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어학회사건과 해방 후 어문운동의 상관관계—해방 후 조선어학회 어문운동의 원천이 된 조선어학회사건—

        정재환 한글학회 2022 한글 Vol.- No.338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Korean Language Society(KLS: 조선어학회) studied and disseminated the Korean language against the colonial government’s Japanese assimilation policy.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conducted through Hangeul classes and the Korean Dictionary Compilation Society was formed and started compiling a Korean dictionary in 1929. They completed the Hangeul writing system, collected standard words, and created a way to write Korean in other languages. These activities were legally carried out for more than 10 years, but all of them were stopped when KLS members and supporters were arrested on October 1, 1942. Some of them were sentenced to many years of prison under Japan’s Public Security Act. The defendants’ claimed that the KLS’s activities were not related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but were purely academic. It’s thought that this defense was raised to gain an advantageous position during trial. However, as revealed in a statement of the Joseon Language Dictionary Compilation Association and related records, the KLS was essentially engaged in a language independence movement. After Korea was liberated from Japan, Lee Geuk-ro, Choi Hyeon-bae, Lee Hee-seung, and Jeong In-seung immediately returned to Seoul and carried out various activities, such as reestablishing Korean, writing textbooks, conducting Korean language classes, and starting the Hangeul-only movement, to restore the Korean language. At the time, the media reported in detail on the language movement and how the KLS had suffer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uch that the KLS became respected and adored as independence fighters who were oppressed while defending the Korean language against Japanese colonial rule. The public’s support for the KLS became the foundation of the language movement promoted by the KLS, which achieved great results during the three years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in 1948, enacted the Hangeul-only Act, which was a remarkable achievement accomplished by the KLS. 일제강점기 조선어학회는 일제의 동화정책에 맞서 조선어를 연구하고 보급하는 어문운동을 전개했다. 한글강습회를 통해 조선어교육을 실시하고, 1929년에는 조선어사전편찬회를 만들어 조선어 사전 편찬을 시작했으며, 이 과정에서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어문 정리와 통일을 기해 민족어 3대 규범인 <한글맞춤법 통일안>, <사정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 <외래어 표기법> 등을 완성했다. 이와 같은 학회의 활동은 합법적으로 진행되었으나, 1942년 발생한 조선어학회사건으로 모두 중지되고, 학회 회원들과 후원자들은 일경에 검거되어 고초를 겪었으며, 일제 사법부는 학회의 어문운동을 독립운동으로 규정하여,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검거된 중심인물들에 유죄 판결을 내렸다. 학회의 활동은 독립운동이 아니고 순수한 학술 운동이라는 피고인들의 주장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도 있지만, 그것은 재판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기 위한 일반적 변론의 형태였다. 또한 조선어사전편찬회 취지서와 관련 기록에서 드러나듯이 학회 어문운동은 본질적으로 언어 독립운동이었다. 해방이 되어 출옥한 이극로, 최현배, 이희승, 정인승 등은 서울로 돌아오는 즉시 민족어 회복 운동으로서 우리말 도로 찾기, 교과서 편찬, 한글강습회, 한글전용 운동 등을 활발히 전개했다. 당시 언론은 일제강점기하 조선어학회의 어문운동과 수난사를 상세히 보도하여 학회는 일제에 맞서 우리 말글을 지키다가 탄압받은 단체 및 독립투사로서 민중의 존경과 숭배의 대상이 되었다. 이로써 형성된 학회에 대한 민중의 지지는 학회가 추진한 어문운동의 동력이자 원천이 됨으로써, 학회는 미군정하 3년 동안 다대한 성과를 거두게 된다. 특히 1948년 설립된 대한민국 정부가 한글전용법을 제정하고, 한글전용 시대로 나아간 것은 학회가 거둔 눈부신 성취였다.

