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 영향요인

        이자형,박현준,김경근 한국교육개발원 2014 한국교육 Vol.41 No.3

        본 연구는 고려대학교의 SSK 문화적 다양성과 공존 연구단이 수집한 2013년 다문화사회 관련 의견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위계적 선형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ing)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인수준에서는 중학생 및 고등학생 모두 부모와 친구의 다문화 수용성이 높을수록, 교사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공동체의식이 강할수록 다문화 수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한국어 구사나 한국의 문화적 전통을 중시하는 문화정체성이 강할수록, 그리고 혈통을 중시하는 종족정체성이 약할수록 다문화 수용성이 높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리고 중학생에게는 학업성취도가 다문화 수용성에 부적 효과를 발휘하는 반면, 다문화활동 경험은 다문화 수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에게는 봉사활동 경험이 다문화 수용성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했다. 한편 학교수준에서는 중학생의 경우 학교평균 SES가 다문화 수용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 반면,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다문화가정 학생들에 대한 교사들의 높은 기대가 다문화 수용성을 제고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선험적 기대와는 달리 교사들의 다문화교육 이수 경험이나 다문화가정 학생 지도 경험은 학생들의 다문화 수용성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다문화 수용성을 함양하기 위한 정책방안을 간략하게 논의하였다. Using public opinion data on multicultural people in Korea collected in 2013 by the Cultural Diversity and Coexistence Research Team at Korea University, we investigated determinants of the acceptanc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Korea. Considering the data structure where students are nested within schools, we applied a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HLM) to examine both student- and school-level factors associated with the acceptance of multicultura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Our HLM results showed that for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parents' and friends’ feelings of multicultural acceptance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students' acceptance of multiculturalism. Good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a greater sense of community are also related to an increased level of acceptance for multicultural students. Students who possess a strong affinity with a Korean identity based on culture show higher levels of acceptance towards multicultural students, whereas students who strongly identify with a Korean identity based on race and bloodline display lower levels of acceptance towards multicultural students. For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multicultural acceptance but multicultural activity experiences are positively related with multicultural acceptance. We also discovere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volunteer work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among high school students. Schools with a higher mean SES show a lower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nce (for middle schools). Schools in which teachers have higher levels of expectations for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how a higher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nce. Against our expectations, teachers' experiences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ir experiences mentoring multicultural-family students do not show any significant effect. This study produced implications and policy suggestions based on major findings that can enhance adolescents' acceptance of multiculturalism.

      • KCI등재후보

        다문화교육과 대중매체 경험이 성인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박시균(Seegyoon Park),강창완(Changwan Kang)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3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9

        본 연구는 접촉이 제한되는 상황에서 적절한 정책적 개입이 일반 성인의 다문화 인식개선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시각에 주목하여 다문화수용성 제고 정책 주요소인 다문화교육과 대중매체, 다문화활동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간접접촉인 다문화교육, 대중매체와 다문화수용성 간의 관계에서 직접접촉인 다문화활동의 매개효과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2021년 국민다문화수용성 조사’를 활용하여 일반 성인 4,993명을 대상으로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다문화교육과 다문화활동은 각각 다문화수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다문화교육과 다문화수용성 간의 인과관계에서 직접접촉인 다문화활동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하지만 대중매체와 다문화수용성 간의 관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과관계는 보이지 않았다. 이를 통해 다문화교육과 다문화활동은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으로 작용하고 있고, 다문화활동은 다문화교육과 다문화수용성 간의 인과관계에서 중요한 연결고리가 되어 수용성에 영향을 주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접촉 제한을 극복하는 방안 마련과 더불어 다문화교육의 확대, 대중매체 정책의 전반적인 재검토, 다문화교육과 다문화활동이 연계된 정책 고려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perspective fact that appropriate policy intervention can lead to improvement in the general adult's multicultural awareness in a situation where contact is limited, aims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mass media, and multicultural activities, which are the main elements of multicultural acceptance enhancement policy, on multicultural acceptance.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multicultural activities, which is direct conta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education including mass media, which is indirect contact,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was also examined. To this end, a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4,993 general adults using the 2021 National Multicultural Acceptance Surve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activities each had a positive (+) effect on multicultural acceptance. In addition,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multicultural activities, which is direct contact, was found.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ss media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activities act as major factors influencing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that multicultural activities affect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s an important link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we proposed as follows; measure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ontact, expans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overall reexamination of mass media policies, and consideration of policies linking multicultural activities to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한일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비교연구

