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의 신문사설에 나타난 러시아 이미지 분석 :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을 중심으로

        최양호(Choi,Yang Ho),김봉철(Kim,Bong Chul)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05 동유럽발칸학 Vol.7 No.2

        한국과 러시아는 지난 1990년 9월에 외교관계를 수립했지만 조선말기의 본격적인 교류와 접촉을 시발점으로 한다면 양국의 관계사는 1백년이 넘는다. 한국과 러시아가 외교관계를 재수립한 후 한국 신문에는 러시아 관련 기사가 많이 등장하고 있다. 그런데 신문에 등장한 러시와 관련 기사는 한국인들에게 러시아에 대한 국가 이미지를 형성하거나 고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한국 신문에 투영되는 러시아의 국가 이미지는 어떠한가를 살펴보는 것은 향후 한국과 러시아 양국 관계의 발전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는 지난 1990년 이후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에 등장하는 러시아 관련 사설을 분석함으로써 한국 신문에 투영되는 러시아 이미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내용분석을 했는데, 내용분석은 양적분석과 질적 분석을 병행했다. 양적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조선일보가 한겨레신문보다 러시아 관련 사설을 더 많이 다룬 것으로 나타났다. 기간별로 보면 제1기(1990년-1994년)에 다루어진 사설 수가 가장 많았고, 제3기(2000년-2005년)에 다루어진 사설 수가 가장 적었다. 주제별로는 외교관련 주제가 가장 많이 다루어졌고, 그 다음으로 많이 다루어진 주제는 정치관련 주제였다. 이밖에 사회, 군사, 경제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주제들이 제1기에 집중되어 있으나 외교관련 주제만은 전 기간에 걸쳐 엇비슷한 비율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수교 초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외교문제에 있어 한국과 러시아 사이에 우여곡절이 많았음을 반증하는 사례라 할 수 있다. 한편 질적 분석 결과를 통해 러시아의 부정적 이미지들을 구성하고 있는 요인들을 살펴본 결과 정치적으로 혼란하고 경제적으로 피폐하고, 외교적으로 무례하고, 군사적으로 막강하며 강경하고, 사회적으로 불안한 국가로 묘사되고 있었다. 물론 이 같은 부정적 이미지들은 그동안 러시아가 정치적 격변을 겪으면서 어쩔 수 없이 나타난 현상일 수도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언론의 특성 -특히 사설 - 에 기인하는 측면도 없지 않다. 사설은 원래 비판적 입장에서 갈등 지향적 내용을 많이 다루게 된다. 따라서 러시아 관련 이미지들도 이러한 언론의 특성이 반영되어 부정적 이미지의 내용이 많았던 것으로 해석된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에 게재된 러시아 관련 사설을 통해 나타난 러시아의 국가 이미지를 종합적으로 살펴본 결과 긍정적인 이미지보다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그러나 제3기로 접어들수록 부정적 이미지가 현저하게 줄어들고 있어 한국과 러시아의 관계가 점차 정착단계에 접어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On September, 1990, Korea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Russia. Their relationship has lasted for more than a century since Chosun Dinasty had had some exchanges with the Russia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in the early 20the century. As Korea has more exchanges with the Russia in a variety of areas these days, the more Korean newspapers are getting more coverage of the Russ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ages towards the Russia as projected in Korean dailies. Since Korea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Russia on September, 1990, Korean newspapers published many more editorials related to Russia. Mass media provide window in shaping images of other countries, through which people shape images of a nation. Thus, image of the Russia projected in the editorials of Korean newspapers could help build good relationships between Korea and the Russia. This study employed content analysis --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 in order to measure images of the Russia presented in Korean newspapers. The study selected the editorials from ChosunIlbo and Hankyoreh. The reasons for selecting ChosunIlbo and Hankyoreh among Korean daily newspapers are that ChosunIlbo represents conservative papers with its long history, while Hankyoreh‘ is a leading liberal newspaper with its short history. The content analysis of ChosunIlbo's and Hankyoreh's Russian-related editorials provided more negative images of the Russia than its positive images. The findings, however, suggest that negative image of the Russia has been decreasing during the 3rd period (2000 - 2005), through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the Russia has been in the stabilized stage. The implication of the findings suggest that Korea and the Russia should build collateral cooperative strategic relations. The Russia has been cooperative in the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 발칸유럽의 개념과 문화적, 역사적 특징 : 오스만화를 중심으로

