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중등학교 학생4-H 활동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 및 개발 방향

        방기혁(Bang, Gi-hyeog) 한국실과교육학회 2021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4 No.1

        이 연구는 초・중등학교 학생4-H 활동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와 요구를 분석하여 개발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한 조사 대상은 유층화 군락표집 방법을 적용하여 초등학생 100명, 중학생 200명, 고등학생 200명, 지도교사 및 지도공무원 각각 120명을 무선으로 선정하여 전체 740명으로 하였다. 대상별 조사를 위하여 질문지를 개발한 후 온라인 Google 설문을 이용하여 조사(응답률 80.5%)하고, 기술통계, t 검증, 일원변량분석 등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초・중등학교 학생4-H 활동 프로그램의 운영과 관련하여 초・중등학교 학생들의 활동 기한은 1년 미만이 가장 많았고, 초등학교 학생들은 선생님의 권유로, 중등학교 학생들은 봉사활동을 위하여 가장 많이 가입하였다. 학생4-H 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초・중등학교 학생들의 선호도가 높고 다양한 활동 등으로 만족도도 높게 나타났다. 학생4-H 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는 거의 모든 분야에서 높았고,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지식 및 정보 기술 활용 교육의 필요성, 교육 내용에 대한 요구 및 적용 가능성, 온라인 기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도 높았으며, 이에 대해 초・중등학교 학생, 지도교사, 지도공무원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지도교사는 월 2~3회 정도 운영하면서 농업체험활동을 가장 많이 실시하고 있었고, 연령대가 높을수록 4-H 업무를 자발적으로 담당하고 있었으며, 활동에 대한 보상 부족, 프로그램 정보 부족, 과중한 학교 수업과 프로그램 메뉴얼 또는 지침서 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따라서 초・중등학교 학생4-H 활동 프로그램은 수준별 4-H 활동 커리큘럼, 4-H 회원단체 조직 간 연계와 교류 프로그램, 진로 교육 프로그램,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 프로그램, 4-H 강사 요원 교육 강화 프로그램 등이 가능하도록 방향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앞으로는 중앙 단위와 지역(도 수준, 시・군 수준) 단위의 조직 운영 체계 강화, 교육 대상자용과 지도자용 교재 및 메뉴얼 개발, 관련 정보 공유를 위한 플랫폼(platform) 개발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evelopment direction by analyzing the operating conditions and needs of the 4-H activity program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randomly 100 elementary, 200 middle, 200 high school students, and 120 teachers and public officials to make a total of 740 using the stratified cluster sampling method. After developing a questionnaire for each subject s survey,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n online Google questionnaire (response rate of 80.5%), and analyzed by method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t-validation, and one-way variance analysis. Regarding the operation of the 4-H activity program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the period of activity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was most often less than one 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ined 4-H by the teacher,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did the most for volunteer activities.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preference for the Student 4-H activity program was high, and satisfaction was high with various activities. The demand for the student 4-H activity program was high in almost all fields, and the need for education us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 Industery 4.0, the demand and applicability of the educational content, and the demand for online-based programs were also high.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ubjects. The teachers were running 2-3 times a month, carrying out agricultural experience activities the most. The older they were, the more they were voluntarily in charge of 4-H work, and they were struggling with the lack of compensation for activities, the lack of program information, and heavy school classes. and a lack of program manuals or instructions. Therefore, the 4-H activity program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should develop and operate a 4-H activity curriculum by level, a linkage and exchange program among 4-H member organizations, career education programs, a creative/convergence-type talent training program lead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 4-H instructor training enhancement program. In addition,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strengthen the organizational operation system at the central and regional(province level, city/county level) level, develop textbooks and manuals for education targets and leaders, and develop a platform for sharing related information.