      • KCI등재

        방언에 대한 조선어학회 학자들의 관심과 연구 성과

        김정대(Kim Jung-dae) 한글학회 2017 한글 Vol.- No.316

        이 글에서 필자는 1920년대 초~1950년대 초라는 ‘30년 동안’ 조선어학회 회원들이 방언에 어떤 관심을 갖고 어떤 활동을 해 왔는지를 정리ㆍ평가했다. 조선어학회 회원들의 방언 관련 업적은 정열모 선생이 1927년 3월 『(동인지) 한글』에 발표한 「朝鮮語 硏究의 正體는 무엇?」을 비롯하여 모두 37건에 이른다. 절대 다수의 글이 『(동인지) 한글』과 그 후신인 『한글』에 실렸는데, 방언 관련 글을 발표한 회원은 모두 18명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정열모(6건), 권덕규(5건), 정태진(5건), 최현배(4건), 이희승(3건), 최상수(3건), 이상춘(2건), 이극로(2건) 선생 등이 2건 이상의 글을 발표하였다. 30년 중 그 전반기인 1920년대 초부터 1935년 9월까지의 약 14년 동안은 이론적으로 방언에 접근하였고, 그 후반기인 1936년 6월부터 1950년 초까지의 약 15년 동안은 실천적으로 이에 접근한 특색이 뚜렷하다. 관심을 둔 주제로는 용어의 문제, 방언 성격(위상)의 문제, 표준어와의 관계 문제, 각 지역 방언 특색의 문제, 방언 수집의 문제 등이 있었다. 그 30년 동안은 우리 민족의 격동기였는데도 불구하고, 조선어학회를 비롯하여 관심 있는 분들이 방언에 관심을 갖고 이론적 측면에서나 자료 제시의 측면에서나 나름대로 의미 있는 활동을 했다는 점은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많은 것이 갖추어진 오늘날의 처지에서 보면 부족한 점이 한둘이 아니라고 할지 몰라도, 열악한 당시 상황에서 이분들의 업적을 평가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이 두 가지 사실을 전제로 하면, ‘30년 동안’의 조선어학회 회원들이 수행한 방언 관련 업적은 ‘눈부시다’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the present author summarized and assessed a series of studies related to dialects by the researchers belonging to the academic circle of the Korean language(Joseoneohakhoe, 朝鮮語學會) during the 30 years from 1920’s to earlier 1950’s. The academic works dealing with dialects by the members of this academic circle amount to 37 cases including the paper, “What is the study of the Korean language?” contributed to Coterie Hangeul(Donginji Hangeul) by Jeong Ryeolmo in March 1927. Overall majority of the works were published in Coterie Hangeul(Donginji Hangeul) and its later self Hangeul, and authors or members who contributed dialect-related articles were 18 in all. Concretely speaking, the members who contributed two more articles were Jeong Ryeolmo(6), Kwon Deokgyu(5), Jeong Taejin(5), Choi Hyeonbae(4), Lee Huiseung(3), Choi Sangsu(3), Lee Sangchun(2), Lee Geukro(2), etc. The first half of 14 years from the earlier part of 1920’s to September 1935 saw theory-oriented works, and the last half of 15 years from June 1936 to the earlier part of 1950 practice (field work)-oriented works. The subjects in which they were interested were technical terms, the status of dialect, its relationship to standard language, the distinguished traits of each regional dialect, and the collection of regional dialects. Considering the fact that Korean people experienced the turbulent era in those 30 years, we could not overemphasize their interests in dialects and their significant activities in the related theories and in the dig of data. Although some of inadequacies are revealed from the present full measure viewpoint, the works of the above mentioned researchers should be highly evaluated from the poor conditions at that time. With the premises of the two claims, the works related dialects by the members during those ‘30 years’ could be said as ‘brilliant.’