        김태완(Kim Tae-Wan),이혜진(Lee, Hey-Jin),이연옥(Lee, Yeon-Ok),조윤용(Cho, Yoon Yong),노츠타카시(Notsu Takashi)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6 디아스포라 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한일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과 그들의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영향을 비교분석하여, 양국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간에 존재하는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는 한일 양국의 도시 중 역사적, 환경적으로 유사한 특성을 가진 부산과 고베를 선택하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사용하였다. 다문화수용성 척도는 이주민에 대한 차별 정도에 해당하는 ‘차별’, ‘거부회피’, ‘문화개방’, ‘상호교류’, ‘고정관념’ 등 총 5개 요인, 13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다문화수용성과 그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일본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점수가 한국 대학생에 비해 높았다. 일본 대학생의 경우에는 외국인친구가 있거나, 다문화강좌 수강 경험을 가진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점수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한국 대학생의 경우에는 유의미한 영향이 없었다. 유학/연수 의향을 가진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점수가 높은 것은 양국 대학생 모두에게서 확인되었다. 또한, 하위요인의 기여순위를 분석해본 결과, 양국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의 구조에는 차이가 발견되었는데, 이러한 차이는 한일 양국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을 변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적절한 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of Korean and Japanese college students, to investigate influence factor explaining their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to compare the structural difference of sub-factor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college students’ multicultural acceptance. The data were selected from the survey conducted in Busan and Kobe as two cities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in terms of history, environment, and geographical specificity.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scale consisted of 13 items and these items were categorized as 5 factors such as “discrimination against migrants”, “rejection/avoidance”, “cultural openness”, “willingness to exchange”, and “stereotypes”. The result of the survey revealed that the overall score of multicultural acceptance of Japanese stud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Korean students. Specifically, college students having foreign friends, having taken multicultural classes, and planning to study abroad showed higher multicultural acceptance scor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anking of the contribution of sub-factor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tructure of multicultural acceptance of college students in the two countries. This difference could provide the appropriate criteria for seeking ways to change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of college students in Korea and Japan.

      • KCI등재

        유아의 다문화수용성에 대한 유아의 다문화경험과 부모의 다문화수용성의 영향

        김미리,난진홍,안선희 한국아동권리학회 2017 아동과 권리 Vol.21 No.3

        본 연구는 유아를 둘러싸고 있는 다문화경험과 부모의 다문화수용성이 유아의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은 서울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는 만 5세 유아 108명과 그들의 부모였다. 유아의 다문화수용성은 연구자가 직접 면접을 하였으며, 유아의 다문화경험과 부모의 다문화수용성은 부모가 평정하도록 하였다. 최종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다문화경험 평균은 형식적 경험이 가장 높았고, 유아의 다문화수용성의 평균은 다문화 공감, 다문화 관계형성능력, 다문화 개방성, 다문화 인식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부모의 다문화수용성은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중간 수준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어머니 및 아버지 다문화수용성과 다문화경험의 하위요인 중 가족경험과 형식적 경험이 유아의 다문화수용성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경험의 하위요인 중 형식적 경험과 부모의 다문화수용성이 유아의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if there was any association between children’s multicultural experience and their par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children’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 total of 108 5-year-old children in nursery school located in Seoul were interviewed by the researcher in order to measure their multicultural acceptability. Children’s parents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the questionnaire in order to evaluate children’s multicultural experience and par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with the final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children’s multicultural experience was at a low level and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 culture was relatively high. As for par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both mother and father’s acceptability were at intermediate levels. Second,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par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children’s multicultural experience’s sub-factors, which are family experience and formal experience,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hildren’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ird, children’s formal experience and par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were found to influence children’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e study also indicated that only the mothers made a real difference.

