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방과학기술 전문용어 사전 구축을 위한 프로세스 및 워크벤치 개발

        최중환(Jungwhoan Choi),박정호(Jeongho Park),김경선(Kyungsun Kim),김평(Pyu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8

        용어 의미 표준화를 통한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용어가 구축·활용되고 있으며, 국방분야에서도 국방용어 사전 발간을 통해 각 군의 효율적인 업무 연계 및 표준화된 국방 용어 유통체계를 정립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국방기술품질원에서도 3년을 주기로 국방과학기술분야의 전문용어 사전을 발간함으로써 전문용어 구축 표준화 연구는 물론, 전문용어의 활용성 제고에 힘쓰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방기술품질원에서 전문용어 사전을 실제로 구축하는데 필요한 구축 프로세스와 조직, 이를 지원하기위한 워크벤치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즉, 국방과학기술 전문용어 사전을 구축하기 위한 전문용어 사전구축 프로세스 및 조직의 구성, 표제어 정의, 전문용어 후보 추출을 위한 대상 문서의 선정, 전문용어 후보추출, 전문용어 후보군 생성, 워크벤치 등록, 사전 구축, 사전 검증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또한 전문용어 사전의 활용성 제고를 위해서 시소러스를 구축·활용하는 내용은 물론, 전문용어 사전 구축을 위해서개발된 워크벤치의 기능을 중심으로 효율적인 전문용어 사전 구축 지원 방법에 대해서도 기술한다.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business, it is important to standardize the meaning of terminology. And then, terminology dictionaries have been actively being built and used in various fields. In defense area, the publication of defense terminology dictionary is useful for information exchange of each army and distribution of standardized terminology. Defense agency for technology and quality(DTaQ) publishes terminology dictionary of defense science and technology on a three-year cycle. DTaQ tries to standardize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erminology dictionary and improve service efficiency by using terminology dictionary in defense area. This proposed method is based on the result of previous study about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y dictionary. We suggest the practical steps including terminology dictionary constructing process, composition and role of organization, definition of headword, selection of target documents to be extracted terminology candidate, terminology extraction, generation of terminology candidate group, workbench registration,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terminology dictionary. Thesaurus and workbench are developed to use and support terminology dictionary effectively.

      • KCI등재

        개념 조화를 통한 남북 전문용어 통합의 새로운 모색

        엄태경(Eom Tae-kyoung),신중진(Shin Jung-jin) 한글학회 2019 한글 Vol.- No.325

        이 글에서는 그간 국내에서 진행된 전문용어 작업과 그 작업의 방법론으로 실시된 ‘전문용어 표준화’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그리고 전문용어 조화를 통한 전문용어 통합의 실제 방법론을 탐색하여 남북 전문용어 통합 방법에 있어 새로운 전환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이전에 연구된 전문용어의 통합 연구에 대해 비판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전문용어 통합을 위해서는 전문용어 간 ‘개념 차이’, ‘개념 체계의 차이’, ‘정의 차이’, ‘형식 차이’를 확인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3장에서는 「ISO 860」에서 제시하고 있는 전문용어 조화의 방법론을 소개하고 실제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개념 조화 절차에서는 개념체계의 조화가 기본으로 전제되며 정해진 절차에 의해 조화가 시도됨을 확인하였다. 4장에서는 앞서 살펴본 내용을 바탕으로 남북 전문용어 통합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통합의 단계는 ‘1단계: 사전 준비 단계 → 2단계: 목록 구축 및 분석 단계 → 3단계: 개념 조화 작업 단계 → 4단계: 용어 조화 작업 단계 → 5단계: 조화된 전문용어의 유지 · 관리 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장에서는 이 글을 요약하고 전문용어 조화의 방법론을 구체화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the terminology standardization that has been conducted in South Korea according to its work of terminology and methodology. This examination is based on the actual terminology integration methodology us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used to create a new method for integrating North and South Korean terminology. Chapter 2 critically examines the integration of previously studied terminology. In order to integrate terminology,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onceptual, conceptual system, definition and formal differences between among terminology. Chapter 3 introduces the terminology harmonization method proposed in ISO 860 and presents practical examples of its application. This method is assumed to be the basis of the harmonization of conceptual systems. Harmonization was confirmed to have been attempted using this procedure. Chapter 4 presents a model for the integration of terminology. Integration begins with preparation, followed by list construction and analysis, conceptual harmonization, term harmonization, and finally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harmonized terminology. The last section summarizes the article and argues that the terminology harmonization methodology should be put into practice.