      • KCI등재

        한글 융합교육 ‘교수-학습’안에 대한 연구

        김슬옹(Kim Seul-ong) 한글학회 2018 한글 Vol.- No.320

        이 연구는 중 ․ 고등학교 한글 관련 단원의 연계 수업이나 한글 행사계기 수업용으로 한글 융합교육 ‘교수-학습’안을 제시한 것이다. 학습자는 이 수업을 통해 인문 핵심 역량을 바탕으로 한글 관련 융합 역량을 키워 이 분야의 꿈이나 진로 선택에 도움을 받을 수 있거나 한글 홍보전문가가 될 수 있다. 15세기 한글은 교과 지식 특성으로 보면 과학, 수학, 철학, 언어학, 음악, 미술 등 다양한 융합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학습자는 이런 다중교과 특성을 7개의 인문 역량을 중심으로 융합하여 ‘한글 홍보대사’로서의 역량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 이 수업안은 한글의 보편적 과학성과 우수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를 다양한 방식으로 홍보하는 활동을 할 수 있게 3차시로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한글학자, 한글 디자이너, 한글공학자, 웹 기획자” 등의 다양한 진로를 이룰 수 있는 역량을 기를 수 있다. This study presents a ‘teaching-learning’ plan for Hangeul convergence education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humanities, the learner can develop the fusion competence related to Hangeul so that he can get help in choosing a dream or a career in this field, or he can become a specialist in promoting Hangeul. In the 15th century, Hangeul has various fusion elements such as science, mathematics, philosophy, humanities, music, and art in terms of subject knowledge. It is important for learners to develop their capacity as ‘Hangeul public relations ambassadors’ by fusing these multi-disciplinary characteristics based on seven humanities competencies. In this lesson, we organized the 3 rd class in order to promote activities in various ways based on understanding of universal science and excellence of Hangeul. Through this, the learner can develop the ability to accomplish various courses such as “Hangeul scholar, Hangeul designer, Hangeul engineer, and web planner”.

      • KCI등재

        16∼19세기한글간찰에서의처격형에대한고찰(Ⅰ)

