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러시아 대학에서의 지리 교육과 환경교육

        Kasimov, N. S.,Romanova, E. P.,Alexeevski, N. I.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1996 地理敎育論集 Vol.35 No.1

        러시아 대학에서 지리 교육의 역사는 한 세기 이상 이루어져 왔다. 최초로 모스크바 대학에서 지리 교육이 실시된 이후 성 빼째르브르그(S. Petersburg), 카잔(Kasan) 등의 여러 대학에서도 뒤이어 실시되었다. 러시아 대학 내 지리 교육과 환경 교육의 교수 내용 및 학과의 전반적인 기틀은 50년대 후반부터 60년대에 마련되어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지리 교육 현재 러시아 지리학의 주요 연구 주제는 자연-지구적(natural-terrestrial), 사회-경제적 구조와 연관된 경관적 측면과 이들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결과 등이다. 따라서 지리학은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의 연계 학문으로 간학문적(interdisciplinary)인 특성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컴퓨터의 발달과 더불어 지도학, 지리 정보학(geoinformatics)도 중요한 주제이다. 지리학의 이러한 특성은 지리 교육에 있어서 교수 방법, 전문가 양성을 위한 학문적 원리와 방법을 결정한다. 지리 교육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적 요소와 경제 구조를 연관시킨 지리학의 독특한 영역을 보다 심도있는 지식으로 발전시키는 교육. 둘째, 자연과학적 체계와 사회-경제적 체계의 기능과 발달, 그리고 이들의 상호 연관성과 관련된 지리학의 본질적인 주제를 교육. 셋째, 현대 지리학의 다양한 방법론-이론적, 자연-경제지리 접합적, 우주항공적, 수학적, 지구화학적, 지구물리학적, 지리정보적 등-교육. 넷째, 전문적 답사 훈련과 과학적 야외 조사 방법 교육. 다섯째, 새로운 학문적 개념과 인지 방법을 도입한 교육 등이다. 러시아의 Universities Methodical and Educational Council on Geography and Ecology(UMEC)는 대학의 지리 교육의 편재 구성과 유지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기구이다. UMEC는 러시아내 대학의 모든 지리과 학과장들로 구성되며, 의장은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 지리학과장이 맡는다. UMEC의 중요 목적은 지리학자를 위한 교수 체계의 개발과 조직화이다. 이러한 공통된 학문적-방법론적 교수 체계는 국가적 교육 표준화, 교육과정, 교수 프로그램, 교재, 지리과의 인증을 위한 법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광대한 러시아내 많은 대도시에 있는 대학은 교육의 지역적 중심지로서 중요하며, 또한 연구 기관과 학교에 필요한 지리학자의 양성과, 지역 계획과 환경 관리의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이러한 대학들의 기능은 앞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한편 시장 경제 하의 대학은 개별 학습 프로그램을 토대로 학생을 교육시킬 충분한 여건이 마련되었다. 급변하는 시장 경제 상황에 적응하고 숙련된 전문가의 수요에 부응하기 위한 대책도 필요했다. 그러므로 대학 교육은 두 가지 모델을 동등한 수준에서 필요로 하게 되었다. 그들은 분야별 전문가(professionals): 연구자, 교사, 기술자, 경제학자, 관리자 등을 양성하는 한편 러시아 고등 교육 체계를 유럽 및 세계 체계와 보다 밀접하게 접목시켜야 했다. 대학의 지리 교육 개혁은 교육의 새로운 삼단계 구조[학부 과정(bachelor)-전문과 가정(specialist)-석사 과정(master)]의 마련과 실천으로 대표된다. 