      • KCI등재

        외국이주민과의 직접 접촉 경험과 다문화 수용성 - 간접 접촉 유형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남보영(Nam, Boyoung),홍이준(Hong, I Jun)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社會科學硏究 Vol.37 No.3

        국내 체류 외국인이 양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외국인에 대한 포용적 인식과 태도의 중요성도 함께 강조되고 있다. 다문화 교육을 접할 기회가 부족한 기성 성인들의 경우, 외국이주민과의 직접 접촉 경험 및 대중매체를 통한 간접 접촉이 이들의 다문화 수용성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8년 국민다문화수용성 조사」를 활용하여 외국이주민과의 직·간접 접촉 경험이 다문화 수용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살펴보고, 직접 접촉 경험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이 대중매체를 통한 간접 접촉에 의해 조절되는지 분석하였다. 특히 직·간접 접촉의 유형에 따라 다문화 수용성에 대한 영향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직접 접촉은 친밀한 접촉과 피상적인 접촉으로, 대중매체를 통한 간접 접촉은 긍정적인 모습, 피해를 당하는 모습, 위협적인 모습, 공익광고 및 홍보영상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두 가지 형태의 직접 접촉 경험(친밀한 접촉, 피상적 접촉) 모두 다문화 수용성에 유의한 영향이 있었으나, 친밀한 접촉이 피상적인 접촉보다 다문화 수용성에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을 가지고 있었다. 대중매체를 통한 간접 접촉의 경우, 대중매체 속 긍정적인 외국이주민, 피해를 당하는 외국이주민은 다문화 수용성에 정적인 영향을, 대중매체 속 위협적인 외국이주민은 다문화 수용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면 공익광고 및 홍보영상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외국이 주민과의 직접 접촉 경험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대중매체를 통한 간접 접촉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대중매체를 통한 간접 접촉 경험이 많을수록 피상적 직접 접촉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친밀한 직접 접촉의 경우에는 간접 접촉의 조절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대중매체가 외국이주민의 삶과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대중에게 제공함으로써 다문화 수용성 향상에 있어서 피상적 직접 접촉이 가지는 한계를 보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 결과 종합하여 본 연구는 일반 국민들의 다문화 수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외국이주민과 ‘친밀한’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직접 접촉의 기회를 높이는 것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또한 외국이주민의 삶의 경험을 다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를 제작·전달함으로써 피상적 직접 접촉의 한계를 보완하고 기성 성인들의 다문화 수용성 제고가 가능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irect and indirect contact (via media) with immigrants on adult citizens’ 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ism and explored whether the association between direct contact and 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ism was moderated by indirect contact.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data (N =3,961) from the 2018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Acceptance in Korea, which investigated adult citizens’ experiences with immigrants and attitudes toward immigrants and multiculturalism. Direct contact with immigrants was classified into two types—superficial contact and intimate contact. Indirect contact was defined as exposure to immigrants through the media, and media exposure was categorized into four types—favorable images of immigrants, victimized images of immigrants, threatening images of immigrants, and sketchy images of immigrants through advertisements. The main effect of each type of contact was examined,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indirect contact on the association between direct contact and 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ism was explored.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both intimate-direct contact and superficial-direct contac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ism such that the more the direct contact, the higher the acceptance of multiculturalism, but intimate-direct contact had a greater impact than superficial contact. However, the main effect of indirect contact varied by the type of indirect contact (i.e., exposure to images of immigrants via media). Exposure to favorable or victimized images of immigrants had a positive effect on multicultural acceptance, while exposure to threatening images of immigrants had a negative effect. More interestingly, the effect of superficial-direct contact on 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ism was significantly moderated by a few types of indirect contact. However, the effect of intimate-direct contact was not moderated by any types of indirect contact.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e importance of both direct and indirect contact in promoting the acceptance of multiculturalism and, more importantly, show that indirect contact through the media can substitute for adult individuals’ limited direct experiences with immigrants and help them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immigrants.