        권혁재(Kwon, Hyok-Jae)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11 동유럽발칸학 Vol.13 No.2

        발칸유럽이라는 개념은 지형적인 개념이라기보다는 오스만 제국의 유럽 또는 오스만화된 유럽이라는 정치적 의미를 가진다. 종교적, 민족적, 언어적으로 다양성을 가지고 있는 현재의 보이보디나 지역을 제외한 세르비아, 보스니아, 몬테네그로, 마케도니아, 루마니아, 알바니아, 불가리아, 터키의 유럽부분, 그리스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을 하나의 개념으로 설명하는 것은 500년간의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통해 남겨진 이 지역만의 공통성에 기인한다. 오스만 제국의 유럽확장에 종교적인 요인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잘못된 고정관념이 있으나, 실질적인 지배과정을 분석해 보면 종교보다는 정치적, 경제적 요인이 훨씬 지배적이다. 오스만 제국은 지배지역 통치에 있어 종교적 자유뿐만 아니라 해당지역의 문화적, 사회적 관습을 존중하였고 지역문화와의 융합을 통한 발칸지역의 오스만화를 추구하였다. 발칸지역의 대규모 종교개혁 역시 외부의 강압에 의한 개종이 아닌 내부적인 요인에 의한 개종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후 제국의 약화로 인해 자신들의 미래와 비전에 대한 불확실성에서 시작되는 탈오스만화는 지역주의를 넘어 민족주의로 발전하게 되고 이는 오늘날까지도 이 지역의 민족갈등의 핵심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500년간의 발칸 지역 오스만화의 결과는 오늘날까지 발칸유럽만의 특성으로 발칸의 무슬림 지역뿐만 아니라 전체 남동부유럽 국가에 광범위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 연구는 발칸지역의 오스만화와 탈오스만화의 과정과 특징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The Balkans is a geopolitical and cultural region of southeastern Europe. The peninsula has a combined area of 550,000 km2 (212,000 sq mi) and a population of over 50 million people. The region takes its name from the Balkan Mountains, which are uplifting from the eastern end of Bulgaria to the Bulgarian-Serbian border westwards. "Balkan" in Turkish means "a chain of wooded mountains". The concept of the Balkans or the Balkan Europe is political significance than geographic meaning. The Southeast European countries, that show religious, ethnic and linguistic diversity, characterized by Balkan Europe is the result of the Ottoman's occupation into the Balkans. The enlargement of The Ottoman Empire of Muslim is thought generally that a religious grounds account for a great part, but it is considered as political, economical factors by analyzing the domination de factor. The Ottoman Empire respected a religious freedom besides sociocultural customs and pursued the ottomanization through amalgamation with these regional constituent. An extensive reformation in Balkan is appraised to conversion as domestic sources not outside pressure. Main feature of the Ottomanization in Balkan, which has been progressed before the deterioration of the Ottoman began, is the institutional integration of local forms of domination and legal forms and was an active reform. Under the umbrella of the Ottoman Empire muslim elite group in Balkan designed for the future and vision of Balkan. The entottomanization in Balkans started because of their uncertainty to the vision in a decline of the empire has evolved as nationalism over the regionalism and it remains today as a key element of fierce nationalism and ethnic disputes in the Balkan region. Today, the assessment of The Southeast European nations, that properly belonged to the Balkan Europe, to The Ottoman Empire is a negative. But, the result of Ottomanization in the Balkan for 500 years is observed as their own peculiarities with distinction from other Europe nations. The Ottoman culture of the Balkan, which tried to blend with the European culture is in existence as community that the Balkan Europe owned in many different fields across religion, ethnic, and borders even today.

      • 러시아에서의 한국어 교육 실태조사 및 지원 방안 연구 : 한국어 강좌 개설 대학의 한국어 수강생을 중심으로

        임흥수(Heung-Su Im)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01 동유럽발칸학 Vol.3 No.1

        This study tries to describe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problems of Korean language teaching in Russia. By analys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problems of Korean language teaching in Russia,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preliminary and scientific research data for the main study of compiling more effective Korean language teaching in Russia. For this, the contents and the problems of Korean language teaching in Russia is surveyed and their answers are analyzed by the methodology of SPSS-PC+(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This study tries to describe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language teaching in Russia. And at the same time on the basis of questionnaire analysis it supports to delineate the major problems to be further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teaching program in Russia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following areas: 1) systematic training of Korean language specialists, 2) preparation of textbooks and other educational materials adequate namely for Russian students.