이것은 5년 과정의 전통 시스템과 병행되고 있다. 새로운 다단계 시스템(new multi0stage system)은 권위있는 전문가들의 활동적인 참여와 연구가 이루어진 후 도입되었다. 다단계 교육은 세 가지 단계별 교육과정으로 구성되었고 각 단계는 비교적 독립적이다. 첫 번째 단계-기본 단계-는 4년간이며 학부 교육이 이루어진다. 이 단계의 주목적은 지리학의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으로 지리학의 지식과 실험 기법을 학습해야 한다. 그리고 다음 과정인 전문 분야를 선택해야 한다. 학부 교육 프로그램 구조는 4그룹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그룹은 동등한 시간으로 짜여져 있다. 각 그룹은 인문학, 자연과학, 지리학, 특별 과정 등이다. 이 과정을 졸업하면 지리학 학사 학위가 수여된다. 두 번째 단계는-전문가(specialist) 과정으로 첫 번째 단계에 1년이 추가된 5년간이다. 이 단계의 특성은 지리학의 영역 중 보다 심도있는 전문 분야 습득이다. 학생들은 다양한 지리 연구 방법, 지리학의 역사와 방법론, 생태학적 예측, 외국어 등을 학습해야 한다. 그리고 12주 동안은 연구 기관에서 실습해야 하며 SEC(state examination commission)에 연구 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전문가 지리학자의 학위 인증을 획득해야 이 단계의 교육 프로그램을 완전히 마친 것이다. 세 번째 단계는 석사 학위 과정이다. 이것은 두 번째 단계에 1년이 추가된 6년간이다. 석사 학위 과정의 기본은 개변 교수 프로그램에 따른 연구 활동이다. 석사 과정의 교육적 구성은 상당히 많은 이론적 또는 방법론적 주제를 표현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는 석사 학위 논제를 수행해야 하며, 학문적 탐구를 구체적으로 보충해 주는 지도 교수와의 개별적 프로그램에 따라 이루어진다. 각 석사 과정의 필수 요소는 연구 기관에서 반년 이상의 수습 기간을 거쳐야 한다. 석사 학위 논문은 제출해야 졸업할 수 있다. 지리학에서 전통적인 방법과 병행하여 새로운 다단계 교육 체계의 도입은 미래의 지리학자에게 다양한 기회와 가장 적합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해 준다. 교육 체계의 다양한 변수는 대학 고등교육의 개혁에 기본적인 장점이다. 환경 교육(The Ecological Education) 최근의 지리학자를 위한 환경 교육은 러시아 대학 지리학과에서 조직하였다. 주요 역할은 환경과 사회간의 상호작용 시스템과 관련된 정성적 연구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이다. 앞으로 환경 생태-지리학자들이 해결해야 될 기본적인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 문제의 복합적 연구(국지적, 지역적, 국가적, 국제적) 및 이를 해결하기 위한 공동 노력. 둘째, 자연의 지속성과 개발에 따른 전망과 평가. 셋째, 환경 보호 및 측정 표준 설계. 넷째, 환경 영향 평가. 다섯째, 환경 검사 마련. 여섯째, 천연자원 이용과 관련된 문제의 분석. 일곱째, 자연 보호의 문제를 결정 및 실전 방안 수립. 여덟째, 사회적, 경제적, 생태적 정책 수립 및 이용. 아홉째, 환경의 사회-경제적 영향 평가 등이다. 환경 교육 또한 전문 교육 프로그램이 세 가지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기분 단계에서 학생은 기초 학문을 학습해야 한다. 두 번째 단계는 생태학자로서 심도있는 학습을 목적으로 하며 주로 실천적 연구 방법을 학습한다. 세 번째 단계는 생태학 석사 준비 과정이다. 지리 교육 체계처럼 생태학 전문가는 학문적 연구자 역할을 한다. 두 번째와 세 번째 단계의 교수 학습은 교수와 학생간 개별적으로 밀접하게 이루어진다. 러시아 대학 내 새로운 교육 체계가 확립되기 위해서는 교육 자료 및 기술적 기반이 향상, 분야별 국제간 연계, 세계 여러 국가의 대학과 정보의 교환 및 심포지엄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 대학과 중등학교에서의 자연지리교육

