융합인재는 무엇이고, 어떤 유형이 있으며, 어떤 특성이 있는지, 더 나아가 과학기술과 예술 분야는 어떤 관계가 있고, 융합이 왜 중요하며, 촉진방안에는 무엇이 있는지 등에 관한 보다 근본적인 질문을 다루었다. 본 연구는 창의성 관점에서 창의적 융합인재의 이론적 틀을 제시하고 창의적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실질적인 정책 툴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창의적 융합인재 양성 주제를 다룸에 있어 과학기술과 인문사회분야를 다루지 못한 점은 한계라 할 수 있다. The Korean government has actively sought to develop and utilize talents capable of creative fusion. However, the government policies related to this effort are lacking theoretical basis due to the short time frame allowed for policy planning. As result, though various policy options have been presented to help bring up talents capable of creative fusion, the theoretical explanation on why these options are effective and what implications they have for inducing creativity is lacking. In this background, this study has identified the need to build the conceptual framework and expected challenges in bringing up talents capable of creative fusion from the perspective of creativity theory. It means this study is dealing with the following fundamental questions; Who are the talents capable of creative fusion and what ar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se talent? How is science and technology related to art? Why is fusion so important? What measures can the government take to promote fusion between science and technology and art? This study is especially meaningful as it presents practical policy framework as well as conceptual theoretical framework to bring up talents capable of creative fusion from the creativity perspective. However, this study still has limitations. Though this study is dealing with the theme of bringing up talents capable of creative fusion, its attempt is not comprehensive enough to cover the fusion between science and technology and humanities and liberal art.

      • KCI등재

        창의융합의 과학교육적 의미와 과학 교실문화의 방향

        송진웅,나지연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4 교과교육학연구 Vol.18 No.3

        최근 국내외에서는 창의융합 교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요구가 크게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과학교육과 관련하여 창의융합 교육의 의미에 대한 최근의 논의와 실천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과학 교실문화의 방향을 탐색하였다. 2009 개정 교육과정 이후 강조되고 있는 창의융합은 새로이 진행되는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기본 방향으로 채택되고 있다. 그런데 창의융합은 ‘창의적융합’, ‘창의인성’, ‘융합인재’ 등 다양한 용어들과 혼용되고 있으며, 그 의미는 소위 ‘스티브잡스’등으로대표되는슈퍼스타의이미지로서,학급과 교실의 단위에서 이루어지는 공동체로서의 과학 교수학습과 개념적 간격이 크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창의’와 ‘융합’은 교육의 매우 다양한 장면에서 과학교육의 지향점으로 언급되고있다. 하지만 창의가 과학교육을 통해 달성해야 할 목표라면, 융합은 이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에 해당한다. 창의융합 교육의 향후 과제는 다양성과 독립성을 갖춘 개인들이 모인 창의적 교실문화를 어떻게 달성할 것인가이다. 창의융합의 과학교육이 학교 맥락 속에서 실제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급의 집단창의성을 과학 교실문화의 관점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또한 융합을 위해서는 ‘교과간 통합’으로부터 ‘학교과학과 일상경험간 통합’에 이르는 다양한 수준의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지고, 개방적이고 융합적인 과학 탐구 활동이 활발하게 전개되며, 과학 교실문화에 대한 거시적 미시적 분석과 추가연구들이 이루어질 필요가있다. Recently there has been a rapidly increas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demand for the education of creativity and integration. This study critically reviews the practice and discussions on the meanings of the education of creativity and integration. Based on the review, this study then examines the future directions of science classroom culture. ‘Creativity and integration’, which has been emphasized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2009 National Curriculum, becomes the overall direction of the new 2015 National Curriculum; but it has been used interchangeably with many other related expressions; e.g., ‘creative integration’, ‘creative personality’, and ‘creative human resource’. In addition, the expression is frequently represented by the image of a super-hero like Steve Jobs, and thus illustrates a conceptual disparity with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science in schools as a community of practice. Currently, in various educational settings, ‘creativity’ and ‘integration’ are both often referred to as the goals of science education; but, if creativity is the goal, integration should be the method. It is suggested that the future task of the education of creativity and integration should be how to achieve a creative classroom culture where individuals of diversity and independence can work together. In order for science education for creativity and integration to be practised in actual school contexts, it seems necessary to look at the collective creativity of the classroom through the perspective of science classroom culture. In addition, there should be (1) integrative approaches at various levels, from the ‘inter-subject integration’ level to the ‘integration between school science and everyday experience’ level, (2) active practice of open and integrative scientific inquiry, and (3) further analyses and studies on science classroom culture at micro as well as macro levels.