      • KCI등재

        남북 전문용어의 조어분석과 통합-수학, 물리 분야를 중심으로-

        엄태경 ( Eom Tae-kyoung ),신중진 ( Shin Jung-jin ) 국어학회 2017 국어학 Vol.82 No.-

        이 논문에서는 남한과 북한의 전문용어를 분석하고 그 특징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그리고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남북 전문용어의 통합에 전문용어 분석이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살펴본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전문용어’의 개념과 범위를 확인한다. 그리고 다소 낯선 용어인 ‘기초 전문용어’와 ‘심화 전문용어’의 개념을 살펴본다. 이 두 개념을 교육 과정의 틀 안에서 설명하고 이것들이 가지는 의의를 확인한다. 기초 전문용어와 심화 전문용어의 가장 큰 특징은 조어단위의 결합 길이라고 할 수 있다. 기초 전문용어가 두 개 이하의 조어단위들이 결합하여 전문용어를 형성하는 데에 반해, 심화 전문용어는 두세 개 이상의 조어단위들이 결합하여 전문용어를 형성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말미암아 심화 전문용어의 복잡한 개념을 더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각 전문분야에는 전문용어 형성에 핵심이 되는 조어단위들이 있다. 이 조어단위들은 전문용어 형성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여 높은 생산성을 보인다. 남북 전문용어를 통합하고자 할 때,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terminology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nd discusses its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analyzed contents, we will examine the role of analysis of terminology in the integration of terminology in the North and South. Prior to the full-scale discussion, the concept and scope of ‘terminology’ should be confirmed. And we will look at the concepts of < basic terminology > and < advanced terminology >. We will explain these two concepts in the framework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and confirm the significance of them. The greatest feature of < basic terminology > and < advanced terminology > can be the combined length of analysis units. < Basic terminology > is a combination of two or less units of analysis to form a terminology. On the other hand, <advanced terminology. has a feature that two or three analysis units combine to form terminology. With these features,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express complex concepts of < advanced terminology >. Each specialized field has a core analysis unit in the formation of < advanced terminology >. This analysis unit plays a central role in the formation of terminology and shows high productivity. When integrating terminology i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his feature should be considered as a priority.

      • KCI등재

        전문용어의 의미 파생과 그 사전적 표상에 대하여 - 용어화, 탈용어화, 재용어화 개념을 중심으로 -

        이현주 ( Lee Hyunjoo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21 프랑스어문교육 Vol.74 No.-

