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인의사소통 능력과 성향과의 관련성 연구

        이유미(Yi, Yu-mi) 중앙어문학회 2015 語文論集 Vol.62 No.-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대인의사소통 능력과 성향과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대인의사소통능력, 자기복잡성, 의사소통 불안, 자기 부정성에 대한 척도지를 활용하여 살펴보았다. 대상 학생은 의사소통 과목을 수강하는 대학생 5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4가지의 척도지를 동일 대상에게 설문하여 보았다. 이를 통해 대인의사소통 능력과 자기 복잡성에 있어서 유관한 결과를 얻었고, 의사소통 불안과 자기 부정성에 있어서도 유관한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대인의사소통 능력과 의사소통 불안, 자기 부정성과는 유관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이는 자기 복잡성에 대한 관련 연구에서 대인 능력과 유관한 결과를 얻는 것을 지지한다. 또한, 자신에 대해 엄격한 자기 부정성이 의사소통 불안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도 의의있는 결과라 하겠다. 이러한 다양한 측면의 대인의사소통 능력 요인을 탐구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대인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요인을 탐구하는 데 있어 의미를 갖는다. 또한 대인의사소통 능력의 부족 요인을 이해하는 것은 이것을 개선하고 좀 더 원활한 대인의사소통 능력을 갖추는 데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대인의사소통 능력이라는 것이 단지 타고난 능력이 아니라 교육 가능한 부분임을 인지하기에 이러한 연구는 교육적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할 수 있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하겠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th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To achieve this, A total of 50 college students attending communication courses were selected and surveyed according to for the four measurement indices:.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elf-complexity, communication apprehension, and self-negation. The survey’s results reveal a cor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elf-complexity, in addition to a cor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self-negation. However, no significant correlations are found betwee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communication apprehension or self-negation. This finding corroborates the fact that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elf-complexity is identified in this research. Furthermore, the study’s finding that self-negation, or being strict with oneself, affects communication apprehension is also significant.

      • KCI등재

        경찰 의사소통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인천지방경찰청을 중심으로

        전진선 ( Jeng Jin Seon ),최응렬 ( Choi Eung Ryul ) 한국경찰학회 2017 한국경찰학회보 Vol.19 No.5

        경찰조직에서의 의사소통은 조직의 목표달성과 조직원 상호간의 신뢰와 사기에 절대적 영향을 미친다. 의사소통은 상사와 부하가 일체가 되어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중요한 매개요소임과 동시에 상·하급자간의 협동적 노력과 결합도를 강화시킬 수 있는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소통경로’에 따라 의사소통을 상향식ㆍ하향식ㆍ수평식으로 분류하여 경찰조직에서 실질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의사소통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의사소통을 활성화하기 위해 어떤 방안으로 접근해야 할 것인지를 인천지방경찰청을 중심으로 경찰조직의 의사소통 특징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다음과 같은 의사소통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경찰조직의 계층적 특수성과 관련하여 파생되는 권위주의적 조직문화를 개선하기 위한 제도적, 환경적, 인식적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하향적 의사소통의 경우 부서별 특성에 따라 현장 근무부서에 맞는 새로운 의사소통의 경로를 활성화하는 것이 요구된다. 정보의 양과 질적 측면에 있어 일정 수준의 통제를 통해 조직구성원들 중 특히 실제 국민과 접촉하여 업무를 수행할 하급자들이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Communication in the police organization has an absolute impact on achieving the goals of the organization and on mutual trust and morale among the members. Communication is an important mediator in achieving the common goal by the union of the supervisor and the subordinate, and at the same time, it means to strengthen the cooperative effort and cohesion between the superior and the subordinate.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representative system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practically practiced in the police organization by classifying the communication as bottom-up, top-down, and horizontal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 "communication path" The police officers of the Incheon Metropolitan Police Department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actual conditions of communication within the police organization, the result of studying the improvement plan focusing on the problems is as below. First, institutional, environmental, and cognitive improvements are needed to improve the authoritarian organizational culture derived from the hierarchical peculiarities of police organizations. Second, in the case of downward communication, it is required to activate a new communication path suitable for field work department according to departmental characteristics. In terms of quantity and quality of information, some level of control should be given to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especially the subordinates who will be in contact with the actual people. Third, in horizontal and upward communication, there are many deficiencies, but upward and horizontal communication has been more activated, compared with the past, as the establishment of new systems. The procedure becomes simple and the utilization rate of the employees is high due to the activation of the internal computer system.

