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이미지와 농가공품이미지간의 유사성과 지역대표특산물의 브랜드자산이 지역농가공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청도지역과 청도반시의 브랜드자산을 중심으로-

        손상희,박소진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7 지역산업연구 Vol.40 No.4

        This study use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brand extension to verify the effect of similarity between regional image and processed agricultural product image and brand equity of a typical local product on perceived quality and purchase intention of regional processed agricultural product. Considering “Cheongdo” as place umbrella brand, or parent brand, and agricultural processed products in Cheongdo as partner brand, or extended brand, this study examin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similarity between regional image of Cheongdo and the image of regional processed agricultural products and brand equity of a typical local product “Cheondo Banshi” that affects the purchase decision of regional processed agricultural products. Research shows that the higher the similarity between regional image and the image of a regional processed agricultural product as well as brand equity of a typical local product, the higher the perceived quality becomes which leads to higher purchase intentions. The study also reveals that the brand equity of a typical local product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has a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for regional agricultural processed products. The study suggests increasing suitability between regional image and the image of a regional processed agricultural product and establishing brand equity of a typical local product. 본 연구는 본 연구는 지역공동브랜드의 브랜드확장 견지에서 지역이미지와 지역농가공품 이미지간의 유사성과 지역대표특산물의 브랜드자산이 지역농가공품의 지각된 품질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모델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청도’를 지역공동브랜드 또는 모상표, 청도에서 생산되는 농가공품브랜드를 파트너브랜드 또는 확장상표로 간주하고 청도지역이미지와 농가공품이미지의 유사성과 청도지역대표특산물인 청도반시의 브랜드자산이 지역농가공품 브랜드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지역이미지와 지역농가공품 이미지간의 유사성이 높을수록, 지역대표특산물의 브랜드자산이 클수록 지역농가공품의 품질을 높게 지각하며 나아가 구매의도도 증가함이 밝혀졌다. 또한 지역대표특산물을 브랜드자산은 지역농가공품의 구매의도에 직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농가공품의 매출증대를 위해서는 지역이미지와 농가공품이미지간의 유사성이 중요하며, 지역대표특산물의 브랜드자산을 구축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 KCI등재

        지역 이미지의 시각적 연계성 연구 - 국내 대도시의 심벌마크와 캐릭터를 중심으로 -

        김정열,김민송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20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21 No.64