      • The Role of Aspect in Deverbal Nominalization in Russian

        추석훈(Sukhoon Choo)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10 동유럽발칸학 Vol.12 No.2

        러시아어 동사 어간은 다양한 접미사와 결합하여 다양한 어휘 유형을 가지는 파생명사를 생성한다. 상(aspect)의 관점에서 러시아어 동사는 일반적으로 불완료체와 완료체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동사의 상은 명사의 어휘범주로 표현되지 않기 때문에, 동사범주는 명사화과정에서 상쇄된다는 관점이 일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명사화과정에서 상과 접미사의 선택에 어떤 원칙이 존재하는지, 그리고 동사의 상이 파생명사의 의미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본다. 일반적으로 동작의 의미를 가지는 파생명사는 불완료체에서 파생(예: ?tenie‘읽기, 읽는 행위’ < ?itat’ ‘읽다[불완료체]’)되는 반면, 결과의 의미를 중시하는 파생명사는 완료체에서 파생(예: pro?tenie ‘통독’< pro?est’ ‘읽다[완료체]’)된다. 동사 불완료체가 행위, 동작의 과정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완료체가 행위, 동작의 완료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는 관점에서 위 결과는 당연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예외라고 할 수 없을 정도의 많은 예들이 위의 일반화에 다른 논증을 제시한다. 예를 들면, re?at’[불완]/re?it’[완] ‘해결하다, 결정하다’는 단 하나의 파생명사 re?enie를 가지는데, 이 명사는 해결/결정의 행위뿐만이 아니라 동시에 완료적 의미의 해결/결정을 뜻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현상이 일어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두 가지 잠재적인 파생명사화(행위명사와 완료명사)가 동시에 가능할 경우, 두 가지 형태의 파생명사가 기저구조에서 생성되며, 그 중 하나가 보다 부각되어 어휘화되고, 두 가지 의미를 모두 가지게 된다. 또한, 명사가 문자그대로의 의미를 반영할 때는, 그 명사는 일반적으로 불완료체에서 파생(예: otkryvatel’ ‘(병)따개’)되는 반면, 명사가 비유적이고 은유적인 의미를 반영할 때는, 일반적으로 완료체에서 파생(otkrytie ‘발견’)됨을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위에서 제시한 상의 선택이 조어론적인 관점에서 어떻게 설명 될 수 있는 가를 결론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Russian verb stems combine with a number of different noun-forming suffixes in the derivation morphology, creating nominalizations of various semantic types (agent, instrument, action, result, etc.) Russian verbal lexemes are normally analyzed as consisting of a linked pair of verbs, differing in terms of the verbal category of aspect. But aspect is not expressed as a semantic category of nouns. Therefore, the verbal category is neutralized in the process of nominalization. This paper examines the principles by which the system of Russian derivational morphology chooses which aspect from the underlying lexical pair to add a particular suffix to, and the impact of the underlying aspect on the meaning of the resulting noun. A range of aspect-related generalizations pertaining to word formation are proposed. For example, when a noun reflects the literal or physical meaning of the verb, it is common that it is built upon the imperfective aspect (e.g., otkryvatel’ ‘opener[for cans or bottles]’), whereas figurative or metaphorical meanings are more often built upon the perfective aspect (otkrytie ‘discovery’). The paper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how the need to maintain a potential aspect feature can be met in a more theoretical model of word formation.