        본 연구는 전문용어와 일반어휘가 서로 대립적 가치를 갖는 언어단위가 아니라 상호간에 끊임없는 의미 생성의 원천으로 기능한다는 전제하에 일반어휘가 전문용어의 의미를 획득하는 용어화 과정, 전문용어가 대중성을 획득하거나 의미확장을 통해 탈용어화되는 과정, 그리고 다른 분야에서 다시 재용어화되는 절차를 이론적 틀과 함께 분석하고자 한다. 전문용어는 그 전문성에 있어 불균질한 집합이며, 이러한 다양한 전문용어성을 어떻게 사전적으로 표상할 수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문용어는 사전에서 영역 유표지로, 또 다의어일 때는 정의문 앞에 영역 유표지와 더불어 다의 번호로 구분하는 것이 기술 원리로 받아들여진다. 그러나 전문영역의 표지 유무, 다의를 번호로 분리 처리하는 사전적 장치들이 전문어의 의미 전이 현상들을 보이는 데 한계가 있으며, 일반어로부터 전문의미를 유추하거나 전문용어의 쓰임이 일반언어로 확장되었을 때의 의미변화의 정도를 반영하기 어렵다. 본고에서는 다의의 비분리 처리 및 무표지 방식이 전문용어성의 단계적 유형을 보이는 데 충분히 관여적임을 프랑스어 의학용어를 대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Dans cette étude, nous partons du principe que la terminologie et le vocabulaire général ne sont pas des unités linguistiques de valeurs opposées, mais de contiguïté s'influant mutuellement comme une source de création de sens. Nous montrerons que la langue spécialisée est un ensemble hétérogène allant de termes hautement spécifiques à de semi-termes dont la frontière avec le vocabulaire génral est ambigüe. Pour ce faire, la terminologisation, le processus terminologique dans lequel le vocabulaire général acquiert un sens spécialisé, la dé-terminologisation faite par l'étirement, l'extension du sens spécifique ou la vulgarisation des termes, et le processus de re-terminologisation dans d'autres domaines ainsi que le cadre théorique, seront analysés. La terminologie étant un ensemble hétérogène de terminologicité, et nous examinerons dans un second lieu comment ces différents types de terminologie sont représentés dans un dictionnaire de langue générale. De manière générale, les dictionnaires de langue présentent les termes en marquant leur domaine en amont de la définition, et distinguent les différents sens d'un polysème via une nouvelle numérotation. Cependant, les dispositifs de marquage et de numérotation mis en place par les dictionnaires traditionnels rendent difficile non seulement la présentation des multiples étapes de migration des termes, mais aussi celle de l'analogie procédurale entre la langue générale et la langue spécialisée. Cet article vise à confirmer que la méthodologie du regroupement non-marqué, autant que celle du dégroupement marqué, est suffisamment pertinente pour représenter la terminologicité dans les dictionnaires de langue.

      • KCI등재

        심화 전문용어의 개념 확립을 위한 시론

        이성우 ( Lee Sung-woo ),신중진 ( Shin Jung-jin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6 No.-

        이 글의 목적은 심화 전문용어의 정의와 개념을 세우고 그 특징을 논의하는 것이다. 우선심화 전문용어와 관련된 연구의 흐름을 살폈다. 이와 함께 세계 용어학계의 흐름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향후 전문용어 연구 방향을 전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심화 전문용어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였다. 다음으로 심화 전문용어의 개념과 정의를 정리하였다. 『표준국어대사전』과 『연세현대한국어사전』, 『고려대 한국어대사전』을 참고하여, 심화의 의미를 논의하였다. 이를 토대로 심화전문용어의 개념과 정의를 세웠다. 이와 함께 심화 전문용어의 범위를 한정하고, 선정 방안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심화 전문용어의 특징을 논의하였다. 기초 전문용어와 구분되는 심화 전문용어의 가장 큰 특징을 단의성으로 보았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기초 전문용어와 심화 전문용어의 단의성 비율을 정리하였다. 그 결과 물리와 생물 영역은 심화 전문용어의 단의성 비율이 높았으나. 수학은 기초 전문용어의 단의성 비율이 심화 전문용어보다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a definition and concepts of the advanced terminology and to discuss its characteristics. First it argue the flow of terminology research. This was discussed with the flow of the world``s academic of terminology. And we predict the future direction of terminology research. Based on this, it was mentioned about the necessity of the advanced terminology. Next, this paper to summarize the concepts and definitions of the advanced terminology. By reference to the main dictionary, it discussed the meaning of the advanced. Based on this, it built the concepts and definitions of the advanced terminology. And, this limit the scope of the advanced terminology and the way of selection were discussed. Finally, we discuss the features of the advanced terminology. We saw the biggest feature of the advanced terminology is monosemy, which is separated by the basic terminology. To prove this, we research monosemy ratio of the basic terminology and the advanced terminology. As a result, monosemy proportion of the advanced terminology was higher than the basic terminology in physical and biological areas. However, monosemy proportion of the basic terminology was higher than the advanced terminology in mathematics areas.