        국내 각 지자체의 지역 이미지는 지역의 정체성을 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만들어졌으며, 지역을 상징 하는 시각 이미지로서 다양한 곳에 활용된다. 지역을 상징하는 시각 이미지는 시민이나 관광객이 지역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획하고 디자인하는 것이 중 요하다. 전국 245개 지자체 중 대부분의 지자체가 심 벌마크와 캐릭터를 보유하고 있을 정도로 관심을 갖 고, 다양한 곳에 활용하고 있다. 지역 이미지를 활용 하여 지역 관광 및 문화, 특산물 등을 홍보하는데 적 극적으로 활용하고 있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도움을 주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전국 245개의 지자체 중 거주 인 구 및 유동 인구가 많은 특별시 1곳과 광역시 6곳을 선정하였다. 지역 이미지의 대표적인 사례 중 심벌마 크, 캐릭터, 슬로건, 도시를 상징하는 꽃인 시화(市 花), 도시를 상징하는 새인 시조(市鳥), 도시 컬러 등 을 정리하고 분석했다. 본 연구에서는 선정된 도시의 거주 중인 시민 269 명을 대상으로 지역 이미지에 대한 인식과 시각적 연계성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를 통해 다 음과 같은 기준으로 분석하고 정리했다. 첫째, 시각 이미지로서 심벌마크와 캐릭터의 시각 적 연계성의 필요 여부에 대해 분석했다, 둘째, 지역 이미지로서 심벌마크와 캐릭터의 필요 여부에 대한 인식을 분석했다. 셋째, 지역 이미지의 표현에 대한 이식을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현재 만들어져 있는 심 벌마크와 캐릭터의 시각적 연계성 여부에 대해 분석 했다.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으로는 현재 만들어져 있 는 심벌마크와 캐릭터의 이미지는 시각적 연계성이 낮았다. 시각적 연계성을 기준으로 시각 이미지가 잘 표현되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했다. 반면, 지역 이미지 로서 심벌마크와 캐릭터는 필요한 요소라는 것을 확 인하였고, 시각적 연계성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했 다. 이를 통해, 각 지자체는 효과적인 지역 이미지의 활용을 위해서는 시각적 연계성을 기반으로 한 지역 이미지를 개발한다면, 지역의 긍정적 이미지 향상 및 지역 경제 활성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긍정적인 결과 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Made for the purpose of conveying local identity, the local image of each local government in South Korea is used in various ways as a visual image symbolizing the region. As visual images symbolize the municipality, it is important to plan and design them in a fashion that citizens and tourists can easily understand its characteristics. Most of the 245 local governments across South Korea have their own city symbols and characters and utilize them for various purposes. The local images have been extensively used to promote local tourism, culture, and specialty products, contributing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For this study, out of the 245 Korean local governments, one special city and six metropolitan cities with a large resident and floating population were selected. Among several representative examples of local images, city symbols, characters, slogans, flowers, birds, colors, etc. were organized and analyzed. In addi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perception of local images and the visual connectivity of local images with 269 residents living in the selected cities. Th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and organiz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First, the importance of the visual connectivity of symbols and characters as visual images was analyzed. Second, the perception of the need for symbols and characters as local images was studied. Third, the perception of the expression of local images was analyzed. Finally, whether there was visual connectivity between the existing symbols and characters was explored. As a result, the existing symbol and mascot images had a low visual connectivity. It was found that the visual image was not properly expressed based on the visual connectivity. On the other hand, symbols and characters, as local images, were found to be necessary elements. Additionally, it was revealed that visual connectivity is essential. In conclusion, local governments can expect positive outcomes in a variety of areas, including the improvement of the local image and the boost of the local economy, by developing the local image based on visual connectivity for its effective use.

      • KCI등재

        지역 정체성이 지역 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이영원 ( Young Won Lee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4 언론과학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지역민과 지역사회와의 관계성을 반영하는 지역 정체성이 지역에 대한 평가 및 태도로 나타나는 지역 이미지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조사함으로써 지역민과 지역사회와의 상호작용에 따른 지역 이미지 효과를 분석하였다. 지역 정체성은 지역적 특성과 함께 지역민과 지역사회와의 관계를 반영하는 개념으로, 지역 정체성에 따른 지역 이미지 분석은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지역민들이 인지하는 내재적 차원의 지역 이미지 효과를 분석한 것이다. 분석 결과, 지역 정체성은 지역 애정도와 지역관여도, 지역사회와의 정서적 유대감으로 구분되었으며, 지역 이미지는 젊고 진취적인 성향을 나타내는 활기찬 이미지, 전통성과 함께 따뜻한 정감을 포함하는 감성적 차원의 친근한 이미지, 강인함을 바탕으로 한 평가적 차원의 미래지향적 이미지로 각각 구분되었다. 지역 정체성에 따른 지역 이미지 효과는 지역사회 활동이 활발할수록 보다 역동적인 지역 이미지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사회의 현안에 대한 논의나 지역사회 활동이 활발할수록 지역 미래에 대해 평가적 차원에서 긍정적 이미지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 사회 내에서 지역민과 유대 관계가 깊고 정서적 교류가 많을수록 지역에 대한 감성적 인지성향이 높아져 지역에 대한 친근한 이미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역 신뢰도에 따른 지역 이미지 효과는 활기찬 이미지나 친근한 이미지, 미래지향적 이미지 모두에 긍정적 영향력을 나타내 지역사회에 대한 신뢰가 높을수록 감성적, 평가적 차원의 지역 이미지 효과가 모두 긍정적으로 나타남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local image of the residents according to the local identity which consists of the interac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The local identity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ident and the local community including the local characteristics. The study can provide the differential perspective of the local image in terms of the analysis the intrinsic local image of the residents, which is contrary to the analysis of the external local image such as the local symbols.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intrinsic local image consists of the young image which implies the enterprising spirit, the traditional image which implies the emotional warmth, and the future-oriented image which implies the strong and vivid spiri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factors of the local identity and those of the local image are almos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ffects of the local identity on the intrinsic local image show that the more local activities, the more active local image of the resident. The more involvement with the local community and the local activities, the more positive local image in terms of the evaluative dimension. It also shows that the more relationships between the resident and the local community including the affective interaction with the residents, the more emotional ties with the residents. The reliability of the local community has the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s on the all the components of the local image.