      • 노이만(S. K. Neumann)의 새로운 노래와 붉은 노래의 중심주제

        권 재 일(Kwon,Jaeil)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07 동유럽발칸학 Vol.9 No.2

        노이만의 시집 ?새로운 노래?의 중심이 되는 제1부와 제2부는 현대 과학기술과 기계문명의 발전 그리고 이로 인한 현대인들의 삶의 변화를 중심주제로 내세우고 있다. 따라서 제1부 는 당시 현대 과학문명과 기계문명의 총아인 전기, 전화, 전신에 대한 문명주의 적이고 미래주의 적인 찬가의 형식을 띠고 있고, 제2부 는 현대 기계문명의 영향 아래에서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 특히 현대 도시인들의 역동적인 삶의 모습에 대한 사실적인 묘사 를 담고 있다. 반면에 제3부 는 자연과 농촌을 배경으로 한 고요한 정서와 자연과의 합일된 삶을 통한 기쁨과 환희를 중심 주제로 하면서 활력주의 적인 시각을 견지하고 있는데, 결국 전체적 으로 보면 시집 ?새로운 노래?의 궁극적인 목표가 문명과 자연, 도시와 농촌을 함께 아우를 수 있는 길의 모색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시집 ?붉은 노래?는 프롤레타리아 계급의 해방을 위한 투쟁과 혁명 그리고 이를 쟁취하기 위한 선동성의 고취를 중심주제로 하여 무 기와 수단으로서의 투쟁예술과 선동예술을 추구하고 있는데, 시인 스스로 시 에서 자신의 시가 강철의 소리와 기계와 총탄의소리를 닮은 ‘계급투쟁의 노래’가 될 것이라고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시집 ?붉은 노래?의 대부분의 시들은 프롤레타리아 혁명의 모델이자 미래의 희망인 소비에트 러시아와 그의 붉은 군대에 충성을 맹세하거나, 모두가 사회주의와 공산주의 혁명 전선으로 나아가 용감한 사수들이 되고 전사들이 되어줄 것을 선동하거나, 있는자와 없는 자 간의 이분법적 편가르기를 통해 증오를 확산시키고 계급투쟁의 길로 나설 것을 부추기는 시들로 구성되어 있다. 시집 ?새로운 노래?는 현대 기술문명과 도시문명이라는 새로운 주제의 도입, 현대 기계문명의 이기들이 동반하는 소리와 색깔들의 적절한 활용, 구체적인 사물들의 점층적인 ‘열거 기법’, 이와 관련된‘복합 주제적 방식’과 ‘자유연상 기법’의 도입, 새로운 어휘의 사용등, 새로운 주제에 부응하는 새로운 기법과 형식의 도입이라는 장점이 분명히 있다. 시집 ?붉은 노래?의 경우도 프롤레타리아의 이해를 돕기 위한 쉬운 시의 작성과 구호나 경구를 사용한 선동성의 효율적인 부각을 나름대로의 장점으로 내세울 수 있겠지만, 이러한 장점이 이 시집의 문학성의 확보와는 아무런 관련을 갖지 못한다는 숙명적인 한계 가 있다. Neumann's collection New Songs (Nov? zp?vy; 1918) has as its main themes the progress of the modern technology and the change of the people's life at the age of machine. So the first part of the collection ‘Songs of the Wires’ (Zp?vy dr?t?) is oriented to the celebration of the electricity, telephone and telegraph, the favorite of the machine civilization. The second part ‘Songs of The Din’ (Zp?vy z lomozu) contains the poems of the dynamic life under the strong influence of the modern technology. 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poems of the third part 'Songs of the Tranquility' (Zp?vy z ticha), except of the poems ‘Construction of the Water Supply’ (Stavba vodovodu) and ‘Celebration of the Rotary Press’ (Chv?la rota?ky), are songs of the quiet life in the countryside by the nature. As a result the collection seeks the harmony between the city and the countryside as well as between the civilization and the nature. Neumann's collection of proletarian poetry Red Songs (Rud? zp?vy; 1923) has class consciousness and class struggle and proletarian revolution as its main themes, and the goal of the collection is to create an agitation art. In a word Red Songs are ‘class struggle songs’ (t??dn? zp?vy), as the poet himself defines his collection in the poem ‘Prologue’ (Prolog). As a result most of the poems of the collections are either songs of a celebration of the Soviet Union and its Red Army as well as its leader Lenin or songs of an oath of loyalty to them or songs of agitation to urge the people to be warriors of class war and revolutionary war as well. Introduction of the new themes like the modern technology and modern city life as well as introduction of the enumeration method, polythematic method, and the free association technique into the contemporary Czech poetry and also the good appreciation of the rich sounds and colours of the various modern industrial machineries are good points of the collection New Songs. In a certain degree Neumann succeeds in Red Songs in producing the proletarian poetry easy enough to be understandable and acceptable by the proletariat. However the poet's excessive stress on the ideology and the propagandistic function of the literary work made his poetry the poetry that lacks artistic quality.

