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읽기(독서)에서의 교육 내용 위계화 :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과정의 비판적 검토 -고등학교 선택과목을 중심으로-

        김중신 ( Jung Sin Kim ) 국어교육학회 2011 國語敎育學硏究 Vol.41 No.-

        교육과정은 교과의 시작이자 종결이지만 최근 우리의 교육과정은 그렇지 않은 것 같다. 2007 개정 교육과정이 시행된 지 2년만에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시행되었고, 다시 2009 개정 교과교육과정이라는 명목하에 교육과정이 개편되었다. 그런데 교육의 근간을 이루는 교육과정이 특정 기관이나 단체에 의해서 개발되는 것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국어 교육 관련 학회에서는 학회 연합으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 공정하며 합리적이라는 판단 하에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육과정 공모에 참여하기로 하였고, 그 결과 2009 개정 교과교육과정 개발을 담당하게 되었다. 본고는 학회 연합으로 개발이 진행되었던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중에서 주로 선택과목 중심으로 개발 과정을 검토한 것이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은 먼저 선택과목 재구조화 방안에 의해 개정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들은 2009 개정 고등학교 국어과 선택 과목 체계에 대한 문제점에 대해 세 가지를 지적한 바 있다. 하나는 ``국어``에 대한 세부 성취 기준을 마련하지 않았다는 점. 둘째는 총론의 취지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였다는 점, 셋째는 국어과 내용 영역 간의 자연스러운 결합을 도출하지 못하였다는 점이다. 이를 토대로 하여 재구조화안은 고등학교 보통교과 선택과목은 ``국어Ⅰ``, ``국어Ⅱ``, ``국어사고와 표현``, ``국어탐구와 이해``, ``국어문화와 창의``, ``고전``의 총 6과목으로 정하였다. 그런데 이를 구체화하는 작업을 맡은 학회 연합의 연구진은 과목 명칭에 대한 논의, ``국어Ⅰ``과 ``국어Ⅱ``의 성취 기준 설정 문제에 대한 논의, 셋째, ``고전``의 성격에 대한 논의를 집중적으로 진행하였다. 이 결과 과목명은 ``국어Ⅰ/ 국어Ⅱ / 화법과 작문 / 독서와 문법 / 문학 / 고전과 교양``으로 정하였다. 그리고 ``국어Ⅰ``의 기본 성격은 교양(일반)으로 하고, ``국어Ⅱ``의 기본 성격은 교양(전문)으로 하고, 국어과의 다섯 개 영역 중 핵심이 되는 성취 기준을 국어Ⅰ과 국어Ⅱ의 중핵적 성취 기준으로 삼았다. 다음으로 ``고전``의 성격은 교과목명을 ``고전과 교양``으로 하고 국어과 다섯 영역의 현대 및 고대의 명문 중심으로 통합적 이해와 표현 활동을 목표로 하는 과목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논의 결과는 교육과학기술부의 최종 심의 과정에서 약간의 변이는 있었으나 2009 개정 교과교육과정의 핵심이 되었다. 교육과정 개발은 누가 하는가 보다도 어떻게 하는가가 더 중요하다. 교육과정은 주체의 문제가 아니라 공유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교과별 교육과정 개편 과정을 기록하는 것은 어쩌면 영역별 그릇싸움의 적나라한 기록일 수도 있다. 또한 교과목의 나눠먹기식 배분의 흔적이라고도 할 수 있다. 하지만 학문적 영역이 중등학교 교과목에 여하히 설정되느냐 하는 것은 학문의 존재 가치와도 관계된다. 교과 교육은 어차피 교단에서 완성되기 때문이다. 교단에 설 자리가 없는 교과교육은 학자들의 선문답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The curriculum is the beginning of subject. Also is a terminated point of it. However the curriculum of Korea is not like that. The curriculum is reorganized after 2 years. For fairness and rationality, I think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related-academic society is responsible for the Korean curriculum development. This writing will review a development process of 2009 Revised Korean Subject Curriculum. According to ``elective restructurization plan, high school elective course name was ``Korean language I(국어Ⅰ)`` and ``Korean language II(국어Ⅱ), ``Korean thinking and expression``, ``Korean exploration and understanding of language``, ``Korean culture and the Creative``, ``The canon`` . First of all, the research team of academic society union processed intensively the discussion of subject name and accomplishing standard of ``Korean language I, Ⅱ`` and ``character of The Canon``. Discussed, the names of subjects has been determined as ``Korean language Ⅰ / Korean languages Ⅱ / speech and writing / reading and grammar / literature / Canons and the liberal`` And the research team decided the basic character of Korean I`` with culture (the public) and Korean II with culture(specialty). Also, they decided the main accomplishing standard of reading, writing, speech listening, the grammar, the literature with core accomplishing standard of Korean I, II. They also changed the name of ``Canons`` with the ``Canons and liberal arts.`` And they decided this subject with intergrated understanding and expressive activities for students in five areas of Korean subjects. Although there was few variations in last review process b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uch discussion result was became the core of 2009 Revised Korean Subject Curriculum.