        김종욱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1986 地理敎育論集 Vol.17 No.1

        地理學은 人文 地理學과 自然 地理學으로 2大分될 수 있다. 學問의 細分化, 專門化와 더불어 近來의 傾向은 人文 地理學은 他 社會科學과 自然 地理學은 他 自然科學과 점점 깊은 聯關을 맺어가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本 稿에서는 自然 地理學을 對象으로 하여 大學과 中等學校에서의 敎育 內容과 그것에 內在되어 있는 問題點을 주로 考察하였다. 學問的인 硏究와 그 內容의 敎育은 不可分의 關係에 있으므로 먼저 自然 地理學의 硏究 傾向을 地形學, 氣候學, 土壤學 및 生物 地理學의 細分된 分野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自然 地理學은 그 各 分野마다 特色있는 硏究 傾向을 보이고 있지만, 대체로 近來의 傾向은 該當 自然現象에 關聯된 諸要因의 機能的인 關係 究明에 力點을 두고 있으며, 그 容易한 接近을 爲하여 計量的인 方法을 使用하고 있다. 大學에서의 自然 地理學 敎育 內容은 獨逸, 英國 및 美國의 境遇를 事例로 들어 記述하였다. 特히 獨逸의 事例에 重點을 두었다. 自然 地理 敎育의 問題點과 그 解決策은 첫째, 自然 地理學의 敎育에 基本的으로 要求되는 自然科學 知識의 缺如와 그 補完策. 둘째, 學業 終了 後의 不利한 就業 可能性과 그의 可能한 解決策을 中心으로 考察하였다. 特히 就業 可能性의 提高는 地理學의 當面한 重要한 課題中의 하나이다. 自然 地理學의 立場에서 볼 때, 實生活의 問題와 關聯된 應用 分野의 硏究에 힘을 기울이는 同時에 他 隣接 自然科學 보다 優位에서는 問題 解決 能力과 接近 力法을 가지므로써 하나의 解決策을 찾을 수 있다고 본다. 이런 觀點에서 볼 때, 計量的 機能的 關係 究明에 힘쓰는 近來의 學問 傾向은 그와 脈을 같이 할 수 있는 것이라 생각된다. 大學에서는 그에 뒷받침이 되는 硏究 方法을 開發하고 習得하는데 重點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思料된다. 中等學校의 自然 地理敎內容은 獨逸과 美國의 境遇를 事例로 들었는데, 첫째, 自然 地理學의 敎育에 對한 적은 수업 時間 數의 割愛와 둘째, 광범한 自然 地理學의 內容과 專門化된 最近의 傾向을 敎師와 學生 兩者 모두 수용하고 전달하는데 어려움을 가지고 있음에 문제가 있다고 보았다. 利用 可能한 적은 수업 時間 數를 고려할 때 敎育 內容을 體系化하고 單純化하는 것은 必須的이며, 地城에 알맞는 主題의 選擇 또한 境遇에 따라 必要하다고 생각된다. 물론, 自然 地理學을 포함한 地理學 全體 수업 시간 數의 보다 많은 割愛와 敎師와 敎師의 再敎育 機會의 擴大가 自然 地理學 敎育의 提高에 重要한 役割을 한다고 믿는다.

      • 혼돈기의 지리학자 정 갑(鄭甲, 1904~1988) 교수의 생애와 활동

        이기석 ( Kisuk Lee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2014 地理敎育論集 Vol.58 No.-

        이 조사보고서는 일제강점기에 대학에서 지리학을 연마한 후에 보통중고등학교에서 교사로, 광복 후에는 서울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한 정갑의 생애와 연구 활동을 정리한 것이다. 그는 한국전쟁 와중에 북한으로 납북당하여 그 후 그의 활동은 아직까지 공식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광복 이후 그가 번역한 지리서와 지리교과서를 통하여 그가 추구하려던 지리학의 의도를 추적할 수 있다. This survey report is about the life and works of a geographer named Chung Kap, who received formal geography education from a Japanese college. After his return to Korea, he taught at a high school, and after the end of the World War II he became a professo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wever, during the Korean war he was kidnapped to North Korea and then his life was formally unknown. His major works include Korean translation of books on physical and human geography, and several school textbooks, which provide an access to his geographic writings.