        김성옥(Kim Seong-ok) 한글학회 2018 한글 Vol.- No.320

        본 연구는 16~19세기 한글 간찰을 대상으로 각 시기별 한글 간찰에서의 처격 양상과 처격의 변화 과정을 통시적으로 분석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리하여 16~19세기 한글 간찰에서는 처격이 ‘에’로의 확산이 아닌 처격 ‘의’로의 확산 과정을 보임을 살필 수 있었다. 일테면 16세기 중반 순천김씨 한글 간찰에서는 15세기의 처격인 ‘애/에/예’와 ‘/의’가 모두 쓰인 가운데, 1세대에서는 처격이 ‘:의=52.8%:15.8%’와 ‘애:에:예=7.7%:14.6%:8.9%’의 빈도율을 보이고, 2세대에서는 ‘:의=17.7%:46.6%’와 ‘애:에:예=4.4%:20.9%:11.1%’의 빈도율을 보인다. 이로써 이 한글 간찰에서는 15세기와는 달리 ‘애/에’보다는 ‘/의’가 더 많이 쓰인 가운데 1세대에서는 ‘’와 ‘의’ 중에 ‘’가 많이 쓰인 반면 2세대에서는 ‘의’가 보다 많이 쓰였음을 알 수 있었다. 17세기 초반 현풍곽씨 한글 간찰에서는 1세대에서는 ‘:의=1:57’의 빈도를, 2세대에서는 ‘:의=6:70’의 빈도를 보이는 등, 처격 ‘’는 1세대와 2세대 모두 약화됨을 보인다. 그리고 ‘애/에’ 또한 1세대에서는 ‘애:에=13.5%:34.8%’ 등으로 보이다가 2세대에 가서는 ‘애, 에’가 전체 5%의 빈도율만 보이는 등, ‘’와 함께 ‘애/에’도 급격히 약화됨을 보이는 데 반해, 처격 ‘의’는 전체 처격의 70% 정도가 쓰일 만큼 그 쓰임이 확산됨을 알 수 있었다. 17세기 중반~18세기 중반의 송규렴가와 송준길가 한글 간찰에서는 순천김씨와 현풍곽씨 한글 간찰에서 이미 생산성의 약화를 보인 처격 ‘애/에’는 발견되지 않는다. 반면 처격 ‘의’는 전체 처격의 70~80% 이상의 빈도율을 보일 만큼 높은 생산성을 보인다. 더 나아가 18세기 후반~19세기에 가서는 김성일파 종택 한글간찰에서의 19세기 초 · 중반 김진화의 딸들과 며느리인 진성이씨 한글간찰의 경우, 처격 ‘예’의 6.3%(9회)를 제외하고는 처격이 모두 ‘의’로만 쓰이고, 추사 김정희 한글 간찰에서는 처격의 98.8%가 ‘의’로만 쓰일 만큼 이 시기에는 처격이 대부분 ‘에’가 아닌 ‘의’가 쓰였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shapes of locatives and the change process of the Korean Letters for each era during the 16<SUP>th</SUP> to 17<SUP>th</SUP> Centuries. Thus, in the Korean Letters during the 16<SUP>th</SUP> to 17<SUP>th</SUP> Centuries, it was examined that the locatives used not to be expanded to ‘에’, but to ‘의’. For example, in a Korean letter written by Mrs. ‘Kim’ from ‘Suncheon Kim Kindred’ during around the middle of Chosun Dynasty, all of the locatives of the 15<SUP>th</SUP> Century, that is, ‘: 의=52.8%:15.8% (Frequency)’ and ‘애:에:예=7.7%:14.6%:8.9% (Frequency)’ used to be used during the 1<SUP>st</SUP> generation. During the 2<SUP>nd</SUP> generation, ‘애:의= 17.7%:46.6% and 애:에:예=4.4%:20.9%:11.1%’ used to be used. Therefore, in the Korean letters, ‘애:의’ used to be used more frequently compared to ‘애:에’ unlike the 15<SUP>th</SUP> Century. During the 1st Generation, ‘’ was used more frequently than ‘의’ among ‘애:의’. On the other hand, during the 2<SUP>nd</SUP> Generation, ‘의’ was used more than ‘’. In the Korean Letters written by Mr. “Kwak” from the ‘Hyunpoong Kwak Kindred’, ‘애:의’ were used at the frequency of ‘1:57’ during the 1<SUP>st</SUP> Generation and at ‘6:70’ during the 2<SUP>nd</SUP> Generation. Thus, locative of ‘’ was less used during the 1<SUP>st</SUP> and 2<SUP>nd</SUP> Generations. And also, ‘애:에’ were used at the frequencies of 13.5%:34.8% during the 1<SUP>st</SUP> Generation, but at only 5% for both locatives during the 2<SUP>nd</SUP> Generation. So, the use frequencies of ‘애:에’ as well as ‘’ were reduced rapidly. On the other hand, the locative, ‘의’ was rapidly more used dominating around 70% of the total locatives during those eras. In the Korean Letters written by ‘The Family of Mr. Gyu-ryem Song’ and ‘The Family of Mr. Joon-gil Song’ during the period from the middle of the 17<SUP>th</SUP> Century to the 18<SUP>th</SUP> Century, ‘애:에’ which used to be less used in the Korean Letters by Mrs. Kim from ‘Suncheon Kim Kindred’ and Mr. Kwak from the ‘Hyunpoong Kwak Kindred’ were not used at all. On the other hand, the locative, ‘의’ used to be used at a frequency of 70 to 80% in their letters. Moreover, during late 18<SUP>th</SUP> Century to the 19<SUP>th</SUP> Century, in the Korean letters written by the nobles living in the head family house of the ‘Mr. Sung-il Kim Family Kindred’ and in the Korean letters written by the daughters of Mr. Jin-hwa Kim during early and middle of the 19<SUP>th</SUP> Century and by Mrs. Lee from ‘Jinsung Lee Family Kindred’ who was his daughter in law, except for the locative, ‘예’ at the frequency of 6.3%, only the locative, ‘의’ was used. And in the Korean letters written by Mr. Jung-hee Kim nicknamed by ‘Choosa’, 98.8% of the locatives was ‘의’. So, it was found that ‘의’ used to be mostly used rather than ‘에’ during that period.

      • KCI등재

        환산(한메, 한뫼) 이윤재의 국어 연구와 국어교육

        허재영 한글학회 2023 한글 Vol.- No.339

        이 글은 환산 이윤재의 국어 연구와 국어교육의 갖는 역사적 의미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다. 환산은 일제강점기 역사 연구와 한글 운동에 헌신한 분으로, 조선어학회 수난 사건으로 인해 옥중에서 돌아가신 분이다. 그렇기 때문에 환산과 관련된 선행 연구는 대부분 역사 연구와 한글 운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환산의 국어 연구는 주시경의 국어 연구를 계승ㆍ발전시켰으며, 한글 보급과 문예독본 편찬ㆍ고전 번역 등과 같이, 국어교육 분야에서도 많은 기여를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환산이 남긴 논저를 전수 조사하고, 이를 역사학, 국어학, 국어교육 분야로 분류하여 그 특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환산의 국어 연구는 실천성을 전제로 한글 표기와 관련된 음운사 고찰, 사전 편찬의 전제로서 어휘의 개념과 수집 방법, 고어와 지방어 주해 등에 적지 않은 기여를 하였으며, 한글 운동사의 학문적 기초를 닦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국어교육 차원에서 문예를 통한 국어 보급, 고전 부흥 운동 차원에서 고전 번역 등에 많은 업적을 남겼음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글의 ‘글자-소리 체계성’ 수량화의 방법과 의미