      • KCI등재

        중등단계 직업교육 학생 추가 수요 분석

        김진모,남중수,최수정,전영욱,오진주,유영주,김선근 한국직업교육학회 2016 職業 敎育 硏究 Vol.35 No.4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verify additional demand of students for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and draw political implications. To meet the purposes, firstly we analyzed current policies on the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Second, we divided additional demand of students for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nto practical and potential demand. Practical demand by students who would like to take further vocational education in secondary education system includes students who hoped to enter vocational high school however they failed to go, the first or second year students who transferred from general high school to vocational high school, and the third year students who are in general high school would like to take commissioned vocational courses. Potential demand is an additional demand for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n a society perspective. This includes a student who downgraded employment even though they entered college or university after graduated general high-school. Comparing the result of this study with the entrance quota of vocational high-school, additional demand of students for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showed that accounted for 61.2 percent of the entrance quota year 2015. Specifically, potential demand accounts for 31.7 percent of the entrance quota for vocational high school and practical demand accounts for 29.5 percent.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단계 직업교육에 대한 학생의 추가 수요를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중등단계 직업교육의 현황을 분석하고, 개방체제로써 중등단계 직업교육 학생의 추가 수요를 실제적 수요와 잠재적 수요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실제적 수요는 중등단계 교육체제 안에서 직업교육을 추가적으로 원하는 학생들로써 직업계 고등학교 진학을 희망했지만 진학하지 못한 학생,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직업계 고등학교로 진로를 변경한 1학년 및 2학년 학생, 일반계 고등학교 3학년 학생 중 직업훈련 위탁과정 희망자 등으로 볼 수 있었다. 잠재적 수요는 사회체계 관점에서 중등단계 직업교육에 대한 추가적인 수요로써,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전문계 및 4년제 대학으로 진학하였으나 취업단계에서 하향 취업한 학생으로 볼 수 있었다. 중등단계 직업교육 학생 추가 수요 분석 결과를 특성화고 입학 정원과 비교하여 살펴보면, 2015년 기준 특성화고 입학 정원의 61.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잠재적 학생 수요는 특성화고 입학 정원의 31.7%, 실제적 학생 수요는 29.5%로 나타났다.

      • KCI등재

        미국의 지적장애학생 중등과정 이후 교육 현황과 함의

        정동영 ( Dong Young Chu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2 지적장애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적장애학생들의 중등과정 이후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미국의 지적장애학생 중등과정 이후 교육과 관련된 법률과 그 현황을 고찰한 다음, 미국의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중등과정 이후 교육 현황과 실제를 분석하고, 그 함의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 미국의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중등과정 이후 교육경로와 교육모형의 현황과 실제는 우리나라 지적장애학생의 중등과정 이후 교육의 기회를 확대하기 위하여 중등학교와 대학에 이중 또는 동시 등록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육경로를 다원화하며, 혼합·혼성모형과 통합모형을 개발하여 교육모형을 다양화하고, 이를 위하여 인간중심계획, 교육적 코칭, 멘토링 등을 제도화하는 일이 필요함을 함의해 준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최근 증대되고 있는 지적장애학생들의 중등과정 이후 교육을 위하여 미국의 현황과 실제를 토대로 미국의 지적장애학생 중등과정 이후 교육모형은 우리나라에 지적장애학생들의 중등과정 이후 교육을 위하여 교육경로와 교육모형을 다양화하고, 우리의 실정에 적합한 지원 제도를 마련하는 일을 서둘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legislation and its current status of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U.S.A, analyse its current states and practices and analyse out a implication to seek a way of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current states and practices of educational paths of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U.S.A implicate that Korea need multiple ways for expanding opportunity of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by not only having college-initiated program and individual- or family-initiated supports program but also developing dual or concurrent enrollment program Second, current states and practices of educational models of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U.S.A implicate that Korea should diversify educational model by developing mixed/hybrid model and inclusive individual model as well as separate model, and then, to achieve these, Korea need to establish person-centered planning and systematize educational coaching and mentoring and so on. Therefore Korea must rush in preparing legislation and system appropriate for its actual condition to deal with increasing needs of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recent years based on current states and practices in U.S.A.