      • KCI등재

        기계학습에 기반한 생의학분야 전문용어의 자동 인식

        오종훈(Jong-Hoon Oh),최기선(Key-Sun Choi) 한국정보과학회 2006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3 No.8

        일정 분야의 문서들에서 그 분야 특징을 반영하는 전문용어를 자동으로 인식하는 연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전문용어 인식’은 문서에서 전문용어가 될 수 있는 언어적 단위를 파악하는 ‘용어추출’과정과 ‘용어추출’과정에서 얻어진 용어목록 중 해당분야의 전문용어를 고르는 ‘전문용어 선택’ 과정으로 구성된다. ‘전문용어 선택’과정은 용어목록을 전문용어의 특징에 따라 순위화한 후 타당한 전문용어를 파악하는 작업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전문용어 선택 문제는 용어목록의 순위화 작업과 순위화된 목록에서 전문용어와 비전문용어 간의 경계를 인식하는 작업으로 정의된다. 기존의 전문용어 선택 기법은 주로 용어의 빈도수 등과 같은 통계적 특징만을 이용하였다. 하지만 통계적 특징만으로는 효과적으로 전문용어를 선택하기 어렵다. 본 논문의 논제는 전문용어 선택에서 다양한 전문용어의 특징을 고려하고 이들 중 전문용어 선택에서 효과적인 특징을 찾으려는 것이다. 순위화 문제는 다양한 전문용어 특징을 도출하고 이들을 기계학습방법으로 통합하여 해결한다. 경계인식 문제는 전문용어와 비전문용어의 이진 분류 문제로 정의하고 기계학습방법으로 해결한다. 본 논문의 기법은 경계인식측면에서 78~86%의 정확률과 87%~90%의 재현율을 나타내었으며, 순위화 측면에서 89%~92%의 11포인트 평균정확률을 나타내었다. 또한 기존 연구보다 최고 26%의 성능향상을 보였다.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in automatic term recognition (ATR), which recognizes technical terms for given domain specific texts. ATR is composed of ‘term extraction’, which extracts candidates of technical terms and ‘term selection’ which decides whether terms in a term list derived from ‘term extraction’ are technical terms or not. ‘term selection’ is a process to rank a term list depending on features of technical term and to find the boundary between technical term and general term. The previous works just use statistical features of terms for ‘term selection’.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on effectively selecting technical terms among a term list using the statistical feature.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find effective features for ‘term selection’ by considering various aspects of technical terms. In order to solve the ranking problem, we derive various features of technical terms and combine the features using machine-learning algorithms. For solving the boundary finding problem, we define it as a binary classification problem which classifies a term in a term list into technical term and general term. Experiments show that our method records 78~86% precision and 87%~90% recall in boundary finding, and 89%~92% 11-point precision in ranking. Moreover, our method shows higher performance than the previous work’s about 26% in maximum.