      • 루마니아어 음운 현상에 관한 통시적 연구

        이문수(Mun-Suh Lee)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00 동유럽발칸학 Vol.2 No.2

        This article aims at a diachronic study on the phonological phenomena of Romanian, which is derived directly from Latin, therefore regarded as a Eastern Romance Language. However, some scholars once claimed that Romanian would have been reffered to as a mixed language, in consideration of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lation between the Latin and non-Latin elements in the language. Modern Romanian is written in a wholly Romanised alphabet system with three diacritics. As we can see from this research on the evolution of the Romanian phonology, Romanian more or less maintains the basic phonological system of Latin, except for some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Balkan Latin, which had a different evolution from the normal Westernstream. For example only in Romanian exist two special vowel symbols, namely ?/?/ and ?=?/?/, which did not exist in Latin. We do not know the time of their formation or the route of their derivation exactly. Above all, regarding phonem /?/, we can only speculate that it would have been derived from the substratum of in south eastern part of Europe, that is, Thraco-Dakish. The reason for this speculation is that the vowel phoneme also exists in the so called Balkan Sprachbund, namely, Albanian and Bulgarian. Thus we can consider it as a heritage from the common language spoken by the ancestors of the peoples who speak these languages at present. The phoneme ?/?/ usually appears as a non-stressed variant of the Latin a/a/(ex.: Lat. casa > Rm. cas?) but also appears in stressed syllables in case the syllables are closed by nasals(ex.: Lat. juram?ntum > Rm. jur?m?nt). As far as the consonantal system is concerned, the symbol k is a comparative rarity, which is not a regular letter in Romanian It is used only for international terms such as kilogram, kilometru etc. The voiceless velar plosive is represented by c(ex.: cas?/kas?/). However this phoneme changes to the post alveolar affricate /?/ before the front vowels(ex.: cer/?er/). The voiceless velar plosive is represented by the diagraph ch before the front vowels(ex.: ochi/oki/). The voiced velar plosive g/?/ shows similar distributions. Among the consonant symbols, ?/?/ and ?/?/ exist only in Romanian, which are in general derived from the Latin s and t before the front vowels. In addition it will be worthy to mention the glottal fricative h/?/, which was originally aspirate in Clasic Latin and began to disappear in the intervocalic position (ex.: ne homo > nehemo > nemo) and then lost completely in the initial position in Vulgar Latin(ex.: habeo > abeo). It is usually agreed that the glottal fricative in Romanian was reintroduced by the influence of the neighboring languages, especially the slavonic languages. Notice that this symbol appears generally in Slavonic-based words(ex.: duh, hran? etc.). In a word as already mentioned above, Romanian maintains the basic phonological evolution from Latin to Romance languages, except for some characteristics due to the geographical circumstance of Balkan Latin

      • The Unity of Derived and Non-Derived Instrumental NPs in Russian

        추석훈(Choo, Suk-Hoon)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11 동유럽발칸학 Vol.13 No.2