      • KCI등재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원 정책의 발전 방안 연구: 유사 제도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민수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18 한국외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8 No.-

        이 연구는 국어기본법과 유사 제도의 규정을 비교 분석하여, 국어기본법의 한국어교원 관련 규정이 개선해야 할 점을 고찰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교원 정책을 ‘한국어 교육에 관련된 국가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국내외에서 한국어교원을 양성하여 임용하 고, 그들이 지속적으로 전문성을 신장하도록 지원하는 정책’이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선 행 연구 등을 토대로 한국어교원 정책을 1) 임용 전의 양성 정책, 2) 임용을 위한 자격 인증과 임용 인원 조절, 3) 임용 이후의 재교육 및 처우 정책으로 나누었다. 한국어 교육은 사회 여러 계층에 한국어 교육 학습자들이 분포하고, 적용 대상이 외국 인이라는 특성도 지니고 있다. 또한 향후 다문화 사회의 진전에 따라 국민교육의 영역 과 겹치는 부분이 더 늘어날 여지도 있다. 한국어 교육의 대상이 광범위하다는 것은 그 정책의 대상이 넓고 여러 법과 연관된다는 뜻이다. 대학 부설 어학당의 경우 고등교육 법과 관련이 되고, 학령기 다문화 가정 자녀들을 가르치는 교원은 초,중등교육법과 무관 하지 않다.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과정 강사나, 다문화 가정 대상 한국어 방문지도사 등은 일정 부분 평생교육사와 유사한 성격도 지닌다. 이 점에 유의하여, 이 연구에서는 초,중등교육법, 고등교육법, 평생교육법에서 교원 정책의 세 범주가 어떻게 구현되어 있 는지 검토하였다. 비교 분석 결과, 유사 제도의 교원 정책에 비하여 국어기본법에는 교원의 자격 인증 이후 임용 정책과 임용 이후의 후속 정책이 다소 부족함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 대로 이 연구에서는 주로 자격을 갖춘 한국어교원의 임용과 이후의 처우에 대한 개선 방향을 모색하였다. 한국어교원들은 미시적으로는 학생을 가르치는 교육자이지만, 거시적으로 보면 그 위 치가 차지하는 정책적 의의가 적지 않다. 한국어교원은 그 소속 기관과 분야에 따라 다 문화사회로 돌입한 한국의 사회 통합과 안정화에 기여하고, 유학생의 유학생활을 성공 을 이끌 수 있는 집단이다. 한국어교원의 처우 개선과 전문성 향상, 그로 인한 한국어 교육의 질적 향상 등은 한국의 이주민 정책과 유학생 정책의 성공으로 이어질 것이다.