      • KCI등재

        전문 용어의 형태론 -지침으로서의 전문 용어 형성 원칙을 중심으로

        최형용 한중인문학회 2010 한중인문학연구 Vol.31 No.-

        언어 정책의 대상으로서의 전문 용어는 2005년 7월부터 시행된 국어기본법과 국어기본법 시행령에 그에 대한 표준화와 체계화의 필요성 및 그 절차가 명문화하였다. 지금까지의 전문 용어에 대한 아래로부터의 정비에 더하여 지침으로서의 전문 용어 형성 원칙을 마련하는 것 은 위로부터의 전문 용어 정비에 대한 가시적인 결과를 겨냥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전문 용어 형성의 원칙은 그동안 제시된 것들을 존중하되 국어의 현실을 반영하고 지침으로 형상화할 수 있는 것들을 간추리는 작업을 거쳐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전문 용어의 형성 원칙들 가운데 지침의 대상이 될 만한 것으로 ‘일의성’, ‘투명성’, ‘일관성’, ‘적합성’, ‘경제성’, ‘학문 분 야 간 통일성’, ‘파생성’, ‘언어적 정확성’, ‘모국어 선호’, ‘쉬운 말’의 10가지를 선정할 수 있다. 이 가운데 특히 ‘파생성’과 ‘언어적 정확성’은 형태론의 측면에서 보다 자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는 것들이다. ‘일의성’, ‘투명성’, ‘일관성’, ‘적합성’, ‘경제성’, ‘학문 분야 간 통일성’은 모두 전문 용어의 ‘개념’과 관련된다는 점에서 의미의 측면을 강조한 원칙들이다. 한편 ‘모국어 선 호’와 ‘쉬운 말’은 문화적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는 전문 용어 형성에 대한 지침 마련을 위해 필요하다고 보았다. Terminology is treated in the purview of Language policy. So far the goal of terminology standardization and systematization have been achieved from bottom-up. From now on that must be accomplished from top-down also through a guide such as formation principles. 10 formation principles are presented in this paper as a guide. They are ‘monosemy’, ‘transparency’, ‘consistency’, ‘appropriateness’, ‘economy’, ‘unity in the fields of studies’, ‘derivability’, ‘linguistic correctness’, ‘preference for native language’ and ‘easy language’. Especially ‘derivability’ and ‘linguistic correctness’ among these principles are mainly concerned in morphology. ‘Monosemy’, ‘transparency’, ‘consistency’, ‘appropriateness’, ‘economy’ and ‘unity in the fields of studies’ are based on the semantic concept of terminology. Finally, ‘preference for native language’ and ‘easy language’ are contributed to the guide on cultural aspect.

      • 1989년 민주화 혁명 이후 루마니아어에 나타난 전문용어의 변화 양상 : 기술용어를 중심으로

        엄태현(Oum,Tae-hyun)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03 동유럽발칸학 Vol.5 No.2

        본 논문은 루마니아의 1989년 혁명과 그로인한사회적변화가언어미친영향을 기술 분야의 전문용어에 중점을 두어 연구한 것이다. 루마니아 사회는 1989년 이후 급격한 정치-경제 시스템의 변동을 겪게 되며 그 여파는 사회의 각 분야에 미쳤으며 언어에 있어서도 많은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여러 언어적 요소 가운데 그 변화는 주로 어휘 부분에 집중되어있는데 이는 어휘 부분이 현실을 반영하면서 가장 쉽게 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문용어를 크게 사회과학 분야와 기술 분야로 분류하여 바라볼 때 사회과학 분야의 전문용어는 기술 전문용어에 비해서 좀 더 사회와 깊은 연관성을가지고있으며좀 더일반 어휘에 가까운 특성을 보인다. 기술 분야의 전문용어는 물론 언어적 규범 내에서 의미작용을 하지만 기술 분야의 지식체계에 많은 부분 연동되어있고 이에 의해서 변화하는 모습을 보인다. 루마니아어에서 기술 전문용어의 가장 큰 특징은 조어 방법에서 나타난다. 루마니아어는 라틴어적 특성상 접미사를 통한 파생법이 가장 생산적인 조어법이 지만 기술 용어를 구성하는데 있어서는 합성어가 매우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루마니아어는 근대화는 초기에 전문용어를 받아들이는데 다소 혼란상이 있었으나 점차 긍정적인 방향으로 개선되기 시작하였고 공산주의 기간에 국가적 차원에서 전문용어의 통일화 작업을 벌이면서 각 분야의 전문용어는 체계적으로 정리되고 발전하게 되었다. 1989년 혁명이후의 기술 분야 전문용어의 가장 큰 특징은 어원적으로 영어 영향의 급격한 증가이며 조어 법적인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는 높은 합성어 비율이다. 혁명이후 루마니아의 기술 분야 전문용어는 과거 근대화 초기에 그랬듯이 혼란상을 보였으나 점차 루마니아어 체계내로 받아들여지면서 발전해가고 있다.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changes in Romanian language, concentrated on transitions in technical terminologies since the 1989 democratic revolution. Romanian society has experienced a critical changes in politico-economical systems after 1989 revolution. The transition of politico-economical system influenced also their language. Language change was most apparent in vocabulary because vocabulary is flexible and could be changed easily reflecting the changing realities. Technical Terminology functions in the framework of linguistic norm, but it is also deeply related to the knowledge system of techniques. The characteristics of Romanian technical terminology are shown from the word formation rules. Romanian language has a very productive suffixes in general vocabulary, but in the field of technical terminology the compound terms are over exceeds the derivatives. From the beginning of the modernization of Romanian language, has had some confusions in accepting terminology from foreign languages, but they overcome this soon and established a systematic way of creating terminology in to their language structure. The characteristics of Romanian language after the 1989's revolution could be represented by English influences and compound terms.