      • KCI등재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전문대학 기반 비학위 중등이후교육 운영체계의 핵심요소 개발

        이성아,박승희 한국특수교육학회 2023 특수교육학연구 Vol.5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전문대학 기반 비학위 중등이후교육 운영체계의 핵심요소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에 전문대학 전문가와 특수교육 전문가로 구성된 20명의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두 차례의 수정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전문대학 기반 중등이후교육 운영체계의 핵심요소를 개발하였다. 델파이 조사지 문항은 국내외 대학기반 중등이후교육 선행문헌 및 프로그램, 국내 전문대학 운영요소 분석 내용과 발달장애학생의 전문대학 교육 관련자(교수 및 직원, 학생, 학부모)의 경험 및 지원요구 분석을 기반으로 개발되어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을 거쳐 최종 완성되었다. 1, 2차 델파이 조사 결과에 따라 전문대학 기반 비학위 중등이후교육 운영체계의 핵심요소가 7가지 영역의 55개 요소로 최종 개발되었으며, 7가지 영역은 다음과 같다: (1) 고등학교에서 전문대학 기반 중등이후교육으로의 전환 준비; (2) 전문대학 기반 비학위 중등이후교육의 기본 특성; (3) 전문대학 기반 비학위 중등이후교육 과정으로 적절한 분야; (4) 전문대학 기반 비학위 중등이후교육 입학 절차 및 등록금; (5) 전문대학 기반 비학위 중등이후교육의 교육과정 운영; (6) 전문대학 기반 비학위중등이후교육에서 제공하는 지원; (7) 전문대학 기반 비학위 중등이후교육의 성과. 본 연구는 발달장애학생의 대학 기반 중등이후교육 요구가 증대되는 현시점에 전문대학기반의 중등이후교육 실행을 위한 적절한 교육 내용 및 지원체계를 포함한 전반적인 운영체계를 제시함으로써 발달장애인의 중등이후교육 증대를 촉구했다는 점과 전문대학 전문가와 특수교육 전문가의 합의된 인식을 기반으로 전문대학 기반 중등이후교육 운영체계의 7가지 영역 및 55개 핵심요소를 산출하여 전문대학에서의 실제 적용성을 높였다는 면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중등학생 필자의 독자 고려 전략

        정혜승 ( Hye Seung Chung ),서수현 ( Soo Hyun Seo ) 청람어문교육학회 ( 구 청람어문학회 ) 2010 청람어문교육 Vol.41 No.-

        이 연구는 중등학생 필자가 글을 쓸 때 독자를 어느 정도로, 어떤 방식으로 고려하는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1) 중등학생 필자는 독자를 어느 정도로 고려하는가? 2) 중등학생 필자가 독자를 고려하는 주된 방식은 무엇인가? 3) 중학생 필자와 고등학생 필자의 독자 고려 정도와 방식에 차이가 있는가? 4) 예상독자에 따라 중등학생 필자의 독자 고려 정도와 방식이 달라지는가? 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서울과 경기 지역의 3개 중·고등학생 265명을 대상으로 고쳐 쓰기 과제를 투입하고, 학생들의 글을 PAIR 전략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등학생 필자들은 전반적으로 독자 고려 전략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였으며, 주로 끌어들이기 전략을 중심으로 독자를 고려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또한 학생들의 글은 대체로 정보 조절하기와 반응에 응답하기 전략에서 낮은 빈도를 나타났는데, 이는 독자의 배경 지식을 고려하거나 반응을 예상하는 능력의 부족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 연구의 결과로 중등학생 필자들이 독자를 고려하는 데에 필요한 제반 자원을 갖추고 있지 못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곤란하다. 중등학생 필자들이 갖고 있는 독자 인식 능력을 활용하여, 독자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쓰기 과제, 실제적이고 상호교섭적인 쓰기 과제를 제시하여 독자 고려 능력을 제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aspects on audience consideration of secondary school student writers. The following four questions are raised for this paper:(1) which degree students consider their audiences when writing? (2) what method they use to consider their audiences when writing? (3) are there differences aspects on students consideration their audiences by grade? and (4) are there differences aspects on students consideration their audiences by audiences? Four writing tasks were given to 265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middle and high schools. Students` texts were anlayzed in terms of PAIR strategies. The result showed that students were poor at considering their audiences and they used mainly attracting strategy when writing. Students` texts rarely show informing and replying strategies because students had not competences enough to control information for their audiences` prior knowledge and to respond appropriately to their audiences` expecting response. But it`s not appropriate to conclude that the student writers don`t have ability to consider their audiences. Rather students should be taught of specific methods on how to consider of their audiences and they also should be provided with many opportunities to actually write for various audiences.