        지하나 한글학회 2023 한글 Vol.- No.340

        한글의 소리와 문자 사이의 체계적 관계는 세계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그 관계가 ‘얼마나’ 체계적인지는 아직 밝혀진 바 없다. 본 논문에서는 한글의 글자와 소리 사이의 체계적 관계를 수량화하고 다른 철자법들과 비교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한글의 모든 음소 사이의 거리와 그에 해당하는 글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이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각 한글 음소는 조음위치와 조음방식에 따라 2진법의 벡터로 변환되었으며 그 벡터들 사이의 거리가 다양한 방식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한글 글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하여, 두 글자가 공유하는 획의 비율을 계산하는 방식과 두 글자를 이미지로 처리하여 그 유사도를 수량화 하는 방식을 이용하였다. 이를 통해 비슷한 소리가 비슷한 글자를 갖는다는 한글의 특성을 수치화 할 수 있었으며 나아가 다른 철자체계와 비교하여 한글이 갖는 우수성을 증명하였다. 본 논문은 한국어와 한글의 연구 방향에 대한 다양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 KCI등재

        ‘한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트렌드

        김일환(Kim Il-hwan),이도길(Lee Do-gil) 한글학회 2017 한글 Vol.- No.316

        이 연구는 신문 빅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글과 관련된 공기어를 추출,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한글 관련 이슈와 사회적 관심의 변화 추이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대규모의 신문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통계 척도를 활용한 공기어 분석 방법과 토픽 모델링을 적용한 주제 분석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주관적인 선입견이 배제된 객관적이고 실증 가능한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공기어 분석과 토픽 모델링을 적용한 결과, 2000년대 초반에는 정보화와 관련한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었으며, 그 이후 한글 교육에 대한 관심으로 트렌드가 변화하다가 2000년대 후반에 이르러서는 모바일 기기와 관련한 표준화 문제와 함께 한글문화에 대한 관심으로 추이가 진행되고 있음을 보였다. 다른 한편 한글에 대한 이슈는 이러한 주요한 트렌드를 제외하고는 새로운 논의가 많이 발견되지 않아 한글 관련 이슈가 매우 제한된 분포를 보인다는 점도 지적되었다. 본 연구는 2000년대의 한글에 대한 관심사의 추이를 계량적으로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었을 뿐 아니라 향후 ‘한글’에 대한 이슈의 변화 방향을 가늠할 수 있는 객관적 자료를 확보하였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changes pertaining to Hangeul related issues and societal interest through the extraction and analysis of Hangeul and coword based on newspaper big data. Particularly in order to efficiently analyze large scale data from newspapers, both the method of analyzing word co-occurrence by applying statistical measurement and the method of analyzing topics by utilizing topic modeling were employed in efforts to draw results that were free from biases and were instead objective and verifiable. The results showed that in the early 2000s the social focus was on issues related to informatization. This focus later moved to Hangeul education, and finally to issues of standardization related to mobile devices as well as the culture of Hangeul. Furthermore, the results revealed that, on the other hand, the field of Hangeul articles is severely limited due to the fact that except for these major trends, new discussions related to issues regarding Hangeul have not been foun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not only clearly quantitatively exposes the trend of interests in Hangeul, but also provides a probable outlook regarding the direction of change in issues related to Hangeul.