        이 논문은 러시아어 조격명사구를 수동태와 같은 통사작용을 통한 파생 조격명사구와 통사작용과 무관하게 기저기반에서 조격이 할당되는 비파생 조격명사구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춈스키언 통사이론과 상관문법(relational grammar)이론을 토대로 분석하고자 한다. 비파생 조격명사의 예는 1) '순수한(pure)' 조격명사: On pišet levoj rukoj '그는 왼손으로 쓴다. 그는 왼손잡이다,' 2) 동사구를 수식하는 부사적 명사구: On uexal poezdom '그는 기차를 타고 떠났다'; On skakal volkom '그는 늑대처럼 뛰었다' 등이 있고, 파생 조격명사의 예는 1) 수동태 동작의 주체: Eta kniga byla napisana molodym moskovskim pisatelem '이 책은 젊은 모스크바 작가가 집필했다,' 2) 동사파생명사 동작의 주체: uničoženie goroda nemcem '독일인들의 도시파괴,' 3) 제 2술어: On prišel pervym '그가 맨 먼저 왔다' 등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파생 조격명사와 비파생 조격명사 모두, 표면구조(surface structure)에서 동일한 통사적 형상적 위치(syntactic configurational positions)를 공유한다고 주장하고, 이 조격명사를 통합적으로 기술한다. 또한 본 논문은 Perlmutter (1983)가 제시한 the Relational Grammar notions of Advancement and Ascension에서 더 나아가 PredP를 소개한 Bailyn(2001)의 이론을 조격명사에 적용해 그 해법을 찾아보고자 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range of NPs in Russian which are marked with the Instrumental Case, and classifies them as derived (through syntactic operation such as passivization) or non-derived (assigned Instrumental case in their base-generated location, without any syntactic operation). It combines the framework of standard Chomskyan syntactic theory with insights derived from the theory of Relational Grammar. Chomskyan theory acknowledges the existence of "inherent case" (often referred to as "semantic case"), which can be seen in a variety of adverbial Instrumentals, such as pure instruments (On pišt levoj rukoj 'He writes with his left hand') or other adverbial NP modifiers of VP (On uexal poezdom 'He left by train'; On skakal volkom 'He leapt like a wolf"). Others have been frequently described in the literature as syntactically derived (passive agents: Eta kniga byla napisana molodym moskovskim pisatelem 'This book was written by a young Moscow writer'; agents with deverbal nominalizations: uničožnie goroda nemcem 'the destruction of the city by the Germans'; secondary predicates: On prišel pervym 'He came first', etc.). Others lack a clear analytical consensus, such as agent-like NPs (On rabotaet bibliotekarem 'He works as a librarian'), complements of copular and semi-copular verbs (On stal vračom 'He became a physician'). The paper proposes a unified description of these and other Instrumental NPs under which both derived and non-derived NPs occupy parallel syntactic configurational positions in surface structure. The analysis extends the Relational Grammar notions of Advancement and Ascension (Perlmutter 1983 et seq.) to co-exist with Bailyn's (2001) proposal of a PredP headed by a Pred element, often null, which Instrumental case to its complement.

      • 『쿠오 바디스』에 나타난 애국적 알레고리 연구 : 헨릭 시엔키에비츠의 노벨 문학상 100주년을 기념하며

        최성은(Choi,Sung Eun)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05 동유럽발칸학 Vol.7 No.2

        헨릭 시엔키에비츠는 1905년 노벨 문학상 수상으로 잘 알려진 폴란드의 대표적인 소설가이다. 그의 대표작 『쿠오 바디스』(1996)는 10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세계 문학사에서 불후의 명작으로 꼽히며 독자들로부터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다. 시엔키에비츠가『쿠오 바디스』를 쓸 당시 그의 조국인 폴란드는 러시아, 프로이센, 오스트리아의 3국에 의해 분할 점령을 당하고 있었다. 시엔키에비츠는 빼앗긴 조국에 대한 애국심, 그리고 절망에 빠진 동포들에게 용기를 심어주겠다는 작가로서의 사명감에서『쿠오 바디스』를 썼다. 권력과 권위에 의해 다스려지던 네로 통치 하의 로마는 철의 재상 비스마르크의 압제에 신음하던 폴란드의 시대상과 교묘하게 일치했다. 박해받는 기독교인은 외세의 지배하에 고통 받는 폴란드인들의 수난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알레고리였다. 시엔키에비츠는 신앙을 위해 목숨을 바친 초기 그리스도교 신자들의 숭고한 모습을 통해‘정의와 진리는 반드시 승리한다’는 희망의 메시지를 폴란드 민족에게 전하고자 했던 것이다. 시엔키에비츠는 『쿠오 바디스』를 쓰기 위해 다섯 차례나 로마를 방문했고, 타키투스의 『연대기』를 비롯한 AD 1세기 로마의 시대상을 알 수 있는 관련 문헌들을 수없이 탐독하여 역사적 고증에 충실한 작품을 탄생시켰다.『쿠오 바디스』는 전 세계 세계 50여 개 언어로 번역되어 오늘날까지 스테디셀러의 자리를 지키고 있으며, 여러 차례 연극과 영화로 제작되기도 했다. Henryk Sienkiewicz is a representative novelist of Poland, known for receiving a Nobel Prize for Literature in 1905. His masterpiece 『Quo Vadi s』(1996) is constantly adored by readers as one of the great everlasting works in the history of world literature even today, 100 years later. At the time Henryk Sienkiewicz wrote 『Quo Vadis』 his homeland in Poland was occupied in divisions by the 3 nations of Russia, Prussia, and Austria. Sienkiewicz wrote 『Quo Vadis』 out of his patriotism for his motherland, and out of his sense of mission as writer to give courage to his people who were in despair. The age of Nero governed by power and authority, ingeniously corresponded to the conditions in Poland, which groaned under the oppression of Bismarck, the Iron Chancellor. The persecuted Christians symbolized the Polish people, who suffered hardships under foreign dominance. Sienkiewicz wanted to convey to the Polish people a message of hope that 'justice and truth will always be victorious' through the sublimity of early Christians, who gave up their lives for their faith. Sienkiewicz visited Rome five times in order to write 『Quo Vadis』, and steeped himself over countless publications to learn about the Roman era in the 1st century AD, including 『Annales』 by Tacitus, creating a masterpiece faithful to historic evidences. 『Quo Vadis』proved to have universal appeal and it became enormously popular. In France, though in translation, it outsold the works of the most popular French writer, Emil Zola. In England and America it sold 800,000 copies in one year and by 1901, 2 million copies were estimated to have been sold in Poland and Germany alone. 『Quo Vadis』 has been translated into 50 different languages around the world, maintaining its position of steady-seller to this day, being created into a number of plays and films as well.