      • KCI등재

        중등 특수학급 교사의 발달장애 학생 교육평가 수행 실태, 인식 및 개선방안 연구

        최은원 ( Choi Eun Won ),남경욱 ( Nam Kyoung Uck ),신현기 ( Shin Hyun Ki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8 No.3

        본 연구는 중등 특수학급에서 교사의 발달장애 학생 교육평가 수행 실태와 그에 따른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서울·경기 지역 특수학급 교사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속적 비교법을 통해 면담 내용을 분석한 결과 연구문제와 관련된 3개의 주제와 11개의 범주 및 하위 코드가 도출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실태측면에서, 중등 특수학급 교사는 발달장애 학생 평가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관찰을 바탕으로 한 대안적 평가를 주로 실시하였으며, 평가 과정에서 학생 수행에 대한 직접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학생평가 결과는 교사의 교수방법을 점검하고, 다른 교과 수업과 연계되도록 하였으며, 학생의 IEP에 반영하였다. 대부분 특수학급에서 발달장애 학생의 교육평가가 개별 학생의 IEP 작성과 운영을 중심으로 실행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생 교육평가를 위한 협력은 발달장애 학생의 통합학급 평가를 위한 지원과 일반학급 교사, 관리자, 학부모와의 평가서 공유, 학생의 학교생활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교사는 학생의 진보를 직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다음 성취목표 설정의 기반이 된다는 점을 발달장애 학생의 교육평가에서 긍정적인 면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교사의 주관적, 재량적 평가라는 인식과 함께 교사의 평가관련 역량부족, IEP와의 효율적 연계의 어려움, 교수-학습을 위한 협력에 대한 인식과 수준이 각각 다르다는 점 등을 발달장애 학생 교육평가수행에서 어려움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중등 특수학급 교사의 발달장애 학생 교육평가 수행과 그에 따른 인식을 바탕으로 한 개선방안을 살펴보면, 우선 평가를 수행하는 평가자로서 교사의 발달장애 학생 교육평가에 대한 인식이 교수를 위한 평가, 학생 성장을 위한 평가라는 인식으로 더욱 강화될 필요가 있다. 동시에 교사의 학생 교육평가 역량 강화를 위해 학부 양성과정에서부터 교육평가이론 및 특수교육대상 학생에게 적합한 교육 평가 방법에 대한 교육이 강화되어야 하며, 현장 교사를 위한 현직 연수 그리고 교실 평가 수행을 실질적으로 지원 할 수 있는 협력적 평가체계의 구축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actices and their perceptions on educational assessments for students in secondary special classes and to provide improvement considerations. In this research, 8 teachers in secondary special classes participated in the in-depth interview. The transcribed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y constant comparative method. As a result, 3 themes and 11 sub-themes are deriv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in secondary special classes have been conducting alternative assessments based on observation for data sources about student`s learning progress and providing feedbacks to their students. Second, teachers in secondary special classes utilized the results of assessments to plan and to modify their instructional methods and align each subject with integrated students`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IEP)s. Mostly, processes of academic assessments in secondary special classes focused on IEP. They collaborated with families and other colleagues in the form of supports for students to participate in school assessment programs and exchanging information about results of assessment and student`s performance in class. Third, educational assessment can be helpful to teacher in identifying student`s achievement and developing their individualized goal and objects. On the other hand, teachers in secondary special education classes have negative perception of educational assessment, because it depends on teacher`s belief and competence. And, they have difficulty in integrating student`s IEPs and collaboration with families and other colleagues. Fourth, it is necessary to improve educational assessment in secondary special classes, that a new understanding is necessary regarding perception of educational assessment of students. And it is essential to enhance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to develop collaborative system in educational assessment of students.