      • 청각장애 성인과 일반 성인의 비언어 의사소통 행동특성에 관한 예비연구

        김민경,김화수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2018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청각장애 성인집단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성인집단 간의 비언어 의사소통 행동 특성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대상자는 청각장애 성인 5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성인 5명을 대상으로 하였 다. 대화 상황에서 비언어 의사소통 행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일상생활에 대한 주제로 대상자와의 인터뷰를 영상 녹화하였다. 비언어 의사소통 행동에 대한 관찰 분석 기준은 신체 부위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 과는 청각장애 성인집단과 일반 성인집단 간의 비언어 의사소통 행동을 비교 분석한 결과, 긍정적인 비언어 의 사소통 행동 특성에서 청각장애 성인집단이 긍정적인 눈의 움직임>목/머리 움직임>상지 움직임>입의 움직임>얼 굴표정>목소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러한 결과는 청각장애 성인집단은 일반 성 인보다 대화할 때 청력손실로 인해 상대방과 눈을 맞추고 지속적으로 응시하는 긍정적인 비언어 의사소통 행동 을 많이 사용하였고, 고개 끄덕이기 행동 또한 일반 성인집단에 비해 더 많이 사용하였다. 그리고 중의적 및 부 정적인 비언어 의사소통 행동은 부정적인 상지 움직임>눈의 움직임>하지 움직임>입의 움직임>몸전체>목소리 순 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각장애 집단이 정상 성인에 비해 눈 마주침을 더 잘 유지하면서 대화를 이어나 가는 특성을 보인 반면, 손 만지기, 눈 깜빡임의 빈도가 높거나 다른 곳을 쳐다보는 횟수가 많아서 대화 상황이 산만해 지며 그러한 부정적인 태도로 인해 대화 상대자와 비호의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므로 청각장애인들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이 좀 더 명확한 의사전달 수단이 되기 위해서 교사나 재활을 담당하는 치료사들이 교육을 통해서 중의적 및 부정적인 비언어 의사소통 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으 며 긍정적인 비언어 의사소통 행동은 더 많이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GeoAAC, 위치기반 보완대체의사소통 모바일 앱

        조희,홍기형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20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8 No.1

        Many AAC mobile applications have been developed to help people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However, the current AAC mobile applications are inconvenient. Users must select suitable communication boards manually for their current locations and situ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nd develop a mobile application that automatically recommends appropriate communication boards for users’ current locations. Method: We designed an algorithm to recommend location-based communication boards. First, the algorithm finds the POI (point-of-interest) locations around the current users’ location, and then determines the location based boards of the retrieved POI locations and recommends the boards most suitable for users’ current location. Results: Based on the designed algorithm, we implemented a location-based AAC mobile application. In addition to the recommendation of location-based AAC boards, the mobile application supports the generation of customized location based boards and symbols for specific locations according to users’ needs. The mobile application also provides built-in location-based boards for the POI locations. Conclusion: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location-based AAC mobile application. By using the application, users can be free from the overhead in selecting the appropriate communication board for a specific location. We expect that the application will enable more efficient interaction between people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and others. 최근 모바일 앱과 음성합성기의 발전으로 의사소통 장애인을 도와주는 AAC 앱이 개발되어왔다. 하지만 기존의 AAC 모바일 앱은 의사소통이 필요한 장소에서 사용자가 직접 상황에 맞는 의사소통 보드를 선택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용자가 직접 의사소통 보드를 찾지 않아도 사용자의 위치에서 사용할 적합한 의사소통 보드를 자동으로 추천해주는 모바일 앱을 설계 및 구현하는 것이다. 방법: 위치기반 AAC 모바일 앱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가장 적합한 의사소통 보드를 추천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모바일 기기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사용자의 주변에 있는 장소들을 검색하고, 알고리즘에 따라 검색된 장소에 대한 위치기반 보드를 결정하고 추천한다. 결과: 가장 적합한 의사소통 보드를 추천하는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위치기반 AAC 모바일 앱(GeoAAC)을 개발하였다. GeoAAC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특정 장소에 대한 사용자 맞춤형 위치기반 보드와 상징을 제작할 수 있는 기능도 지원한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특정 장소에서 적합한 의사소통 보드를 직접 선택해야 하는 사용자의 어려움과 불필요한 시간 소요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장소에서 사용할 의사소통 보드를 제작하지 않아도 기본형 위치기반 보드를 제공하여 다양한 장소에서 가장 적합한 의사소통 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인의 의사소통 어려움에 대한 인식