      • KCI등재후보

        창의융합역량에 대한 예술전공학생의 인식 차이 및 세부전공별 창의융합역량의 차이

        박선영,이경화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8 Global Creative Leader Vol.8 No.4

        As the qualification system for cultural arts education was established, a lecture was provided to promote the creative convergent competence of students of art major. However, many art students do not know exactly what kind of classes and methods should be taught in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s to foster creative convergent competence.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research to identify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reative convergent competence of the arts major students and their perception of the creative convergent competence according to the specific art major. we surveyed 382 college students in traditional arts, music, fine arts, theater․film at six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The survey used questionnaires to know the perception of the arts major students and test for measuring their creative convergent competence (Kim, 2016) was applied to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perception of arts major students was high on the importance of creative convergent competence, necessity of it’s development, and necessity of education for developing creative convergent competence. However, satisfaction with education for enhancing convergent capacity was low.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of creative convergent competence according to major.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reative convergent competence according to the specific major. Especially, differences in specific major were significant in creative ability, convergent thinking, and creation of convergent value. These results can help to construct curriculum for the arts majors' ability to enhance the creative convergent competence of the arts students.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가 마련됨에 따라 예술전공학생의 창의융합역량 함양을 위한 강좌가 제공되었다. 그러나 많은 예술전공 대학생들은 초중등 학교에서 창의융합역량 함양을 위해 어떤 수업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정확히 모르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예술전공 대학생들은 창의융합역량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 지와 예술의 세부전공에 따라 창의융합역량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이에 따라 서울시와 경기도 등 수도권 6개 대학교의 전통예술, 음악, 미술, 연극·영화과에 재학 중인 예술전공 대학생 38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예술전공 대학생들의 창의융합역량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전공별 창의융합역량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창의융합역량 측정도구(김정연, 2016)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처리와 분석은 SPSS 24.0을 사용하여 신뢰도로 Cronbach α계수를 산출하고, 기술통계 및 빈도분석, 카이제곱(χ²)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One way ANOVA)을 하였고, 사후검증으로 Scheffé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창의융합역량의 중요성, 창의융합역량 개발의 필요성, 창의융합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예술전공 대학생들의 인식이 전반적으로 높았지만 창의융합역량의 개념에 대한 인식 정도와 창의융합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에 따른 창의융합역량에 대한 인식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p<.001). 셋째, 전공에 따른 전체 창의융합역량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p<.01). 특히 창의적 능력, 융합적 사고, 융합적 가치창출에서 전공별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예술전공학생들을 위한 창의융합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과정 구성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대학생 창의융합역량 5C 모형 검증

        김정연,이경화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5C model that explained the creativity confluence competency of the university students, with the ultimate goal of developing a test. For this purpose, a preliminary test was conducted to university students. Through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59 items were extracted which included creative ability, creative personality, creative leadership, confluent thinking, and confluent value creation. Construct validity was identified by performing this test an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5C model was verified. As a result, rather than a hierarchical structure model which was integrated with creative competency and confluence competency, a parallel structure of 5C model which consisted of creative ability, creative personality, creative leadership, confluent thinking, and confluent value creation explained creativity confluence competency for university students was verified. This study result will be the basic research material to develop a teaching and learning system and a creativity confluence competency test. 본 연구는 대학생의 창의융합역량을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을 두고, 창의융합역량을 설명할 수 있는 5C 모형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창의융합역량의 하위요인인 창의적 능력, 창의적 성격, 창의적 리더십, 융합적 사고, 융합적 가치 창출에 해당하는 총 59문항이 추출되었다. 그리고 본 검사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구인타당도를 확보하였고, 이 과정을 통해서 5C 모형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 창의융합역량은 창의역량과 융합역량으로 구성된 위계구조모형보다는 창의적 능력, 창의적 성격, 창의적 리더십, 융합적 사고, 융합적 가치 창출로 구성된 단일 차원의 병렬구조모형으로 이루어진 5C 모형의 적합도가 설명력이 더 높음을 확인하여, 5C 모형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대학에서 창의융합역량을 향상시키는 교수-학습 체계와 대학생 창의융합역량 측정도구를 개발할 수 있는 기초연구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외국인유학생의 창의융합교육에 대한 인식 및 창의융합역량 분석