      • KCI등재

        국어적 창의성 계발을 위한 교재 구성 방안 연구

        정혜승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4 한국초등국어교육 Vol.24 No.-

        이 연구는 국어적 창의성의 개념과 창의성 계발 교육의 원리를 탐구하고, 이에 기반하여 교재를 구성하는 방안을 수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자는 국어적 창의성을 '인지적이면서 동시에 현실적인 문제를 새롭고도 적절한 방식으로 해결하는 능력'으로 정의한 후, 이를 계발하는 원리를 구안하기 위해서 창의성이 발현되는 요소를 영역 특수적 지식과 기능, 일반 세상사 지식과 사고 기능, 태도를 포함하는 개인적 요소와 개인의 능력이 발현되게 하는 분야의 기반과 영역의 비평과 평가를 포함하는 사회적 요소로 나누고, 국어과교육에서 이들 각 요소의 특성과 관계를 논의하였다. 국어적 창의성을 계발하기 위한 교재의 조건을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로 나누어 제시하였는데, 미국과 영국의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비교·분석하여 참고하였다 교과서 구성 방안으로는 영역 일반적 지식을 충분히 제공하는 주제 중심의 단원 구성 방식을 고려할 것, 국어적 지식을 적재적소에 제공할것, 국어적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을 충분히 제공할 것을 들었다 교사용 지도서구성 방안으로는 교사에게 필요한 지식을 제공하고 명시적인 수업 전략을 제공할 것과 교사가 학생 활동의 평가와 비평에 필요한 정보와 자료를 제공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at establishing the plans for constructing teaching materials based on the explorations into the concept of Korean creativity and the principles of the education for developing the creativity. First, the researcher categorized the existing researches on linguistic creativity into five and investigated them, defining Korean creativity as 'the ability to solve cognitive and simultaneously real problems in new and proper methods'. To have an insight into the principles of developing Korean creativity, I have divided the elements where the creativity is revealed into personal ones including area-specific knowledge and function, knowledge on general worldly affairs and thinking function, and attitudes, and into social ones including criticism and evaluation on grounds and areas of the fields which have personal abilities revealed, discuss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 in the education by the department of the Korean language. I have divided the teaching materials for developing Korean creativity into textbooks and a teacher's guidebook, and compared and analyzed textbooks and a teacher's guidebook used in USA and England. As for the plans for constructing textbooks, I was told to consider the method of constructing an unit centered on subjects, to provide knowledge on the Korean language appropriately, and to fully provide experiences on solving Korean problems. As for the plans for constructing a teacher's guidebook, I suggested that one should provide a teacher with required knowledge and also explicit class strategies and that a teacher should provide the information and materials necessary to the evaluation and criticism on students' activiti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국어 수업 관찰과 비평의 방향

        신헌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5 한국초등국어교육 Vol.27 No.-

        좋은 국어수업이라는 개념 범주는 교육학 분야의 과정-산출연구 방법을 통해 제시된 바, 바람직한 교사의 행동 특성으로 구성된 '효과적인 좋은 수업'의 요건들을 구비하면서, 그 가운데 국어교육의 특성들인 개별성, 상호작용성, 상황관련성, 문화관련성, 통합성들이 잘 구현되도록 배려해 놓은 수업으로 볼 수 있다. 이 국어과의 특성 가운데는 문화 관련성이 대변해 주는 대로 국어과 내용상의 전통적 특성도 포함되어 있지만, 상호작용성과 상황관련성에서도 보듯이 국어사용 현상의 특성이 그 이상으로 배려되고 있다. 그리고 개별성이 드러내주듯이 국어교과의 특성에 대한 것 못지 않게 학습자 개개인에 대한 관심과 배려도 강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곧, 교재에 담긴 국어과 고유의 내용 특성상 의사소통 상황에 개입된 모든 요인들과 더불어 학습자 개인의 특성까지 배려해주는 수업이라는 바로 그 언저리에 좋은 국어 수업의 개념 범주를 설정해 놓을 수 있다고 본다. 좋은 국어수업의 개념을 정립해 보는 일은 국어수업의 질적 발전에 큰 계기를 주리라고 본다. 또한 이상적 수업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분석하기 위한 기틀로 삼을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여러 수업의 형태로 세분화하고 개발하는 데 필수적인 체계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Through many process-product research in pedagogy, categorazing a concept of the teaching effectiveness approach in Korean language instruction is based on desirable teacher's action. We consider that its special characters relate concern with indivisualization, interaction, situation, culture and integration. A special Korean language Arts characters have traditional characters in Korean language content, but it emphasis on the present state of using Korean language as you recognize interaction and situation. As well it emphasis on learner's interest as you recognize indivisualization. That is, Categorizing a concept of effective Korean language instruction means that instruction include all facts that communication situation and learner's character in text. Its establish that concept of effective Korean language instruction bring a chance of qualitativ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instruction. It makes foundation to diffferentiate elements of ideal instruction and make organization of develop and specialize of various instruction form.