      • KCI등재후보

        지역축제 이미지와 관광목적지 이미지 간 관련성 연구

        류웅걸,강애양,오상운 동북아관광학회 2012 동북아관광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지역축제 이미지와 관광목적지 이미지를 파악하고 각 이미지 간 상호 관 련성을 파악하여 이미지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었다. 설문조사는 서귀포 칠십리축제 방문객 중 중국관광객 2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 중 응답이 부실하거나 신뢰도가 떨어지는 것을 제외한 223부를 본 연구에서 이용하였다. 측정변수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타당성 검증을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한결과 지역축제 이미지는 행사내용, 친절 및 편의시설, 행사체험, 주변관광 4개의 요인으로, 관광목적지 이미지는 관광매력, 친절 및 관광지, 편의성 및 체험, 지역기반시설 4개의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신뢰도 분석 결과 대부분의 요인에 대한 크론바하 알파계수가 0.8 이상으로 신뢰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지역축제 이미지와 관광목적지 이미지 요인들 간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축제 이미지 중에는 행사체험요인, 친절·편의시설요인, 주변관광요인이, 관광목적지 이미지 중에는 편의성 및 체험요인, 지역기반요인, 관광매력요인이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결론적으로 지역축제 이미지와 관광목적지 이미지는 상호 관련성을 갖고 계속적으로 발전해야 하며, 각각의 이미지를 동시에 전달할 수 있는 프로모션 전략을 개발해야만 지역축제가 관광목적지 이미지를 개선하고 지역적 가치를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지역이미지와 캐릭터디자인의 의미관계 연구 - 대전광역시 캐릭터디자인를 중심으로-

        민혜남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08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6 No.-

        세계화를 표방하는 각 광역도시는 고속철 개통과 주 5일제 시대가 도래 하면서 광역시와 수도가 아주 가까워지고 있다는 것을 피부로 느끼기 시작했다. 또한 각 광역시(廣域市)는 세계화를 위한 크고 작 은 국제규모의 행사를 개최하거나 기획하는 등의 활발한 지역이미지 활동을 진행 중이다. 이와 관련된 행사로 고속도로로 이동하면 여지없이 지역의 경계를 알리는 사인물이나 이미지를 보여주는 캐릭터들 이 눈에 들어온다. 그러나 도가 넘을 정도의 경쟁적으로 많은 이미지물들이 오히려 방문객을 혼란스럽 게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지역이미지 재고를 위한 이미지 또는 캐릭터 디자인이 ‘더 크게, 더 많게, 더 튀게’라는 방향으로 개발되면서 오히려 부정적인 이미지를 심어주는 경향까지 나타나게 되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대전광역시는 첨단 과학, 경제, 문화적인 측면 캐릭터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지역이미 지와 캐릭터 의미관계를 살펴 보고자한다. 여기서 이미지가 어떤 것-항상 보이는 것을 가리 키지는 않으나, 보이는 것으로부터 몇몇 특징들을 빌려오는 ‘그 어떤 것’―을 지칭한다는 개념을 도입 한다면, 대전광역시 캐릭터의 이미지가 구체적이든 상상적이든 간에 그 이미지가 가지고 있으면서 차용 되어 지고 있는 특징들을 장 보드리야르의(jean Baudrilard) ‘시뮬라시옹’ 개념을 통해 살펴본 후, 이미지가 주체의 불가능성이 아닌 시뮬라크르 실재 로서 존재하게 됨을 밝히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대전광역도시가 추구하는 지역이미 지의 캐릭터디자인이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첨단과학도시, 행정, 문화, 경제에 알맞은 지역 이미지의 캐릭터디자인에 대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Each metropolitan city adopting a motto as globalization get to feel the impact of the fact that getting closer in-between metropolis and capital city as the high speed railway and 5 days per week working system era approaches. Also each metropolitan city is on the progress of informing their regional image actively. for the regional image by holding many large and small scale of international fairs. Relevant to these events, when you enter into the high-way,you may see many signboards or characters which shows the border. However, sometimes too many signboards lead the visitors to confusion. And even there is a tendency to implant the negative image to them as the Character design and the images on the signboards are being developed as ' the bigger, the more, the more catchy way'.Considering it, Daejeon metropolitan city got to design more proper character which could revive the city's high technological, economic and it's cultural side. The character's image doesn't always indicate a 'visual'one, however if we seek out some characteristic concept from it, we will inspect carefully by the viewpoint of 'Simulation by Jean Baudrilard'and will reveal that the image exists as the reality of Simulracre not by the subject's impossibility. This thesis shows that what kind of relationships are in-between the regional image and its characteristic design that 'Daejeon metropolitan city as the high tech, administrative , cultural and economic city' pursuits, and seeks out the suitable regional images and characteristic design accordingly.