        김정연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cognition of creativity convergence education and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of international student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To this end, 247 international students in a four-year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ir recognition of creativity convergence education and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by grade, Korean language level, and whether they take creativity classes were analyzed. As a result,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recognition of creativity convergency education by background variables. Recognition of creativity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upper grade was relatively higher. Recognition by Korean language level did not show differences and was not high enough overall. The recognition level of students who took creativity class was high and positive.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by background variables. The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was higher in the upper grade than in the lower grade, but convergence competency was slightly lower than a moderate level. The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by Korean language level did not show differences. The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by whether to take creativity class was higher in the group who took creativity class.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convergence competency, and it was lower than the creativity competency level.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relevant and basic data as to preparing for effective creativity convergence education plans to enhance the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of international students.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유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창의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창의융합역량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외국인유학생 247명을 대상으로 학년별, 한국어수준별, 창의수업 수강유무별로 창의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창의융합역량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배경변인별로 창의융합교육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즉, 학년별 인식은 고학년의 창의융합교육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국어수준별 인식은 한국어능력 급수에 따른 인식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전반적으로 충분히 높지 않았다. 창의수업 수강유무별 인식은 창의수업나타났다. 즉, 학년별 창의융합역량은 고학년이 저학년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융합역량은 전반적으로 보통 수준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다. 한국어수준별 창의융합역량은 한국어능력 급수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창의수업 수강유무별 창의융합역량은 창의수업을 수강한 집단에서 창의역량이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융합역량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창의역량 수준보다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외국인유학생의 창의융합역량 증진을 위한 실효성 있는 창의융합교육 방안 마련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창의·융합 독서교육을 위한 교수·학습방법 및 모형 개발

        강정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5 교과교육학연구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method and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creativity convergence reading education in order to design teaching that includes processes, guidelines, considerations, and precautions. These teaching-learning method and instructional design models were developed as formative research that i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expert interviews, and a pilot study. This study produced several results. First, the teaching-learning method and instructional design model includes the processes and principles needed for systemic and systematic design principles, which translates into creativity convergence reading education. Second, these macro-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use the principle of convergence, finality, diversity, solving problem, and experience, which are executed through unit teaching. Third, these micro-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use the processes, guidelines, considerations, and precautions of five design stages which are executed through lesson classes. The teaching-learning method and instructional design model give the results of the instructional design for creativity convergence reading education to the teachers, and then they suggest various interventions that help improve creativity convergence instruction. The three types of instructional design model(troubleshooting-type class model, team challenge-type class model, and individual challenge-type class model) for creativity convergence reading education developed through this research provide useful guidelines for teachers and learners, which can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problem-solving, collaboration, discussion competences, and reading strategies.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융합 독서교육을 위한 교수·학습방법의 탐색과 수업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으며,현장 실행 가능성이 높은 수업절차 및 과정, 실행지침, 고려 및 주의사항이 포함된 실천적인 수업전략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개발연구를 적용하여 문헌분석을 통해 이론적 교수·학습방법 및 모형을 개발하고 전문가검토와 현장적용을 통한 형성평가를 거쳐 실천적인 수업전략으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창의·융합 독서교육 교수·학습방법 및 모형은 첫째,독서교육을 중심으로 다양한 교과들과의 창의·융합을 위해 학습준거의 틀 속에서 독서교육을 위한 교수·학습방법의 거시적 전략과 미시적 전략을 통합하고 구조화시켜 제시하였다. 둘째, 학습자의 읽기 자체의 기능 및 전략학습을 위한 독서학습과 글에 담긴 내용, 개념의 이해 및 파지를 위한 학습독서가 동시에 일어날 수 있도록 독서교육을 위한 창의·융합 수업모형을 제시하였다. 셋째,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가 함께 이루어지는 총체적 언어학습을 위한 통합적 학습내용 및 환경에 부응하도록 창의·융합 수업모형을 크게 세 가지 유형인 문제 해결형, 팀 과제형, 개인 과제형으로 세분화하여 제시하였다. 넷째, 각각의 수업모형들은 교사들의 수업설계 및 실행의 효율성, 효과성을 높여줄 수 있는 구체적인 수업절차 및 과정, 절차별 실행지침과 더불어 핵심적인 독서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수업전략 및 모형들은 현장 교사들이 창의·융합 독서교육을 위해 단원수준, 차시수준의 수업을 설계하고자 할 때 필요한 수업전략 설계 정보를 거시적 전략과 미시적 전략으로 구분하여 제공하고 있다. 또한, 창의·융합 독서수업을 실행할 때 도입, 전개, 정리 단계별로 창의·융합 수업전략과 함께 독서전략을 통합적으로 제공하여 수업실행의 부담을 줄여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융합교육 인식, 그릿 및 창의융합역량과의 관계

