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쇼셜믹스와 갈등사례 연구

        이자형,반승주,김재태 한국부동산법학회 2022 不動産法學 Vol.26 No.3

        이 연구는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시행되는 사회적혼합(social mix)정책과 이로 인해 발생한 사회적 갈등사례와 해소사례를 살펴봄으로써 현재 서울시가 추진하고 있는 사회적혼합정책에 대한 정책방향 및 개선사항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혼합주택단지의 주요갈등사안은 공동대표회의 구성, 관리비부과 및 잡수입처리문제, 용업업체 및 위탁관리업체 선정에 관한 문제들로 분류된다. 갈등사안을 성공적으로 극복한 혼합주택단지 사례를 분석한 결과, 임차인대표회의를 인정하고 공동주택대표회의를 구성하여 공동대표회의를 중심으로 관리규약을 제정및 분리함으로써 상호협의 하에 잡수입 처리 등에 대한 갈등을 해소하고 있다. 또한 공동체 활성화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작은 도서관운영, 에너지 절감교육, 나눔 행사, 마을축제 등을 통해 입주민과 임차인, 지역사회와의 자연스런 소통과 화합의 장이 형성되어 갈등해소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임차인을 관리주체로 동등하게 권한을 부여하고 참여를 보장할 필요성이 있으며 공동대표회의구성을 의무화하고 구성방법에 대하여도 구체적으로 명시하여 혼란을 없애주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공동주택관리법과 민간임대주택법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혼합주택단지 거주민의 공동체 활성화를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확대시행하며, 주민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정책적 지원도 강화하는것이 요구되어진다.

      • KCI등재후보

        유아를 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자형,김일옥,천기정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02 Health & Nursing Vol.14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toddler. This program was developed to teach about adequate nutrition intake and healthy eating habits for toddler, mothers, and teachers using an educational material at home and in the community. Method: Based on the Dick and Carey model of systematic instructional design(1996), 6 phases of study were performed to develop this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he 6 phases included assessment of the need for education(literature review),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program, validity check by professionals, instruction design and development of medi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rogress evaluation, and revision of program. Result: This program consisted of texts, cartoons, photographs, discussion, animation, demonstrations, compensation and reinforcement that were directed by the Dick and Carey model. The subjects of this program included equal food intake, the role of food for health, appropriate amount of food intake, and healthy food intake habits.

      • KCI등재

        교사들의 시선에서 본 학교부적응에 관한 연구

        이자형 한국교원교육학회 2017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4 No.3

        본 연구는 교사들의 시선에서 학생의 학교부적응 양상은 어떻게 표출되고 해석되는지 면밀히 탐색해 보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교직 경력이 오래된 12명의 현장 교사들을 대상으로 ‘학교부적응’ 이라는 현상이 각자가 처한 교육적 맥락과 경험 속에서 어떻게 이해되는지 심층적으로 파악하고자 질적 연구방법을 수행하였다. 교사들과의 면담 분석결과, 학생들의 학교부적응과 관련한 교사의 시선과 경험은 크게 학교부적응의 의미와 양상, 이유, 해결가능성 측면에서 총 3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게 해주었다. 먼저, 대부분의 면담교사들은 학교부적응 학생의 의미를 ‘학교에 오고 싶어 하지 않는 아이들’로 이해하고 있었다. 또한 학교에 부적응한 아이들의 모습은 ‘대놓고 자는 아이’, ‘방해하는 아이’, ‘멍 때리는 아이’ 등으로 묘사되었다. 다음으로, 학교부적응의 이유들로는 ‘방치되어서 또는 금수저라서’, ‘엄마랑 얘기해 보면 답이 나와요’등의 가정적 요인들부터 ‘뭘 해도 안 되니까, 안 해도 되니까’ 등의 교육 및 입시제도 요인들까지 다양하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지금과 같은 교육현실에서 학생들에게 ‘오고 싶은 학교’로 만들어줄 수 있는 길로는 ‘교사가 바뀌고 학교가 바뀌어야’, ‘참여할 수 있는 수업, 즐거운 수업으로’, ‘자기들이 정하고 합의해야’등의 의견들이 제시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학교현장에서 학생들의 학교부적응 문제를 해결해 나가기 위해 주목해야할 시사점을 도출해 보았다.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how students’ school maladjustment is identified and interpreted from the teacher’s point of view, and drawing their implications.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12 school teachers with long teaching experience are carefully selected and interviewed in depth. The findings of the interviews show that teachers’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of school maladjustment are largely categorized into three ways: its meaning and patterns, reasons, and solutions. First, concerning the meaning of school maladjustment, most teachers recognize school maladjusted students as “students who do not want to come to school.” In addition, the patterns of school maladjustment in the class vary from ‘sleeping in front of the teacher’ to ‘disturbing others.’ Second, reasons for school maladjustment also vary from family factors to educational system factors. Third, the alternatives to make the school desirable for students are suggested in 3 ways: ‘teachers and schools should be changed’, ‘interesting and engaging class should be provided’ and ‘building a school culture that students decide and discus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students’ school maladjustment.

      • SSCISCIE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교사효능감 결정요인에 관한 구조적 관계 분석

        이자형,이기혜 한국교원교육학회 201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5 No.4

        Drawing on the first wave data from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factors affecting teacher efficacy.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focusing on the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lass improvement activities, teacher cooperation, and learning organization climate in school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 efficacy was found to be strongly influenced by degree of participation in class improvement activities and degree of cooperation among teachers. Second,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improving the teacher efficacy. In addition, i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lass improvement activities and learning organization climate of the school. Third, it was identified that creating a leaning community climate in which teachers regularly study about educational activities does not directly relate to teacher efficacy. Fourth, among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teacher efficacy was lower in secondary school teachers than elementary teachers.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secondary school,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was lower and the learning organization climate of the school was found to be weaker than the elementary school. On the other hand, secondary teachers showed more participation in class improvement activities than elementary teachers. In order to improve the teacher efficacy based on the results above, it is important for the teach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class improvement activities and to widen the opportunities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It is also necessary to promote the principal's innovative leadership to respect the opinions of teachers, encourage teachers to participate in decision making at school, and pay attention to teacher's innovative ideas on teacher learning and learning. 본 연구는 부산교육종단연구 제1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교사들의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수업개선 활동, 교사협력 및 학습조직 풍토 요인들을 중심으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교사효능감은 수업개선활동 참여 정도와 교사 간의 협력 정도에 강력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역시 교사효능감을 제고하는 데 유의미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뿐 아니라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교사들의 수업개선활동, 학습조직 풍토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교사들이 교육활동에 대해 일상적으로 학습, 연구하는 학습공동체 풍토가 조성되는 것이 교사효능감과는 직접적인 강한 관련성을 지니지는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교사들의 기본 배경 변인 중에서 중등학교 재직 교사인 경우에는 초등 교사에 비해 교사효능감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중등학교인 경우에는 소속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도 더 낮게 인지하였으며 학습조직 풍토도 초등학교에 비해 더 약하게 조성된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중등교사는 초등교사에 비해 수업개선활동에는 더 자주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사효능감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사들이 수업개선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교사들 간에 서로 협력할 수 있는 기회를 넓히는 것이 중요하며, 학교장이 교사들의 의견을 존중해 주고 학교 내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교수학습에 대한 혁신적인 아이디어에도 관심을 기울이는 변혁적 리더십을 고양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