      • 가족, 부모의 사회적 지지와 다문화수용성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다문화 청소년 패널조사(8차)를 중심으로

        오서진(Oh, Seo Jin) 한국여가복지학회 2021 여가복지경영연구(여가복지) Vol.2 No.1

        본 연구에서는 급증하는 다문화가정의 시대에서 중요한 개념인 다문화수용성과 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인 자아존중감을 주요 변인으로 설정하였으며, 다문화수용성과 관련하여, 중요한 영향요인인 사회적지지도 통합하여 고려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 내 다문화가정의 아이들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다문화수용성, 사회적 지지의 수준을 파악하고, 사회적 지지에 따른 다문화수용성과 그 안에서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의 지지는 자아존중감(β=.618, p<.001)과 다문화수용성(β=.251, p<.001)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독립변인과 매개변인을 동시에 투입하였을 때 자아존중감은 다문화수용성(β=.168, p<.001)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종속변인인 다문화수용성에 대한 독립변인의 영향력이 떨어져(2단계: β=.251, 3단계: β=0.147) 가족의지지와 다문화수용성과 갖는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부분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지지는 자아존중감(β=.479, p<.001)과 다문화수용성(β=.227, p<.001)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독립변인과 매개변인을 동시에 투입하였을 때 자아존중감은 다문화수용성(β=.150, p<.001)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종속변인인 다문화수용성에 대한 독립변인의 영향력이 떨어져(2단계: β=.227, 3단계: β=0.155) 부모의 지지와 다문화수용성과 갖는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부분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multicultural acceptance, which is an important concept in the rapidly growing era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self-respect, a variable that significantly affects that, were set as major variables. In addition, regarding multicultural acceptability, social support, an important influence factor, was also intended to be integrated and considered. So,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level of self-esteem,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social suppor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an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by families and parents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The hypothesis test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amily support has been shown to have a static effect on self-esteem(β=.618, p<.001) and multicultural acceptance(β=.251, p<.001). In addition, when independent variables and parameters were injected at the same time, self-esteem was shown to have a static (+) effect on multicultural acceptance(β=.168, p<.001). And, because the independent variable s influence on multicultural acceptance,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has decreased(Model 2: β=.251, Model 3: β=0.147), self-esteem has been shown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upport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Second, parents support has been shown to have a static effect on self-esteem(β=.479, p<.001) and multicultural acceptance(β=.227, p<.001). In addition, when independent variables and parameters were injected at the same time, self-esteem was shown to have a static (+) effect on multicultural acceptance(β=.150, p<.001). And, because the independent variable s influence on multicultural acceptance,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has decreased(Model 2: β=.227, Model 3: β=0.155), self-esteem has been shown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support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 KCI등재