      • 지리학의 새로운 연구방법론으로서의 맥락분석

        권상철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1994 地理敎育論集 Vol.32 No.1

        최근 이론적 경향을 갖는 지리학 논문에서 맥락 분석이라고 하는 것이 지리학 연구를 위한 대안적 방법의 하나로서 등장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맥락 분석을 간략히 소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맥락화를 사회 구조와 개인 의지간의 이분법적 대립을 극복하려는 노력이라는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개념적 차원에서 살펴본 다음, 이와 관련된 맥락 분석을 하나의 분석 기법으로 소개하였다. 그리고 하나의 사례로서 이러한 맥락 분석을 개인소득 수준의 결정에 관한 노동시장 연구에 적용해 보았다. 계량 혁명 이후 실증주의가 지리학 방법론의 주류를 형성하게 됨에 따라 지역 특성을 강조하는 지역 지리는 도외시되었으며 공간의 규칙성에 대한 탐구가 지리학의 가장 중요한 연구 대상이 되었다. 이러한 실증주의적 지리학 방법론은 다분히 공간 결정론적인 특성을 띠게 됨으로써 학문 내적인 반발들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러한 반발은 사회 구조를 강조하는 입장과 개인 의지를 강조하는 입장으로 대별되며, 이러한 둘 사이에 또 다른 차원의 이분법적 대립 양상을 노정하게 되었다. 근간에 들어 이러한 이분법적 대립을 화해시키려는 노력이 지리학 내외적으로 태동하게 되었고, 이러한 논의에서 '맥락화'라는 개념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 개념은 사회와 행위자간의 상호작용과 사회 현상의 다양성을 설명하는데 핵심적인 개념이 되고 있다. 이러한 개념적 차원에서의 맥락화의 강조는 계통 지리의 분석 방법에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쳐 지역의 다양성과 특이성을 새로운 각도로 조망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맥락 분석은 개념적 차원의 맥락화 논의보다는 제한되어 있지만 개인의 경험 또는 산물을 맥락화의 관점하에 고려하는 것이다. 맥락 영향 모델은 3가지 (기본, 부가, 그리고 상호 모델)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들 중 상호 모델이 개념적 논의의 맥락화에 가장 가까운 형태라고 생각된다. 본 논자는 상호 맥락 영향 모델의 적용 사례로 개인소득 결정에 관한 노동시장 연구를 제시하였는데, 이 주제는 노동자 특성 또는 직업의 특성을 강조하는 이분법적 접근의 대표적인 분야로 특징 지워져 왔던 특성간의 결합으로 형성된다고 간주함으로써 노동시장 연구의 이분법적 접근의 극복을 시도하였고, 지역 노동시장을 개인이 실제적으로 소득 기회를 경험하는 지리 맥락으로 설정하여 개인 속성과의 상호작용을 분석함으로써 동일한 개인 속성이 지역에 따라 다른 소득 수준으로 연결됨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맥락 분석 그리고 그 이론적 기반으로서의 맥락화의 중요성을 살펴보고, 이것이 새로운 지리학 방법론으로서 가지는 함의를 지역 노동시장에의 경험적 적용 가능성을 통하여 검토한 것이다.

      • 홍대용의 지리적 관심과 사상에 대한 조명: 지리적 세계관과 국토에 초점을 둔 개혁안을 중심으로

        나인경 ( In-kyung Ra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2015 地理敎育論集 Vol.59 No.-