      • KCI등재

        남북 수학,과학 교과서에 나타나는 전문 용어 분석

        김유진 ( Yu Jin Kim ),신중진 ( Jung Jin Shin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4 No.-

        이 연구는 남한과 북한에서 출판된 수학·과학 교과서에 나타나는 전문 용어 중 남북이 다르게 사용하고 있는 전문 용어의 어종과 대응 유형, 빈도 등을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남북 중·고등학교 수학·과학 교과서 전문 용어 목록은 총 1,487개이다. 이 중 형태가 같지 않은 전문 용어 395개가 이 논문의 분석 대상이다. 남북 수학·과학 교과서에 나타나는 전문 용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북 중·고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나타나는 전문 용어는 모두 145개이다. 남한은 ``한자어``가 116개(80%)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북한은 ``고유어+한자어``가 88개(60.6%)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남북 중·고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나타나는 전문 용어 대응 유형은 ``한자어 ↔ 고유어+한자어``의 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남한은 수학 전문 용어를 사용하는 데 있어 ``한자어``를 선호하고, 북한은 ``고유어+한자어``를 선호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남북 중·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나타나는 전문 용어는 모두 250개이다. 남한과 북한 모두 ``한자어``가 가장 많이 나타난다. 대응 유형 역시 ``한자어 ↔ 한자어`` 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난다. 앞서 살펴본 수학 교과서의 전문 용어와는 차이를 보인다. 즉, 남북 중·고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전문 용어는 남한은 ``한자어``, 북한은 ``한자어+고유어``의 출현 빈도가 가장 높고, 이들 전문 용어의 대응 유형 역시 ``한자어 ↔ 한자어+고유어`` 유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남북 중·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전문 용어는 남북 모두 ``한자어``의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들 전문 용어의 대응 유형 역시 ``한자어 ↔ 한자어`` 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어종과 대응 유형의 분석, 빈도 조사는 남북 전문 용어 통합 과정에서 어떠한 유형을 선택하는 것이 양측 모두에게 거부감 없이 받아들여질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을 덜어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통합안을 마련하는 과정에서도 서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일 될 것이라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echnical terms used differently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 math and science textbooks in types of term, response patterns, frequencies. There were total 1,486 technical terms found in North and South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math and science textbooks, and the study analyzed 395 of them whose forms were different between the two Koreas. The analysis results of technical terms in the North and South Korean math and science textbooks were as follows: there were total 145 technical terms in the North and South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math textbooks. While "Sino-Korean words" recorded the biggest number at 116(80%) in the South Korean math textbooks, "native words+Sino-Korean words" did at 88(60.6%) in their North Korean counterparts. As for the response patterns of technical terms in the North and South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math textbooks, the pattern of "Sino-Korean words ↔ native words+Sino-Korean words" appeared in the highest frequency. While they preferred "Sino-Korean words" when using technical terms in math in South Korea, they did "native words+Sino-Korean words" in North Korea. There were total 250 technical terms in the North and South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Sino-Korean words" were the most both in the North and South Korean science textbooks. The most frequent response pattern was "Sino-Korean words ↔ Sino-Korean words" both in the cases,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results of technical terms in the math textbooks depicted above. In other words, as for technical terms in the North and South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math textbooks, "Sino-Korean words" and "Sino-Korean words+native words" recorded the highest frequency in South and North Korea, respectively. Their response pattern of the highest frequency was "Sino-Korean words ↔ Sino-Korean words+native words". As for technical terms in the North and South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on the other hand, "Sino-Korean words" held the highest frequency both in North and South Korea with the most popular response pattern being "Sino-Korean words ↔ Sino-Korean words" in both the Koreas. Researches on the types, response patterns, frequency of technical terms through analysis and investigation will reduce the worries over which types should be selected in the integration process of technical term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n order to help both the sides accept them with no resistance and also provide some assistance for both the sides to understand each other in the process of devising an integration plan.