        김해시민의 다문화 수용성에 관한 연구 - 구도심과 신도시를 중심으로 -

        김남희,신유진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0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김해시민의 외국인 접촉 빈도가 다문화 수용성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김해시의 다문화 수용성 제고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김해시 내의 외국인 밀집 지역과 비(非)밀집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외국인 접촉 빈도와 다문화 수용성 수준을 조사, 비교하였다. 김해시민의 다문화 수용성 측정을 위해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개발한 ‘한국 다문화 수용성 진단도구(KMCI)’를 참고하여 다양성, 관계성, 보편성 차원으로 나누고 김해 지역의 상황에 맞춰 세부 항목을 수정하고 보완하였다. 본 연구는 김해시에 위치한 외국인 거리를 중심으로 구도심 거주민 51명과 신도시 거주민 52명을 포함해 총 103명에게 2019년 9월 24일∼2019년 10월 7일 약 3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구도심에 거주하는 시민이 신도시에 거주하는 시민보다 다문화 수용성이 3.1점이 높게 나왔다. 전체 참여자의 다문화 수용성 평균 점수는 58.52점인 것으로 나타나 2018년 실시한 일반 국민의 한국 다문화 수용성 조사 결과보다 5.71점이 높았다. 또한 분석 결과 김해시민의 다문화 수용성 수준은 외국인 접촉 빈도보다는 그들의 연령과 직업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에서 연령과 직업별 특성을 고려한 다문화 수용성 제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도시 내 외국인 밀집 지역과 비(非)밀집 지역에 거주하는 시민을 대상으로 다문화 수용성 수준을 비교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시 차원에서 추진해야 할 다문화 수용성 증진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frequency of interaction with foreigners and the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based on its result, it is to provide the data for enhancing Gimhae‘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For this, original inhabitants in the old downtown areas who had frequently contacted foreigners and those from a new town with less contact with foreigners The study conducted the survey the two groups including old downtown residents and new town residents for their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e study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age and occupation in terms of accepting cultural diversity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lationship and universality. A total of 103 people, including 51 residents of the old downtown and 52 residents of the new town, were surveyed for three weeks from September 24, 2019 to October 7, 2019, focusing on the streets of foreigners located in Gimhae. According to the survey, citizens living in the old downtown had 3.1 points higher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an those living in the new town. The survey found that Gimhae citizens scored 58.52 points which is 5.71 points higher than the result of the 2018 Multicultural Acceptance Survey. In contrast to the previous study's findings the study showed age and occupation have more powerful impact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an on the frequency of interaction with foreigners. In result, the study suggests providing education for multicultural understanding, which are designed for specific students in terms of age and occupation. The multicultural space that breaks the boundary between foreign migrants and Gimhae citizens is also suggested.

      • KCI등재후보

        국민정체성이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백승대,안태준 대한정치학회 2013 大韓政治學會報 Vol.21 No.2

        본 연구에서는 국민정체성이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이 를 위해 연구자들이 2013년 6월에 설문조사한 「고등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자료를 이용했다. 이 자료는 한국사회의 고등학생들이 국민정체성과 다문화수용성에 대해서 어 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대구·경북 지역에 소재한 10개 고등학교에 각각 100부씩 배포하여 고1·2·3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 청소년의 국민정체성은 민족정체성 과 시민정체성으로 분류되었다. 다문화수용성은 다문화지향성, 자민족지향성, 인지된 위협, 법·제도 개선 정책, 경제적 지원 정책 등으로 분류되었다. 국민정체성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민족정체성은 모든 항목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시민정체성은 두 가지 항목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다문화사회로의 변화에 대한 긍정적 태도 인 다문화지향성에는 민족정체성이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시민정체성이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문화사회로의 변화에 대한 부정적 태도인 자민족지향성에는 민족정 체성만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인지된 위협에도 민족정체성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법·제도 개선 정책에는 민족정체성만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경제적 지원 정책에는 민족정체성이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시민정체성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수용성을 세분화해서 국민정체성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기존 연구에서는 대개 다문화수용성을 세분하지 않고 연구를 진행 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를 세 부분으로 나누었을 뿐만 아니라, 각 부분을 요인 분석하여 국민정체성과의 관계를 파악했다. 이렇게 함으로써 국민정체성과 다문화수용 성 간의 관계를 좀 더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다문화수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국민정체성과 관련된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민족정체성은 다문화수 용성의 모든 하위요소에 유의미하면서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 민정체성도 다문화지향성과 경제적 지원 정책 요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민 족정체성이 강하면 다문화수용성이 감소하고, 시민정체성이 강하면 다문화수용성이 증 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사회의 도래를 맞이하여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을 높 이기 위해서는 시민정체성을 중심으로 한 국민정체성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청소년 공동체 의식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연향에 관한 연구: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문수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14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이 다문화 수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며, 이들의 관계에서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데이터에서 조사대상자 2,378명 중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한 2,090명을 대상으로 기술통계와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에서는 첫째, 청소년의 건강수준, 교육수준(부)·(모)에 따라 공동체 의식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성별, 건강수준, 교육수준(부)·(모), 형제자매 수에 따라 또래애착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건강수준에 따라 다문화 수용성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과 다문화 수용성 간의 관계에서 또래애착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 방안으로 청소년을 위한 공동체 의식교육 강화, 또래애착 함양을 위한 전략, 또래를 통한 멘토링 프로그램 활성화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후속연구의 기초자료로서 의미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youth's community awareness affects the multicultural cultural acceptance an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peer attachment between variables. To this end, this study applies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2,090 persons that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from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data. The findings showed some interesting results. First, youth;s community awareness showed difference depending on the level of education(father, mother) and health status of youth. Second, youth's mediating effect showed difference depending on the level of education(father, mother), health status of youth and sex. Third, cultural acceptance showed difference depending on health status of youth. Finally, peer attachment of mediation effect was observed relationship between youth's community awareness and multi cultural acceptance. Based on these findings, enhanced sense of community education for youth, strategies for fostering peer attachment, activation through peer mentoring program are suggested as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multi cultural acceptance of youth. Results of this study have the meanings as the basis for further research to improve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of young people.