      • KCI등재

        지역축제 서비스스케이프와 지역이미지 간의 관계에서 지각가치의 매개효과

        김지흔(Kim, ji-heu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6 문화산업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지역축제의 서비스스케이프와 지역이미지간의 관계에서 지각가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지역축제를 참여한 관광객을 대상 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스케이프의 시설 및 건물 등의 청결을 요하는 청결성, 행사진행 요원의 원활한 진행 및 친절한 서비스를 나타내는 친절성, 행사장에서 이동의 편의를 나타내는 편의성, 교통 및 안내 시설 등 행사장에 접근이 편리한 접근성 등 지역이미지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서 지역이미지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해 본 결과 매력성, 편의성, 청결성, 친절성 순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접근성은 유의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고, 정서적 이미지 요인에는 친절성, 매력성, 편의성, 접근성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청결성은 유의적이지 못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둘째, 서비스스케이프의 모든 요인은 지각가치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영향력의 크기는 편의성, 청결성, 매력성, 접근성, 친절성 순으로 지각가치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셋째, 지각가치는 지역이미지의 하위요인 인지적 이미지와 정서적 이미지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넷째, 서비스스케이프 요인에서 매력성 요인을 제외한 청결성, 접근성, 편의성, 친절성요인에서 지역이미지의 인지적 이미지 간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정서적 이미지 간에 있어서 청결성과 친절성 요인을 제외하고 접근성, 매력성, 편의성의 요인은 매개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지역축제의 행사 주최자들에게 축제의 프로그램 및 마케팅을 조성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이미지 제고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value in the relation between service scape in local festivals and local image . The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of tourists who have participated in local festivals is as follows: First of all, factors of service scape include cleanliness that facilities and buildings should be clean, kindness that smooth process and kind services of personnel for events, convenience that people are convenient to move in event locations, accessibility that people can access event locations conveniently such as transportations, information centers, etc. In this study, influence of sub factors of local image of service scape over cognitive image is compared. As a result, while it affects local image in order of attractiveness, convenience, cleanliness and kindness and accessibility is not significant, it affects emotional image in order of kindness, attractiveness, convenience and accessibility and cleanliness is not significant. Secondly, the study verifies that all factors of service scap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value and its influenc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value in order of convenience, cleanliness, attractiveness, accessibility and kindness. Thirdly, perceived valu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ognitive image and emotional image that are sub factors of local image. Lastly, cleanliness, accessibility and kindliness of service scape serve a role as a mediator between cognitive images of local image and accessibility, attractiveness and convenience serve as amediator between emotional images. This result of the study is to contribute to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and improvement of local image by providing basic information necessary for plans for festival programs and marketing for local festival holders. 본 연구는 지역축제의 서비스스케이프와 지역이미지간의 관계에서 지각가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지역축제를 참여한 관광객을 대상 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스케이프의 시설 및 건물 등의 청결을 요하는 청결성, 행사진행 요원의 원활한 진행 및 친절한 서비스를 나타내는 친절성, 행사장에서 이동의 편의를 나타내는 편의성, 교통 및 안내 시설 등 행사장에 접근이 편리한 접근성 등 지역이미지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서 지역이미지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해 본 결과 매력성, 편의성, 청결성, 친절성 순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접근성은 유의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고, 정서적 이미지 요인에는 친절성, 매력성, 편의성, 접근성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청결성은 유의적이지 못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둘째, 서비스스케이프의 모든 요인은 지각가치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영향력의 크기는 편의성, 청결성, 매력성, 접근성, 