        본 논문은 홍대용의 지리적 관심과 사상에 대한 고찰을 통해 지리학자로서 홍대용을 재평가해보고자 한다. 홍대용은 과학적 관찰과 경험을 통해 중국 중심의 지리적 세계관을 비판하고 구형의 땅에서 중국 외에도 조선을 비롯한 모든 국가가 중심이 될 수 있다는 지리적 세계관을 제시해 탈중화적 시각으로 세계를 인식했다. 이 같은 지리적 세계관은 오늘날의 세계화 시대에 요구되는 다원주의적 세계 인식과도 맞닿아 있다. 홍대용은 국토에 대한 지리적 이해를 바탕으로 토지 중심의 사회 개혁안들도 제시했는데 이는 지리학자로서 그의 궁극적인 지향점이 유민익국(裕民益國)에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그는 제한적이나마 글로컬라이제이션을 주창하며 당대로는 매우 진보적인 사고를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alue Hong Dae-Yong as a geographer by reviewing his geographical interests and thought. He criticized the conventional geographical world view which is China-oriented through scientific observations and experiences. Also he suggested a new geographical world view that every country including Joseon could be the center of the world on the globular earth overcoming Sinocentrism. This geographical world view is related to pluralism or cultural relativism which is required in era of globalizaion these days. He suggested reforms focusing on territory based on understanding the country geographically, which means this geographer`s ultimate purpose is to make Joseon and the people be well-off. Also he advocated glocalization even it was restrictive, and it means he had a quite progressive though of his age.

      • 피터 하게트(Peter Haggett)의 지리 사상과 생애: 지리학의 `계량혁명` 태동기를 중심으로

        최권능 ( Kwon-nung Choi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2015 地理敎育論集 Vol.59 No.-

        지리학에서의 가장 큰 변화는 1950년대 전후 시기를 중심으로 대두된 계량혁명과 더불어 발생했다. 이 흐름속에서 하게트(Peter Haggett)는 지리학 분야에서 논리실증주의 정립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세계적인 지리학자임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그의 연구가 전혀 조명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계량혁명의 근원지인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정립된 그의 지리적 사상과 생애를 살펴보았다. 나아가 대표 저서인 「인문지리학에서의 입지 분석」을 통해 구조적 변환기 지리학 발전의 촉매제를 한 그의 사상을 고찰했고, 「계량지리학의 정신」을 통해 그의 수용적 학문자세를 살펴보았다. The biggest transition in geography has happened in the quickening period of Quantitative Revolution around 1950`s. Even though Peter Haggett is one of the world-renowned geographers who have enormous effects on the establishment of logical positivism, any domestic studies dealing with him have not been done yet. Therefore, this paper analyzed his geographic ideas and lifetime formed in the Cambridge University, one of the origins of quantitative revolution. Moreover, Locational Analysis in Human Geography and The spirit of Quantitative Geography, depict his geographic ideas with receptive academic attitude, having triggered the development of geography in this period.

      • 소설『연금술사』의 지리적 해석

        이몽현 ( Mong Hyeon Lee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2010 地理敎育論集 Vol.54 No.-

        본 논문은 소설 속 지리적 내용에 대한 새로운 지리적 범주화 방법론의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소설의 목적을 고려하였으며, 제시된 새로운 지리적 범주를 세계적인 작가 파울루 코엘류의 소설『연금술사』에 적용하였다. 소설『연금술사』는 주인공의 이동에 따라 공간적 배경이 변화하는 구조를 갖고 있어 본 방법론을 적용하여 지리적 범주화를 하기 적절하다. 각 범주는 (l) 지리적 지식 유형, (2) 장소성형성과 관련된 지리적 감성 유형, (3) 통합장이론을 적용한 지리적 사회성 유형, (4) 작가의 지리적 가치관, 세게관 유형 등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 new methodology of geographical categorization for geographical contents in novels. For the methodology, I considered a purpose of novel and applied the methodology to Paulo Coelho`s novel Alchemist. The novel is suitable for apply the methodology, because Alchemist is composed of structure that the spatial background is changed when hero moves. The categories are (1) type of geographical knowledge, (2) type of geographical sensitivity relates developing placeness, (3) type of geographical sociality based on Unitied Field Theory, (4) type of writer`s geographical values and world view.