      • KCI등재

        전문용어의 체계와 관계에 대한 탐색

        엄태경(Eom, Tae Kyoung) 우리말글학회 2021 우리말 글 Vol.91 No.-

        이 글은 전문용어의 개념에 대해 정의하고 그 범위와 범주에 대해 논의한다. 그리고 전문용어의 체계와 관계를 어휘론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전 연구들에서는 전문용어를 어휘의 범주에 포함하여 어휘의 팽창 혹은 어휘의 변이로 다루었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전문용어가 어휘에 포함된다기보다 서로 구분되지만 교집합적 부분이 있는 것으로 파악한다. 2장에서 어휘와 전문용어는 일반 언어와 전문 언어의 구성 요소이며, 개별 단어와 개별 용어들의 집합으로 정의했다. 그리고 전문용어는 연구자들이 어느 부분에 중점을 두고 정의하느냐에 따라 유연하게 바뀔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3장에서는 어휘론의 연구 방법에 따라 전문용어를 분석하였다. 일반 어휘와 전문용어는 형태·통사적 결합 관계 중, 합성, 파생, 혼성에서 큰 차이점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통사 구성 관계에서 전문용어는 일반 어휘의 관용구에 비해 의미적으로 투명한 차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어휘론의 의미적 계열 관계는 동의, 반의, 상하, 부분 관계로 나눌 수 있다. 전문용어 역시 이와 같은 관계로 나눌 수 있지만, 총칭 관계와 포함 관계로 나누어 살피는 것이 전문용어론의 방식이라는 것을 설명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fine the concept of terminology and discuss its boundaries and categories. An examination is provided of the system and relationship of terminology from a lexicological point of view, and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are explored. Previous studies considered terminology within the boundaries of lexicon and discussed lexicon expansion and lexicon variation. However, this study is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at the meanings of the two different words terminology and vocabulary have intersection of sets, rather than on simply considering terminology from within the boundaries of lexicon. Chapter 2 defines terminology and lexicon as components of both general language and special language, and sees them as a pair of individual words and individual terms. It has been found that terminology can be flexibly used depending on a researcher’s own definition and focus. Chapter 3 analyzes terminology according to the research methods of lexicology. Among the syntagmatic relations of lexicon and terminology, compounding, derivation, and blending do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from a syntagmatic perspective, terminology has a seman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idioms in general lexicon. Next, the semantic paradigmatic relations of lexicology can be divided into synonymous, antonymous, hypernymous/hyponymous, and meronymous relations. Terminology can be divided into the same categories, but this shows that the methodology of terminology is based on dividing into generic and partitive rel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