        이명혜,김화수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2022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12

        본 연구는 특수교사, 언어재활사, 학부모가 인식하는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인의 의사소통 어려움을 파악하고자 한다. 발달장애인의 의사소통 어려움은 성인이 되어서도 지속되는 경우가 많은데 성인 전환기를 성공적으로 도달하기 위해 의사소통 문제와 실태, 교육을 제공하는 전문가 및 학부모의 인 식을 정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연구 결과 첫째, 의사소통 어려움이 있는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 학 생을 교육한 경험이 특수교사, 언어재활사 모두에게 나타나며, 응답자 모두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인 의 ‘표현의 어려움’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둘째, 의사소통 어려움을 겪는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인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특수교사, 학부모에게 구체적인 언어중재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성인 사회의 일상생활 및 직업, 취업생활에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인의 의사소통 문제를 파악하고 교육적 중재를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부모-청소년 자녀간의 의사소통과 가족의 응집성 및 적응성 -전남지역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정연호,류점숙,신효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5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7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patterns,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to estimate the differences of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according to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variables and to offer the basic data that are needed to improve desirabl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Results of thes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1. Open communication with father wa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dolescent's birth order. Close communication with father wa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dolescent's sex, adolescent's birth order and family type.Open communication with mother wa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dolescent's sex. Close communication with mother wa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dolescent's sex and birth order.2. Family cohens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dolescent's sex and income level. And family adaptabil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dolescent's sex, adolescent's birth order and income level. 3. Family cohesion was influenced by open communication with father, open communication with mother, income level and adolescent's sex. And family adaptability was influenced by open communication with father, open communication with mother, close communication with father, income level and adolescent's sex. 본 연구는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의 차이와 가족 응집성 및 적응성의 차이,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변인에 따른 가족 응집성 및 적응성의 차이를 알아보고, 청소년들에게 가족내에서 바람직한 의사소통과 가족 응집성 및 적응성을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전남지역 고등학생 425명을 대상으로 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의 차이는 부개방형은 출생순위에 따라, 부문제형은 성별, 출생순위, 가족형태에 따라, 모개방형은 성별에 따라, 모문제형은 성별, 출생순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남학생이 부모와 문제형 의사소통을 많이 하고 있었으며 여학생이 어머니와 개방형 의사소통을 많이 하고 있었다. 또한 장자가 부와 개방형 의사소통을 적게 하고 막내인 경우에 부모와 문제형 의사소통을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핵가족인 경우에 부와의 문제형 의사소통을 많이 하고 있었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가족 응집성과 적응성을 살펴보면 가족 응집성은 성별과 생활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여학생인 경우, 가정의 생활정도가 높은 경우에 가족 응집성을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가족 적응성은 성별, 출생순위, 생활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여학생인 경우, 독자인 경우, 가정의 생활정도가 높은 경우에 가족 적응성이 더 높은 것으로 지각되었다.셋째, 가족 응집성은 부와의 개방적 의사소통, 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 생활정도, 성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부모와 개방적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질수록, 생활정도가 부유할수록, 여학생이 가족 응집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 적응성은 부와의 개방적 의사소통, 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 부와의 문제형 의사소통, 생활정도, 성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부모와 개방적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질수록, 아버지와 역기능적인 의사소통을 하지 않을수록, 생활정도가 부유할수록, 여학생일수록 가족 적응성을 높게 지각하였다.