친절성 순으로 지각가치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셋째, 지각가치는 지역이미지의 하위요인 인지적 이미지와 정서적 이미지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넷째, 서비스스케이프 요인에서 매력성 요인을 제외한 청결성, 접근성, 편의성, 친절성요인에서 지역이미지의 인지적 이미지 간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정서적 이미지 간에 있어서 청결성과 친절성 요인을 제외하고 접근성, 매력성, 편의성의 요인은 매개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지역축제의 행사 주최자들에게 축제의 프로그램 및 마케팅을 조성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이미지 제고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value in the relation between service scape in local festivals and local image . The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of tourists who have participated in local festivals is as follows: First of all, factors of service scape include cleanliness that facilities and buildings should be clean, kindness that smooth process and kind services of personnel for events, convenience that people are convenient to move in event locations, accessibility that people can access event locations conveniently such as transportations, information centers, etc. In this study, influence of sub factors of local image of service scape over cognitive image is compared. As a result, while it affects local image in order of attractiveness, convenience, cleanliness and kindness and accessibility is not significant, it affects emotional image in order of kindness, attractiveness, convenience and accessibility and cleanliness is not significant. Secondly, the study verifies that all factors of service scap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value and its influenc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value in order of convenience, cleanliness, attractiveness, accessibility and kindness. Thirdly, perceived valu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ognitive image and emotional image that are sub factors of local image. Lastly, cleanliness, accessibility and kindliness of service scape serve a role as a mediator between cognitive images of local image and accessibility, attractiveness and convenience serve as amediator between emotional images. This result of the study is to contribute to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and improvement of local image by providing basic information necessary for plans for festival programs and marketing for local festival holders.

      • KCI등재

        지역 이미지의 다차원적 요인이 지역 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영향

        조성도,김경은,김학도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09 마케팅논집 Vol.17 No.2

        본 연구는 기업 이미지와 국가 이미지 연구에서 제시된 이미지 차원들을 기초로 지역 이미지 차원을 도출하고 이 차원들이 지역 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 하였다. 경제 이미지, 관계 이미지, 지역민 이미지가 지역 능력 이미지를 통해 지역 브랜드 평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실증 분석하였다. 실증 결과 경제 이미지는 지역민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지역 능력 이미지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계 이미지는 지역민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지만 지역 능력 이미지에는 유의하지 않았다. 지역민 이미지는 지역 능력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지역 능력 이미지는 지역 브랜드 평가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추가적으로 자기 지역 중심주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는데 국가 이미지 연구의 자민족 중심주의와 달리 유의한 조절 역할을 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지역 이미지 관련 다차원 모형은 전반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dentifies the dimensions of regional image based on the factors of corporate image and country image, and empirically tests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ose variables through survey method. The results show that economy image influences regional ability image positively and regional people image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regional ability image. But relational image influences regional ability image through relational image. Secondly regional ability image enhances regional brand evaluations. Additionally the moderating role of respondents' regionalism between regional ability image and regional brand evaluations is examined. According to the result the moderating role of regionalism is not significant.