      • KCI등재

        한국 초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 영향요인

        이자형,김경근 한국교육학회 2014 敎育學硏究 Vol.52 No.4

        Drawing from public opinion data on multicultural people collected in 2013 by the Cultural Diversity and Coexistence Research Team at Korea University, we examined determinants of multicultural acceptance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We applied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HLM) to investigate both student- and school-level factors associated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multicultural acceptance. Our HLM results exhibited tha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girls show a higher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nce than boys, while rural students display a higher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nce than their urban counterparts. In addition, parents' and friends' multicultural acceptance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tudents' own multicultural acceptance. We also found that a better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neighbors and a higher level of sense of community are closely related with an elevated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nce. Students with a higher level of racial identity exhibit a lower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nce, whereas students with a higher level of Korean cultural identity show a higher level. Schools with a higher mean Korean cultural identity show a higher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nce. Schools with a higher ratio of teachers who have taken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s show an increased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nce. Contrary to our expectations, however, teachers' experiences of mentoring multicultural-family students, school’s multicultural climate perceived by teachers, and schools with a higher mean teachers’ multicultural acceptance have little to do with students' own multicultural acceptance. We discuss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for policies conducive to enhancement of students' multicultural acceptance. 본 연구는 고려대학교의 SSK 문화적 다양성과 공존 연구단이 수집한 2013년 다문화사회 관련 의견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초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 영향요인을 살펴보았다. 위계적 선형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ing)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인수준에서는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이 높고, 서울시나 중소도시보다는 읍면지역이 초등학생에게 다문화 수용성 제고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아울러 부모나 친구의 다문화수용성이 높을수록, 교사나 이웃과의 관계가 친밀할수록, 그리고 공동체의식이 강할수록 아동의 다문화 수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족정체성이 약할수록, 문화정체성이 강할수록 아동의 다문화 수용성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학교수준에서는 학교평균 문화정체성이 높을수록, 다문화교육을 이수한 교사의 비율이 높을수록 초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이 제고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하지만 예상과는 달리 재직학교 교사들이 학교의 다문화 풍토가 적절하다고 인식할수록 아동의 다문화 수용성은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교사의 다문화가정 학생 지도 경험, 학교평균 교사 다문화 수용성 등은 초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방안을 간략하게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