      • 문학 지리학 연구의 정체성과 공간 논의에 대한 재고찰

        김진영 ( Jean Young Kim ),신정엽 ( Jung Yeop Shin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2010 地理敎育論集 Vol.54 No.-

        문학 지리학은 지리학 연구에서 오랜 기간 주목을 받아왔으며, 특히, 지역지리, 인간주의 지리학, 급진주의 지리학 분야를 중심으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문학 지리학은 지리적 사고와 지식을 중심으로 한 지리적 관점에서만 제한적으로 문학 작품을 접근함으로써, 문학 작품에 대한 총제적 의미와 다양한 잠재적인 장점을 파악하지 못하는 제약이 있었다. 또한 문학이론에서의 공간 논의와 지리학에서의 공간 논의의 차이점이 확인되었고,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문학 지리학에 대한 정체성과 발전 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즉, 문학 지리학의 발전을 위해 다차원적 공간 요소의 확인, 문학 작품속 공간 구성에 대한 내외 측면 고찰, 역동성을 가진 문학 작품 속의 장소감 변화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A great deal of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literary geography for a long time, and much researches has been implemented in the fields of the regional geography, the humanistic geography, and the radical geography. However, as the literary geography only approached to the literatures in the perspective of geography with the geographic thought and knowledge, it failed to catch the total meanings and various positive potentials of the literatures. Furthermo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ssues of the space in the literature theories and in the geography have been identified, and based on it, the identity and the development plan for the literary geography were suggested. Namely, for the development of the literary geography, the development plan was suggested based on the identification of the multidimensional spatial factors, the review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aspects of the spatial configuration in the literature, and understanding of the dynamic changes in the sense of place in the literature.

      • 서구 제국주의 지리학의 영향을 받은 19세기 말 20세기 초 한국과 일본의 근대 지리학적 사고에 대한 비교학적 고찰

        홍유진 ( You Jin Hong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2010 地理敎育論集 Vol.54 No.-

        본 연구에서는 19세기 말 20세기 초의 근대 지리학 또는 신지리학과 제국주의 또는 식민주의의 관계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제국주의의 도구적 성격이 강하였던 근대 지리학은 주로 진화론, 환경결정론, 자본주의, 그리고 민족주의로부터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근대 지리학적 지식과 사고는 일본과 한국에도 소개되었다. 일본 제국주의자들은 반도정체성론을 내세우는 등 근대 지리학의 제요소를 통해 한국의 식민 지배를 합리화 하였다. 이에 대항하여 당시 애국계몽기 지식인들은 반도의 장점을 들어 그러한 사고를 부인하고 더 나아가 고토수복론을 주장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일본과 한국의 근대 지리학적 사고에는 공통점과 차이점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양자는 사회진화론에 의해 강하게 영향을 받아 제국주의적 시각을 갖고 있었다는 공통점을 가지나 이와는 반대로 지리학의 주요한 성격이 일본의 경우 제국주의적 식민주의적이었다면 한국은 반제국주의적 민족주의 지리학이 전개되었다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considered the relations between modern or new geography and colonialism in the late 19th and the early 20th centuries. The idea of modern geography which has served as a tool of imperialism was influenced by the evolutionary theory, environmental determinism, capitalism, and nationalism. These modern geographical knowledge and thoughts were introduced into Japan and Korea. The Japan imperialist justified their own insistence for example, characteristic of the peninsula closely similar to the character of Korean through modern geographical knowledge, like those in the west. At that time, however,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was active in Korea. The Korean elites emphasized the advantages of peninsula as the pathway both the Asian Continent and the Pacific. Futhermore, They insisted that we recover territory especially Manchuria. In this sense, There ar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Japan and Korean modern geographical thought. Both accepted aspects of the imperialistic ideas like Social Darwinism and racism. While the colonial geography was developed in Japan, the characteristic of geography in Korea was anti-imperialistic and nationalistic.