      • KCI등재

        초·중등 여학생의 성 성숙과 자기개념이 외모관심도와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진,신혜원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1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f these factors affec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emale adolescent interest in appearance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with self-concept and sexual maturity.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female student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 the Seoul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comparison of students' interest in appearance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showed that the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higher scores in both matters. 2. Elementary students generally held more positive self-concept, with domestic self value shown statistically high. 3. Tanner Stage 2.3, the early puberty stag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anner Stage 3.4, the growth and development stage,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percentage of students who had already entered menstruating turned out to be only 33% for elementary students but 90%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ir subjective views of sexual maturity were also different as elementary students had negative feeling when they thought their sexual maturity were earlier than their peers' whil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just the opposite. 4. The study on the impact of self-concept and sexual maturity on the interest in appearance of female student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howed that elementary students had a higher interest in appearance that corresponded to the lower domestic self-concept and a higher social self-concept. On the other hand,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higher interest in appearance, corresponding to their higher social self-concept, lower domestic self-concept, more negative feeling of sexual maturity, and higher feeling of physical self-concept. The study on the impact of interest in appearance, self-concept, and sexual maturity on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female students revealed that elementary students with a higher interest in appearance were more enthusiastic about appearance management. Middle school student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urned out to be higher, corresponding to their higher interest in appearance, lower domestic self-concept, and higher social self-concept.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등 여학생의 외모관심도와 외모관리행동이 성 성숙, 자기개념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는지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지역의 초·중등 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모관심도와 외모관리행동 모두 중학생이 초등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이 중학생보다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자기개념을 가지고 있었고 특히 가정자기가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Tanner Stage가 초등학생은 2.3단계로서 사춘기 초기 상태, 중학생은 3.4단계로서 성장 발육의 진행 상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경을 하는 학생의 비율이 초등학생은 33%에 불과한 반면, 중학생은 90%로 대부분이 월경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 성숙에 대한 주관적인 느낌 역시 차이를 보여, 초등학생은 자신의 성 성숙 속도가 또래보다 빠르다고 느낄 때, 중학생은 느리다고 느낄 때 부정적인 느낌을 가졌다. 넷째, 초·중등 여학생의 외모관심도에 자기개념과 성 성숙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초등학생은 가정적 자기개념이 낮을수록, 사회적 자기개념이 높을수록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중학생은 사회적 자기개념이 높을수록, 가정적 자기개념이 낮을수록, 성숙에 대한 느낌이 부정적일수록, 신체적 자기개념이 높을수록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또한 초·중등 여학생의 외모관리행동에 외모관심도와 자기개념 및 성 성숙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초등학생은 외모관심이 높을수록 외모관리행동에 적극적이었다. 중학생의 외모관리행동은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가정적 자기개념이 낮을수록, 사회적 자기개념이 높을수록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1960년대 한국 중등학교 여학생의 여성성 구성과 그 함의-잡지 『여학생』 분석을 중심으로-