      • KCI등재후보

        주부의 성격과 스트레스가 가족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장하용,김지애 한국소통학회 2009 한국소통학보 Vol.11 No.-

        이 연구는 주부의 성격유형과 가정자원에 따라 스트레스를 받는 수준과 이를 대처하는 방식이 어떻게 다르며, 결과적으로 주부의 가정 내 의사소통 방식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MBTI 성격검사 및 스트레스, 가정 커뮤니케이션 양식을 측정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성격유형의 차이에 따라서 주부가 스트레스를 받는 수준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지만 스트레스를 대처하는 방식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감정형 선호경향이 강한 주부가 스트레스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었으며, 외향적인 선호경향이 강한 주부일수록 자녀, 남편, 시댁과 긍정적 의사소통 방식을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 내 의사소통을 설명하는 다양한 변인 간의 관계를 경로분석한 결과, 주부의 의사소통은 대상에 따라서 영향변인들이 다르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자녀와 시댁과의 의사소통에서는 주부의 스트레스 정도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반면, 남편과의 의사소통에서는 유의미한 변인이 아니었다. 남편과의 의사소통에는 스트레스보다 주부의 성격이나 학력, 취업여부, 결혼기간 등 주부의 개인적인 요인들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자녀 수는 자녀와의 의사소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동시에 스트레스 수준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주부의 취업 여부는 남편과 시댁과의 의사소통에서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즉 직업을 가진 주부일수록 남편 및 시댁과의 의사소통에서 부정적인 정도가 높았다. 종합적으로 주부들이 받는 스트레스는 자신들이 통제할 수 없거나 어려운 요인들과 깊은 관계가 있으며, 스트레스에 대한 소극적 대처는 가정 내 의사소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which had an effect on the effective family communication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wives’ personality types and the intensity of their stress. A questionnaire including the 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 test and family communication styles was carried out on one hundred married women.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ways to cope with stresses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s. Housewives who depended on the feelings for judgement were coping with stresses more actively. Extrovert housewives favored more positive family communication styles compared with the introvert housewives. The results of path analysis on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family communication styles revealed that housewives’ stress level had a negative impact on their communications with children and husbands’ family members. In contrast, housewives’ individualistic variables such as personality types, education level, employment, period of marriage were important factors in the communications with their husbands. The number of children were also important variables in explaining the positive family communication styles. The housewives who had a job were experiencing more negative communications with their husbands and husbands’ family members.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housewives’ stresses were coming from the factors which were difficult to control with, and their passive resistance to the stresses tended to amplify the negative impacts on the family communications.

      • KCI등재

        의사소통 역량 신장을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방안 -가천대학교 의사소통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박미희 ( Park,Mi-hee ) 우리어문학회 2018 우리어문연구 Vol.61 No.-

        이 글은 의사소통 역량 신장을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가천대학교 의사소통센터에서 주관하는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현황과 운영 방향을 살펴보았다. 실질적인 의사소통 역량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발신자에게 요구되는 역량뿐 아니라 수신자에게 필요한 능력을 통합적으로 다루어야 한다. 또한 단발성의 프로그램 운영을 지양하고 학습자가 의사소통 과정을 충분히 연습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프로그램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그리고 개인별 의사소통 능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의사소통 교육의 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의사소통의 본질은 발신자와 수신자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해와 공감을 이끌어내는 데 있다. 이러한 의사소통 과정의 중요성을 고려하면 단순히 잘 쓰고 잘 말하는 것만으로 의사소통 역량을 갖췄다고 할 수 없다. 따라서 실질적인 의사소통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의사소통의 다양한 방식은 물론 의사소통 과정에서 요구되는 여러 요인들을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his article tried to find out how to operate the extracurricular program to improve communication competence. For this purpose, the present situation and direction of the extracurricular program operated by the Communication Center of Gachon University were examined. In order to increase the practical communication competence, not only the ability required of the caller but also the ability necessary for the receiver must be handled integrally. In addition, the program should be continuously operated so that learner can practice the communication process sufficiently by stopping the single program operation. A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communication education by systematically managing 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the communication process, it can not be said that it is equipped with communication competence simply by writing well and talking well.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communication compete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considering various factors of communica tion as well as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 KCI등재