      • KCI등재

        국어교육과 매체언어문화 : 국어교육과 매체언어문화

        박인기 ( In Gee Park ) 국어교육학회 2010 國語敎育學硏究 Vol.37 No.-

        매체와 언어와 문화는 국어교육의 생태와 환경이다. 매체와 언어와 문화는 서로 상호작용한다. 매체와 언어와 문화는 서로 연속적이고 중층적인 관계로 구조화 되어 있다. 따라서 우리는 매체와 언어와 문화를 복합적으로 경험한다. 우리는 이 `매체·언어·문화·교육`의 중층적 현상을 연구하여 국어교육의 내용으로 반영해야 한다. 이런 현상으로 인하여 국어교육은 교육과정 혁신(curriculum innovation)을 해야 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지금까지의 국어교육 내용은 지나친 언어중심주의(logocentrism)에 의존하여 왔다. 그 결과 학생들은 `소통능력`과 `언어능력`이 괴리되고, 언어학이나 문학이론 등 학문적 내용이 국어교육의 내용으로서 독점적 지위를 누려왔다. 따라서 국어교육의 생태 환경(문화, 미디어, 테크놀로지)에 대해 적응하지 못하고, 국어 교과는 진화에 유연하지 못했다. 현재 국어과의 매체언어교육(media education in education of Korean arts) 실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어과 미디어 교육 내용이 주로 기능적 사용 차원의 내용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둘째, 매체 언어에 관한 교육 현장의 실천 담론과 이 분야 연구 이론 담론 사이에 원활한 연결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셋째, 국어교육이 미디어 현상을 교육내용으로 수용하는 데에 소극적이다. 국어교육에서 매체현상을 미래지향적으로 수용함으로써, 국어교육을 진화시킬 수 있다. 첫째, 미래사회는 매체가 주도하는 매개된 `경험(지식)`이 증가한다. 매개된 `경험(지식)`의 문제점을 직시하고, 매체에 대한 비판적 문식성(critical literacy)이 더욱 강조되어야 한다. 둘째, 언어 자체를 익히도록 하는 것에서 포괄적이고도 다층적인 소통능력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국어교육이 전환되어야 한다. 셋째, 미디어교육의 내용과 수요는 기존 국어교육에 대해서 대체재(代替財)의 역할보다는 보완재輔完財)의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국어교육 내부에서 미디어교육이 호응, 융합됨으로써, 현재로서는 예견할 수 없는, 국어교육의 부가가치를 생산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부가가치는 국어교육을 풍요롭게 한다. 나아가서는 국어교육으로부터 교육의 보편적 원리를 창출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를 것이다. Media, language and culture are ecology and environment for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Media, language and culture are operated interactively. Media, language and culture are structured in a way that they are continuous and multi-layered. Therefore, we are experiencing media, language and culture with complexity. We need to research multi-layered phenomena of this `media, language and culture` thus apply them for content of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For this reason,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has reached a phase for curriculum innovation. Contents of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has relied on logocentrism too much so far, and as the result, students have been alienated from `communication skill` and `language ability`, so academic contents such as linguistic and literary theory have enjoyed its exclusive position. Therefore, it was impossible to be accustomed to new ecological environment for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Culture, Media and Technologies) and its curriculum was not flexible for evolutions. Currently, state of media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is as following: First, contents of media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arts has its mainstream in term of functional usage aspects. Second, practicing discussion for education site of media language has not been easily met the discussion of media education research theory. Third,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is reluctant to introduce media phenomena into curriculum contents.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can be evolved by adopting media phenomena in term of future-centric aspect. First, in future society, intermediated `experiences (knowledge)` led by media will increase. By focusing on the problems in intermediated `experiences (knowledge)`, critical literacy regarding media needs to be more focused. Second,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needs to be converted from learning language itself to comprehensive and multi-layered communication skill. Third, contents and demand for media education is more required to play a role for complementary goods rather than alternatives for conventional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Fourth, it is expected that additional value which can`t be expected now can be produced by preferring and fusing media education within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This additional value makes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more affluent. Furthermore, its value will reach a phase of creating general principles for education from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 KCI등재