        김정연(Chung-Yun Kim) 한국영재교육학회 2020 영재와 영재교육 Vol.19 No.4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융합교육 인식 및 그릿의 배경변인(학년, 실습경험, 지역)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고, 창의융합교육 인식 수준 및 그릿 수준에 따른 창의융합역량을 비교하여 그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수도권 및 비수도권 지역에서 유아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예비유아교사 337명을 대상으로 창의융합교육 인식(김정연, 2018), Peterson, Matthews와 Kelly(2007)가 개발한 Original Grit Scale(Grit-O)의 한국 번안 검사도구인 그릿(이수란, 2015) 및 창의융합역량(김정연, 2017) 검사가 실시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학년 및 실습경험에 따라 창의융합교육에 대한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융합교육 인식 수준에 따른 창의융합역량은 창의적 능력, 창의적 성격, 창의적 리더십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학년에서 그릿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예비유아교사의 그릿 수준에 따라 창의융합역량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그릿의 수준을 확인하여 이를 위한 창의융합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개발 등에 있어서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dentified differences of creativity convergence education recognition and grit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according to the level of creativity convergence education recognition and grit and the relationship among creativity convergence education recognition, grit and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were compared. Accordingly, the tests of creativity convergence education recognition(Kim, 2018), and grit(Lee, 2015) and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Kim, 2017) were used to analyze data of 337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creativity convergence education recognition according to grade and practical experience. Second, the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according to the creativity convergence education recognition level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creative ability, creative personality, and creative leadership.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grit in the grad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according to the grit level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refore, these results will be a reference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and programs to enhance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고등학교 교사의 창의융합수업에 대한 인식 및 창의융합역량 차이 분석

        박정미(Park Jeong-mee),이경화(Lee Kyunghw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3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에서 창의융합수업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고등학교 교사들의 창의융합수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창의융합교육 실시 유무 및 창의융합연수 참여 유무에 따른 창의융합역량의 차이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조사 참여자는 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123명이었으며, 창의융합교육에 대한 인식 및 창의융합역량에 대해 2018년 11월 19일부터 30일까지 설문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인식파악을 위해 기술 통계치를 산출하여 비교하였고, 집단 간 차이는두 독립표본 t-test를 통해 확인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고등학교 교사들은 창의융합교육의 실시 혹은 연수 참여 유무에 따라 인식과 창의융합역량에 있어서 유의한 차 이가 있었다(p<.001). 즉, 교사 자신이 창의융합교육을 실시해보았거나 창의융합연수에 참여한 교사가 창의융합교육의 운영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고, 본인 스스로 인식하는 창의융합역량도 더 높았다. 따라서 고등학교에서 창의융합수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창의융합수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지원이나 환경이 마련되어야 하고, 창의융합연수에 참여하도록 독려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high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creative convergence lessons, and the implementation experience of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and the difference of creative convergence ability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o participate in creative convergence training for teacher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23 high school teachers, and they received the questions from 19 November 2018 to 30 about the perception of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and the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cy.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comparing descriptive statistics for perception, and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confirmed by two independent sample t-tests. According to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high school teacher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 and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cy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or participation in teacher training (p<.001). In other words, the teachers who had experience in implementing the convergence education of the children, or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creative convergence training, were more aware of the operation and necessity of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and the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cy was higher. Therefore, in order to activate the creative convergence lesson in high school, various supports and environment should be provided so that high school teachers can implement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And we need a way to encourage the high school teacher in participate the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trai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