      • 지역이미지 측정과 지역마케팅

        김훈(Kim, Hoon) 글로벌경영학회 2014 글로벌경영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4 No.2

        본 연구는 국가이미지와 원산지 효과 등 국제마케팅 분야에서 활발히 진행된 선행연구의 성과를 반영하여 지역이미지 측정의 새로운 개념 틀을 제시하고 실증 분석을 통해 관련 연구를 확대하고자 하였다. 지역이미지가 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국가이미지, 원산지 효과 등 관련 연구의 이론 확대에 공헌하고자 하였으며 특정 도시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마케팅 전략수립 방향과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국가이미지 개념을 응용하여 지역이미지 측정 체계를 제안하였고 제안된 측정체계가 연구 대상 도시에 공통적으로 적용되어 국가이미지 개념이 지역이미지 측정체계로 타당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국가이미지 혹은 원산지 이미지가 글로벌 시장에서 특정 국가의 제품 평가나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처럼 지역이미지, 지역주의가 그 지역의 제품이나 서비스 평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어 국가이미지 관련 선행연구들의 연구 결과가 지역이 미지에도 적용될 수 있음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지역이미지 측정 체계를 활용하여 한방도시 이미지 구축 및 지역마케팅에 관심이 큰 소규모 지방자치단체의 지역이미지를 사례로 분석하여 지역마케팅 수립 방향을 예시하였고 연구 결과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함의가 논의되었다 This study provides new measurement scale for local image. It also intends to extend the measurement scale by reflecting well-known theories and results that already have been researched throughout the years in terms of effects of country image and country of origin effect. The study extends original studies using a method of practical analysis. Through analyzing effects of local image on product evaluation, this study extends well-known marketing theories by focusing on examples of specific cities which seek to find out strategic directions for marketing. As country image causes an effect on customers’ buying behavior and pattern, it was proven that specific local image impacts on customer’s evaluation of service and product itself. Through suggesting measurement scale for local image that is developed based on an existing concept of country image, this study proves that country image measurement scale is able to be used both for estimating city and local image. Also,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local image and product evaluation, purchase intention confirms that results of previous country image researches can be applied to local image

      • KCI등재

        관광수용태세, 지역이미지 및 지역애착의 영향관계 -전라북도 익산을 중심으로-

        배병옥,정승안 동북아관광학회 2020 동북아관광연구 Vol.16 No.3

        This study presents strategic implications by testing whether tourism acceptance posture affects local image and whether regional image affects regional attachment. 190 cases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surveying local residents in Iksan, for the hypothesis test. Th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reliability and feasibility tests, and the hypothesis was tested with a mid-return analysis. The analysis showed that tourism acceptance posture partially affects the emotional and cognitive images, which are components of local image, respectively. Regional images were analyzed to have a complete and partial impact on identity, social intimacy and dependence, respectively, which are components of regional affection. These test results may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as tourism acceptance posture is one of the important variables affecting the local image, local governments will need to establish comprehensive regional image strategies. Second, efforts are requested to ensure that the tourism acceptance posture are improved in a balanced manner rather than focusing on certain components. Third, it is analyzed that cognitive image in general has a stronger impact on regional attachment, and it is believed that local governments will be effective if they establish and implement image strategies in order to increase regional affection. 본 연구는 관광수용태세가 지역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가 그리고 지역이미지는 지역애착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정하여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가설검정을위해 전라북도 익산시의 지역민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19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은 신뢰성 검정과 타당성 검정을 실시하였고, 가설은 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검정하였다. 분석결과 관광수용태세는 지역이미지의 구성요소인 정서적 이미지와 인지적 이미지에 각각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이미지는 지역애착의 구성요소인 정체성, 사회적 친분, 의존성에 각각 완전 및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검정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첫째, 관광수용태세가 지역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 중의 하나임으로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이미지전략을 수립할 때, 관광수용태세의 구성요소별 개선을 포함한종합적인 지역이미지전략을 수립 및 시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관광수용태세를 개선할 때, 특정 구성요소에 집중하거나 치중하기보다는 관광수용태세의 모든 구성요소가 균형적으로 개선되도록 하는 노력이 요청된다. 셋째, 전반적으로 인지적 이미지가 지역애착에 더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으로 중·소도시의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애착도를 높이기 위해 발전적인 모습, 물리적 환경개선 등의 객관적인 사실 중심으로 언론노출을 확대하는 등의 이미지전략을 수립하여 시행하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 긍정적,부정적 프라이밍이 동남아시아 지역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이선화 ( Sun Hwa Lee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2011 地理敎育論集 Vol.55 No.-