      • 포스트공산시대 헝가리 총선과 정당 정치: 1990∼2002년

        김성진(Kim,Sung-jin)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02 동유럽발칸학 Vol.4 No.2

        헝가리는 1989년 체제전환이후 네 차례의 의회 총선을 실시했으며 민주적 절차에 관한한 투명하고 공정하며 평등하게 실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계에서 가장 복잡한 선거법으로 불리는 헝가리 선거제도는 지역구에서는 절대다수 투표제, 시군별 광역 선거구와 전국구에서는 정당 명부에 의한 비례대표제를 채택하는 혼합 선거제를 채택하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위해 1차 선거와 2차 선거를 채용함으로써 유권자의 투표를 의석 배분으로 가장 정확히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득표율 5%의 봉쇄조항을 통해 원내 정당 난립의 폐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있다. 1990년 포스트 공산시대 첫 총선과 함께 참여 폭발로 상징되는 정당 난립 현상이 정리되어갔으며 다소 유동적이던 정당의 이념적 스펙트럼도 정립되어 가고 있다. 우선 1990년부터 2002년까지 네 차례의 총선을 거치면서 중소 정당이 원내 진입에 실패해 최초 원내 6개 정당에서 현재 원내 4개 정당으로 정리되었다. 이에 따라 헝가리 정당 정치 구조는 청년민주연합(FIDESZ)가 주도하는 우파 연합과 헝가리사회당(MSZP)이 주도하는 좌파 연합의 양당적 구조로 서서히 변해가고 있다. 특히 포스트 공산시대 이래 계속되어온 사유화 정책의 결과로 헝가리 내에서 신부유층과 서민, 노동자 계층 간의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는 현상이 정당 지지도에서도 뚜렷이 반영되고 있다. 헝가리 정당정치는 이제 예측 가능한 서구 수준의 정당 정치로 변화해갈것이며 2004년 EU가입의 전제 조건도 충분히 충족시킬 수 있는 수준이다. The parliamentary elections held in the Republic of Hungary in 1990, 1994, 1998 and 2002 were conducted in a manner consistent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and commitments for democratic elections. The Hungarian election system provide the basis for a generally transparent, accountable, free, fair and equal process. Despite some shortcomings, these elections contributed to the further strengthening of the democratic election environment in Hungary The system of representation in the republic of Hungary is a party-based that involves a 3-tiered, mixed election process. 358 members of the Parliament are elected through two rounds of voting. 176 candidates are elected in a single mandate districts. A proportional distribution of 152 seats is based on the votes cast on party list ballots at the county level. A party must win at least 5% of the country list votes aggregated nationwide to be eligible to take part in the distribution of seats. 58 compensatory seats are distributed among national party lists using the unused votes cast for unsuccessful candidates in the district races and surplus votes remaining after applying the formula for distribution of seats elected proportionally among the country lists. After the general election in 2002, Hungary has only 4 parties in our parliament. And finally Hungarian Parliament has the very structure of the two coalition leftists and rightists. The leftists MSZP and SZDSZ won victory and 2 rightists are the FIDESZ and the MDF. FIDESZ was the leader in the last 4 years. These first 2 years was right, but their last 2 year changed to more rightist. MSZP won the party polls, MDF had the biggest function in the election in 1990. At no point has any government since the end of communism survived more than a single term. The 2002 elections were the most divisive since the advent of democracy in 1990. For the first time, people were beating each other in the streets over political issues. Both side pumped up the debate sharply-through their negative ads, through their whispering campaigns. But Hungarian political parties are very inform that this time is a crucial juncture in Hungarian politics, because they will lead Hungary into the European Union.