      • KCI등재

        한글 맞춤법의 잉여성과 간결성

        연규동(Yurn Gyudong) 한글학회 2021 한글 Vol.- No.332

        이 글에서는 잉여성과 간결성이라는 관점에서 한글 맞춤법을 다시 살펴보았다. 한글 맞춤법은 한글로 한국어를 표기하는 여러 규칙을 모아 놓은 것이다. 맞춤법이 글을 쓸 때 마땅히 따르고 지켜야 할 가치 판단의 본보기이며 공동체 안에서 여러 사람이 다 함께 지키기로 정한 기준이라면, 이러한 규범과 규칙은 누구나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즉, 맞춤법의 여러 조항들을 논리적이며 명료하게 가다듬어서 내용이 혼동되지 않도록 적확하게 표현되어야 한다. 하지만 현행 한글 맞춤법에는 표기법으로서는 불필요하거나 중복되는 조항 등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한국어를 표기하는 문자인 한글은 음소문자이므로, 원칙적으로 음소 하나에 대하여 대응하는 한글 자모만 기술하면 된다는 입장을 명확하게 하면 한글 표기법은 매우 분명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한국어를 표기하는 원칙인 ‘형태음소 원칙’을 제대로 이해하게 되면, 중복되는 여러 규정을 훨씬 단순하게 정리할 수도 있다. 아울러 어원 의식과 관련된 표기법 규정은 한글 맞춤법에서 다룰 문제가 아니라는 사실도 강조하였다. In this paper, we review the redundancy and simplicity of the Hangeul orthography. Hangeul orthography is a collection of rules for writing the Korean language in Hangeul. Orthographies sets of rules for writing that people decide to collectively abide by and so should be structured such that they can easily be read and understood. In other words, orthographies’ contents should be presented clearly and logically so that users can understand them. However, the current Hangeul orthography contains many unnecessary or redundant provisions. Hangeul is a phonemic alphabet in which each letter corresponds to one phoneme in principle, giving it a clear structure. A good understanding of the morphological phoneme principle would allow for overlapping rules to be organized more simply. Orthographies do not address etymology-related notation rules.

      • KCI등재

        헐버트, 「The Korean Language」(1889)의 한국어사․한국어학사적 의미

        김슬옹 한글학회 2022 한글 Vol.- No.337

        This study examined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the article entitled “The Korean Language,” which is about Korean language studies, written by Homer B. Hulbert and submitted to the New York Tribune in 1889. “The Korean Language” was the first article to inform the world about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 of Hangeul, the Korean writing system, and the Korean language from the comparative linguistic viewpoint. It is of greater significance that Hulbert, as a non-Korean, learned Korean in Korea. Furthermore, his article dealt with both the Korean language and writing system. Hulbert’s view of Hangeul exactly follows the inventive spirit and perspective of King Sejong, the creator of Hangeul. Hulbert, based on his knowledge of linguistics and literature, noticed the geometrical science and efficiency of Hangeul and saw the perfection of Hangeul letters as phonemes. Hulbert highly valued the communication effectiveness of Korean’s postpositions and endings, so “The Korean Language” was also the first document positively valuing the agglutinative characteristics of Korean. Furthermore he was not Korean. Hulbert, who used and studied Korean, was the first combined Hangeul and Korean studies scholar after King Sejong. The way that he expressed the scientific value of Hangeul and Korean reflected in “The Korean Language” was also reflected in “Samin Pilji” (1891), the first textbook written in Hangeul. 이 연구는 헐버트(Hulbert, H. B.)가 1889년에 미국 뉴욕 트리뷴지(New York Tribune)에 실은 「The Korean Language」라는 글이 한국어사와 한국어학사에서 차지하는 의미와 가치를 밝혔다. 헐버트(1889)는 비교 언어학적 관점에서 한국 말글의 특징과 가치를 세계에 최초로 알린 글이다. 외국인으로서 한국어를 직접 배워, 한글의 과학성과 우수성, 한국어만의 정체성과 가치를 통합적으로 알려서 더 큰 의미가 있다. 헐버트의 한글 평가는 한글 창제자인 세종의 훈민정음 관점과 취지를 그대로 이어받고 있다. 헐버트는 언어학과 문자학을 바탕으로 한글의 기하학적인 과학성과 효율성에 주목하여 한글이 음소문자로서 완벽한 문자라고 평가했다. 헐버트는 의사소통 기능 면에서 한국말의 조사와 어미 효율성을 높게 평가했으므로 헐버트(1889)는 외국인으로서 한국말의 첨가어적 특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최초 문헌이기도 하다. 헐버트는 세종 이후 한국 말글을 연구하고 직접 사용한 최초 한글학자이자 한국어학자이다. 헐버트(1889)는 최초의 한글 전용 교과서 <ᄉᆞ민필지>(1891)가 헐버트의 한글과 한국말에 대한 확고한 학문적 신념에 근거한 것임을 드러내 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