        정미량 ( Jeong Mee-ryang ) 한민족문화학회 2019 한민족문화연구 Vol.66 No.-

        1960년대는 개발독재의 군사주의 사회이자 대중소비사회가 도래한 시기이다. 이 시기 정부는 산업화의 토대로서 교육인구 팽창정책을 추진하였다. 이에 따라 중등학교 여학생은 중요한 사회적 계층으로 등장했고, 이들의 여성성은 당시의 사회적 환경에 따라 구성되었다. 새롭게 구성된 1960년대 중등학교 여학생의 여성성은 크게 3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첫째, 자아실현과 높은 품격의 정신적 진취성, 둘째, 성적인 매력과 육체적 순결성. 셋째, 예비 모성과 희생적 태도가 그것이다. 즉, 1960년대의 중등학교 학생이라는 정체성과 여성이라는 정체성이 결합되어 나타난 1960년대 중등학교 여학생의 여성성은, 노동자로서의 권리가 아닌 교육적 혜택을 받은 자로서의 도덕성을 띤 직업의식, 주체적으로 향유하는 것이 아닌 남성으로 부터 보호받거나 방어해야하는 성적 매력, 국가와 가정에 동시에 헌신하는 희생적 생활태도 등으로 구성되었다. 결론적으로, 1960년대 중등학교 여학생의 여성성은 남성 중심의 군사주의적 산업화 및 대중소비사회 초기라는 사회적 환경 하에서 중등학생 교육을 받는 여성에게 요청된 여성성이었다. 다시 말해, 1960년대 중등학교 여학생은 남녀 분리 또는 차별적 전제하에 객체화되고 부차화 된 중등교육 대상자로서 기존 체제를 유지·발전시키는 데 필요한 여성성을 요구받고 있었던 것이다. The 1960's was the period of when militaristic society and public consumption society of the developmental dictatorship has arrived. The government of this time promoted the expansion of educational population as the foundation of industrialization. As a result, middle school girls appeared as important social class and their femininity was formed according to the social environment of the time. The newly formed femininity of middle school girls in the 1960's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self-realization and mental enterprising spirit of high class. Second, sexual attractiveness and physical chastity. Third, preliminary maternal instinct and sacrificial attitude. In other words, the femininity of middle school girls in the 1960's, which combines the identity as a middle school student with the identity as a women of the 1960's, is composed of work ethic as a person who has obtained educational benefits rather than rights as a worker, sexual attractiveness that has to be protected or defended from men rather than independent enjoyment, sacrificial living manner which is devoted to the nation as well as the family at the same time, etc. In conclusion, the femininity of middle school girls in the 1960's was femininity demanded on women receiving middle school education under male-centered militaristic industrialization and social environment at the beginning of public consumption society. Femininity for maintaining and developing the existing system were required from female students in the 1960's, as they were objectified and subordinated to such separation of gender or discriminated as the subject of middle school education.