        국민학생의 독서 실태 연구

        최현섭,김선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1992 한국초등국어교육 Vol.8 No.-

        요약敎育大學 敎授學習의 改善硏究는 83년에 서울교육대학 주관으로 시작되었다. 84년부터 각 교육대학이 한 敎科씩 맡아 보다 전문적인 연구활동을 시작하였는데, 국어교육과는 서울교대 주관하에 「敎育大學 敎授學習方法의 改善硏究-國語敎育-」이란 題號로 4집(86년)까지 간행되었다. 5·6·7집은 「國語科敎育硏究」란 제호로 春川敎育大學에서 간행되었다.그러나 90년부터 연구비 지원이 敎育部에서 學術振興財團으로 이관되면서 연구비 지원이 끊기자 중단되는 위기를 맞게 되었다. 敎育大學 存立과 미래의 位相이 初等敎科敎育硏究에 있음을 뼈저리게 재인식하여 이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에 이르렀다. 이처럼 중대한 시기에 우리 大學이 간사대학으로서 국어교육연구 활동을 적극 추진하게 되었다.국어교육과 전교수님들이 1년에 한 차례 연구발표회와 협의회를 가지고 연구비 지원 없어도 스스로 연구지를 발간하기로 뜻을 모아 주시고 회비 전액을 납부하여 주시니 함이 솟지 않을 수 없었다. 92년 7월 8일 우리 大學에서 31명의 국어과교수님들이 참여하여 연구발표 및 협의회를 갖고, 한국초등국어교육을 선도해 나갈 수 있는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를 결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로써 초등국어교육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수 잇는 기틀이 확립되었다고 할 수 있다. 敎大附國을 비롯하여 전국 국민학교에서 현장연구에 열정을 쏟고 있는 교사들이 참여하여 전국 각 支會를 결성함으로써 大學과 현장연구를 보다 긴밀하게 결합할 수 있는 길도 열리게 되었다.게재원고난으로 2년간의 진통 끝에 「한국초등국어교육」 8집을 내놓게 되니 기쁨 이루 말할 수 없다. 앞으로는 초등교사들의 알차고 우수한 현장연구로 학회지가 채워질 것을 생각하면 가슴이 벅차오른다.초등교과 교육의 중요성을 절실히 느끼시고 만날 때마다 격려와 지원을 쏟아 주신 본 대학 康文柱학장님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 회비를 전액 납부해 주시고 서툰 저에게 격려와 협조를 해주신 국어교육과 모든 교수님들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특히 더위에 편찮으시면서도 玉稿를 보내주신 최현섭교수님께 고마움을 드리지 않을 수 없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