        세계 사회가 지식·정보 사회로 발달해감에 따라 세계 교류가 더욱 활발해지면서 나라 간의 장벽이 허물어진 지구 공동체 사회가 되었다. 하지만 인터넷, TV 등의 다양한 매체의 발달로 인해 학습자는 지역에 대한 개개인의 주관적인 이미지를 형상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특정 지역에 대한 고정관념과 차별적인 시각을 지니고 있다. 또한 특정 지역에 대한 부정적 지역이미지는 학습자의 지역이해를 방해할 것이기 때문에 지역에 대한 편협한 시각을 적극적으로 대처해 나가는 긍정적인 태도를 갖도록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특정 지역에 대해 갖고 있는 학습자의 부정적인 생각과 태도를 개선의 방향성을 설정하기 위한 일환으로 프라이밍 효과를 활용하고자 한다. 긍정적·부정적 개념의 프라이밍이 학생의 지역이미지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다른 지역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낱말 완성 프라이밍 과업을 구성하여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지역이미지 향상도를 비교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긍정적 프라이밍에 노출된 집단의 동남아시아 지역이미지가 부정적 프라이밍에 노출된 집단이나 프라이밍에 노출되지 않은 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즉, 긍정적 프라이밍은 긍정적인 지역이미지 인식에 영향을 주었고, 부정적 프라이밍은 부정적인 지역이미지 인식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지역에 대한 사전 이미지보다는 프라이밍 효과가 지역이미지에 더 영향력을 미치는 확인할 수 있었으며, 사전 이미지의 유형과 프라이밍의 유형이 일치할 때 학생의 지역이미지 형성에 더 강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간단하고 쉬운 방법으로도 긍정적인 효과를 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수업 현장에서 교사가 내용을 전달하는데 있어서 긍정적인 의미의 개념을 담은 언어를 이용할 경우, 학습자들의 지역이미지가 긍정적인 인식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The world society became a global community whose walls among the nations were removed while it was developed to be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and global exchanges became more active. However, learners are forming individual subjective image for the region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various media such as internet, TV, etc. So, they have stereotypes and differentiated sights for a particular region. If the biased and differentiated attitude for the particular region solidifies, there is great potential to be developed to sociocultural conflicts. Also, negative images for the particular region will hinder learner`s understanding for the region, so it`s necessary to assume the positive attitude coping with the biased sights for the region actively. So, this study intends to apply priming theory as a part of efforts to set improvements of leaners` negative thoughts and attitude for the particular region. Under the purpose to reveal which effects the priming of positive and negative concepts made on student`s awareness of regional images, the experiment comparing improvements of regional images of middle school freshmen was conducted by organizing the word-completion priming tasks so that their positive image for other regions can be improved. As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Southeast Asia`s regional image of group exposed to positive priming was higher than group exposed to negative priming or group who doesn`t be exposed to priming. In other words, the positive priming made effects on the awareness of positive regional image and the negative priming made effects on the awareness of negative regional image. Also, priming theory made more effects on regional images than previous images for the region. And, when the form of previous image is same as the form of priming, stronger effects were made on students` forming of regional image. Through the results, this study confirmed that positive effects can be made by simple and easy method. Therefore, learners` regional image can lead the changes of positive awareness when teachers use languages of positive meaning for conveying the contents in teaching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