      • 헝가리 계몽주의-개혁시대의 문학

        한경민(Han,Kyung-min)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02 동유럽발칸학 Vol.4 No.2

        헝가리 계몽주의-개혁시대의 문학은 전 국민을 결집시키는 거대한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 조국의 독립과 발전이라는 목적을 이루어 내기 위해, 이 시기 문학가들은 문학이 어떠한 방법과 방향을 지녀야 할지를 고민하였다 일차적으로 계몽주의 문학은 민중의 계몽을 위해 교육적 기능을 담당하였다. 더 나아가 개혁시대의 문학은 현실 사회의 개혁에 이바지하는 모델 제시를 주안점으로 하였다. 계몽주의 시대부터 문학을 비롯한 다른 문화 영역에서도 민중을 계몽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노력이 선보인다. 이 시기 가장 중요한 문화운동은 언어개혁 운동이었으며, 카진치 페렌츠를 중심으로 하여 10년 간의 논쟁이 이어진다. 이 과정에서 모국어와 조국에 대한 사랑과 관심이 확대된 것은 자명한 일이다. 마침내 신어 운동가가 승리하면서, 헝가리 어는 광범위한 어휘확대와 언어 규칙의 정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개혁 시대는 정치 변화를 통해 직접적으로 현실을 개혁하려는 의지가 발원된 시기이다. 이 시기 문학은 과거의 사건을 소재로 하여, 외세를 몰아내고 독립을 쟁취하려는 의지를 보여준다. 헝가리 민족극으로 인정받는 반크장군 을 쓴 커토너 요젭이나 현재 애국가로 불리는 가 이 시대에 태어났다. 이 작품들은 모두 독립을 간절히 염원하고, 헝가리의 새로운 미래가 다가오기를 간구하는 내용을 지닌다.헝가리 계몽주의-개혁시대의 문학은 전 민중의 의지를 결집하여 조국의 독립과 발전을 이루려고 투쟁한 시기이다. 이 시대의 문학은 이후 1867년 헝가리가 부분적인 주권을 갖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이중제국이 성립되도록 초석을 놓았다. 또 헝가리가 근대로 진입하여 봉건사회에서 탈피하여 시민국가로 이행하도록 교량이 되었다. The Hungarian literature of enlightenment-Reform age had a goal of Hungarian People to join the independence of their mother country and development. The literary men in this period were in agony with the way of methods and the directions of the literature. Primarily, the literature had a role to enlighten the ignorant people in the street. And the very important role of the literature in the age of enlightenment was to reform the realities of life and society. The reform movement of the Hungarian language as the most important cultural one in the period. Kazinczy Ferenc kept standing in the movement. It was really natural that Hungarian people became proud of their language and their mother country. Finally, new reformists took this advantage to arrange and reform the rule of the language and to enrich the vocabularies. The reform period is the beginning of literature, taking its rise from reforming and innovating the society and real life through the change of the politics. So the themes of the literature were centered on the historical event to show the fellow Hungarians to drive out the foreign powers and finally to get the independence. The masterpieces of the period was Bank capital , which were distinguished Hungarian national drama and the , now the Hungarian national anthem. These have contents to desire and wish the independence of their mother country and the new future. The literature of this period was a foundation stone to dual monarchy of Austria and Hungary, and had contributed that Hungary became a modern country, breaking from the old feudal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