        보육교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가족-교사 간 의사소통의 관계

        이영애(Young-Ae Lee),부성숙(Sung-Sook Pu)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들의 의사소통능력과 가족-교사 간 의사소통에 대해 살펴보고, 두 변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봄으로써 가족-교사 간 의사소통 기회 증진을 위한 효율적인 방안 마련에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수원시 소재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17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Oneway-ANOVA,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보육교사의 연령, 경력, 학력 및 근무기관 유형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령은 36세 이상 나이 많은 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높았고, 경력과 학력이 높은 집단일수록 의사소통능력이 높았으며, 국공립 어린이집 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민간 어린이집 교사 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가족-교사 간 의사소통은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고, 보육교사의 학력과 근무기관 유형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4년제 대졸 이상 교사의 가정-교사 간 의사소통 수준이 2, 3년제 대졸 교사 보다 높았고, 국공립 어린이집 교사의 가족-교사 간 의사소통 수준이 민간 어린이집 교사보다 높았다. 셋째, 보육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높을수록 가족-교사 간 의사소통 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의사소통능력과 가족-교사 간 의사소통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 of day-care teachers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family-teacher communication. One hundred and fifty five teachers in day-care centers in Gyeonggi-do Suwon-si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descriptive,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of day-care teachers differed according to the irage, education and career level and their type of institute. Second, the family-teacher communication level of day-care teachers differed according to their education level and their type of institute. Thirds,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of day-care teacher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o family-teacher communication.

      • KCI등재

        미술치료의 비언어 매개체를 통한 의사소통 특성 고찰

        최규진(Choi, Kyu-Jin) 한독교육학회 2012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7 No.1

        의사소통은 인간의 복합적 인지 행위이다. 이는 한 개인의 내면세계와 외부세계 간 관계를 생성하고 이를 확장시키며 또한 자신을 표현하는 하나의 수단이다. 미술치료에서 ‘규약적’ 언어 매개체뿐만 아니라, 비언어적 매개체를 통한 의사소통은 ‘치료사-내담자’ 관계의 구축과 성공적 치료를 위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의사소통의 일반적 특성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특히, 비언어적 매개체를 통한 미술 치료적 의사소통의 이해를 위한 하나의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일반적 의사소통의 정의와 종류, 정보 전달 과정 그리고 이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를 근거로 예술매체를 통한 의사소통의 특성과 다양한 그림 요소로 생산되는 그림언어 가 개인 언어화 매개체로써 제공하는 특성을 서술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비언어적 매개체인 예술매체를 통한 작업 행위와 이를 통해서 시각화된 결과물은 한 개인의 고유한 ‘개인 내’ 의사소통 방식과 이를 통해서 축적된 정보와 연관된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이를 통하여 미술치료에서 내담자가 ‘그림언어’를 사용하여 시각화 하는 작업행위를 그의 ‘고유한’ 의사소통의 성향과 사고방식에 근거한 하나의 ‘개인 내’ 의사소통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고 논하였다. 아울러 그의 시각적 결과물은 단순한 해석을 위한 대상이 아닌 한 개인의 정체성과 세계관의 형성의 토대가 되는 복합적 인지 행위에 대한 이해를 위한 유의미한 도구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피력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고찰한 ‘그림언어’를 통한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특성은 미술치료에서 다양한 예술매체를 통한 내담자의 의사소통과 이를 통한 시각적 결과물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그의 내면적 의사소통의 성향과 특성에 근거한 ‘긍정적’ ‘치료사-내담자’ 의사소통 관계 개연성의 확장과 미술 치료적 의사소통의 다양화를 위한 하나의 이론적 토대가 되리라 기대할 수 있겠다. Communication is a complex activity of a human being concerning the cognitive ability. It contains basic operating factors, which allow the construction of different types of relationships between the inner and outer world of a human being and it helps to expand and built up such relationships. In arttherapy not only conventional (verbal), but also nonverbal means of communication are used, which are basically for the foundation of building up a positive therapist-patient-relationship and which have their significant role in and for a successful therapy. In this regard, the present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character of the general arttherapeutic communication in relation to its nonverbal means of communication and then to establish a theoretical basis to understand this better. Beyond that, first the general definition of communication, its kind and its structure are enlightened via communication sent by information process. From these findings, the aesthetic communication was examined, which is used in the therapy of arts as a nonverbal method of communication. Further the different visual elements which are used in this aesthetic communication had been understood as a picture language and their characteristics had been presen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oducer. It was also explained in the present study, that a picture of a client produced in arttherapy and his entire dynamic activity on the scene could be considered as a trace of aesthetic communication. Subsequently it became clear, that the considerations about the communication of arttherapy and their nonverbal means of communication not only refer directly to th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icture of a client, but also on building a positive therapist-patient relationship and the possibilities of diversity of the mutual arttherapeutic commun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