      • 기어츠의 해석인류학과 문화지리학

        이영민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1996 地理敎育論集 Vol.36 No.1

        최근, 문화 현상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사회 과학의 제분야에서는 문화의 상징과 의미를 해석하려는 연구 경향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지난 반세기 동안의 미국 문화 인류학과 사회학의 주류 이론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분화 인류학자인 기어츠의 '해석 인류학' 혹은 '문화 해석학', 즉 문화를 일종의 '텍스트들의 결합'으로 보고자 하는 관점에 영향 받은 바 크다. 이의 영향을 받아 지리학 분야에서도 인간주의 지리학의 태동 이후 최근의 소위 '신문화 지리학'에 이르기까지 인간과 공간 현상의 주관성에 보다 초점을 맞추는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본 소고에서는 이러한 기어츠의 해석 인류학이 기타 사회과학 분야, 특히 문화 지리학의 연구 경향 변화에 어떤 이론적 틀을 제시하였는가를 그의 학문적 배경과 이론적 논의를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기어츠의 이론적 관점을 가장 명쾌하게 보여주는 것은 '인간을 그 자신이 엮어 놓은 의미의 망에 달려 있는 존재'로 간주한다는 점이다. 여기에서 의미의 망은 바로 문화이고 따라서 문화의 분석 작업은 법칙을 추구하는 실험 과학이 아니라 의미를 추구하는 해석학이어야 한다고 그는 주장한다. 그는 인간만이 가지고 있는 상징 체계를 의미를 운반하는 도구로 보았으며, 이 상징과 의미가 바로 문화라고 간주하였다. 즉 인간의 물질, 행위, 사건, 언술과 같은 상징들은 특정한 의미를 실어 나르고 있다고 본다. 그러나 정작 중요한 것은 그러한 상징과 의미가 초유기체적으로 결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들의 상호 작용의 과정 속에서 창조되고 재생, 유지된다는 점이다. 이러할진대, 문화 지리학의 문화에 대한 전통적 개념, 즉 초유기체로서의 문화 개념은 이러한 기어츠의 문화 개념에 의해 공격받을 수 밖에 없었다. 그러한 문화를 연구하기 위해서, 기어츠가 제시한 방법은 바로 '심층 기술'이다. 즉, 의미의 망을 해독하기 위해서 특정 문화의 존재들이 자신의 문화를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가를 다시 해석하는 이중의 작업이 팔요하다고 그는 주장한다. 그의 이러한 주장은 규범적 논리 실증주의가 한창 위세를 발휘하던 60, 70년대에 나온 것으로서, 당대의 법칙 추구적 계량주위 지리학에 염증을 느끼고 있던 지리학자들에게 새로운 이론적 토대를 제공할 수 있었다. 물론 인간주의 지리학이라 신문화 지리학이 기어츠의 문화 이론에서만 그 이론적 토대를 차용하였던 것은 아니다. 시카고 학파의 도시 생태학, 상징적 상호 작용론, 현상학, 맑시즘 등 여러 사회 이론들이 또한 영향을 미쳤다. 인문 지리학에서 해석학적 방법론을 처음 채용한 지리학자는 아마도 D.Ley일 것이다. 그의 필라델피아 흑인 구역에 관한 박사 학위 논문은 특정한 공간적 맥락에서 그 사회 구성원들의 일상 생활의 지식과 의미가 어떻게 생성되고 공유되는가를 분석한 것이다. 이는 기어츠의 연구 경향과 맥을 같이 하는 것으로서, 그 자신도 기어츠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음을 명시하고 있다. 이후 장소와 인간의 교직과 그로 인해 생성되는 문화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인간주의 지리학의 이름으로 쏟아져 나왔던 것이다. 또한 신문화 지리학의 문화 개념에도 기어츠의 이론은 많은 영향을 미쳤다. 특히 경관을 일종의 상징으로 보고 그 의미를 천착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특히 유럽의 소장파 학자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문화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권력 집단의 충돌 과정에서 끊임없이 변화해 간다고 보고, 따라서 장소와 경관에 관한 다양한 담론들이 탐구되어진다. 이는 분명 전통 사회의 오랜 관습과 전통 경관에 초점을 맞추었던 기존 문화 지리학과는 다른 연구 경향이다. 그 이론적 토대의 일부를 바로 기어츠로부터 차용하고 있음은 명백하다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