      • KCI등재

        시각장애학교 중등학생의 수학적 성향 분석

        류현,이해균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3 시각장애연구 Vol.2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athematical disposition of secondary course students in schools for the blind. It offers basic materials to develope methods and strategies that can enhance their interest and motivation in learning mathematics. To carry out the purpose, secondary course students attending 12 schools for the blind throughout the nation were categorized as gender, course, time at onset of the visual impairment, primary literacy medium for learning, and experience of general education.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nd analyzed on behalf of their mathematical disposition. Confidence, adaptability, continuity, interest, self-monitoring and awareness of mathematical applicability were contained in mathematical disposition. The results on mathematical disposition and its components from this investigation were as follows. The mathematical disposition level of secondary course students attending schools for the blind is revealed average. Awareness of mathematical applicability indicates highest level in the mathematical disposition components. Male students indicate higher level than female students do in the mathematical disposition of secondary course students attending schools for the blind. Male students indicate higher level than female students do in their adaptability, continuity, interest of mathematics and awareness of mathematical applicability. Middle school course students indicate higher level than high school course students do in their continuity of mathematics. Braille users indicate higher level than regular print (including regular-sized, large-sized, and enlarged materials) users do in their mathematical adaptability. Students who had taken general education indicate higher level than those who had not taken general education in their mathematical confidence. 본 연구는 시각장애학교 중등학생의 수학 교과 관련 학습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국 12개 시각장애학교 중등학생 319명을 대상으로 수학적 성향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수학적 성향의 하위 6개요인 24문항의 설문지를 구성하여 도출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장애학교 중등학생의 수학적 성향은 보통 수준이었고, 하위 요인 중 수학의 가치 인식이 가장 높았다. 둘째, 시각장애학교 중등학생 중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수학적 성향이 더 높았으며, 사고 과정의 융통성, 문제 해결에 대한 의지, 수학적 호기심, 수학의 가치 인식도 더 높았다.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문제 해결에 대한 의지가 더 높았고, 사용하는 문자매체가 점자인 학생이 묵자인 학생보다 사고 과정의 융통성이 더 높았다. 일반학교 재학 경험이 있는 학생이 없는 학생보다 수학에 대한 자신감이 더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로 시각장애학교 중등학생의 수학적 성향은 보통의 수준이며, 성별ㆍ과정별 차이는 정안학생과 유사함을 할 수 있다. 이를 중심으로 후속 연구에 필요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한국 중등학생의 행복도 및 진로 인식 분석 연구

        황혜정(Hye-jung Hwang),김이경(Ee-gyeong Kim)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5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3 No.2

        박근혜 정부는 ‘일자리 중심의 창조경제’라는 국정 목표와 ‘행복교육’이라는 교육 슬로건을 내걸고 다양한 교육정책을 추진 중이다. 우리나라 중등학생들이 국제적으로 학업성취도는 높지만 경쟁위주의 풍토에서 창의성이나 행복도가 낮고, 학습의 내용도 미래 꿈이나 진로와 괴리가 있다는 문제는 오래 전부터 제기되어 왔으나 최근 더욱 주목받고 있다. 이에, 학생들의 행복도를 높이고 진로 교육을 강화 하는 정책이 효과성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정책의 궁극적 수혜자인 중등학생을 대상으로 실태를 면밀 하게 진단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인식에서, 본 연구는 중등학생의 행복도와 진로 인식에 대한 수준과 배경변인(성별, 학교급)에 따른 차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목 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에서 『한국의 교육지표·지수 개발 연구(Ⅱ)』의 일환으로 산출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술통계방법과 t검증 방법으로 중등학생의 인식 수준 정도와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등학생의 행복도는 보통 이상 수준으로 아주 낮지는 않았지만 자신이 꿈꾸는 삶과는 괴 리가 큰 것으로 밝혀졌고, 여학생과 고등학생의 행복도가 더 낮았다. 진로 인식 역시 보통 이상의 수 준으로 낮은 편은 아니었으나 학생들의 직업의 중요성이나 원하는 직업 선택에 대한 관심이 직업을 준비하는 행동으로 이어지지는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고등학생에 비해 중학생의 진로 인식이 더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한국 중등학생의 행복도 증진과 진로 교육 내실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Policy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related to students happiness and career guidance are gaining national attention, since President Park’s government was launched in 2013. In order for such policies as ‘free learning semester’ and ‘physical education’ to be successful, it is important to identify key target group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is matter, this paper seek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Korean secondary school students on happiness and career guidance to reveal the differences of sub-groups. Two research questions are posed. First, what is the level of happiness perceived by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do their perception levels differ based on their background variables? Second, what is the level of career guidance perceived by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do their perception levels differ based on their background variables? Using the data collected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we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below. First, the level of secondary students’ perception on their happiness is moderately higher than average. However, the happiness level of female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and students enrolling in vocational schools was lower than their counterpart. Second, students di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areer education; however, their preparation behavior was far from satisfactory, especially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draw some policy implications to strengthen education for happiness and career guid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